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탐방48 경궐(小兒驚厥) - 오지(小兒五遲)

Aktualisiert: 29. Sept. 2019


소아경궐(小兒驚厥)

1) 鎭心平肝(진심평간)

應用葯(응용약) : 玳瑁(대모), 白屈菜(백굴채, 애기똥풀),

2) 小兒驚癎(소아경간)

應用葯(응용약). ① 寧心安神(영심안신) : 茯神(복신),


소아경풍(小兒驚風) : 驚風(경풍), 驚悸(경계), 驚恐(경공),

1. 參照文(참조문).

1) 癎疾(간질)

2) 癲癎(전간)

2. 應用葯(응용약) : 鉤藤(구등), 蛇脫(사탈), 사향(麝香), 安息香(안식향), 영란근(鈴蘭根),

羚羊角(영양각), 熊膽(웅담), 雄黃(웅황), 全蝎(전갈), 珍珠(진주), 天

麻(천마), 黃羊角(황양각),

① 淸心鎭驚(청심진경) : 靈砂(령사),

② 祛風(거풍), 定驚(정경), 活絡(활락) : 白花蛇(백화사).

③ 驚風抽축之證(경풍추축지증) 不論寒證或熱證(불론한증혹열증) 均可選用(균가선

용) : 天麻(천마).

3. 相須配合(상수배합)과 證治(증치)

1) 姜蚕(강잠)6 + 地龍(지룡)10. 治 高熱驚風(고열경풍).

4.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熄風解痙(식풍해경)

⑴ 壯熱神昏(장열신혼), 牙關緊閉(아관긴폐)

① 鉤藤(구등) 配 天麻(천마), 全蝎(전갈) ≒ 鉤藤湯(구등탕)

⑵ 淸肝熄風(청간식풍)

① 牛黃(우황) 加 朱砂(주사), 犀角(서각), 鉤藤(구등). . .

2) 定驚止痙(정경지경)

⑴ 凉肝熄風(량간식풍)

① 蟬退(선퇴) 單種(단종) 或加 全蝎(전갈), 姜蚕(강잠), 鉤藤(구등) - 祛風止痙

(거풍지경)

② 洋金花(양금화) 可配 全蝎(전갈), 天麻(천마), 天南星(천남성) 等 熄風止痙葯

(식풍지경약)


⑵ 鎭驚止痛(진경지통) 應用葯(응용약) : 重樓(중루),

⑶ 鎭心定驚(진심정경)

① 珍珠母(진주모) 配 天麻(천마), 鉤藤(구등), 天南星(천남성), 琥珀(호박), 朱

砂(주사)

② 琥珀(호박) 常與 朱砂(주사). . . ≒ 琥珀抱龍丸(호박포용환)

⑷ 驚悸失眠(경계실면)

應用葯(응용약) : 珍珠(진주), 蛤蟆油(합마유), 琥珀(호박),

① 龜板(귀판) 常配 龍骨(용골), 菖蒲(창포), 遠志(원지). . . ≒ 孔聖枕中丸(공성

침중환) - 養血補心(양혈보심)

② 珍珠母(진주모) 配 朱砂(주사), 龍骨(용골), 琥珀(호박)

③ 太子參(태자삼) 配 酸棗仁(산조인),五味子(오미자) - 氣陰兩虛的(기음양허)

3) 痰熱壅盛(담열옹성)

⑴ 驚風筋瞤(경풍근순)

① 膽南星(담남성) 加 牛黃(우황), 朱砂(주사), 天麻(천마) ≒ 千金散(천금산), 癲

癎丸(전간환).

② 竹葉(죽엽) 加 木通(목통), 生地(생지), 甘草梢(감초초). . . ≒ 導赤散(도적산)

⑵ 驚風抽축(경풍추축)

應用葯(응용약) - ① 燥濕祛痰(조습거담) : 雄黃(웅황),

② 淸心鎭驚(청심진경) : 朱砂(주사),

③ 平肝熄風(평간식풍) : 天麻(천마),

④ 平肝鎭驚(평간진경) : 金礞石(금몽석), 靑礞石(청몽석),

⑤ 祛風定驚(거풍정경) 化痰散結(화담산결) : 姜蚕(강잠),

① 煅礞石(단몽석) 爲末(위말), 薄荷汁(박하즙)과 白蜜(백밀)로 調服(조복)

② 白花蛇(백화사) 加 蜈蚣(오공). . . ≒ 定命飮(정명음)

③ 禹白附(우백부) 配 半夏(반하), 南星(남성)

④ 熊膽(웅담) 加 竹瀝(죽력). - 溶解(용해)

⑶ 開竅定驚(개규정경) : 中風痰迷(중풍담미), 驚癎癲狂(경간전광) - 滌痰泄熱(척

담설열)

① 竹瀝(죽력) 常配 膽南星(담남성), 牛黃(우황)

⑷ 淸心化痰(청심화담)

① 天竹黃(천죽황) 常配 麝香(사향), 膽南星(담남성), 辰砂(진사). . . ≒ 抱龍丸

(포용환)

⑸ 小兒高熱(소아고열) 抽축(추축)

① 紫貝齒(자패치) 配 羚羊角(영양각), 珍珠母(진주모), 鉤藤(구등) - 淸熱熄風止

痙(청열식풍지경)

② 地龍(지용) 本品硏爛 配 朱砂(주사). - 共爲丸服(공위환복)

③ 琥珀(호박) 常與 朱砂(주사). . . ≒ 琥珀抱龍丸(호박포용환)

⑹ 肝膽鬱火(간담울화)

① 靑黛(청대) 加 牛黃(우황), 鉤藤(구등) ≒ 淸凉丸(청량환)

⑺ 暴驚昏厥(폭경혼궐)

① 蜀漆(촉칠) 加 牡蠣(모려) . . . ≒ 千金湯(천금탕) - 湧吐痰涎(용토담연)

4) 小兒急驚(소아급경)

⑴ 急驚風(급경풍)

① 礞石粉(몽석분) 配 薄荷汁(박하즙), 蜂蜜(봉밀). - 服用(복용)

② 白僵蚕(백강잠)

配 牛黃(우황), 全蝎(전갈), 膽南星(담남성). . .≒ 千金散(천금산)

③ 全蝎(전갈) 配 鉤藤(구등), 天麻(천마), 羚羊角(영양각)

④ 朱砂(주사) 多與 牛黃(우황), 全蝎(전갈), 鉤藤(구등). . . ≒ 牛黃散(우황산)

⑤ 天麻(천마) 配 羚羊角(영양각), 鉤藤(구등), 全蝎(전갈) ≒ 鉤藤飮子(구등음자)

5) 小兒慢驚風(소아만경풍)

⑴ 慢驚風(만경풍)

① 洋金花(양금화)

可配 全蝎(전갈), 天麻(천마), 天南星(천남성) 等 熄風止痙葯(식풍지경약)

② 全蝎(전갈) 常配 黨參(당삼), 白朮(백출), 天麻(천마)

⑵ 小兒脾虛慢驚風(소아비허만경풍)

① 白僵蚕(백강잠) 配 黨參(당삼), 白朮(백출), 天麻(천마). . . ≒ 醒脾散(성비산)

② 天麻(천마) 配 人參(인삼), 白朮(백출), 白僵蚕(백강잠) ≒ 醒脾丸(성비환)

6) 小兒急慢驚風(소아급만경풍)

⑴ 定驚止抽(정경지추)

① 烏梢蛇(오초사) 加 白花蛇(백화사)

⑵ 定驚止痙(정경지경)

① 蘄蛇(기사)

加 烏梢蛇(오초사), 蜈蚣(오공) 同硏末, 煎酒調服(전주조복) ≒ 定命散

② 全蝎(전갈) 加 黨參(당삼), 白朮(백출), 天麻(천마)

⑶ 熄風止痙(식풍지경)

① 天麻(천마) 加 黨參(당삼), 白朮(백출), 全蝎(전갈)

⑷ 熱病引起痙攣(열병인기경련)

① 天麻(천마)

配 羚羊角(영양각), 鉤藤(구등), 全蝎(전갈) ≒ 鉤藤飮子(구등음자)

7) 驚悸不安(경계불안)

應用葯(응용약) : 琥珀(호박),

⑴ 心腎不交(심신불교)

① 遠志(원지) 配 인삼(人參), 용치(龍齒). . . . ≒ 안신정지환(安神定志丸)

⑵ 虛煩驚悸(허번경계) 應用葯(응용약).

① 補陰(보음) - 淸心安神(청심안신) : 百合(백합),

8) 驚恐(경공)

應用葯(응용약) : 琥珀(호박),

⑴ 心氣虛(심기허) 心神不寧(심신불영).

① 朱砂(주사) 納入猪心中(납입저심중) - 燉服(돈복)

② 朱砂(주사) 亦可配 四君子(사군자)

⑵ 心虛驚悸(심허경계)

應用葯(응용약). ① 寧心安神(영심안신) : 茯神(복신),

9) 痙厥(경궐)

⑴ 高熱神昏(고열신혼)

① 朱砂(주사) 常與 牛黃(우황), 麝香(사향). . . ≒ 安宮牛黃丸(안궁우황환)

10) 驚風癲癎(경풍전간)

應用葯(응용약) : 琥珀(호박),

① 琥珀(호박) 常與 朱砂(주사). . . ≒ 琥珀抱龍丸(호박포용환)

5. 辨證施治(변증시치)

1) 驚恐(경공)

⑴ 간양허증(肝陽虛證)

臨床 : 간양허증(肝陽虛證)에서 보게 되는 경공병(驚恐病)의 이론 근거는 간은

혈을 저장하고 혈량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고, 혈(血)은 신(神)이 의거(依

據)하는 곳이기 때문에 심(心)은 혈맥(血脈)을 주관함으로 정신사유활

동(精神思維活動)을 주관하는 동시에 간(肝)은 혼을 저장(肝臟魂)한다

는 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다. 간양(肝陽)이 부족하면 혼(魂)이 불안하여

신(神)이 동(動)한다. 신이 동요(神動) 하면 놀라고 두렵게(驚) 되는 것이

다. 때문에 간양허자(肝陽虛者)는 경(驚)과 공(恐)을 왕왕 동시에 보게

된다. 《靈樞 ․ 本神篇》에 의하면 “東方色靑 入通于肝. . .其病發爲驚駭”

동쪽의 푸른색을 통해 들어가면 肝(간)이다. . . 그 병은 놀라고 두려워

함을 위주로 발병한다. 라고 하였다. 간병이 驚(경)이 원인인 환자는 항

상 간담부족(肝膽不足)의 내인(內因)을 기초로 하고, 소문(所聞)과 소견

(所見)에 쉽게 동요하고 놀라는(驚駭) 것은 외인(外因)이다.

治宜 : 배보간담(培補肝膽), 부지원기(扶持元氣), 겸진심신(兼鎭心神).

方用 : 용치청혼산(龍齒淸魂散)《류증치재(類證治裁)》

≒ 용치(龍齒), 원지(遠志), 인삼(人蔘), 당귀신(當歸身), 복신(茯

神), 맥동(麥冬), 계심(桂心), 감초(甘草), 연호색(延胡索), 세

신(細辛).

或 : 진주모환(珍珠母丸)《보제본사방(普濟本事方)》안신제(安神劑)

≒ 진주모(珍珠母), 숙지황(熟地黃), 당귀(當歸), 인삼(人蔘), 산조

인(酸棗仁), 백자인(柏子仁), 서각(犀角), 복신(茯神), 침향(沉

香), 용치(龍齒).

만약 깊이 두려워 근심하는 환자(恐懼深者)는 보신약(補腎葯)을 가미(加味)하

는 것이 마땅하다. 《靈樞 ․ 本神篇》說 “肝藏血, 血舍魂, 肝氣虛則恐 實則怒” 간

은 혈을 자장하고 혈은 혼이 머무는 곳이다. 간기가 허하면 두렵고, 실하면 화

(성질)를 낸다. 라 하였다. 《素問 ․ 臟氣法時論》說 “肝病者痛引小腹, 令人善怒.

虛則目䀮䀮无所見, 耳无所聞, 善怒, 如人將捕之. 간병 환자는 아랫배가 끌어당

기는 듯이 아프고, 사람들을 화나게 한다. 허하면 눈이 희미하여 볼 수가 없고,

귀는 들을 수 없으며, 사람을 잡을 듯이 화를 낸다. 라고 하였다. 이는 간양(肝

陽)이 허해서 두려움이 생긴 것으로 변증(辨證) 한다. 두려움은 신(腎)을 상(傷)

하고, 신(腎)은 귀(耳)에 개규(開竅)함으로 상신(傷腎)하게 되면신기가 자연 귀

(耳)에 불충(不充)하게 됨으로 듣지 못하는 것이다(故无所聞). 이로써 간허(肝

虛)와 경공(驚恐)을 병행하여 치료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요구되는 것은 원기

(元氣)를 보하는 것 외에 적당히 보신약(補腎葯)을 가용(加用)할 것이 요구 된

다.


⑵ 심담불영증(心膽不寧證)

證狀 : 소아의 장부는 어리고 아리따우며(小兒因臟腑嬌嫩), 기혈이 아직 충만

하지 못하였음으로(氣血未充), 만일 놀라고 두려움을 받게 되면(故若受

驚恐), 가장 쉽게 심과 담의 기를 상하게 되어(則最易傷心膽之氣), 기와

혈이 서로 떨어져 흩어짐으로(令氣血離散), 정신과 마음이 불안해(神魂

不安) 진다. 다만 그 표현은 한밤에 울거나(夜間啼哭) 혹 잠을 자며 꾼꿈

으로 불편해하고(睡夢不寧), 혹은 때때로 놀라고 근심을 곧잘 한다(時有

驚惕爲主).

治 : 심과 담의 기를 손상함으로 신기가 이산 된 것을(因其爲心膽氣傷而神

氣離散), 실증(實證) 으로 오인(誤認)해서 헛되게 진압하는 약물을 사용

해서는(徒用鎭墜之品) 안 된다. 의당 신기를 수렴하고(收斂神氣), 심신

을 안정시키는(安定心神)

方 : 비지안신환(秘旨安神丸)《유유집성(幼幼集成)》

≒ 인삼(人蔘), 조인(棗仁), 복신(茯神), 반하(半夏), 당귀(當歸),

백작(白芍), 귤홍(橘紅), 오미자(五味子), 감초(甘草).


만일 놀래서(驚) 신혼이 흩어져(神魂離散), 신지가 불청(神志不淸)하면

治 : 익기인탈(益氣因脫), 극구원양(亟救元陽)

方 : 독삼탕(獨參湯)《십약신서(十葯神書)》

≒ 인삼(人蔘)., 대조(大棗).

이는 일반인의 심담기허와 비교해서는 안 된다(此則非一般之心膽氣虛可比).

2) 계종(瘈瘲)

보통 추풍(抽風)이라고 하는데 소아경풍의 한 증상이다. 계(瘈)는 힘줄이 당기면

서 줄어드는 것이고 종(瘲)은 힘줄이 이완되어 늘어난 것이다. 계종은 손발이 수

시로 신축되는 상태를 형용한 것인데 이는 열극생풍(熱極生風), 간풍내동(肝風

內動)의 증후이다.

⑴ 열모진음증(熱耗眞陰證)

臨床 : 만약 팔다리가 당기고 부들부들 떨며, 계종(瘈瘲), 시시욕탈자(時時欲

脫者)는 음허불렴(陰虛不斂)하고 허양상요(虛陽上擾)하므로

治宜 : 급의(急宜) 자음고탈(滋陰固脫), 잠양식풍(潛陽息風).

方用 : 대정풍주(大定風珠)《온병조변(溫病條辨)》

≒ 백작(白芍), 건지황(乾地黃), 맥문동(麥門冬), 아교(阿膠), 마

인(麻仁), 오미자(五味子), 구판(龜板), 별갑(鱉甲), 모려(牡

蠣), 감초(甘草), 계자황(鷄子黃).


소아구두염(小兒龜頭炎) 應用葯(응용약) 1) 解毒消腫(해독소종) : 威靈仙(위령선)


소아마비(小兒麻痹)

참조문

1) 위증(痿證)

小兒麻痹后遺證(소아마비후유증)

應用葯(응용약) : 광대사리, 夏天无(하천무),


소아오지(小兒五遲)

1) 立遲(입지)

2) 齒遲(치지)

3) 行遲(행지) : ① 五加皮(오가피) 加 龜板(구판), 木瓜(목과), 松節(송절), 川牛膝(천우슬).

. .≒ 五加皮散(오가피산)

4) 言遲(언지)

5) 囟遲(신지)

해로(解顱) -頭蓋骨(두개골)의 骨峰(골봉)이 분열되고 앞 숫구멍이 커져 맞붙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 정상적인 어린이에 두개골 골봉은 대부분 출생후 6개월이면 骨化(골

화)되고 앞 숫구멍은 1살 내지 1.5살이면 맞붙고, 뒤 숫구멍은 2~4개월이면 맞붙는

다. 이 기간을 초과해서 맞붙는 것을 解顱(해로)라고 하는 것이다.

이는 대부분 先天的不足(선천적부족), 腎氣虧損(신기휴손)에 의하여 생긴다. 그 증상

은 骨峰(골봉)이 벌어지고, 頭面(두면) 피부가 번들번들하고, 퍼런 핏줄이 나타나고 얼

굴이 희끄므레하며 눈동자가 항상 아래로 향하여 흰자위가 露出(노출)되고, 知能發達

(지능발달)이 더디고 불량한 등이다. 解顱(해로)는 비교적 심한 痀僂病(구루병) 증상의

하나이고 腦髓證(뇌수증)에서 나타난다.

辨證施治(변증시치)

1) 五軟(오연)

⑴ 신정부족증(腎精不足證)

臨床 : 소아오지오연병(小兒五遲五軟病) 중에 팔다리가 연약(肢体軟弱)하고, 엎

드려 있으며 서고, 걷지, 못하고 이가 나지 않으며(屈期不能站立行走和生

齒), 겸하여 두개골이 열려 있고(解顱), 지력이 건전하지 못하며(智力不健)

정신 의지가 둔하고 어리석으며(神情呆鈍), 몸이 몹시 여윈(形体瘦削) 등

특징이 있다. 대부분 선천적으로 품부가 불충분 하고(先天禀賦不充), 후천

적으로 음식 양육이 적절치 못하여(后天哺養失調), 신정이 불충하고(腎精

不充), 기혈이 허약한(氣血虛弱) 때문이다. 《醫宗金鑑 ․ 幼科心法要訣》에

서 말하기를 “소아 오지 증은 대부분 부모가 기혈(氣血)이 허약(虛弱)하고

선천이 줄었음으로(先天有虧) 태어난 아이가 근골이 연약하고(筋骨軟弱),

보행이 어려우며(行步艱難), 치아가 빨리 자라지 못하고(齒不速長), 평온

하게 앉아있지 못하는(坐不能穩) 것은 신(腎)이 부족한 때문이라고 지적

한다.

治宜 : 전정보신(塡精補腎), 익기양혈(益氣養血).

方用 : 가미육미지황환(加味六味地黃丸)《의종금감(醫宗金鑑)》

≒ 숙지황(熟地黃), 산약(山葯), 산수유(山茱萸), 복령(茯苓),

단피(丹皮), 택사(澤瀉), 녹용(鹿茸), 오가피(五加皮), 사향

(麝香).

2) 囟遲(신지) - 解顱(해로)

⑴ 신정부족증(腎精不足證)

臨床 : 소아의 해로병(解顱病)은 임상에서 두개골이 붙지 않고 갈라져 열려있고

(顱縫裂開), 정수리 앞부분이 넓고(前囟寬大), 머리 이마에 정맥이 노출되

며(頭額淸筋暴露), 정신 상태가 어리석고 둔하고(神情呆鈍), 눈은 정신을

차리지 못하며(目无神采), 얼굴색이 흰(面色晄白) 등 특징이 있다. 대부분

선천의 태아로부터 품부가 부족하거나(先天胎稟不足) 혹은 생후에 오랜

병으로 몸이 약해져서(久病体虛), 신정이 부족하고(腎精不足), 수해가 충

실하지 않은(髓海不實) 때문이다.《유유집성(幼幼集成)》에서 “腎主腦髓

(신주뇌수), 腎虧則腦髓不足(신휴칙뇌수부족), 故囟爲之開解(고신위지개

해).”라 하였다.

治宜 : 보신익수(補腎益髓), 익기양혈(益氣養血).

方用 : 보신지황환(補腎地黃丸)《증치준승(證治准繩)》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모단피(牡丹皮),

택사(澤瀉), 복령(茯苓), 우슬(牛膝), 녹용(鹿茸).


소양병(少陽病)

1, 應用葯(응용약) ① 和解泄熱(화해설열) : 柴胡(시호)

2.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少陽病要葯(소양병요약) : 柴胡(시호) - 和解退熱(화해퇴열), 疏肝解鬱(소간해울), 升

提中氣(승제중기).

3. 相須配合(상수배합)과 治症(치증)

1) 黃芩(황금) + 半夏(반하) = 邪居少陽(사거소양), 誤下成痞(오하성비)

4.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解除(해제) 少陽之邪(소양지사) - 寒熱往來(한열왕래)

① 황금(黃芩) 加 柴胡(시호). . . : ≒ 小柴胡湯(소시호탕)

1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탐방139 22. 기타약물(其他葯物)

22. 기타약물(其他葯物) 葯種(약종) : 木槿皮(목근피), 木槿花(목근화), 茯苓皮(복령피), 茯神(복신), 絲瓜絡(사과락), 龍齒(용치), 楡根皮(유근피), 좀작살나무, 天葵子(천규자), 茺尉子(충위자),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목근피(木槿皮) : 淸熱殺虫止痒(청열살충지양) - 皮膚疥癬(피부개선), 목근화(木槿花) : 淸熱利濕(청열이습), 凉血(량

탐방138 效能主治 21. 拔毒化腐生肌葯

21. 발독화부생기약(拔毒化腐生肌葯) 葯種(약종) : 輕粉(경분), 爐甘石(노감석), 硼砂(붕사), 砒石(비석), 升葯(승약), 鉛丹(연단)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경분(輕粉) : 外用(외용) : 攻毒殺虫(공독살충) - 疥瘡(개창), 頑癬(완선), 臁瘡(렴창), 梅毒(매 독), 瘡瘍(창양), 濕疹(습진), 黃水瘡(황수창), 瘡瘍潰爛(창양궤란) 內服(내

탐방137 20. 解毒殺虫燥濕止痒葯

20. 해독살충조습지양약(解毒殺虫燥濕止痒葯) - 외용약(外用葯) + 內服葯(내복약) 葯種(약종) : 大蒜(대산), 大楓子(대풍자). 明礬(명반), 白礬(백반), 蜂房(봉방), 蛇床子(사상 자), 雄黃(웅황), 硫黃(유황), 皂礬(조반), 土荊皮(토형피), 󰜋麻子(피마자), 血竭 (혈갈). 効能(효능) 및 主治(주치) 대산(大蒜) : 行氣消積(행기소적),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