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64 마목(麻木)-麻痹症- 多發性神經炎

Aktualisiert: 9. Apr. 2022


마목(麻木)-마비증(麻痹症)-소아마비(小兒痲痺)-다발성신경염(多發性神經炎)



마목 (麻木) - 마비증 (麻痹症) - 다발성신경염 (多發性神經炎)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전완마목 (前腕麻木) : 하완(下腕) - 요골(橈骨)과 척골(尺骨)

①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合).


마비증 (麻痹症)

마비(麻痹)란 : 인체의 일부분이 감각 또는 운동기능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상실된

것을말한다. 감각감퇴이거나 감각소실을 모두 감각마비라 한다.

마비는 신경전도경로에 병변이 생겼거나 기능장애에 의하여 일어나는

신경계통질병의 주요한 증상이다.

1. 參照文(참조문)

1) 위증 (痿證)

2) 안면신경마비 (顔面神經麻痹)

3) 상지신경마비 (上肢神經麻痹)

4) 하지신경마비 (下肢神經麻痹)

5) 편마비 (偏麻痹)

6) 반신불수 (半身不遂)

7) 다발성신경염 (多發性神經炎)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陽明大腸經 : 曲池(곡지,合).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2) 肩胛部 麻痹症(건갑부 마비증) - 手太陽小腸經 : 天宗(천종)

3) 腦性(뇌성) - 督脈 : 啞門(아문,陽兪脈과 交會).

4) 舌骨筋麻痹(설골근마비) - 任脈 : 廉泉(렴천).

5) 腸麻痹(장마비) - 任脈 : 氣海(기해).

6) 外傷性(외상성) - 足少陽膽經 : 帶脈(대맥,足少陽 帶脈의 會).

7) 偏麻痹(편마비) ⇒ 반신불수 (半身不遂)

8) 痲痹(마비) : 金針用(금침용) - 補 申脈穴(보 신맥혈) - 蘭江賦

9) 手足麻痹로 가렵고, 아픈 것을 모를 때 - 西江月

處方 : 先刺 -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 太冲(태충), 曲池(곡지), 大陵(대능), 合谷(합곡), 三里(삼리), 中渚(중저).

10) 몸이 마비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것 “身體不仁”

處方 : 먼저 경골혈(京骨穴)에 침(針)을 놓고 나서 중봉(中封) 절골(絶骨)에 針을 놓는

데 모두 사법(瀉法)을 쓴다.

① 가슴과 등이 저리고 아프면(痺胸背) : 어제혈(魚際穴)을 가하고

② 속이 답답하고 그득하면(煩滿) : 상구혈(商丘穴)을 가(加)하고

③ 몸이 뒤로 젖혀지면(反折, 角弓反張) : 간수혈(肝兪穴)을 加한다.

11) 팔다리 마비 “癱瘓(탄탄)”

處方 : 합곡(合谷) 곡지(曲池) 족삼리(足三里) 곤륜(崑崙) 태충(太冲).

12) 주비(周痺 general arthalgia)

證狀 : 온몸이 아프고 무거우며 무감각해지고 목덜미와 등이 구축(拘縮 con- tracture)

되는 관절통 증후군

處方 : 격수(膈兪) 임읍(臨泣).

만약 : ① 몸이 떨리면(振寒) : 족림읍(足臨泣)을 가(加) 하고,

② 진정(鎭靜) 시키려면(如解) : 용천(湧泉) 비유(脾兪)를 가한다.

13) 장단지가 저린 것

處方 : 풍시(風市) 곤륜(崑崙).


마비(痲痺 Paralysis)

일반적으로 痲痹性疾患의 원인에는 Cold(感氣. 寒冷) trauma(外傷), overwork(過勞) Epidemic(傳染病), poisoning(中毒) neuritis(神經炎), muscle shrinkage(筋萎縮) 등등이 있으며 腦脊髓疾患(뇌척수질환)에 기인하고 있는 것은 難治(난치) 또는 不治(불치)가 대부분이다. 痲痺(마비)를 東洋醫學(동양의학)상에서는 痹(비)의 일종으로 간주하고 있긴 하지만 그 개념상에서는 現代醫學(현대의학)과는 달리 그 의의가 광범위하다. 즉 氣血(기혈)이 邪氣(사기,病)의 침습으로 폐쇄되어 유통되지 않는 상태를 痹((비)라 지칭하고 있다. 조직학적으로는 筋痹(근비), 脈痹(맥비), 肌痹(기비), 皮痹(피비), 骨痹(골비)로 분류하고 있으며, 臟腑(장부) 經絡學的(경락학적(으로는 肝痺(간비), 心痹(심비), 脾痹((비비), 肺痹(폐비), 腎痹(신비)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證候學的으로 虫行感(사해감), 痛感(통감), 痛痒(통양), 痲痹(마비), 不仁(불인), 麻木(마목)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治療方法(치료방법)도 이들 분류에 따라서 각기 그 방법을 달리하고 있다. 즉 組織學的(조직학적) 분류상에서는 皮痹(피비)는 병변의 부위가 피부상에 있다는 데서 淺刺(천자)를, 脈痹(맥비)는 脈(맥)까지, 肌痹(기비)는 肌肉(기육)까지, 筋痹(근비)는 腱(건)까지, 骨痹(골비)는 骨相(골상)까지 각각 刺針(자침)의 深度(심도)를 달리하고 있다.

證候學的(증후학적) 분류상에서도 그 治療方法(치료방법)을 달리하고 있다. 즉 痛痺(통비)는 寒邪(한사)에 의한 것이라 하여 針療法(침료법)보다는 灸療法(수료법)을, 불인은 만성적 知覺麻痹(지각마비)라 하여 平刺(평자)를, 麻木(마목)은 半身不遂(반신불수)와 같은 마비라 하여 深刺(심자)의 補法(보법)과 灸療法(구료법)을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상과 같이 痺의 證候와 상태에 따라서 治療方法이다양하기는 하지만 폐쇄된 氣血(기혈)의 流通(소통)을 恢復(회복)시키는 목적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痲痺性疾患(마비성질환)을 부위적으로 대별하여 1) 顔面神經痲痹(면신경마비), 2) 上肢神經痲痹(상지신경마비), 3) 下肢 神經痲痹(하지신경마비) 등 세 가지로 분류한다. 이하 각 항목을 참조하시오!


소아마비 (小兒痲痺) : 小兒痲痺后遺證(소아마비후유증)

1. 參照文(참조문)

1) 위증 (痿證) ⇔ 벽족(躄足)

2) 마비증 (麻痹症) : 사지마비 (四肢麻痹)

3) 탄탄 (癱瘓)

4) 수, 족하수증 (手足下垂症)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腎兪(신수), 白環兪(백환수), 上髎(상료,絡-少陽經), 중료(中髎), 하

료(下髎).

督脈 : 命門(명문).

項背腰部奇穴 : 十七椎(십칠추).

上肢部奇穴 : 鷹上(응상).

下肢部奇穴 : 邁步(매보), 腦淸(뇌청), 跟緊(근긴), 跟平(근평).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承扶(승부), 腎兪(신수), 風市(풍시), 足三里, 三陰交.

下肢部奇穴 : 邁步(매보), 還跳(환도), 殷門(은문), 健膝(건슬), 足三里.

2) 馬蹄足(마제족)

下肢部奇穴 ① 跟緊(근긴), 委陽(위양), 陵后(능후), 跟平(근평).

② 跟平(근평), 還跳(환도), 健膝(건슬), 陵后(능후), 跟緊(근긴).

3) 이침(耳針)

⑴ 창자마비 : 大腸(대장).

⑵ 전신마비(全身麻痹) : 上耳根(상이근), 下耳根(하이근).



다발성신경염 (多發性神經炎)

☞ 위증 (痿證) 참조(부록)

多發性神經炎(다발성신경염)을 末梢神經炎(말초신경염)이라고도 부르는데 일종의 對称性

(대칭성)인 四肢末端(사지말단)의 감각장애와 더불어 弛緩性癱瘓(이완성탄탄) 및 영양기능

장애 증상의 질병이다.

初起(초기)에는 着痹(착비)와 유사하고, 末期(말기)에는 痿證(위증)과 近似(근사)하다. 본병

의 원인은 습열병독(濕熱病毒)의 사기에 감수되면 사지(四肢)에 침습되어 기혈이 뒤엉켜서

저리기도(痹阻) 하고 혹은 맵거나 뜨겁거나 기름진 음식을 오랜 세월 즐기다 보면 精血(정

혈)이 뜨거워져 소모되고 사지(四肢)의 근맥에 영양을 주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四肢疼痛

(사지동통), 痲木(마목) 심지어 근육위축과 운동의 공능장애가 발생된다.

피로하거나 물속에서 오래 지체하거나 냉한 것은 본병을 유인하는 契機(계기)가 된다. 본병

의 임상표현은 초기에는 사지활동이 무력하며, 수일간에 최고봉에 도달하는 동시에 筋肉

萎縮(근육위축)이 생기고 더불어 發熱(발열), 頭痛(두통), 목이 뻣뻣한 감과 동시에 사지가

痲痹(마비)되거나 혹은 하지가 상지로부터 마비되는데 대칭성으로 기력이 감퇴되거나 완

전한 마비가 온다. 보통 사지말단이 重(중)한데 또 近端(근단)이 遠端(원단)보다 더 엄중한

환자도 있다. 이 같은 癱瘓(탄탄)이 발생되기 전 먼저 수족이 저리거나 아프며 개미가 기어

다니는 감각이 있는데 마치 장갑이나 양말을 신은 형태이다. 병세는 2~3 주일 후에는 온정

되고 1~2개월이면 점차적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소수의 환자는 相異(상이)한 후유증이 있

는데 그 전신증상과 치칙 및 처방은 아래와 갘다.

증상 : 筋肉萎弱(근육위약), 痲木(마목), 无力(무력), 舌淡苔少(설담태소), 脈細弱(맥세약) 등

증상이 나타난다.

치칙 : 淸化濕熱(청화습열), 疏痛經絡(소통경락), 氣血調化(기혈조화)를 위주로 한다.

처방 : 肩髃(견우), 曲池(곡지), 外關(외관), 合谷(합곡), 八邪(팔사), 陽池(양지), 養老(양로), 后

谿(후계), 소해, 環跳(환도), 陽陵泉(양능천), 懸鍾(현종), 三陰交(삼음교), 太白(태백),

漏谷(루곡), 足三里(족삼리), 解谿(해계), 八風(팔풍) 등 혈을 취한다.

방법 : 매번 3~5혈로 번갈아 사용하며 초기에는 침으로 사법을 사용하여 습열을 청설하며,

기혈을 疏導(소도)하고, 후기에는 針(침)과 뜸(灸)을 함께 사용하여 補氣和血(보기화

혈)하며 舒筋活絡(서근활락)한다.

1. 參照文(참조문)

1) 위증 (痿證)

2) 마비 (痲痹)


진전마비 (震顫麻痺) - Pakkins syndron

震顫麻痹(진전마비, Parkinson`s disease) 1917년 영국의 Parkinson 교수가 보고

한 병변으로 일명 震顫麻痹라고도 지칭한다. 發病原因은 아직도 불명이지만 외상이

나 정신 감동이 유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발병은 40~50세의 初老期 이후에 많고 여

자보다 남자에게 많다. 젊은 사람에게 오는 경우는 腦炎을 알고 난후에 볼수 잇는

Parkinson 증후군의 경우다. 證狀 : 서서히 발병하며 초발증상은 震顫(진전,tremor)

으로 한쪽 手指(수지) 또는 足趾(족지)에서 시작하여 한쪽 전체에 또는 다른 쪽에 파

급하며 동시에 筋緊張(근긴장)이 亢進(항진)하고 運動(운동) 减退症(감퇴증)을 수반

한다. 筋(근)이 緊張(긴장)하고 硬直(경직)하면 운동의 balance를 유지할 수 없기 때

문에 자기 의사에 따라서 행동할 수가 없게 된다. 그리고 일단 취했던 A의 자세에서

B의 자세로 변경하기가 쉽지가 않으며 돌진자세가 일어난다. 얼굴은 硬直(경직)하여

표정을 잃고 가면안모가 되며 언어도 몹시 느리게 되고 또한 분비 이상이 일어나서

침(saliva)과 눈물(tear)을 많이 흘린다. 그러나 知能(지능, intelligence)은 損傷(손상)

되지 않지만 나이를 먹음에 따라서 둔해진다. 본병은 진행성으로 경과는 5~15년 혹

은 그 이상 간다. 治療 : 針灸治療(침구치료)가 비록 根治(근치)는 할 수 없다 하여도

최소한 병변의 진행을 정지시키거나 완화 시킬 수가 있다.

서의학상에서도 對症療法(대증요법)에 머물고 있다.

主治經(주치경)과 主治穴(주치혈)의 선택은 역시 四診法(사진법)에 의거하여 결정하

고 기타 기법은 증에 상응한 시술을 한다. - 現代針灸學 -


錐體外系多巴(추체외계다파)안↓→ 蒼白球和黑質變性所致(창백구화흑질변성소치)

當腦動脈硬化(당뇌동맥경화), 外傷(외상), 腦炎(뇌염), 腫瘤(종류) 等也可出現(등야가

출현)

症狀 : 震顫證(진전증) - 頭, 手, 足, 舌(두,수,족,설) 등등

原則 : 熄風震顫(식풍진전), 平補肝腎(평보간신).

取穴 : 百會(백회), 風府(풍부), 風池(풍지), 合谷(합곡), 太冲(태충), 太谿(태계), 三陰交

(삼음교), 足三里(족삼리), 印堂(인당).

治法 : 瀉法(사법) → 百會(백회), 風府(풍부), 風池(풍지), 合谷(합곡) 太冲穴(태충혈).

補法(보법) → 太谿(태계), 三陰交(삼음교), 足三里(족삼리).

方義 : ① 百會(백회), 風府(풍부), 風池(풍지).- 平肝以熄風鎭靜(평간이식풍진정).

② 合谷(합곡), 太冲(태충).- 鎭逆開竅(진역개규)

③ 太谿(태계), 三陰交(삼음교), 足三里(족삼리).- 平補肝腎(평보간신) 以制肝風

(이제감풍),

④ 印堂(인당).- 鎭靜(진정) 震顫(진전) -中醫-

1. 參照文

1) 수전증(手顫症)


수전증 (手顫症)

1. 참조문(參照文)

1) 진전마비(震顫麻痹)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 后溪(후계).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心疼手顫 (심동수전) -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合), 陰市(음시).- 席弘賦(석홍부)

2) 心痛(심통)과 手顫症(수전증) : 少海穴(소해혈).- 靈光賦

3) 손발이 떨려서 물건을 쥘 수가 없고, 걸을 수 없을 때

處方 : 先刺 - 后溪穴(후계혈),

后刺 - 陽溪(양계), 曲池(곡지), 腕骨(완골), 太冲(태충), 絶骨(절골), 公孫(공

손), 陽陵泉穴(양능천혈)을 治療한다.-西江月

4) 양손이 흔들리며 물건을 쥘 수 없을 때

處方 : 先刺 -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 曲澤(곡택), 腕骨(완골), 合谷(합곡), 中渚穴(중저혈)을 治療.- 西江月

21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