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선 (扁桃腺) - 편도선암 (扁桃腺癌) - 편도선염 (扁桃腺炎) - 편도체염 (扁桃體炎)
참고 : 침구154 인후질환(咽喉疾患)
편도선 (扁桃腺) : 喉症(후증)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陰肺經 : 魚際(어제, 滎), 液門(액문). - 百症賦(백증부)
2. 舍岩道人針灸要訣
1) 喉痹(후비) : 喉中(후중)이 막혀서 通(통)하지 않는 것이니 흔히는 목이 붓고 面紅(면
홍), 頰腫(협종), 심하면 項外(항외)까지 漫腫(만종)하며 喉中(후중)에
주먹 같은 덩어리가 있어 물 한 모금 넘기지 못하며 말 한마디 못하는
症狀(증상).
處方 : 腎傷(신상) - 經渠(경거) 補, 崑崙(곤륜) 液門(액문) 中渚(중저) 瀉.
又方 : 然谷(연곡) 針刺, 少商(소상) 出血(출혈), 其效如神(기효여신).
2) 單蛾(단아) : 喉關(후관, 會厭) 한쪽에 누에 또는 밤 대추 모양의 종물이 생겨 紅腫疼
痛(홍종동통)하는 症狀(증상)
處方 : 肝傷(간상) - 陰谷(음곡) 補, 商陽(상양) 液門(액문) 中渚(중저) 瀉
※ 柳泰佑 - 실제상 扁桃腺炎(편도선염)은 胃實(위실)이나 腎實證(신실증)
에서 많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小腸勝方(소장승방)이나 肺勝
方(폐승방)과 相應療法(상응료법)이 좋다.
3) 雙蛾(쌍아) : 喉關(후관) 양쪽에 생긴 것으로 扁桃腺炎(편도선염)을 말한다.
處方 : 心傷(심상) - 大敦(대돈) 腋門(액문) 陽池(양지) 關冲(관충) 瀉
杏坡居 士 - 喉熱(후열)은 胃傷(위상)인지라 陽谷(양곡) 陷谷(함곡) 補(보), 中渚(중저) 瀉
(사)라 附記(부기)했으며 이어서 註(주)를 닳았는데 - 喉熱(후열)은 風熱(풍
열)로 인한 喉痹(후비)를 指稱(지칭)함인듯한데 推斷(추단)키 難(난)하므로 그대로 抄
(초)하여 後知者(후지자)를 기다린다. ※ 柳泰佑 - 양쪽에 생긴 扁桃腺炎(편도선염)도
左右腎實症(좌우신실증)에서 발생된 것이다. 따라서 心正方(심정방)이나 腎勝方(신승
방)을 쓰는 것이 좋은데 여기서는 肝 三焦經을 瀉하고 있다.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咽(인)은 因(인)이니 食管(식관)의 上端(상단), 胃(위)에 通(통)하는 道路(도로)
로서 飮食(음식)이 반드시 口(구)를 因(인)하여 喉(후)에 至(지)하면 삼켜서 胃
(위)에 들어가기 때문에 咽(인)이라 하는 것이며 喉(후)는 頸項內(경항내)에 聲息(성식),
水穀(수곡)을 통하는 道路(도로)로서 舌本(설본)의 下(하) 食管(식관), 氣管上(기관상)에
있는데 輭骨(연골)로 되었으며 筋肉(근육)으로 連(연)하였는데 喉(후)가 크면 소리가 크
고, 喉(후)가 적으면 소리자 적다(낮다). 그런데 다시 말하면 咽(인)은 嚥(연)이니 胃(위)
를 통하여 嚥物(연물)함이오, 喉(후)는 候(후)이니 肺(폐)를 통하여 候氣(후기)하는 것이
다. 肺, 胃二經(폐, 위이경)이 咽喉(인후)를 實主(실주)하는 것이나 少陰君火(소음군화)
의 脈(맥)도 또한 여기를 統絡(통락)하였다. 대개 外襲風邪(외습풍사)와 內傷鬱熱(내상
울열)이 輕(경)하면 붓고 아프며 重(중)하면 瘡(창)이 생기고 急(급)하면 咽塞不通(인색
불통)이 된다. 古方(고방)에 비록 18종의 名(명)이 있다하더라도 그 원인은 모두 火(화)
에 속하였으며 또한 虛(허)도 있고 實(실)도 있으니 虛(허)한 것은 마땅히 滋補降火(자
보강화)하여야 하며 實(실)한 것은 淸熱解毒(청열해독)하여야 한다.
舍岩(사암)은『喉(후), 胃也(위야), 胃士過者(위사과자), 腎傷(신상), 自動相火(자동상화),
腎水傷則心燥(신수상칙심조), 正怒君火(정노군화), 調三焦之隱逸(조삼초지은일), 治兩
火之却患(치양화지각환), 從陰陽之昇降(종음양지승강), 引經絡而補瀉(인경락이보사),
小見不失(소견불실), 廣聞何廬(광문하려)』라 하였다.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1) 한 남자가 一邊痛(일변통)의 單蛾(단아)를 患(환)하였는지라 陰谷(음곡) 補(보), 液門
(액문), 中渚(중저), 商陽(상양) 瀉(사)하였더니 數次(수차)에 効驗(효험)이
없거t늘 다시 喉熱治法(후열치법)으로 陽谷(양곡) 補(보), 液門(액문), 中渚(중저), 陷
谷(함곡) 瀉(사)하였더니 神効(신효)하더라
2) 한 남자가 喉中右邊(후중우변)에 單蛾(단아) 같은 것이 있어서 時時(시시)로 惡寒
(오한)이 나고 삼킬 수 없으며 말이 얼울하고 침을 흘리거늘 單蛾方(단아
방)으로 左邊(좌변)을 治(치)하였더니 有効(유효)하더라.
3) 한 남자가 右邊咽喉(우변인후)가 부어서 惡寒(오한), 嚥艱(연간, 삼키기 어려운), 語
訥(어눌, 말을 더듬는), 流涎(류연) 등 증을 訴(소)하여 喉熱治法(후열치
법)으로 하였더니 効驗(효험)이 없으며 甚(심)히 痿黃(위황)하고 耳下大腹分野(이하
대복분야)에 大, 小豆(대,소두)만큼씩 한 三, 四個(삼,사개)의 結核(결핵)이 있고 또한
腰痛(요통)이 있다 하거늘 大腸正格(대장정격)을 썼더니 二次(이차)에 見効(견효)하
였다. 그러면 診證(진증)에만 밝으면 혹 本方外(본방외)에도 奇効方(기효방)이 있는
것인가
4) 한 남자가 年近三十(연근삼십)에 恒時(항시) 喉熱(후열)을 患(환)하여 用藥累治(용
약루치)하여도 効驗(효험)이 없다하거늘 처음에 胃傷(위상)인가 疑心(의
심)하여 四五次(사오차)를 治(치)하여도 効驗(효험)이 없고 목구멍이 별로 분대가 없
는지라 腎傷(신상)으로써 治(치)하였더니 一度(일도)에 有効(유효)하더라
5) 한 婦人(부인)이 年近三十(연근삼십)에 喉中右邊(후중우변)이 腫痛(종통)하여 言語
(언어)가 不能(불능)하며 恒時(항시) 참을 흘리고 두 눈이 紅腫(홍
종)한데 매년 한번씩을 本證(본증)으로 數十日式(수십일식) 辱(욕)본다 하므로 처음
에 胃傷(위상)인가 疑心(의심)하여 治(치)하여도 一(일) 驗(험)한지라 左邊(좌변) 陰
谷(음곡)補(보), 商陽(상양) 液門(액문) 中渚(중저)를 瀉(사)하였더니 一次(일차)에 조
금낫고 二, 三次(이,삼차)에 快差(쾌차)하더라 그러면 肝候(간후)도 혹 右(우)에 在
(재)할 수도 있나보더라.
편도선암 (扁桃腺癌)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寄穴(기혈)
⑴ 頸部(경부) : 頸淺(경천).
⑵ 頭面部(두면부) : 扁桃体穴(편도체혈).
편도선염 (扁桃腺炎)
1. 參照文(참조문)
1) 急性 : 肺經病辨中 熱邪上炎 參照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云門(운문), 孔最(공최,郄), 經渠(경거,經),魚際(어제,滎),少商(소상,井).
手陽明大腸經 : 商陽(상양,井), 偏歷(편력,絡-太陰經 列缺), 溫溜(온유,郄), 曲池(곡
지,合), 天鼎(천정).
足陽明胃經 : 頰車(협거), 人迎(인영,足陽明,少陽의 會), 氣舍(기사), 缺盆(결분), 下
巨虛(하거허,小腸의 下合穴), 內庭(내정,滎), 廬兌(려태,井).
手太陽小腸經 : 天容(천용).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井), 照海(조해,陽交脈所出,八脈交會穴).
手厥陰心包經 : 大陵(대능,輸,原). 手少陽三焦經 : 陽池(양지,原), 天井(천정,合).
任脈 : 천돌(天突,陰維,任脈의 會), 廉泉(렴천).
頭頸部奇穴 : 扁桃(편도).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陰肺經 : 少商(소상), 金津(금진), 玉液(옥액).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少商(소상), 中冲(중충), 勞宮(노궁), 照海(조해).
足陽明胃經 : ① 頰車(협거), 合谷(합곡), 翳風(예풍).
② 內庭(내정, 滎), 合谷(합곡, 原).
手太陽小腸經 : 天容(천용), 合谷(합곡).
頭頸部奇穴 : 扁桃(편도), 合谷(합곡).
2) 處方 : 少商(소상), 金津(금진), 玉液(옥액).
4. 辨證取穴(변증취혈)
1) 消散(소산) : 合谷(합곡), 少商(소상), 中冲(중충), 勞宮(노궁), 照海(조해)
2) 消炎(소염) : 少商(소상), 合谷(합곡), 天突(천돌).
3) 解熱(해열) 消痰(소담) 鎭痛(진통) : 中府(중부), 缺盆(결분), 風門(풍문).
4) 扁桃腺炎(편도선염) : 瀉血(사혈) 少商穴(소상혈). -玉龍歌
5) 한쪽 편도선염으로 목구멍이 붓고 아플 때
處方 : 先刺 - 后谿穴(후계혈),
后刺 - 關冲(관충), 天突(천돌), 合谷穴(합곡혈)을 治療한다.-西江月
6) 양쪽 편도선염으로 목구멍이 막혀서 통하지 않을 때
處方 : 先刺 - 后谿穴(후계혈).
后刺 - 少商(소상), 金津(금진), 玉液(옥액), 十宣(십선).-西江月
5. 이침(耳針)
耳穴 : 耳輪 1~6, 咽喉(인후), 扁桃腺(편도선).
편도체염 (扁桃體炎)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處方 : ① 上廉泉(상렴천), 合谷(합곡), 少商(소상, 放血)
② 天突(천돌), 合谷(합곡), 魚際(어제).
2. 辨證取穴(변증취혈)
1) 소산 (消散) : 편도선염(扁桃腺炎)
處方 : 합곡(合谷), 소상(少商), 중충(中冲), 노궁(勞宮), 조해(照海).
3. 耳針(이침)
耳穴 : 咽(인), 扁桃體(편도체), 耳尖放血(이첨방혈).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