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86 鼻疾患(비질환)

Aktualisiert: 9. Apr. 2022


부비강염 (副鼻腔炎) - 비병 (鼻病) - 비색 (鼻塞) - 비식육 (鼻息肉) - 비연 (鼻淵) - 비염 (鼻炎) - 비인두암 (鼻咽竇)



부비강염 (副鼻腔炎)

1. 參照文(참조문)

1) 비염 (鼻炎)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迎香(영향).

足陽明胃經 : 四白(사백).

頭頸部奇穴 : 鼻通(비통).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 迎香(영향),上星(상성), 迎香透鼻通(영향투비통), 曲池(곡지,合), 合

谷(합곡,原).

頭頸部奇穴 : 鼻通(비통), 攢竹(찬죽), 列缺(열결).


비병 (鼻病) : 콧병

1. 參照文(참조문)

1) 비염 (鼻炎)

2) 뉵혈 (衄血)

2.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頭臨泣(두림읍).

督脈 : 水泃(수구).

頭頸部奇穴 : 內迎香(내영향).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近部選穴 : 迎香(영향), 印堂(인당).

2) 上下配穴法 : 上病下取 - 京骨(경골), 內庭(내정).

3) 本經配穴法 : 合谷(합곡), 迎香(영향).

4) 足太陽膀胱經 : 通天(통천), 百會(백회), 風池(풍지), 太陽(태양).

督脈 : 百會(백회), 風池(풍지), 迎香(영향), 合谷(합곡).

4. 五行針(오행침)

舍巖道人鍼灸要訣(사암도인침구요결)

1) 鼻塞 : 코가 막힌 症狀

處方 : 肺寒(폐한)-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 少府(소부), 魚際(어제) 瀉

2) 鼻血 : 코피 나는 症狀

處方 : 胃熱(위열)- 前谷(전곡), 內庭(내정) 補, 少海(소해), 三里(삼리) 瀉

3) 鼻衄 : 濁涕(탁체)에 피가 섞여 나오는 症狀

處方 : 脾傷(비상)- 少府(소부), 大都(대도) 補, 大敦(대돈), 隱白(은백) 瀉

4) 鼻痔 : 콧속에 대추씨 같은 군살이 생긴 鼻塞症(비색증)

處方 : 腎虛(신허)-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 太白(태백), 太溪(태계) 瀉

脾勝方(비승방)이나 肺濕方(폐습방)도 좋다.

5) 鼻涕 : 蓄膿症(축농증) - 코에서 콧물이 흐르는 症狀 卽 鼻淵症

處方 : 臨泣(림읍), 陷谷(함곡) 補, 解谿(해계), 陽谷(양곡) 瀉.

※ 柳泰佑 - 蓄膿症(축농증)은 腎實症(신실증)에서 많이 나오고 있어서 小腸勝方

(소장승방)이나 心正方(심정방) 또는 肺勝方(폐승방)에다 A8, A28에

오복침을 놓으면 대단히 좋다.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鼻(비)는 司臭(사취)의 竅(규)로서 脣上(순상)에 隆起(융기)하였으며 그 내부는

筋肉(근육) 및 輭, 硬二骨(연, 경이골)로 되었는데 좌우에 二孔(이공)이 있고 孔

內(공내)에는 --膜(--막)도 있으며 毫毛(호모)도 있나니 大凡(대범) 物質(물질)의 氣(기)가

空氣(공기)로 말미암아 여기에 傳達(전달)되면 香臭(향취)를 識別(식별)할 수 있고 호흡이

더욱 依賴(의뢰)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鼻(비)는 肺(폐)의 竅(규)로서 神氣(신기)가 출입하는 門戶(문호)인데 肺(폐)

가 和(화)하면 능히 五臭(오취)를 分別(분별)하고 不和(불화)하면 諸證(제증)이 생기는 것

이다. 대개 內鬱七情(내울칠정)과 外感六淫(외감육음)은 鼻氣(비기)가 不宣(불선)하여 靑

道(청도)를 壅塞(옹색)하는 때문이니 治療法式(치료법식)은 마땅히 寒(한)하면 溫(온)하

게 하고, 熱(열)하면 淸(청)하게 하며, 塞者(색자)는 通(통)하게하고, 壅者(옹자)는 散(산)하

게 하는 것이 그 常法(상법)이며 心血(심혈)이 虧(휴)하고 腎水(신수)가 少(소)해서 병이

오래 낫지 않는 者(자)는 마땅히 養血補腎(양혈보신)하여야 하나니 이것이 그의 치법이

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鼻者(비자), 屬之金方也(속지금방야), 白色(백색), 入通於肺(입통어

폐), 寒氣(한기) 開竅於鼻也(개규어비야) 又曰肺之爲臟(우왈폐지위장), 其位高(기위고),

其體脆(기체취), 其性惡寒(기성악한), 是故(시고), 好色者(호색자), 生瘡(생창), 嗜酒者(기

주자), 準齄(준사), 得熱愈紅(득열유홍), 得寒多黑(득한다흑), 風寒者鼻寒(풍한자비한), 胃

熱者淵深(위열자연심)」이라 하여 上(상)의 諸法(제법)을 立(입)하였다.

舍岩經驗例(사암경험예)

1) 한 老人(노인)이 年六十(연육십)에 鼻一邊(비일변)에 血出不禁(혈출불금)이 五六次(오

육차)요 밤에도 또한 그러하여 이 같은지 數三日(수삼일)에 顔色(안색)이 萎黃(위황)하

고 이미 나온 피가 한 동이가 넘는다 하므로 前谷(전곡) 內庭(내정) 補(보), 少海(소해)

三里(삼리) 瀉(사)하였더니 一日(일일)에 半減(반감)하고 二日(이일)에 快差(쾌차)하더

라. 一邊(일변)의 鼻血(비혈)이므로 한쪽만 治(치)하였다.

2) 한 男子(남자)가 年二十(연이십)에 코가 막인지가 이미 十餘年(십여년)인데 듣건대 紅

疫(홍역) 후에 觸風(촉풍)으로 해서 作(작)한 것이라 하므로 肺經正格(폐경정격)을 썼

더니 一度(일도)에 앗더라.

3) 한 사람이 準齄(준사)로 코가 빨갛거늘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보), 大敦(대돈) 隱白

(은백) 瀉(사) 하였더니 二度(이도)에 낫더라. 이 사람이 근본 술을 못 먹거늘 酒痰方(주

담방)을 써서 났으니 嗜酒者(기주자)의 準齄(준사)는 이로서 미루어 본다면 絶倒(절도)

한 일이다.


5. 針灸經驗方 許任

코는 폐와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목소리를 主管한다. 하였으며 이어서 냄새에 관하여 눌

은내는 心臟에 屬하고,누린내는 肝에 屬하며 고소한 냄새는 脾臟에 속하고, 비린내는 肺

에 속하며 구린내는 腎臟에 속한다. 하였다.

1) 鼻茸腫(비용종)(rhinopolypus)

處方 : 上星穴(상성혈) 뜸을 100장 뜨고 迎香(영향), 合谷(합곡), 神門(신문), 肺兪(폐

수), 心兪(심수), 尺澤(척택). 囟會穴(신회혈).

2) 코막힘(鼻塞 stuffy nese)

處方 : 百會(백회), 上星(상성), 囟會(신회), 臨泣(임읍), 合谷(합곡), 厲兌穴(려태혈).

- 諸穴灸法

3) 멀건 콧물이나(구(鼽) 코피가 나는(衄) 症狀

處方 : 上星穴(상성혈)에 灸十四壯 뜨고, 風府(풍부), 迎香(영향), 太冲(태충), 絶骨(절

골), 合谷(합곡), 大陵(대능), 尺澤(척택), 神門穴(신문혈).

4) 냄새를 맡지 못하는 症狀 - (鼻不聞香臭)

處方 : 囟會(신회), 天柱(천주), 水溝穴(수구혈) 等 諸穴治灸

5) 衄血不止, 失語症(aphasia)

處方 : 肺兪(폐수), 合谷(합곡), 間使(간사), 太溪(태계), 靈道(령도), 風府(풍부), 太冲穴

(태충혈).

6. 피부침 (皮膚針)

處方 : 코부위 및 폐수(肺兪) 풍지(風池) 영향(迎香) 등 혈(穴)을 취하며,

비두염(鼻竇炎) 은 합곡(合谷) 어제(魚際) 등 혈(穴)과 배합한다.- 中醫


비색 (鼻塞)

1. 참조문(參照文)

1) 비염(脾炎) 參照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眉冲(미충), 曲差(곡차), 承光(승광, 去多涕), 通天(통천), 絡却(락각), 玉

枕(옥침), 風門(풍문, 多涕), 至陰(지음).

足少陽膽經 : 頭臨泣(두림읍), 承靈(승령).

督脈 : 風府(풍부), 上星(상성), 素髎(소료), 兌端(태단).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前后配穴法 : 天柱(천주), 迎香(영향).

2) 上下配穴法 : 下病上取 - 上星(상성), 通天(통천).

3) 手陽明大腸經 : 禾髎(화료), 合谷(합곡), 印堂(인당), 上星(상성).

足陽明胃經 : 迎香(영향), 合谷(합곡), 上星(상성), 印堂(인당).

足太陽膀胱經 ① 眉冲(미충), 上星(상성).

② 曲差(곡차), 上星(상성), 合谷(합곡).

4) 코가 막혀서 냄새를 맟을 수 없다.

處方 : 先刺 列缺穴(열결혈), 后刺 迎香(영향), 上星(상성), 風門穴(풍문혈)에 針刺한다.

- 大成

4. 이침(耳針)

耳穴 : 中耳根(중이근).


비식육 (鼻息肉)

鼻痔(비치)라고도 한다. 鼻腔內(비강내)에 연생종물이 생긴 것의 총칭이다. 이 병은 肺

經(폐경)에 風(풍), 濕(습), 熱(열)등 여러 邪氣(사기)가 鬱滯(울체)되는데서 생기는 것으

로, 輕(경)한 것은 코가 메고, 氣(기)가 막히며, 심한 것은 코가 커지고, 기형으로 되는 등

심지어는 瘜肉(식육)이 콧구멍 밖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1.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禾髎(화료), 迎香(영향).

督脈 : 兌端(태단).

頭頸部奇穴 : 鼻通(비통).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督脈 : 素髎(소료), 迎香(영향), 上星(상성), 合谷(합곡).

2) 콧속에 대추만한 살이 자라나고 氣道(기도)가 막혀서 통하지 않는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印堂(인당), 迎香(영향), 上星(상성), 風門穴(풍문혈)에 針刺(침자)한다.-

西江月


비연 (鼻淵)

코에서 비린내가 나며 고름 같은 콧물이 나오고 鼻塞(비색), 嗅覺(후각)이 減退(감퇴)되는

것이 主要症狀(주요증상)이다.

西醫學 : 急慢性鼻竇炎(급만성비두염)은 본절을 참고 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肺(폐)는 코에 開竅(개규) 되었기 때문에 비연의 발생은 肺經受邪(폐경수사)와 관계된다.

外感風寒(외감풍한)이 肺(폐)에 침습되면 蘊而化熱(온이화열)하여 肺氣失宣(폐기실선)되

므로 客邪(객사)가 淸竅(청규, 이목구비 7개구멍)에 올라와서 鼻塞(비색)을 형성한다.

風邪(풍사)가 해제된 뒤에도 鬱熱(울열)이 없어지지 않으면 濁液(탁액)으로 변하여 鼻竅

(비규)에 몰려 鼻淵(비연)이 형성된다.

1. 參照文(참조문)

1) 비염 (鼻炎)

2. 主治穴(주치혈)

1) 流淸涕(류청체) 手陽明大腸經 : 禾髎(화료).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通天(통천), 承光(승광).- 針灸資生經(침구자생경)

4. 辨證論治(변증론치)

1) 風寒化熱證(풍한화열증)

證狀 : 惡寒(오한), 發熱(발열), 頭痛(두통), 鼻塞(비색), 多涕色黃(다체색황), 咳嗽(해수),

痰多(담다), 舌質紅(설질홍), 苔薄白(태박백), 脈浮數(맥부삭).

治則 : 祛風散熱(거풍산열) 宣肺開竅(선폐개규) - 手太陰 陽明經穴 爲主

處方 : 列缺(열결), 合谷(합곡), 迎香(영향), 印堂(인당).

方義 : ① 列缺(열결, 手太陰)과 合谷(합곡, 手陽明-原穴) : 遠部(원부) 表裏配穴法(표리

배혈법).

② 迎香(영향)과 印堂(인당)을 배합하는 遠近配穴法(원근배혈법)으로 疏風淸熱

(소풍청열)하고 宣肺開竅(선폐개규)의 功能(공능)을 취한다.

治法 : 호침 사법 15-30분 유침 매일 1차 10천 1료정

2) 肝膽火盛證

證狀 : 鼻塞流涕(비색류체), 鼻汁多黃燥(비즙다황조), 腥臭(비린내가 나고), 頭痛(두통),

目眩(목현), 口苦(구고), 口渴(구갈), 舌質紅(설질홍) 苔黃(태황), 脈弦數(맥현삭).

治則 : 淸肝熱(청간열), 瀉膽火(사담화), 通鼻竅(통비규). - 手陽明 足厥陰 少陽經血 爲主

處方 : 迎香(영향), 太冲(태충), 風池(풍지), 上星(상성), 印堂(인당).

方義 : ① 迎香(영향, 陽明)과 上星(상성, 督脈) 및 印堂(인당, 寄穴)을 취하면 活血通絡

(활혈통락)하여 토를 통하게 하고(通鼻塞).

② 太冲(태충)은 肝經(간경)의 原穴(원혈)이며 風池(풍지)는 膽經(담경)과 陽維(양

유)의 交會穴(교회혈)인데 이 2혈을 배합하면 疏風解熱(소풍해열), 淸泄肝膽

(청설간담)의 作用이 있다.

만일 : ① 頭痛(두통), 目眩(목현)이 생기면 百會(백회)를 가하여 醒腦鎭痛(성뇌진통)

治法 : 毫針 瀉法 15-30분 留針 1日 1次 10日 1療程.


5. 五行針(오행침)

舍岩五行鍼解說

1) 鼻涕(비체) 蓄膿症(축농증) - 코에서 콧물이 흐르는 症狀(증상) 즉 鼻淵症(비연증)

處方 : 臨泣(림읍), 陷谷(함곡) 補, 解谿(해계), 陽谷(양곡) 瀉.

6. 臨床應用(임상응용)

1) 콧물이 흐르면서 냄새나는 것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曲差(곡차), 上星(상성), 百會(백회), 風門(풍문), 迎香穴(영향혈)에 針刺한

다.

2) 맑은 콧물을 흘리며, 제체기가 그치지 않는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神庭(신정), 肺兪(폐수), 太淵(태연), 三里穴(삼리혈)에 針刺한다.

3) 콧물이 흘러 炎症이 된 것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上星(상성), 內關(내관), 列缺(열결), 曲池(곡지), 合谷穴(합곡혈)에 針刺한

다.-西江月


비염 (鼻炎)

1. 參照文(참조문)

1) 비연 (鼻淵)

2) 부비강염 (副鼻腔炎)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原), 禾髎(화료), 迎香(영향,會).

足陽明胃經 : 巨髎(거료).

足太陽膀胱經 : 五處(오처), 承光(승광), 通天(통천), 絡却(락각).

足少陰腎經 : 步廊(보랑).

足少陽膽經 : 頷厭(함염), 承靈(승령), 風池(풍지,手足少陽,陽兪脈의 交會).

督脈 : 百會(백회), 前頂(전정), 囟會(신회), 上星(상성), 神庭(신정), 素髎(소료).

頭頸部奇穴 : 印堂(인당), 鼻通(비통).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過敏性鼻炎(알레르기性鼻炎) : 頭頸部奇穴 - 鼻通(비통).

2) 鼻厚性鼻炎(비후성비염) : 頭頸部奇穴 - 鼻通(비통).

3) 萎縮性鼻炎(위축성비염) : 頭頸部奇穴 - 鼻通(비통).

4) 手陽明大腸經 : 迎香(영향, 會), 印堂(인당), 合谷(합곡, 原).

足太陽膀胱經 : 通天(통천), 上星(상성), 印堂(인당), 合谷(합곡).

督脈 : ① 上星(상성), 迎香(영향, 會), 合谷(합곡, 原).

② 上星(상성), 合谷(합곡), 太冲(태충).

頭頸部奇穴 : 印堂(인당), 迎香(영향), 合谷(합곡).

5) 急性 - 足陽明胃經 : 廬兌(려태,井).

慢性 - 頭頸部奇穴 : 鼻通(비통), 上星(상성), 印堂(인당), 合谷(합곡).

6) 鼻腔炎 - 手陽明大腸經 : 迎香(영향,手足陽明會)

7) 脾炎(비염)

處方 : ① 上星(상성), 印堂(인당), 迎香(영향), 合谷(합곡).

② 上迎香(상영향), 印堂(인당), 合谷(합곡), 迎香(영향).

8) 肥厚性鼻炎(비후성비염) : 斷交穴(단교혈)을 반드시 取할 것- 百症賦

9) 鼻淵淸稀(비연청희) : 上星穴(상성혈) 先 瀉, 得氣卽時 補 - 玉龍歌

10) 鼻塞(비색) 蓄膿症(축농증) 肥厚性鼻炎(비후성비염).

合谷(합곡), 太冲(태충).- 雜病穴法歌

4. 이침(耳針)

1) 과민성비염(過敏性鼻炎) : 外鼻(외비).

2) 비염(鼻炎) : 內鼻(내비).


비인두암 (鼻咽竇)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鼻咽竇癌 - 手陽明大腸經 : 迎香(영향,手足陽明會).

足陽明胃經 : 下關(하관,足陽明,少陽의 會).

足太陽膀胱經 : 찬죽(攢竹).

手少陽三焦經 : 翳風(예풍,手足少陽의 會), 耳門(이문).

督脈 : 神庭(신정,足太陽,陽明의 會), 上星(상성), 前頂(전정).

頭面部 寄穴 : 太陽(태양), 內迎香(내영향).


29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