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68 면부질환 (面部疾患)

Aktualisiert: 9. Apr. 2022



면근육경련 (面筋肉痙攣) - 면부종 (面浮腫) - 면부질환 (面部疾患) - 면색 (面色) - 면탄 (面癱) - 면통 (面痛) - 안면경련 (顔面痙攣) - 안면신경경련 (顔面神經痙攣) - 안면신경마비 (顔面神經痲痺) - 안면조직염 (顔面組織炎)





면근육경련 (面筋肉痙攣)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大迎(대영).

2. 이침(耳針) 面頰區(면협구),


면부종 (面浮腫) : 頭面部浮腫(두면부부종)

1. 참조문(參照文)

1) 안검부종(眼瞼浮腫)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溫溜(온유).

足陽明胃經 : 解溪(해계,經), 冲陽(충양,原), 함곡(陷谷, 輸), 廬兌(려태).

手太陽小腸經 : 顴髎(권료).

足少陽膽經 : 懸顱(현로), 懸厘(현리), 完骨(완골), 目窗(목창).

督脈 : 水泃(수구), 전정(前頂).

頭頸部奇穴 : 夾承漿(협승장).


면부질환 (面部疾患)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近部選穴 : 觀髎(관료), 頰車(협거).


면색 (面色)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針灸經驗方 許任

1) 面色이 거므스름한 것 : darkish complexion

處方 : 行間(행간), 中封(중봉). 腎兪(신수), 肝兪(간수), 尺澤(척택), 合谷(합곡), 足三里

穴(족삼리)에 針刺한다.

2) 面部에 風熱邪氣가 侵入하여 發作하면 1-2日에 面部紅腫하고 화끈 거리며 면부에 개

암나무의 열매와 같이 돋아나는데, 반들반들하고, 돋은 것이 점점 커져서 숨이 깔딱

깔딱하는 것

處方 : 三陵針으로 患部와 그 周圍를 마구 針刺해서 瀉血을 충분히 시킨다. 다음날에

도 亦是 같은 방법으로 가라앉은 곳과 새롭게 붉어진 部分을 瀉血을 시킨다. 이

같이 부어 오르는 데로 點刺出血시키면 神效하다. 마땅히 臨機應變해야 한다.


면신경마비 (面神經麻痺) ⇒ 안면신경마비 (顔面神經痲痺)


면유풍 (面游風)

1. 參照文(참조문)

1) 皮炎 “脂溢性皮炎” 參照


면탄 (面癱)

면탄은 또 구안왜사(口眼歪斜)라 부른다. 어떤 연령에도 모두 發生할 수 있지만 특히 靑

年 壯年에게 제일 많이 發生한다. 본병은 급속히 발생되며 단순히 한쪽 면부의 근육이 지

완(遲緩)되고 반신불수(半身不遂)와 신지불청(神志不淸) 등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서

의학(西醫學)의 주위성면신경마비와 주위성면신경염이 본 절에 해당된다.

病因 : 위양불고(衛陽不固)하여 락맥(絡脈)이 공허(空虛)하면 풍한(風寒) 혹은 풍열사기

(風熱邪氣)가 虛한 틈을 타서 면부의 근맥(筋脈)에 침습(侵襲)되면 경락기혈(經絡

氣血)을 조체(阻滯)함으로 근육(筋肉)이 종완불수(縱緩不收) 되어 면탄(面癱)이 발

생(發生)하게 된다.

症狀 : 돌연발생(突然發生) 취침후(就寢后) 면부마비(面部麻痹) 이마와 눈섭을 움직이지

못하고, 뺨을 불구지 못한다, 입은 健康한 쪽으로 삐뚤어지고 입술을 꼭 다물지 못

하며 물을 마시면 患側으로 흘러나온다, 눈을 꼭 감지 못하고 눈물이 난다, 患側의

이맛살과 비순구(鼻脣區)가 낮아지거나 或 없어진다. 소수의 사람들은 初起에 耳

下와 面部가 아프다. 嚴重하면 患側 혀의 2/3 部位의 미각(味覺)이 감퇴(減退)되거

나 혹은 소실(消失)되고 청각(聽覺)이 과민(過敏)되는 等 症狀이 나타난다.

處方 : 지창(地倉), 협거(頰車), 합곡(合谷), 양백(陽白), 사백(四白).

方義 : 국부근취(局部近取) 지창(地倉), 협거(頰車), 양백(陽白), 사백(四白)과 순경원취(循

經遠取) 합방법(合方法)으로 경맥(經脈)을 소통(疏通)하며 풍사(風邪)를 제거하고

기혈(氣血)을 조화시켜 근육(筋肉)에 영(營)을 주면 면탄(面癱)은 자연히 회복된다.

① 눈섭을 들지 못하면 : 찬죽(攢竹),

② 비순구(鼻脣口) 불평탄(不平坦) : 영향(迎香),

③ 유돌부위통증(乳突部位痛症) : 예풍(翳風),

④ 인중구(人中溝)가 삐뚤면 : 승장(承漿),

⑤ 설비(舌痹) 미각소실(味覺消失) : 염천(廉泉).

治法 : 면부혈(面部穴)은 사자(斜刺) 혹은 투자(透刺)한다. 초기에는 사법(瀉法), 후기(后

期)에는 보법(補法)을 사용하며 가구(可灸)한다.

周圍性面癱(주위성면탄).

處方 : ① 태양(太陽), 하관(下關), 협거(頰車), 지창(地倉).

② 예풍(翳風), 견정(牽正), 양백(陽白), 지창(地倉), 영향(迎香).

③ 하관(下關), 태양(太陽), 관료(觀髎), 화료(禾髎), 합곡(合谷).


면통 (面痛)

면통은 면협(面頰) 부위가 진발성(陳發性)적으로 생기는 동통을 말한다. 본병은 대부분

한쪽으로 많이 발생하고 극소수가 양쪽에 발생된다. 동통부위는 뺨의 상하부위가 많고,

이마부위에는 비교적 적게 나타난다. 동통은 보통 한 기점(起点)을 하고있는데 입으로 바

람을 불거나, 세수, 말을 하거나, 밥을 먹으면 이 기점(起点)에 자극을 주어 발작하게 된다.

초기에는 매번 아픈 시간이 비교적 짧으며 발작의 간격 시간도 비교적 길지만 오래되면

발작의 차수가 빈번하며 동통의 정도가 점점 중해지고 병세가 완고하여 스스로 회복되는

자가 극소수이다. 본 병은 40~50세의 년령에 많이 나타난다.

서의학의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은 본 절의 변증론치(辨證論治)를 참고하라!

병인병기(病因病機)

풍한지사(風寒之邪)가 양명근맥(陽明筋脈)에 침습되면 한성(寒性)은 수인(收引)함으로 근

맥(筋脈)을 응체(凝滯)하여 혈기(血氣)가 막히게 되어 드디어 면통(面痛)이 발생된다. 혹은

풍열의 병독(風熱病毒)이 면부에 침입되어 근맥의 기혈운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면통

이 발생된다.

변증론치(辨證論治)

주증(主證)은 동통이 돌연 발작되며 진발성(陳發性), 방사성(放射性), 전격양(電擊樣)의 극

통(劇痛)인 것으로 마치 찢어지는 듯, 침으로 찌르는 듯, 불에 덴 듯하여 환자는 극히 참기

어렵다. 보통 손가락으로 동통부위를 힘껏 누르거나 문질러서 통증을 감소시킨다. 매번

발작시간은 매우 짧아서 수초에서 수분이 지나면 스스로 완해(緩解)되지만 연속적으로

몇 시간 혹은 몇 일간에 반복적으로 발작된다.

간헐기 (間歇期)는 시간이 짧으면 몇 일, 길면 몇 년이 된다.

1) 풍한증(風寒證) : 면부(面部)에 한사(寒邪)가 감수(感受)되여 득한통심(得寒痛甚) 득온

경감(得溫輕减), 청체(淸涕), 설태백(舌苔白) 맥부(脈浮)

2) 풍열증(風熱證) : 감기에 열이 나면 아픈 부위가 따가운 감이 있고 침을 흘리며 눈이 벌

겋고 눈물이 나며, 설태담황니(舌苔淡黃膩) 맥삭(脈數).

원칙(原則) : 거한청열(祛寒淸熱) 근맥소통(筋脈疏通) - 수양명(手陽明), 태양(太陽),

소양경혈(少陽經穴) 爲主

처방(處方) : 이마통(前頭痛) → 찬죽(攢竹), 양백(陽白), 두유(頭維), 솔곡(率谷), 후

계(后溪), 상악통(上顎痛) → 四白 觀髎 上關 迎香 合谷

하악통 : 승장(承漿), 협거(頰車), 하관(下關), 예풍(翳風), 내정(內庭).

方義 : 본 처방은 근부취혈(近部取穴)을 위주로 하며 원부취혈(遠部取穴)과

배합하면 면부의 근맥(筋脈)을 소통(疏通)하고 거한 및 청열(祛寒淸

熱)하고 기혈을 조화(氣血調化)하여 통칙불통(通則不痛)시킨다.

삼조(三條)의 처방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종합하여 선택해서 사

용해도 된다.

治法 : 針으로 사법(瀉法), 한증(寒證)은 구법(灸法)을 사용, 30-60分 류침(留

針) 통증(痛症)이 더욱 심한 사람은 유침(留針)을 더 연장(延長)해야 한

다. 매일 혹 격일(隔日) 1차 10변.

1. 參照文(참조문)

1) 삼차신경통 (三次神經痛)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地倉(지창), 下關(하관).

足少陽膽經 : 聽會(청회).

3. 臨床應用(임상응용)

顔面部疾患(안면부질환)을 치료목표로 하는 취혈은 手指陽經(수지양경)을 1차적으로 취

혈하고 여기에 대응하는 足趾陽經(족지양경)을 2차적으로 취혈한다. 手指陽經 단독으로

取穴 治療하는 것보다도 足趾陽經을 竝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이유는 手足의 三陽三

陰經 사이에는 동류적 상생적 연속적 기경의 중개 등등 상,하,교류의 반응법칙이 있기 때

문이다.

顔面疼痛(안면동통)은 주로 三次神經痛(삼차신경통)에 의거하는 것이 많지만 때로는 中

樞神經疾患(중추신질환)에 의한 것도 있으며 이때는 난치병인 것이 많다. 顔面疼痛(안면

신경통)은 頭痛(두통)의 경우와 같이 項頸部(경항부)의 僧帽筋(승모근), 胸鎖乳突筋(흉쇄

유돌근)등의 壓痛(압통), 硬結(경결), 緊張(긴장)이 수반하는 경우가 많기 대문에 이들 부

위의 완화를 목적으로 皮膚針(피부침)이나 皮內針(피내침)의 시술이 불가결하다. 患側(환

측)은 補的針法(보적침법)에 의하여 顔面(안면)의 經氣(경기)를 유통케하여 溫感發生(온

감발생)을 가능케 하고 健側(건측)에는 瀉的針法(사적침법)을 시술하면 더욱효과적이다.

主治經(주치경)은 太陽經(태양경), 少陽經(소양경), 陽明經(양명경)등 三陽經(삼양경)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太陽經(태양경) : 좌우 내안각을 연결한 선과 내안각에서 상행하는 방광경에 의하여 둘러

싸여 있는 상부 중앙 부분으로 督脈(독맥), 膀胱經(방광경), 小腸經(소양

경)이 지배하고 있으며 따라서 膀胱經(방광경)과 小腸經(소양경)을 주치

경으로 하고 있다.

少陽經(소양경) : 太陽經(태양경)을 제외한 이마부분과 外眼角(외안각)에서 밑으로 수직

선 외측부분으로 膽經(담경)과 三焦經(삼초경)이 지배하고 있으며 따라

서 膽經(담경)과 三焦經(삼초경)을 主治經(주치경)으로 하고 있다.

陽明經(양명경) : 太陽經(태양경)과 少陽經(소양경)을 제외한 부분으로 外眼角(외안각)에

서 밑으로 수직선에 의하여 둘러싸인 부분으로 胃經(위경)과 大腸經(대

장경)이 지배하고 있으며 따라서 胃經(위경)과 大腸經(대장경)을 主治經

주치경)으로 하고있다.


안면경련 (顔面痙攣)

1.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陽小腸經 : 觀髎(관료).

2) 頭頸部 : 夾承漿(협승장).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攢竹(찬죽), 四白(사백), 夾承漿(협승장).


안면신경경련 (顔面神經痙攣)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四白(사백).


안면신경마비 (顔面神經痲痺)

1. 參照文(참조문)

1)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

2) 구안괘사(口眼喎斜)

3) 마비(痲痺) 참조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列缺(열결,,絡,八脈交會穴,通任脈).

手陽明大腸經 : ① 偏歷(편력), 合谷(합곡).

② 禾髎(화료), 牽正(견정), 地倉(지창), 四白(사백), 陽白(양백).

③ 二間(이간,滎), 合谷(합곡,原), 偏歷(편력,絡), 溫溜(온유,郄), 禾髎(화

료), 迎香(영향, 手足陽明會).

足陽明胃經 : ① 四白(사백), 合谷(합곡).

② 四白(사백), 陽白(양백), 地倉(지창), 風池(풍지), 合谷(합곡).

③ 巨髎(거료), 合谷(합곡).

④ 地倉(지창), 水泃(수구), 合谷(합곡).

⑤ 地倉(지창), 頰車(협거), 迎香(영향), 合谷(합곡).

⑥ 大迎(대영), 頰車(협거).

⑦ 頰車(협거), 合谷(합곡).

⑧ 頰車(협거), 陽白(양백), 翳風(예풍), 地倉(지창), 迎香(영향).

⑨ 冲陽(충양), 地倉(지창).

⑩ 四白(사백), 巨髎(거료), 地倉(지창,手足少陽,陰交의 會), 大迎(대영), 頰

車(협거), 下關(하관, 足少陽의 交會), 頭維(두유,足少陽의 交會), 冲陽

(충양), 內庭(내정).

手太陽小腸經 : 顴髎(권료), 聽宮(청궁,手足少陽과 會).

足太陽膀胱經 : 睛明(정명,手足太陽,足陽明,陽交,陰交와의 會), 攢竹(찬죽), 絡却(락각).

手少陽三焦經 : ① 翳風(예풍), 頰車(협거), 地倉(지창), 四白(사백).

② 絲竹空(사죽공), 攢竹(찬죽), 四白(사백), 地倉(지창).

③ 翳風(예풍,足少陽의 會)., 耳和髎(이화료), 絲竹空(사죽공).

足少陽膽經 : ① 聽會(청회), 翳風(예풍), 頰車(협거), 地倉(지창), 上關, 下關.

② 上關(상관), 頰車(협거), 地倉(지창), 水泃(수구), 絲竹空, 合谷.

③ 懸厘(현리), 水泃(수구), 迎香(영향), 下關(하관), 合谷(합곡).

④ 完骨(완골), 列缺(열결).

⑤ 陽白(양백), 攢竹(찬죽), 翳風(예풍), 四白, 地倉, 頰車, 合谷.

⑥ 聽會(청회), 上關(상관), 完骨(완골), 陽白(양백), 風池(풍지).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

任脈 : ② 承漿(승장,手足陽明,督脈과 交會).

② 承漿(승장), 禾髎(화료), 牽正(견정), 風池(풍지).

督脈 : 水泃(수구).

頭頸部奇穴 : ① 牽正(견정), 地倉(지창), 風池(풍지), 陽白(양백).

② 夾承漿(협승장), 攢竹(찬죽), 四白(사백).

③ 四神聰(사신총), 太陽(태양), 魚腰(어요,眉中), 夾承漿(협승장), 牽正(견

정), 夾承漿(협승장,下地倉).

3. 임상응용(臨床應用)

1) 近部選穴 : 地倉(지창), 承漿(승장).

2) 【東醫寶鑑】에는

① “風邪가 처음 침범하면 그 쪽은 늘어지고 正氣가 있는 쪽은 켕기기 때문에 입과 눈

이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비뚤어진다. 이런 때에는 빨리 人中部位를 문질러 주며

正首里의 머리털을 뽑아주고 귓불아래에 뜸을 3~5장 떠준다”고 했다.

② 顔面神經麻痹로 眉間, 눈 둘레, 코 주위가 麻痹와 痛症이 甚할 때 : 陽白穴(양백혈)

③ 눈의 痙攣이나 눈이 비뚤어지고 잘 감기지 않을 때 : 瞳子髎(동자료), 絲竹空穴(사

죽공혈)과 함께 指壓해 주면 效果가 있다.

④ 안면신경마비로 눈 주위에 痛症이 있으며 코 둘레도 아프고 감각이 鈍할 때 睛明穴

(정명혈)은 효과 있는 經穴이다.

⑤ 顔面神經麻痹로 뺨이 굳어졌을 때 觀髎穴(관료혈)로부터 下關穴(하관혈)까지 마사

지 해주면 좋다.

⑥ 四白穴을 중심으로 뺨 전체와 눈꼬리 쪽과 귀, 입술 주위까지 마사지 한다

⑦ 얼굴의 마비와 경련을 풀면서 진정시킬 때 翳風穴(예풍혈)이 효과가 있는 經穴이

다.

3) 임상증상(臨床症狀)

中樞性(중추성) : 腫瘤(종류), 腦血管疾病(뇌혈관질병).

周圍性(주위성) : 外周 局部 炎症(외주 국부 염증).

中醫(중의) : 風邪入面(풍사입면), 經氣阻滯(경기조체).

隨證(수증)

⑴ 鼻脣區外斜甚(비순구외사심), 幷流涎(병류연) : 加 人中(인중, 水泃), 禾髎(화료).

⑵ 不能指眉(불능지미) : 加 攢竹(찬죽).

⑶ 乳突部痛(유돌부통) : 加 翳風(예풍).

治療 : 祛風散寒(거풍산한), 疏通經氣(소통경기) 爲主(위주),

取(취) 手足陽明經(수족양명경) 爲主(위주), 足太陽(족태양), 督脈(독맥), 爲輔(위

보).

取穴 : 風池(풍지), 地倉(지창), 頰車(협거), 四白(사백), 合谷(합곡), 足三里(족삼리), 內

庭(내정).

方義 : 地倉(지창), 頰車(협거), 陽白(양백), 人中(인중), 禾髎(화료), 攢竹(찬죽), 局部取

穴(국부취혈) → 祛風散寒(거풍산한), 疏通經氣(소통경기).

取 風池(풍지), 翳風(예풍) : 疏通風邪(소통풍사).

合谷(합곡), 內庭(내정), 足三里(족삼리) : 疏通(소통) 陽明經經氣(양명경경기)

電針 : 地倉(지창), 頰車(협거), 陽白(양백), 翳風(예풍).


4) 要穴

⑴ 顔面部(안면부) : 神庭(신정), 素髎(소료), 水泃(수구,人中), 承漿(승장), 地 (지창), 巨

髎(거료), 四白(사백), 承泣(승읍), 攢竹(찬죽), 大迎(대영), 頰車(협

거), 陽白(양백).

⑵ 側面部(측면부) : 絲竹空(사죽공), 瞳子髎(동자료), 迎香(영향), 觀髎(관료), 地倉(지

창), 下關(하관), 上關(상관,객주인), 大迎(대영), 耳門(이문), 聽宮

(청궁), 聽會(청회).

⑶ 側頸部(측경부) : 懸厘(현리), 角孫(각손), 浮白(부백), 腦空(뇌공), 玉枕(옥침), 和髎

(화료), 完骨(완골), 頭竅陰(두규음), 風池(풍지), 翳風(예풍), 天牖

(천유), 天容(천용), 人迎(인영), 扶突(부돌), 天窗(천창), 天鼎(천정).

⑷ 后頭部(후두부) : 百會(백회), 后頂(후정), 强間(강간), 腦戶(뇌호), 風府(풍부), 啞門

(아문), 通天(통천), 絡却(락각), 玉枕(옥침), 天柱(천주), 正營(정영),

承靈(승령), 腦空(뇌공), 風池(풍지).

主治經

⑴ 陽明府(양명부) : 胃經(위경) - 大腸經(대장경)

⑵ 少陽府(소양부) : 膽經(담경) - 三焦經(삼초경)

⑶ 太陽府(태양부) : 膀胱經(방광경) - 小腸經(소장경)

取穴

⑴ 陽明府(양명부) : 巨髎(거료), 地倉(지창), 頰車(협거).

⑵ 少陽府(소양부) : 陽白(양백), 太陽(태양), 頭臨泣(두림읍), 頭維(두유), 懸顱(현로), 객

주인, 翳風(예풍).

⑶ 太陽府(태양부) : 攢竹(찬죽), 曲差(곡차), 觀髎(관료).

治法 : 이밖에 天柱(천주), 風池(풍지), 肩井(견정), 天髎(천료), 人迎(인영)과 마비측의

顔面(안면) 諸穴(제혈)에는 2~3번 針으로 皮內(피내)에 留針(유침)하는데 巨髎

穴(거료혈)에는 약간 深刺(심자)한다.

그리고 肩髎(견료), 翳風(예풍)에 3 장정도 灸療法(구료법)을 시술하고 懸厘(현

리), 頰車(협거)에는 灸痕(구흔)이 남지 않도록 가벼운 사상구를 한다.

健側(건측)에는 대칭점에 거자를 시술하고 下肢(하지), 胃經(위경)상에 血絡(혈

락)이 있으면 刺絡(자락)하고 만일 血絡(혈락)이 없으면 井穴(정혈)인 厲兌穴(려

태혈)에서 瀉血(사혈)한다.

5) 이침(耳針)

⑴ 面額(면액), 口(구), 肝(간), 神門(신문), 額(액), 目(목), 脾(비).

⑵ 面頰區(면협구),


안면조직염 (顔面組織炎)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① 手陽明大腸經 : 商陽(상양,井).


간반 (기미 Chloasma) : 죽은깨

1) 성년여자의 안면 특히 전액(이마)에서 눈 부위 뺨과 턱 부위에 다갈색(brown) 또는

흑갈색의 큰 색소반을 간반(기미)이라 한다. 형태는 일정하지 않지만 경계는 분명

하며 크기는 손바닥보다도 큰 것도 있다.

원인에 의하여 다음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⑴ 임신성 간반 : 임신과 더불어 일어나서 산월이 가까울수록 농도가 진해진다.

⑵ 자궁성 간반 : 월경불조 난소염 등의 부인의 생식기질환에 의하여 일어나서 치유

와 더불어 소실한다.

⑶ 악액성 간반 : 암(癌), 결핵(結核), 노인성위축, Alcohol 중독 등의 내과질환에 병

발한다.

⑷ 일광 간반 : 태양광선의 직사 때문에 일어난다.

⑸ 외상성 간반 : 化學的(화학적), 溫熱的(온열적), 機械的(기계적) 자극으로 일어난

다.

治療 : 치료대상이 되는 것은 ⑵와 ⑶번으로 우선 원인 제거를 일차 치료목표로 삼

고, 주치경과 치료증의 선정은 증과 반응경에 따라서 결정한다.


39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