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肝癌) - 간열 (肝熱) - 간염 (肝炎 Hepatitis) - 간종대 (肝腫大) -
간질병 (癇疾病) - 교원성질병 (膠源性疾病) - 소아간질 (小兒癇疾)
간암 (肝癌)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梁門(양문), 氣冲(기충), 함곡(陷谷,輸), 內庭(내정,滎).
足太陽膀胱經 : 膈兪(격수), 肝兪(간수), 膽兪(담수), 腎兪(신수).
手少陽三焦經 : 支溝(지구,經).
足少陽膽經 : 陽陵泉(양능천,合,筋會), 丘墟(구허,原).
足厥陰肝經 : 太冲(태충,原), 中封(중봉,經), 章門(장문,厥陰 少陽의 會, 臟會, 脾의 募)
期門(기문,募,足太陰 厥陰 陰維의 會).
寄穴 頭面部 : 金津(금진)․玉液(옥액).
下肢部 : 通氣穴(통기혈).
2. 임상 (臨床)
1) 신재용 남성동의보감
① 三陰交(삼음교), 足三里(족삼리), 合谷穴(합곡혈) : 간암에 효과가 있다.
② 湧泉(용천), 腎兪穴(신수혈)를 보강하여 간 기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③ 膽囊穴(담낭혈) : 간암에 효과가 있다.
④ 天樞(천추), 氣海穴(기해혈) :【東醫寶鑑】에는 “오랜 설사에는 天樞(천추), 氣海穴(기
해혈)에 뜸을 뜨는데 반드시 설사가 멎는다.”고 했다. 간암에 의해 대변에 이상이 생
겼을 때 指壓(지압)해 주면 좋다.
⑤ 承山穴(승산혈) : 食欲不振(식욕부진)에 매우 효과적인 經穴(경혈)이므로 간질환에
의해 식욕이 전혀 없을 때 이곳을 지압해 준다.
⑥ 腎兪穴(신유혈) : 腎臟機能(신장기능)의 反應處(반응처)이며 신장 질환을 개선해 주
는 대표적인 경혈이다. 그런데 肝腎同源(간신동원) 이란 말이 있듯이 간장기능이 좋
아지려면 신장기능이 좋아져야 하므로 肝疾患(간질환) 치료 때 역시 이곳을 자극해
서 신장 기능을 강화시켜줄 필요가 있다.
⑦ 胃兪穴(위수혈) : 胃腸機能(위장기능)의 反應處(반응처)이므로 각종 消化器疾患(소
화기질환)의 治療点(치료점)으로 쓰이는데 간의 질환에 의해 消化障碍(소화장애)가
있을 때 이 부위를 指壓(지압)해주면 좋다.
간열 (肝熱)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肝虛熱 : 梁門(량문), 陽輔(양보).
간염 (肝炎 Hepatitis)
원인에 따라서 流行性肝炎(유행성간염, A형 virus성 肝炎)과 血淸肝炎(혈청간염, B 형
virus성 肝炎)으로 분류한다.
1) 流行性肝炎(유행성간염, A型 肝炎)
接觸肝炎(접촉간염) 또는 汚染(오염)된 음식물에서 感染(감염)되며, 潛伏期(잠복기)는
20~21일 로서 주로 젊은 사람(30세 이하)에게 많이 오며, 가족, 학교 등에서 유행하는
일이 많다.
2) 血淸性肝炎(혈청성간염, B型 肝炎)
Virus성 간염 보유자의 혈액을 輸血(수혈)하거나, 또는 血淸(혈청, 혈액에서 纖維素(섬
유소)를 빼낸 단백질이 풍부하고 광물질을 녹이며 免疫抗體(면역항체)를 함유하고 있
는 황색 투명한 액체)을 주사함으로써 그 속에 들어 있는 virus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으
로 잠복기는 60~120일로, 流行性肝炎이 젊은 사람에게 많이 오는데 비하여 나이 많은
사람에게도 많이 오며 發熱(발열)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증상은 유행성간염과 같다.
症狀 : 두통(headache), 식욕부진(anorexia), 피로(weariness), 변비(constipation), 설사
(diarrhea), 오심(nausea), 구토(vomitting), 복통(abdominal pain) 등이 있으며 때
로는 膽石症(담석증)과 같은 복통이 상복부에 오는 경우가 있는가하면, 감기증상
과 같은 惡寒發熱(오한발열) 全身疼痛(전신동통)이 일어날 때도 있다.
黃疸(황달) 증상은 서서히 일어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때로는 급성으로 시작할
때도 있다. 보통 수일 또는 수주일간이 지나면, 서서히 消失(소실) 하지만 때로는
수개월에 이를 때도 있다.
肝臟(간장)은 상당히 腫脹(종창)하고 누르면 아픔을 느낀다. 이때 약 50%(肝炎) 정
도의 脾腫(비종)이 나타나며, 간 기능검사 상에서는 尿中(뇨중)에 우로비리노겐을
발견할 수가 있다. 경과는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3~8주간으로 치유되지만 일부는
만성으로 이행한다.
治療 : 급성기에는 절대 안정과 食餌療法(식이요법)을 지키도록 지시한다. 黃疸(황달)이
消失(소실)한 다음에는 일상적인 식생활로 복귀하여도 무방하다.
治法 : 간경병증 즉 膽石症(담석증)에 준한다. 現代針灸學
1. 參照文(참조문)
1) 간병중(肝病中) 간기울결(肝氣鬱結) 참조
2) 만성간염(慢性肝炎) : 비병중(脾病中) 한습곤비(寒濕困脾) 참조
3) 급성간염(急性肝炎) : 비병중(脾病中) 습열내온(濕熱內蘊) 참조
4) 담병중(膽病中) 담실증(膽實證) 참조
2. 主治穴(주치혈)
1) 急慢性(급만성)
足陽明胃經 : 下巨虛(하거허, 小腸의 下合穴), 廬兌(려태, 井).
足太陽膀胱經 : 肝兪(간수), 膽兪(담수), 脾兪(비수), 陽綱(양강).
足少陽膽經 : 日月(일월), 陽陵泉(양능천,合,筋會), 陽交(양교,郄), 丘墟(구허,原).
足厥陰肝經 : 太冲(태충,輸,原), 中封(중봉,經), 章門(장문,足少陽과 交會, 脾의 募穴,臟
會), 期門(기문,足太陰,陰兪脈과 交會, 肝의 募穴).
任脈 : 巨闕(거궐,心의 募穴).
督脈 : 脊中(척중), 筋縮(근축), 至陽(지양), 大椎(대추,手足三陽經의 交會).
四肢部 : 肝炎(간염).
2) 急性(급성) 足厥陰肝經 : 中都(중도,郄).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黃疸性肝炎(황달성간염)
足太陽膀胱經 : 膽兪(담수), 肝兪(간수), 至陽(지양), 足三里, 三陰交(삼음교).
2) 急性傳染性肝炎(급성전염성간염)
足太陽膀胱經 : ① 肝兪(간수), 翳明(예명), 中封(중봉).
② 膽兪(담수), 至陽(지양), 足三里(족삼리), 太冲(태충).
足厥陰肝經 : 中封(중봉), 肝兪(간수), 翳明(예명).
3) 傳染性肝炎(전염성간염)
督脈 : 至陽(지양), 肝兪(간수), 脾兪(비수), 足三里(족삼리), 陽陵泉(양능천).
4) 慢性肝炎(만성간염)
足厥陰肝經 : 期門(기문), 中封(중봉), 陽陵泉(양능천).
5) 流行性(유행성) B型 肝炎(간염)
足少陽膽經 : 風池(풍지), 大椎(대추), 曲池(곡지), 陽陵泉(양능천).
6) 膽兪(담수), 肝兪(간수), 至陽(지양), 足三里(족삼리), 三陰交穴(삼음교혈).
7) 指壓療法(지압료법)
⑴ 肝兪(간수), 膽兪(담수) :
肝兪穴(간수혈)은 이름 그대로 肝機能(간기능)이 잘 반영되는 經穴(경혈)이다. 따라
서 간질환 일체 의 치료에 이 經穴(경혈)을 응용할 수 있다.
膽兪穴(간수혈) 역시 膽機能 (담기능)의 명확한 반영처이다. 따라서 각종 담낭질환 및
간질환등에 폭넓게 응용할 수 있으며 膽汁分泌(담즙분비)의 不
全(부전)으로 소화장애가 있을 때도 이곳을 指壓(지압)해 준다.
⑵ 至陽(지양), 脾兪(비수) :
지양혈은 간질환에 의해 소화장애가 있을 때와 바이러스성 肝炎(간염)에 효과가 있는
經穴(경혈)이다.
脾兪穴(비수혈)은 이름 그대로 脾臟機能(비장기능)의 반영처인데 간질환에 의한 소
화장애가 있을 때에도 쓰여 진다.
⑶ 期門(기문), 日月(일월) : 복부 불쾌감이나 통증을 緩和(완화)시키고 消化器系(소화기
계) 전반의 기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
【東醫寶鑑】에는 “배고프면서 음식을 먹지 못하거나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데는 期門
穴(기문혈)에 침을 놓는다.”고 했다.
⑷ 曲泉(곡천), 蠡泃(려구) : 간기능이 약해서 나른함이 심할 때 좋은 穴들이다.
⑸ 丘墟(구허) 太冲(태충) : 간기능이 좋이 못할 때 효과가 있다.
⑹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東醫寶鑑】에는 “胃(위)가 허약해서 음식생각이 없
는데는 足三里(족삼리)와 三陰交穴(삼음교혈)에 침
을 놓는다.”라고 했는데 간기능이 나빠서 식욕이 없을때나 또는 소화장애가 심할 때
효과가 있는 穴들이다.
4. 이침(耳針)
1) 만성간염(慢性肝炎) : 肝陽点(간양점). ※ 肝陽点(간양점)은 GPT 하강(下降)에 효과 있다.
2) 급만성간염(急慢性肝炎) : 肝(간), 三焦点(삼초점).
간종대 (肝腫大)
1. 主治穴(주치혈) 1) 足厥陰肝經 : 期門(기문,足太陰,陰兪脈과 交會, 肝의 募穴).
간질병 (癇疾病)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豊隆(풍륭).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 神門(신문), 通里(통리), 靈道(령도).
2) 太乙(태을), 百會(백회), 心兪(심수), 神門(신문), 大陵(대능).
3) 憂鬱症(우울증) 및 發狂證(발광증)과 같은 혈
太冲(태충), 合谷(합곡), 內關(내관), 百會(백회), 水溝(수구).
간질증 (癇疾證)
1. 參照文(참조문)
1) 전간(癲癇) 參照
2. 主治穴(주치혈)
手陽明大腸經 : 陽溪(양계).
足陽明胃經 : 豊隆(풍륭), 冲陽(충양).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 神門(신문).
手太陽小腸經 : 前谷(전곡), 后溪(후계), 小海(소해), 聽宮(청궁).
足太陽膀胱經 : 五處(오처), 絡却(락각), 心兪(심수), 肝兪(간수), 崑崙(곤륜), 仆參(복삼),
申脈(신맥), 金門(금문), 京骨(경골).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 照海(조해).
手厥陰心包經 : 郄門(극문), 內關(내관), 大陵(대능), 勞宮(노궁).
手少陽三焦經 : 會宗(회종), 天井(천정), 瘈脈(계맥), 絲竹空(사죽공).
足少陽膽經 : 天冲(천충), 本神(본신), 腦空(뇌공).
足厥陰肝經 : 大敦(대돈), 太冲(태충).
任脈 : 會陰(회음), 中脘(중완), 上脘, 巨闕(거궐), 鳩尾(구미), 承漿(승장).
督脈 : 長强(장강), 腰兪(요수), 脊中(척중), 神道(신도), 身柱(신주), 陶道(도도), 大椎(대
추), 啞門(아문), 風府(풍부), 腦戶(뇌호), 强間(강간), 후정(后頂), 百會(백회), 前頂
(전정), 囟會(신회), 上星(상성), 神庭(신정), 水泃(수구).
頭頸部奇穴 : 四神聰(사신총), 崇骨(숭골), 腰奇(요기).
四肢部 : 十宣(십선), 里內庭(리내정).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太乙(태을), 百會(백회), 心輸(심수), 神門(신문), 太陵(태능).
足太陽膀胱經 : ① 崑崙, 百會(백회), 風池(풍지), 合谷, 后溪(후계), 申脈(신맥).
② 申脈(신맥), 百會(백회), 風池(풍지), 心輸(심수), 后溪(후계).
③ 金門(금문), 仆參(복삼).
手厥陰心包經 : 間使(간사), 合谷(합곡), 后溪(후계), 百會(백회).
手少陽三焦經 : 絲竹空(사죽공), 水泃(수구), 百會(백회), 合谷(합곡).
足少陽膽經 : ① 天冲(천충), 風池, 太陽, 百會, 角孫(각손), 頭維(두유), 合谷.
② 本神(본신), 心兪(심수), 行間(행간), 大陵(대능), 合谷(합곡).
③ 腦空(뇌공), 大椎(대추), 身柱(신주), 腰兪(요수).
足厥陰肝經 : 太冲(태충), 合谷(합곡), 內關(내관), 百會(백회), 水泃(수구).
任脈 : ① 上脘(상완), 風池(풍지), 豊隆(풍륭), 申脈, 后溪(후계), 照海(조해).
② 巨闕(거궐), 風池(풍지), 后溪(후계), 申脈(신맥).
③ 鳩尾(구미), 后溪(후계), 申脈(신맥).
督脈 : ① 筋縮(근축), 印堂(인당), 鳩尾(구미).
② 身柱(신주), 肝兪(간수), 筋縮(근축), 陽陵泉(양능천).
③ 啞門(아문), 水泃(수구), 腰兪(요수).
④ 腦戶(뇌호), 風池(풍지), 后溪(후계), 腦空(뇌공).
⑤ 强間(강간), 腰奇(요기), 豊隆(풍륭).
⑥ 후정(后頂), 액문(液門), 양보(陽輔).
⑦ 前頂(전정), 長强(장강), 瘈脈(계맥).
⑧ 囟會(신회), 前頂(전정), 本神(본신), 天柱(천주).
⑨ 水泃(수구), 百會(백회), 長强(장강). ⑩ 兌端(태단), 本神(본신).
4. 針灸大成解釋
1) 百症賦 - 癎疾病(간질병) : 身柱穴(신주혈), 本神穴(본신혈)
症狀 : 초기 년중 1 回, 혹은 월 1 回, 혹은 월 4-5 回 발작하는 것은 불치에 속
한다.《長刺節論》
治療 : 각 經脈(경맥)의 分肉(분육)을 찌르되 寒氣(한기)가 없도록 針(침)을 조
절하면 治愈(치유)된다. 다시 치료할 필요 없다.
2) 痛玄指要賦 - 癎疾病(간질병) 精神分裂症(정신분렬증) - 后溪穴(후계혈)
3) 靈光賦 - 癎疾病(간질병) : 水溝穴(수구혈), 間使穴(간사혈)
4) 西江月 - 五種(오종)의 癎疾(간질)과 입속에서 거품을 토하는 것
處方 : 먼저 內關穴(내관혈)에 침자하고, 후에 后谿(후계), 神門(신문), 心兪
(심수), 鬼眼穴(귀안혈)을 치료한다.
5) 玉龍歌 - 五種 癎疾 : 鳩尾穴 뜸 7장을 뜬다.
6) 勝玉歌 - 五種癎疾(羊, 馬, 谿, 猪, 牛癎) : 后谿(후계), 鳩尾(구미), 神門(신문).
7) 雜病穴法歌 - 五種癎疾 : 勞宮穴(노궁혈), 다시 湧泉穴(용천혈).
8) 雜病穴法歌 - 요사스런 癎疾病 : 人中穴(인중혈), 間使穴(간사혈).
9) 百症賦 - 小兒 風癎 : 神道穴(신도혈) 心兪穴(심수혈)
10) 蘭江賦 - 간질과 미친병 : 后溪穴(후계혈).
임상
1) 癎病(간병) : 心兪(심수), 間使(간사), 豊隆(풍륭), 腰奇(요기), 肝兪(간수), 鳩尾(구미), 神門
穴(신문혈)
2) 癇病發作(간병발작) 하는 시간이
⑴ 낮일 때 : 陽交穴(양교혈)인 申脈穴(신맥혈)에 뜸 27장 뜨고, 補中益氣湯 (보중익기탕)
에 益智仁(익지인)을 加味(가미)해서 복용한다.
補中益氣湯 ≒ 黃芪(황기)15-20, 炙甘草(자감초), 人參(인삼), 當歸(당귀, 酒焙
乾) 各10, 橘皮(귤피)6, 升麻(승마), 柴胡(시호)各3, 白朮(백
출)10., 加 益智仁(익지인).
- 氣(기)를 보태어 중초를 보하고(補中益氣) 양기를 끌어 올려서
아래로 내려가려는 것을 승제 시킨다.(升陽擧陷)
⑵ 밤일 때 : 陰交穴(음교혈)인 照海穴(조해혈) 혹은 然谷穴(연곡혈)에 뜸 27 장 뜨고, 六味
地黃丸(육미지황환)에 廘角膠(녹각교)를 가미 하거나, 혹은 四物湯(사물탕)에
加 柴胡(시호), 瓜蔞(과루), 半夏(반하), 南星(남성), 黃柏(황백), 知母(지모), 遠
志(원지), 棗仁(조인), 菖蒲(창포)를 加味(가미)해서 복용한다.
六味地黃丸 ≒ 熟地(숙지)24, 茯苓(복령)9, 澤瀉(택사)9, 丹皮(단피)9, 山葯(산
약)12, 山茱萸(산수유)12., 加 廘角膠(녹각교).
四物湯 ≒ 當歸(당귀)10, 川芎(천궁)8, 白芍(백작)12, 熟地黃(숙지황)12.,
加 柴胡(시호), 瓜蔞(과루), 半夏(반하), 南星(남성), 黃柏(황백), 知母
(지모), 遠志(원지), 棗仁(조인), 菖蒲(창포).
1) 간질(癎疾)
處方 ⑴ 백회(百會) 신정(神庭) 혈에 7장, 귀안(鬼眼) 혈에 3장, 양계(陽溪) 간사(間使) 혈에
30장, 심수(心兪) 폐수(肺兪) 혈에 100장, 신맥(申脈) 척택(尺澤) 태충(太冲) 곡지
(曲池) 혈에 7장의 뜸을 뜬다.
⑵ 음경귀두(glans)에 있는 외뇨도구 부위의 구불구불한 가운데에 21장의 뜸을 뜨는
데 불을 붙여서 애걸하면 곧 낫는다. 남녀를 가리지 않고 위중한 경우에는 뜸을
49장 뜨고 증세가 가벼운 경우에는 5-7장을 뜬다. 또한 엄지발가락 밑 마디 안쪽
금과 독음혈(獨陰穴)에 각각 7장씩 뜸을 뜬다.
百會神庭各七壯 鬼眼三壯 陽溪間使三十壯 神門心兪百壯 肺兪百壯 申脈 尺澤太
冲皆灸 曲池七壯 又方陰莖頭尿孔上宛宛中三七壯 着火哀乞卽差不問男女重者七
七壯 輕者五壯七壯 又足大趾本節內紋及獨陰穴各七壯
2) 새울음 소리와 같이 소리를 내고 가슴이 답답해 번민하며 묻는 말이 귀찮은 “狀如鷄鳴 心
悶不喜問語”
處方 : 구미혈(鳩尾穴)에 뜸을 뜬다.
3) 눈을 위로 치뜨고 인사불성이 된 증 “目戴上不識人”
處方 : 신회(顖會) 행간(行間) 거궐혈(巨闕穴)등에 뜸을 뜬다.
4) 오간(五癎) : 다섯 가지 종류의 간질(癎疾 epilepsy., 羊, 馬, 谿, 猪, 牛癎)
處方 : 신문(神門) 간사(間使) 귀안(鬼眼) 신맥(申脈).
5) 식간(食癎) : 먼저 발열(發熱)과 오한(惡寒)이 번갈라 일어나다가 발작하는 경우에는 손가
락이 여러 가지 물체 모양으로 구부러진다.
處方 : 검상돌기(劍狀突起)에서 위로 0.5촌 되는 곳에 3장, 간사(間使), 신정(神庭)에
3장 뜸을 뜨고, 삼음교(三陰交)
6) 저간(猪癎) : 갑자기 실신(失神 syncope)하여 마치 죽은 사람과 같으며 게거품을 토하며
돼지 울음 같은 소리를 지른다.
處方 : 거궐(巨闕)에 뜸을 3장 뜨고, 태연(太淵).
7) 견간(犬癎) 處方 : 노궁(勞宮) 신맥(申脈)에 각각 뜸 1장을 뜬다.
8) 계간(雞癇) : 잘 놀라고 몸이 뒤로 젖혀지며 손이 경련을 일으키고 저절로 움직직인다.
處方 : 절골(絶骨), 신맥(申脈), 내정(內庭), 백회(百會), 간사(間使), 태충(太冲), 태연
(太淵).
9) 양간(羊癇) : 혀를 내밀고 눈을 부라리며 양울음소리를 낸다.
處方 : 대추(大椎)에 3장, 해계(解溪), 제 9 번째 등골뼈 아래 사이에 뜸 3장을 뜬다.
10) 우간(牛癎) : 눈을 고정한 채 멍하니 노려보고 배가 그득해진다.(腹脹)
處方 : 구미(鳩尾) 대추(大椎) 각각 듬 3장, 삼음교(三陰交).
11) 마간(馬癎) : 입을 벌리고 머리가 흔들리며 몸이 뒤로 졎혀지고 말울음 소리를 낸다.
處方 : 복삼(仆參), 풍부(風府)에 3장, 신문(神門), 금문(金門) 제중(臍中)에 뜸을 3장
뜬다.
교원성질병 (膠源性疾病)
병적으로 간세포에 콜라겐 장애가 오면서 생기는 특이한 질병이다. 이런 병들로는
紅斑性狼瘡(홍반성낭창), 경피증, 결절성동맥주위염 등이 있다.
1. 이침(耳針) 耳穴 : 下屛尖.
소아간질 (小兒癇疾)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仆參(복삼), 金門(금문).
手少陽三焦經 : 會宗(회종), 百會(백회), 大椎(대추), 巨闕(거궐).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