폐결핵 (肺結核) - 폐경병 (手太陰肺經病) - 폐기종 (肺氣腫 Pulmonary emphysema) - 폐농양 (肺膿瘍) - 폐로 (肺癆) - 폐병변증취혈 (肺病辨證取穴) - 폐암 (肺癌) - 폐열 (肺熱) - 폐염 (肺炎) -폐질환 (肺疾患) - 폐출혈 (肺出血)
폐결핵 (肺結核)
1. 參照文(참조문)
1) 폐로 (肺癆)
2) 폐병중(肺病中) - 폐음부족 (肺陰不足) 참조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陰肺經 : 中府(중부,募), 太淵(태연,輸,原,脈會).
手少陰心經 : 陰郄(음극,郄).
足太陽膀胱經 : 肺兪(폐수), 魄戶(백호), 膏肓(고황).
任脈 : 紫宮(자궁).
督脈 : 身柱(신주), 陶道(도도,太陽經과 交會), 大椎(대추,手足三陽經의 交會).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陰肺經 : ① 尺澤(척택), 膏肓(고황).
② 中府(중부), 結核点(결핵점), 肺熱穴(폐열혈), 肺兪(폐유).
③ 尺澤(척택), 大椎透結核穴(대추투결핵혈), 華盖透璇璣(화개투선기)
足太陽膀胱經 : ① 魄戶(백호), 膏肓(고황).
② 膏肓(고황), 肺兪(폐수), 腎兪(신수).
③ 肺兪透天柱(폐수투천주), 大椎透結核穴(대추투결핵혈), 膻中透
玉堂(전중투옥당) 혹은 華盖透璇璣(화개투선기), 尺澤(척택), 足
三里(족삼리).
2) 處方 : 尺澤(척택), 膏肓(고황).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抗結核(항결핵) : 中府(중부), 肺兪(폐수), 膏肓(고황), 魄戶(백호), 百勞(백로).
2) 結核(결핵) : 足三里(족삼리), 사화, 환문, 大椎(대추).
3) 肺結核(폐결핵) : 魄戶穴(백호혈), 膏肓穴(고황혈).- 百症賦
폐경병 (手太陰肺經病辨證處方)
1. 參照文
1) 폐질환 (肺疾患)
2.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의 辨證處方(변증처방)
風寒濕痹(풍한습비), 熱邪上炎(열사상염)
1) 風寒濕痹(풍한습비)
病因病理 : 入經風寒濕邪(입경 풍한습사), 不通經脈(불통경맥).
證候 : 肩背疼痛(견배동통), 臂內側(비내측), 前緣部疼痛(전연부동통)
治法 : 溫經散寒(온경산한), 疏痛經絡(소통경락).
處方 : 俠白(협백), 天府(천부).
針法 : 溫針法(온침법) 혹은 灸法(구법).
2) 熱邪上炎(열사상염)
病因病理 : 熱邪凝滯肺經(열사응체폐경), 隨經上逆(수경상역).
證候 : 咽喉腫痛(인후종통), 發熱(발열).
西醫 : 風熱感冒(풍열감모), 急性扁桃腺炎(급성편도선염), 急性咽喉炎(급 성인후염).
治法 : 淸熱止痛(청열지통).
處方 : 少商(소상), 商陽(상양), 合谷(합곡), 尺澤(척택), 耳尖(이첨).
耳針(이침) - 扁桃體(편도체), 咽喉点(인후점).
針法 : 少商(소상), 商陽(상양), 尺澤(척택) - 点刺出血(점자출혈), 其他穴(기타혈)은 -
瀉法(사법).
폐기종 (肺氣腫 Pulmonary emphysema)
폐조직의 탄력성이 감소하여 폐포가 이상 확장된 상태를 폐기종이라 한다. 이해하기
쉽게 폐포확장증이라고 생각하여도 무방하다. 급성형과 만성형으로 대별 급성형 : 질
식(窒息 suflocation) 익사(溺死drowning) bronchial asthma 심장기능부전, 격열한
운동으로 인한 호흡 불충분 등으로 폐포가 급격히 확장한 것이 원인으로 제거되면 회
복되므로 임상적 의의는 그다지 없다. 만성형 : 대상성 폐기종(급성폐염의 경우 이환되
지 않는 폐렴에서 대상성으로 일어난다)을 제외하고는 임상상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
통 pulmonary emphysema 하면이 만성형을 지칭한다. 유인으로서는 bronchial
asthma, chronic bronchitis에 수반하는 격렬한 기침, 악기를 입으로 부는 직업과 입
으로 불어서 유리그릇을 만드는 직업 등 등을 생각할 수가 있다. 최초의 증상은 운동시
에 나타나는 천식으로 겨울에는 Bronchitis가 추가하여 호흡곤란을 더욱 심화 시킨다.
병변이 진행하면 가벼운 운동에도 호흡곤란이 나타나며 나중에는 심부전증이 나타나
서 더욱 심한 호흡곤란이 일어나 기좌호흡을 하게 되며 사지에 부종이 발생한다. 흔히
폐염과 병발(竝發)하여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治療 : 기관지염(氣管支炎)과 기관지확장(氣管支擴張)의 치법과 거의 동일하다.
- 現代針灸學 -
1. 參考文獻
1) 폐병중 (肺病中) - 폐기부족(肺氣不足), 담탁조폐(痰濁阻肺) 참조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陰肺經 : 太淵(태연,原,脈會)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輸,原), 陰都(음도).
任脈 : 玉堂(옥당).
督脈 : 大椎(대추,手足三陽經의 交會).
3. 辨病取穴(변병취혈)
1) 肺氣腫(폐기종)과 같은 病일 때에 볼 수 있는 呼吸困難(호흡곤난), 胸部膨滿(흉부팽
만, chest distension)으로 걷지 못하는 症狀
處方 : 期門穴(기문혈) 뜸 5장, 中脘(중완), 足三里穴(족삼리혈) 針刺(침자), 合谷(합
곡), 上星穴(상성혈)에도 뜸을 뜬다.-許任
2) 指壓療法(지압료법)
⑴ 기침하고 가래가 많이 나오는데 효과가 있는 경혈 : 肺兪(폐유), 天突(천돌)
⑵ 胸痛(흉통)을 풀고, 심한 기침과 호흡을 편하게 해주는 穴 :膻中(전중), 中府(중부)
⑶ 【東醫寶鑑】에는 ‘모든 痰飮病(담음병)에는 豊隆(풍륭)과 中脘穴(중완혈)을 쓴다
고 했다.
⑷ 【東醫寶鑑】에는 “肺脹(폐창)으로 가래가 성하고 기침이 나면서 눕지 못하거나
다만 한족으로만 누워 잔다고 하며 왼쪽으로만 누워 잘 때에는 오른쪽의 三陰交
穴(삼음교혈)에 뜸을 뜨고, 오른쪽으로만 누워 잘 때에는 왼쪽의 三陰交穴(삼음
교혈)에 뜸을 뜨면 곧 낫는다”고 했으며 “가슴에 痰飮(담음)이 있어서 토하고, 嘔
逆(구역)을 하며 음식을 먹지 못하는 데는 足三里穴(족삼리혈)을 쓴다”고 했다.
폐농양 (肺膿瘍)
1. 參照文(참조문)
1) 폐옹 (肺癰)
2) 폐병중 (肺病中) - 풍열범폐(風熱犯肺) 참조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陰肺經 : 中府(중부,募)
足太陰脾經 : 周榮(주영).
3. 辨病取穴(변병취혈)
1) 肺膿瘍(폐농양, pulmonary abscess)으로 肺氣(폐기)가 치밀어 올라서 기침하고 숨
이 찬 것
處方 : 天突(천돌), 膻中(전중), 膏肓兪(고황수), 肺兪穴(폐수혈).
治法 : 모든 혈에 뜸을 뜨는데 특히 騎竹馬穴(기죽마혈)에 뜸 7장을 뜬다. 이 혈은 모
든 혈의 效能(효능)보다 우세하다.
2) 폐농양(肺膿瘍) : 폐옹(肺癰) 가슴과 옆구리가 켕기듯이 아프고 숨이 가쁘며 불에 댄
것 같이 몸이 화끈거리고 기침을 하며 가래를 내뱉고 음식을 먹지
못하며 낮에는 덜하고 밤에는 심해진다.
處方 : 騎竹馬穴(기죽마혈)에 뜸 7장씩 뜨고, 尺澤(척택), 太淵(태연), 內關
(내관), 神門(신문)에 모두 침을 놓아 氣(기)를 통하게 하여 독기를
없앤다. 만약 낫지 않으면 기죽마혈(騎竹馬穴)에 다시 7장의 뜸을
더 뜬다.
폐옹진찰법(肺癰診察法)
1) 성농(成膿) : 곪았는가를 알고 싶으면 처음 아픈 날로부터 헤아려 40~50일이
지난 뒤에 환자의 눈을 살펴보아 흰자위에 정채(精彩)가 없고 또 약
간 거무스름하며 실같이 가느다란 핏발이 흰자위에 가로 세로로 어지러이 생겼
으면 이미 곪은 것이다.
2) 맥상(脈象) : 홍(洪), 긴(緊), 삭(數), 활(滑)하다.
위급(危急)한 맥상(脈象) : 하유맥(鰕遊脈) 작탁맥(雀啄脈)이다.
3) 치료(治療) : 대침(大針 가장자리에 날이 선 침)으로 아픈 부위의 가장자리 즉 젖
가슴 옆쪽 겨드랑이 아래에서 전늑간(anterior intercostal) 쪽으로
찔러서 고름을 뺀 뒤 소독된 거스를 꽂아서 구멍이 막히지 않게 하고 동시에 돌
옷(바위에 난 파랗고 흰 이끼)을 양의 많고 적음에 억매이지 말고 진하게 달여서
계속 나을 때까지 먹는다.-許任 -
폐로 (肺癆)
肺癆(폐로)는 만성 전염병으로써 咳嗽(해수), 咯血(각혈), 胸悶(흉민), 潮熱(조열), 盜汗(도
한)과 점차로 여위(消瘦)는 특징이 있는 폐결핵(肺結核)을 말한다. 고대문헌에 傳注(전주),
傳死(전사)등의 명칭으로 기재되었다. 이외에 또 證狀(증상)과 預后(예후)에 근거하여 骨
蒸(골증), 癆瘵(로채)로 이름 지었으나 현대에 이르러 폐결핵(肺結核)이라고 하는 것이다.
病因病機(병인병기)
폐로(肺癆)의 병인은 內因(내인)과 外因(외인) 두 개 방면에서 고찰한다.
외인(外因) : 癆虫(로충) 感染(감염)으로 肺臟(폐장)에 침입되고,
내인(內因) : 인체의 正氣(정기) 부족으로 항병능력이 저하된 상태에서 발병이 유인된다.
또 이 兩者(양자)는 서로 전변되는 因果關係(인과관계)가 있다. 癆虫(로충)이 肺臟(폐장)에
침입되면 肺陰(폐음)이 손상되면 폐기의 숙청기능을 일케 됨으로(淸肅失職) 폐기가 상역
되어 기침(咳嗽)이 생기고, 음이 허하고 화(火)가 왕성함으로 진액을 달구(虛火煉液)게 되
면 가래가 생기게 되는데, 이런 상태로 기침을 계속하게 되면 肺絡(폐락)이 손상되면서
咯血(각혈), 胸痛(흉통)으로 발전하고, 津液(진액)의 缺乏(결핍)으로 목과 입이 마르게 된
다.
이와 같이 陰虛火旺(음허화왕)하면 潮熱(조열), 盜汗(도한)등 전신증상이 생기고, 中氣(중
기, 脾胃)가 부족하면 숨이 가쁘고 여위거나 浮腫(부종)이 생기게 된다.
辨證施治(변증시치)
內因 : 인체(人体)에 정기(正氣)가 부족함으로 정항력(抗病能力)이 저하된 것이다.
외인(外因)과 내인(內因)은 서로 원인과 결과를 제공하는 인과관계가 있다.
症狀 : 초기(初起)에 경한 기침(해수), 피로하고 무력(疲困无力)하며, 음식을 잘 먹지 않고
(食納不佳), 체중이 감소되고, 가슴이 아픈 증상(胸部痛症)이 있거나 혹은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게 되는데(或痰中血病) 이런 증상이 계속발작 되면 기침(咳嗽)이 심
하거나 혹은 가래가 적은 마른기침(乾咳少痰)하게 되고, 오후에 조열(午後潮熱)이
발작하며, 양쪽 광대뼈 부위가 붉게 달아오르며(兩觀發赤) 밤잠을 잘 때 땀을 흘리
게 되고(盜汗), 피부가 건조해지기도 한다. 마음이 괴로워 잠을 이루지 못하며(心煩
失眠), 가슴이 아프고(胸痛) 기침할 때 피가 나는데 그 량이 늘어나고(咯血量增加),
남자는 정액이 절로 흐르며(男子遺精), 부녀자는 폐경(婦女閉經)에 이르게 되며, 혀
의 색이 빨갛게(舌質紅赤)되고 태는 적으며(苔少) 맥은 세삭(脈細數) 하다.
萬若 병이 중해지면 : 환자는 극도로 여위며, 목소리가 쉬고, 호흡이 짧고 빨라(呼吸短促)
지거나 혹은 기침하며 많은 량의 피를 뱉기도 하고(或有大量咯血), 얼굴과 다리에
부종이 생기며(面部와 下肢浮腫), 식사를 적게(食少)하고, 변이 묽고(便溏), 혀가 벌
질번질(舌質光滑)고 맥은 미세(脈微細)하다. 심지어 가슴이 두근거리며 두렵기도
하고(心悸), 호흡이 약하고 팔다리가 차가우며(四肢冷), 땀이 나고(汗出), 맥이 새삭
(脈細數)한 음이 다하고 양도 미약한(陰竭陽微) 등의 위험한 증상이 나타난다.
原則 : 음을 배양하여 폐를 보하고(養陰補肺) 기를 보태어 비를 튼튼하게 함으로(益氣健
脾) 기음(氣陰)을 자생(自生)할 수 있도록 한다.
- 수태음경혈(手太陰經穴) 및 배수혈(背兪穴) 위주
處方 : 척택(尺澤), 폐수(肺兪), 고황수(膏肓兪), 대추(大椎), 삼음교(三陰交), 태계(太溪) - 陰
(음)을 보하여 로병(癆病)에 저항하도록(補虛抗癆) 한다.
方義 : ① 척택(尺澤) : 폐경(肺經)의 합혈(合穴)이며
② 폐수(肺兪)와 배합하면 음을 배양하여 폐를 윤활하게(養陰潤肺)하고,
③ 고황수(膏肓兪) : 모든 허와 손실(諸虛百損)을 주치하며, 폐로(肺癆)를 치료하는
경험(經驗)의 요혈(要穴)이고,
④ 대추혈(大椎穴)과 배합하면 폐기를 보하고 조절(調補肺氣)하면서 병을 유발시
킨 폐장을 견고하게 하는 원기를 북돋운다(固本培元).
⑤ 삼음교(三陰交) : 비토(脾土)를 튼튼히 하여 폐기(肺氣)를 보태고(健脾益肺)
⑥ 태계(太溪) : 신경(腎經)의 원혈(原穴)이며 음을 자양하고 신을 보하는(滋補腎陰)
공능이 있다.
이 여러 혈을 함께 사용하면 보허항로(補虛抗癆)의 공능(功能)이 있다.
만약 : ① 조열(潮熱) : 加 어제(魚際), 노궁(勞宮) - 심폐사열(心肺瀉熱)하고,
② 도한(盜汗) : 加 음극(陰郄), 복류(復溜) - 렴음지한(斂陰止汗)하고,
③ 각혈(咯血) : 加 중부(中府), 공최(孔最), 격수(膈兪) - 청폐지혈(淸肺止血),
④ 목이 쉬면 : 加 조해(照海) - 청열이인(淸熱利咽)하고,
⑤ 유정(遺精) : 加 지실(志室) - 보신고정(補腎固精)하고,
⑥ 폐경(閉經) : 加 혈해(血海) - 리혈조경(理血調經)하고,
⑦ 사지냉(四肢冷) : 加 구(灸) 관원(關元) - 배보원기(培補元氣)한다.
治法 : 음이 허하고 양이 항성(陰虛陽亢)한 것은 침치료를 많이 사용하며 양허(陽虛)는 뜸
치료(灸法)를 많이 사용한다. 등어리의 수혈(兪穴)은 반흔구법을 使用해도 된다.
1. 참조문
1) 폐결핵 (肺結核)
2. 노채 (勞瘵) : 肺癆(폐로)는 初起(초기), 癆瘵(노채)가 2기 이상 넘어선 증상
症見 : 虛勞日久(허로일구) 虫發生(충발생) 侵肺(침폐) - 咯血(각혈) 痰嗽(담수), 遺精
(유정), 泄瀉(설사), 潮熱(조열), 盜汗(도한), 瘦削(수삭), 疲倦(피권) 등 증, 夢中
神交接頻繁(몽중신교접빈번), 相面前世人(상면전세인), 恒常感情銳敏(항상감
정예민) 평상시에는 早輕夕重(조경석중)으로 發熱(발열), 心煩(심번), 口燥(구
조), 身乾(신건), 瞼紅(검홍), 脣赤(순적). 骨蒸(골증). 廢疾(폐질). 咽痛(인통). 失
音(실음), 만약 泄瀉不止(설사불지)하면 不治愈(불치유)라 하였다.
處方 : 腰眼(요안) 四髎(사료) 補, 膏肓(고황) 瀉.-舍岩-
폐병변증취혈 (肺病辨證取穴)
肺氣不足, 肺陰不足, 風寒束肺, 風熱犯肺, 痰濁阻肺.
1) 肺氣不足(폐기부족)
病因病理 : 久咳傷氣(구해상기), 心脾虛弱引起(심비허약인기) 肺氣漸弱(폐기점약), 失常宣
肅(실상선숙).
證候 : 咳嗽(해수), 氣短(기단), 痰淸稀(담청희), 身冷畏寒(신냉외한) 말하기 싫어하고
(懶言), 面色晄白(면색황백), 舌色軟(설색연), 苔白(태백), 脈虛弱(맥허약).
- 補肺湯證(보폐탕증)
西醫 : 慢性氣管支炎(만성기관지염), 喘息性氣管支炎(천식성기관지염), 氣管支
喘息(기관지천식), 肺氣腫(폐기종) 등.
治法 : 補益肺氣(보익폐기)
處方 : 太淵(태연), 肺兪(폐수), 脾兪(비수), 膻中(전중), 魚際(어제).
針法 : 補法(보법) 혹은 針灸結合(침구결합).
2) 肺陰不足(폐음부족)
病因病理 : 久病体弱(구병체약) 或은 熱邪壅肺日久(열사옹폐 일구), 혹은 肺陰損傷(폐음손
상), 혹은 腎陰不足引起(腎陰不足引起(신음부족인기) 失養肺氣(실양폐기) 不能
肅淸下降(불능숙청하강) 혹은 陰虛火旺(음허화왕), 陰血損傷(음혈손상)
證候 : 乾咳少痰(건해소담), 午后潮熱(오후조열), 盜汗(도한), 髖骨潮紅(관골조홍), 咽
乾口燥(인건구조), 嘶啞(시아, 목소리가 쉬다.), 舌紅苔少(설홍태소), 脈細數(맥
세삭).
西醫 : 肺結核(폐결핵), 肺炎恢復期(폐염회복기).
治法 : 滋陰養肺(자음양폐), 降火(강화).
處方 : ⑴ 太淵(태연), 肺兪(폐수), 魚際(어제).
針法 : 補法(보법) 혹은 平補平瀉(평보평사).
⑵ 肺兪(폐수), 膏肓兪(고황수), 復溜(복류), 太谿(태계), 太淵(태연), 尺澤(척택),
陽谿(양계).
針法 : 平補平瀉(평보평사)
3) 風寒束肺(풍한속폐)
病因病理 : 風寒邪氣(풍한사기) 침범, 束縛肺氣(속박폐기) 宣肺无權(선폐무권).
證候 : 惡寒發熱(오한발열), 頭身疼痛(두신동통) 无汗鼻塞(무한비색), 流涕(류 체), 咳
嗽痰稀(해수담희), 舌苔薄白(설태박백), 脈浮緊(맥부긴).
西醫 : 感冒(감모), 急性氣管支炎(급성기관지염), 慢性氣管支炎(만성기관지염).
治法 : 疏風散寒(소풍산한), 化痰止咳(화담지해)
處方 : 列缺(열결), 太淵(태연), 肺兪(폐수), 尺澤(척택), 合谷(합곡), 曲池(곡지).
針法 : 瀉法(사법)
4) 風熱犯肺(풍열범폐)
病因病理 : 風熱邪氣(풍열사기), 혹은 風寒邪氣(풍한사기) 犯肺(범폐), 轉化熱邪(전화열사),
積肺熱邪(적폐열사), 肺氣不宣(폐기불선).
證候 : 咳嗽(해수), 痰黃粘稠(담황점조), 氣短(기단), 甚則鼻煽(심칙비선), 胸悶 痛(흉민
통), 發熱(발열), 口渴(구갈), 流涕粘稠(류체점조), 혹은 衄血(뉵혈), 咽喉痛(인후
통) 혹은 膿血痰(농혈담), 舌紅乾(설홍건), 苔黃(태황), 脈數(맥삭)
西醫 : 感冒(감모), 急性氣管支炎(급성기관지염), 慢性氣管支炎(만성기관지염),
急性發作肺炎(급성발작폐염), 肺膿瘍(폐농양).
治法 : 淸宣肺熱(청선폐열).
處方 : ⑴ 少商(소상), 豊隆(풍륭), 尺澤(척택), 肺兪(폐수), 合谷(합곡).
針法 : 瀉法(사법). 少商(소상), 尺澤(척택) - 瀉血(사혈)
⑵ 孔最(공최) 魚際(어제) 合谷(합곡) 豊隆(풍륭) 腎兪(신수) 肺兪(폐수)
針法 : 透天凉法(투천량법)
5) 痰濁阻肺(담탁조폐)
病因病理 : 積肺痰濕(적폐담습), 肺閉淸肅下降(폐폐청숙하강)
證候 : 咳嗽氣短(해수기단), 喉中痰鳴(후중담명), 痰稠量多(담조량다), 惡心(오심), 食
欲不振(식욕부진), 胸脇脹痛(흉협창통), 甚則起坐(심칙기좌), 呼吸(호흡) 張口
抬肩(장구태견), 不能臥(불능와), 舌苔白膩(설태백니), 脈弦滑(맥현활).
西醫 : 慢性氣管支炎(만성기관지염),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 肺氣腫(폐기종).
治法 : 溫肺化飮(온폐화음), 理氣祛痰(리기거담).
處方 : 膻中(전중), 中脘(중완), 氣海(기해), 肺兪(폐수), 風門(풍문), 定喘(정천), 尺澤(척
택), 豊隆(풍륭).
針法 : 輕刺(경자) 留針(류침) 灸法(구법).
폐암 (肺癌)
1. 주치혈(主治穴)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中府(중부,募), 雲門(운문), 俠白(협백), 尺澤(척택,合), 列缺(열결), 太淵(태
연,原,脈會), 少商(소상,井).
足陽明胃經 : 豊隆(풍륭,絡).
足太陰脾經 : 大包(대포).
手太陽小腸經 : 天宗(천종).
足太陽膀胱經 : 大杼(대저,手足太陽, 少陽의 會, 督脈의 別絡,八會穴의 骨會), 風門(풍
문,督脈,足太陽의 會), 肺兪(폐수), 心兪(심수).
手厥陰心包經 : 天池(천지,小腸의 會).
足少陽膽經 : 肩井(견정,手足少陽,足陽明,陽維의 會).
督脈 : 啞門(아문,督脈,陽維의 會), 大椎(대추,督脈,手足三陽의 會).
任脈 : 천돌(天突,陰維,任脈의 會).
寄穴 頸部 : 頸淺(경천) 腋窩部 : 消壞(소괴)
腰背部 : 喘息(천식).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指壓療法(지압료법)
⑴ 風府(풍부), 大椎(대추) : 呼吸器疾患(호흡기질환) 일체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經穴
(경혈)이다.
⑵ 膻中(전중), 上脘(상완) : 血痰(혈담)이 있을 때 유효한 經穴(경혈)이다.
⑶ 氣海(기해), 關元(관원) : 氣海穴(기해혈)은 목구멍에서 가래 꿇는 소리가 甚하게 날
때 有效(유효)하며, 關元穴(관원혈)은 肺癌(폐암)으로 体力
(체력)이 떨어져 있고 血痰(혈담)을 뱉을 때 效果(효과)가 있
는 經穴(경혈)이다.
⑷ 照海(조해), 豊隆(풍륭) : 呼吸器疾患(호흡기질환)이 났을 때 도움이 되는 經穴(경혈)
이다.
폐열 (肺熱) : 설폐열 (泄肺熱)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尺澤(척택,合).
足太陽膀胱經 : 肺兪(폐수).
폐염 (肺炎)
1. 參照文
1) 폐옹 (肺癰)
2) 急性發作(급성발작) : 폐병중 (肺病中) - 풍열범폐(風熱犯肺) 참조
3) 恢復期(회복기) : 폐병중(肺病中) - 폐음부족(肺陰不足) 참조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中府(중부,募), 孔最(공최,郄), 少商(소상,井).
手陽明大腸經 : 曲池(곡지,合), 手五里(수오리).
手太陽小腸經 : 肩外兪(견외유).
足太陽膀胱經 : 大杼(대저,手足太陽,少陽經과 會,督脈의 別絡,骨會), 風門(풍문,督脈,足
太陽의 會).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支溝(지구,經).
督脈 : 身柱(신주).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大杼(대저), 肺兪(폐수), 中府(중부), 孔最(공최).
4. 中醫(중의)
1) 大葉性肺炎(대엽성폐염) : 90~95% 肺炎(폐염) 雙球菌(쌍구균) - 靑壯年(청장년) 冬天
(동천)
2) 小葉性肺炎(소엽성폐염) : 續發(속발), 沿支氣管小葉分布(연지기관소엽분포)
3) 間質性肺炎(간질성폐염) : 病毒支原體(병독지원체)
病因 : 風邪犯肺(풍사범폐), 痰熱互結(담열호결).
症狀 : 寒戰(한전), 高熱(고열), 咳嗽(해수), 棕色痰(종색담) 1~2 周(주)
治則 : 散風淸熱(산풍청열), 淸肺化痰(청폐화담).
處方 : 大椎(대추), 身柱(신주), 肺兪(폐수), 膻中(전중), 心兪(심수), 內關(내관).
만약 : ③ 風熱(풍열) : 加 - 魚際(어제), 曲池(곡지), 內庭(내정).
② 痰熱(담열) : 加 - 尺澤(척택), 合谷(합곡), 豊隆(풍륭).
③ 高熱(고열) 点刺 : 加 - 大椎(대추), 身柱(신주), 耳尖(이첨, 放血)
폐질환 (肺疾患)
1. 참조문(參照文)
1) 폐경병 (肺經病)
2. 임상응용(臨床應用)
1) 指壓療法(지압료법)
⑴ 足三里(족삼리), 太谿(태계) : 足三里穴(족삼리혈)은 肺機能(폐기능), 消化器機能
(소화기기능) 등이 모두 虛弱(허약)해 있고 몸이 여윈 데에 좋은 經穴(경혈)이고
太溪穴(태계혈)은 肺氣(폐기)가 虛(허)하여 코로 숨을 쉬기가 힘들고 숨결이 弱
(약)한 肺虛證(폐허증)에 효과가 있는 經穴(경혈)이다.
⑵ 郄門(극문), 陰郄(음극) : 가슴의 充血(충혈)로 숨이 찰 때 쓰는데, 肺實證(폐실증)
으로 肺氣(폐기)가 지나치면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氣(기)가 치밀어 오른다. 바
로 이런 때에 효과가 있는 經穴들 이다.
⑶ 風池(풍지), 三焦兪(삼초수) : 肺實證(폐실증)의 경우에는 氣(기)가 치밀어 올라
서 등의 筋肉(근육)이 아프고 당기는데 이때 효과가 있는 經穴(경혈)이다.
⑷ 魄戶(백호), 神堂(신당) : 肺機能(폐기능)이 좋지 못해서 숨이 찰 때 효과가 있는
穴인데【東醫寶鑑】에는 “몸에서 熱(열)이 나고 虛勞病(허로병)으로 기침이 날 때
에는 魄戶穴(백호혈)에 針(침)을 놓아 瀉(사)한다”고 했다.
⑸ 膏肓(고황), 厥陰兪(궐음수) : 氣道(기도)를 넓히고 呼吸(호흡)을 편안하게 해주
는 경혈이다. 肺氣(폐기)가 虛(허)하면 코로 숨을 쉬기가 힘들고 숨결이 약해지
는데 이때 효과가 있는 경혈이다.
⑹ 膻中(전중), 中脘(중완) : 呼吸困難(호흡곤난)에 좋으며 특히 정신적으로 숨을 쉬
기 힘들 때에 효과가 있는 경혈이다. 肺實證(폐실증)이 있으면 숨이 차서 헐떡거
리며 가슴에 손을 대고 고개를 젖히고 숨을 쉬게 되는데 이때 효과가 있다.
폐출혈 (肺出血)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太陽膀胱經 : 膈兪(격수).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