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96 삼차신경통 (三次神經痛)

Aktualisiert: 9. Apr. 2022



삼차신경통 (三次神經痛 Trigeminal neuralgia)

§ 原發性(원발성), 繼發性(계발성)이 있고 針으로 腦膜炎(뇌막염)에는 效果가 없다.

辨證求因(변증구인)

風邪外襲(풍사외습)하면, 氣血阻滯(기혈조체)하고, 實熱上升(실열상승)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祛風(거풍), 瀉火(사화), 滋陰(자음)의 방법으로 치료한다.

1) 外感風邪(외감풍사)

증상 : 惡風畏寒(오풍외한), 鼻塞流涕(비색류체), 口不渴(구불갈), 苔薄白(태박백), 脈浮

(맥부).

치법 : 解表祛風(해표거풍).

처방 : 合谷(합곡), 外關(외관).

2) 肝胃火升(간위화승)

증상 : 煩躁易怒(번조이노), 口渴(구갈), 便秘(변비), 舌紅苔黃(설홍태황), 脈數(맥삭)

치법 : 淸瀉肝胃之火(청사잔위지화)

처방 : 太冲(태충), 內庭(내정), 三里(삼리).

3) 陰虛陽亢(음허양항)

증상 : 体質虛弱(체질허약), 形体消瘦(형체소수), 顴紅(권홍), 升火(승화), 脈細无力(맥

세무력).

치법 : 滋陰潛陽(자음잠양).

처방 : 太溪(태계), 風池(풍지).

治療原則(치료원칙) : 疏異患部 經氣爲主

主穴 : 1支 : 太陽(태양), 攢竹(찬죽).

2支 : 四白(사백).

3支 : 下關(하관), 承漿(승장).

治法 : 留針(유침) 20~30 분간, 間歇運針(간헐운침), 매일, 10~15일간

耳穴 : 額(액), 上頜(상합), 交感(교감),

捻轉(념전) 1~2분간, 30분간, 소수의 침을 埋針(매침)할 수 있다.

皮膚針 : 局部(국부)의 脹痛点(창통점), 혹 麻痹点(마비점)을 의주로 叩刺(고자)한 연후에

耳前(이전), 耳后(이후), 太陽(태양), 鼻旁(비방), 兩手掌(양수장) 및 指端(지단)을

叩刺(고자)한다.

水針 : 攢竹(찬죽)(1支), 四白(사백)(2支), 下關(하관) 혹은 承漿(승장)(3支), 鹽酸普卡因(염

산수) 0.5~1ml, Vit B12 0.5 ml을 2~3日 간격으로 1번씩 시술한다.


1. 參照文(참조문)

1) 면통 (面痛)

2) 안면신경(통)마비 (顔面神經(痛)麻痹)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列缺(열결,,絡,八脈交會穴,通任脈).

手陽明大腸經 : 二間(이간, 滎), 三間(삼간, 輸).

足陽明胃經 : 四白(사백), 巨髎(거료), 地倉(지창,手足少陽,陰交의 會), 頰車(협거), 하관

(下關), 內庭(내정,滎).

手太陽小腸經 : 顴髎(권료).

足太陽膀胱經 : 跗陽(부양,陽交의 郄).

足少陽膽經 : 懸顱(현로), 曲鬢(곡빈), 陽白(양백).

頭頸部奇穴 : 印堂(인당), 太陽(태양), 夾承漿(협승장,下地倉).

3. 臨床應用(임상응용)

⑴ 足陽明胃經 : ① 下關(하관), 太陽(태양).

② 地倉(지창), 魚腰(어요), 四白(사백).

足少陽膽經 : 懸厘(현리), 水泃(수구), 迎香(영향), 下關(하관), 合谷(합곡).

頭頸部奇穴 : 夾承漿(협승장), 下關(하관), 合谷(합곡).

⑵ 處方 : ① I枝 魚腰(어요), II枝 四白(사백), III枝 下關(하관), 夾承漿(협승장).,

② I枝 陽白(양백), 太陽(태양), 攢竹(찬죽), 外關(외관),

II枝 陽白(양백), 巨髎(거료), 人中(인중), 合谷(합곡),

III枝 下關(하관), 頰車(협거), 承漿(승장).

⑷ 신재용방

① 迎香 : 손가락을 V 자로 하여 이 부위를 자주 가볍게 문질러 준다.

三次神經痛일 때는 콧날 가까운 부위에 板機點이란 곳이 있어서 이 부위를

세게 누르면 자지러질 듯 통증이 온다.

② 太陽 : 太陽穴을 指壓한다.

③ 翳風 : 翳風穴 둘레를 지그시 빙빙 돌리면서 문질러 준다.

三次神經痛은 갓셀신경근 내의 營養血管이 痙攣을 일으켜 일시적으로 貧

血이 되기 때문에 오는 것이라는 說이 있다. 그래서 양방에서는 갓셀신경근

에 알콜주사를 하거나 이 神經根을 電氣로 찌르거나 혹은 切除하는 手術을

한다. 바로 翳風을 中心으로 刺戟을 주면 도움이 된다.


4. 三次神經痛은 神經 經路에 따라서 동통이 발현하고 있으며 이것을 경락상에서 고찰하면

太陽經 少陽經 陽明經 등으로 구별되지만 실제 임상상에서는 대부분 3부에 걸처서 발현

하고 있다.

1) 三次神經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되고 있다.

第一枝 : 眼神經(안신경) 上眼瞼(상안검), 前額(전액)에서 頭頂(두정), 眼(안)과 眼球(안

구), 鼻尖(비첨), 鼻腔(비강).

第二枝 : 上顎神經(상악신경) 下眼瞼(하안검), 頰部(협부), 上脣(상순), 鼻側(비측), 側頭

(측두), 전부, 上齒牙(상치아), 口蓋(구개), 鼻腔(비강).

第三枝 : 下顎神經(하악신경) 下顎部(하악부), 下齒牙(하치아), 外耳(외이), 側頭部(측두

부).

2) 主治經

太陽經(小腸經 - 膀胱經), 少陽經(三焦經 - 膽經), 陽明經(大腸經 - 胃經) 三次神經痛은

부분별로 발병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부분 3가지 부분에 걸쳐서 동시에 복합적으로

발현하고 있기 때문에 治療 역시 3가지 부위로 분류할 필요가 있다.

3) 取穴 : 이하 要穴(요혈)중에 最强反應点(최강반응점)을 찾아 選穴(선혈)한다.

⑴ 顔面部(안면부) :

下關(하관), 頰車(협거), 顴髎(권료), 迎香(영향), 地倉(지창), 大迎(대영), 夾承

漿(협승장, 寄穴), 聽宮(청궁), 聽會(청회), 攢竹(찬죽), 魚腰(어요, 寄穴), 陽白

(양백), 絲竹空(사죽공), 曲差(곡차), 頭臨泣(두림읍), 頭維(두유), 懸厘(현리),

객주인

⑵ 項頸部(항경부) : 翳風(예풍), 人迎(인영), 缺盆(결분).

⑶ 肩背部(견배부) : 肩外兪(견외수), 天髎(천료), 肩井(견정).

⑷ 上肢部(상지부) : 曲池(곡지), 手三里(수삼리), 合谷(합곡), 外關(외관), 支溝(지

구), 支正(지정), 后溪(후계).

⑸ 下肢部(하지부) : 足三里(족삼리), 陽陵泉(양능천), 委中(위중), 承山(승산).

⑹ 背腰臀部(배요둔부) : 膀胱兪(방광수), 小腸兪(소장유), 膽兪(담수), 三焦兪(삼

초수), 大腸兪(대장수), 胃兪(위수).

4) 治法

太陽經 : 后溪(후계) 또는 腕骨穴(완골혈)에 銀鍼(은침), 申脈穴(신맥혈) 또는 京骨穴(경

골혈)에 金針(금침)을 시침한다.

피내침을 고정할 경우에는 跗陽穴(부양혈)과 支正穴(지정혈)을 이용한다.

少陽經 : 外關穴(외관혈)에 銀針(은침), 丘墟穴(구허혈)에 金針(금침)을 지침하며 皮內

針(피내침)의 고정부위는 外關穴(외관혈)과 懸鍾穴(현종혈)을이용한다.

陽明經 : 合谷穴(합곡혈)에 銀針(은침), 陷谷穴(함곡혈)에 金針(금침)을 지침한다. 이때

手足三里穴(수족삼리혈)을 병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따라서 皮內針(피내

침)의 고정부위도 역시 手足三里穴(수족삼리혈)을 이용한다.

顔面部 : 患側(환측)에 補的針法(보적침법)인 皮內針(피내침)이나 灸溫煅針(구온단침)

을 사용하고 健側(건측)에는 瀉的針法(사적침법)을 사용한다.

⑴ 드문 일이기는 하지만 商陽穴(상양혈)과 厲兌穴(려태혈)에 三陵針(삼능침)으로 瀉

血(사혈)하는 것이 특효를 나타낼 때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기 바란다.

⑵ 만약 下肢部(하지부)에 血絡(혈락)이 있다면 그 血絡(혈락)의 瀉血(사혈)만으로 분명

한 효과(著效)를 나타내는 때가 있다.

⑶ 項頸部(항경부), 肩背部(견배부)의 壓痛(압통), 硬結(경결), 緊張(긴장) 등의 病態反

應(병태반응)이 있으면 皮膚針(피부침)에 의한 가벼운 자극으로 완화 시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⑷ 貧血(빈혈), 低血壓(저혈압), 陰虛證(음허증) 등등을 수반하고 있는 三叉神經痛(삼차

신경통)에는 前頭痛(전두통)의 경우와 같이 가벼운 灸療法(구료법)이 바람직하다.

現代針灸學

35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