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구52 담음병 (痰飮病)

Aktualisiert: 9. Apr. 2022



담음병 (痰飮病)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化痰濕(화담습) : 豊隆(풍륭).

2. 針灸大成

1) 玉龍歌 - 가래가 많을 때 : 瀉 풍륭혈(豊隆穴)

2) 雜病穴法歌 -

한담(寒痰) : 補 합곡혈(合谷穴), 瀉 삼음교혈(三陰交穴)

담화(痰火) : 내관혈(內關穴)

3) 行針指要歌 - 各種 痰病 : 중완혈(中脘穴), 삼리혈(三里穴) 針刺

4) 西江月

⑴ 支飮 : 가래가 황격막을 막아 답답하고, 가슴속이 은은히 아플 때

處方 : 先針 - 공손혈(公孫穴),

后針 - 노궁(勞宮), 전중(膻中), 간사혈(間使穴)을 針刺.

⑵ 痰飮 : 實症 - 胃腸에 가래가 머물고, 맑은 물을 吐할 때

處方 : 先針 - 공손혈(公孫穴),

后針 - 거궐(巨闕), 중완(中脘), 려태혈(厲兌穴)을 針刺.

⑶ 溢飮

㉠ 左側 귓밥에 腫核이 있을 때는(惠袋癧)이라 한다.

處方 : 先刺 - 외관혈(外關穴),

后刺 - 예풍(翳風), 후계(后谿), 주첨(肘尖)에 針刺.

㉡ 右側 귓밥에 腫核이 있을 때는(蜂窩癧)이라 한다.

處方 : 先刺 - 외관혈(外關穴),

后刺 - 예풍(翳風), 협거(頰車), 후계(后谿), 합곡(合谷).

3. 五行針(오행침) 治療(치료)

1) 현음(懸飮) : 심복기체(心腹氣滯) 양늑골통(兩肋骨痛) - 십조탕(十棗湯)증

단전(丹田) 迎, 소부(少府), 태백(太白) 補, 소해(少海), 음곡(陰谷) 瀉.

2) 유음(留飮) : 기단심(氣短甚), 갈증(渴症), 사지관절통(四肢關節痛), 맥침세(脈沉細).

양곡(陽谷) 삼리(三里) 補, 림읍(臨泣) 함곡(陷谷) 瀉

3) 지음(支飮) : 풍, 한, 습(風,寒,濕)이 담연(痰涎)과 숙식(宿食)을 끼고 일어난 병(病)으로

서 수족마목(手足麻木) 혹 비통(臂痛), 다면현운(多眠眩暈), 소변불통(小

便不通), 변비심(便秘甚) 슬냉마목(膝冷麻木), 맥삭(脈數) - 소청용탕증

(小靑龍湯證).

간허(肝虛) : 음곡(陰谷) 곡천(曲泉) - 보(補),

중봉(中封) 경거(經渠) - 사(瀉).

4) 담음(痰飮) : 건실(健實)했던 체격(体格)이 급작이 소수(消瘦)하고, 장간진수음(腸間

振水音, 腸鳴) 이나고, 흉민(胸悶), 시물이 모호(視物模糊)하다.

- 영계출감탕증(苓桂朮甘湯證)

폐탁(肺濁) : 소부(少府) 어제(魚際) - 보(補),

척택(尺澤) 음곡(陰谷) - 사(瀉).

5) 열담(熱痰) : 화담(火痰) - 번열(煩熱), 조결(燥結), 두면홍열(頭面烘熱), 눈이 짓무르

고, 목이 막히며 전광(癲狂), 조잡(嘈雜) 번뇌(煩惱),

정충증 (怔忡症) - 조중탕증(調中湯證)

심승(心勝) : 대돈(大敦) 은백(隱白) - 보(補),

신문(神門) 태백(太白) - 사(瀉).

6) 주담(酒痰) : 음주(飮酒), 소화불량(消化不良, 酒滯症), 음식소화불량(飮食消化不良),

산수구토(酸水嘔吐, 胃酸過多) 等症 - 서죽당화담환증(瑞竹堂化痰丸證)

태백(太白) 태연(太淵) - 보(補),

대돈(大敦) 은백(隱白) - 사(瀉).

7) 습담(濕痰) : 신중(身重) 불능유지(不能維持, 起立不能 - 四肢無力), 권태(倦怠) - 산정

환증(山精丸證) 척택(尺澤), 음능천(陰陵泉). - 보(補),

태백(太白), 태연(太淵). - 사(瀉).

8) 적담(積痰) : 장과 위 사이에(腸胃間) 담과 연이 축적(痰涎蓄積)된 증상(症狀)

단전(丹田) 영(迎), 중완(中脘), 삼리(三里) 태백(太白) - 보(補),

대돈(大敦), 은백(隱白).- 사(瀉).

9) 풍담(風痰) : 현훈(眩暈), 민란(憫亂), 혹 사지무력(四肢无力) 마비(痲痹), 담희포말(痰

稀泡沫), 맥유력(脈有力) - 도담탕증(導痰湯證).

삼리(三里), 곡지(曲池). - 보(補),

어제(魚際), 함곡(陷谷). - 사(瀉).

10) 담화(痰火) : 과로(過勞), 사려과도(思慮過度), 정신상(精神傷), 방실과도(房室過度), 정

력손상(精力損傷), 정수고갈(精水枯渴), 음식불절(飮食不節), 담화양성

(痰火陽盛) 담화교결(痰火交結), 급조발작(急躁發作) 기관지천식(氣管支

喘息) - 옥죽음자증(玉竹飮子證)

폐경(肺經) - 선보(先補) - 정격(正格),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보).

少府(소부) 魚際(어제) 邪(사).

후사(后瀉) - 승격(勝格)을 사용 보사(補瀉)를 병용

少府(소부) 魚際(어제) 補(보).

尺澤(척택) 陰谷(음곡) 瀉(사).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大凡(대범) 稠濁(조탁)한 것을 痰(담), 淸稀(청희)한 것을 飮(음)이라 하나 보통은

盖稱痰飮(개칭담음)이라 한다. 그의 본질은 津液(진액)에서 化生(화생)한 것이나

흔히는 風, 寒, 濕, 熱之盛(풍,한,습,열지성)과 七情(칠정), 飮食之鬱(음식지울)로 인하여

氣逆液濁(기역액탁)을 誘致(유치)하여 가지고 多量(다량)의 稀(희), 粘(점)한 汗(한)을 變

成(변성)하여 혹은 吐咯上出(토각상출), 혹은 凝滯胸膈(응체흉격), 혹은 留瘀腹胃(류어복

위), 혹은 經絡(경락), 四肢(사지)에 客(객, 邪氣來襲(사기래습)이 客(객)과 같다는 말이니

內經(내경)에 「固有之元氣如主(고유지원기여주) 外來之邪氣如客(외래지사기여객)」云云

(운운)에서 取義(취의)한 것이다.) 이 氣(기)를 따라 升降(승강)하여 遍身上下(편신상하)에

無處不到(무처불도)가 된다. 前腎(전신)의 이른바 「痰爲 亂世之盜賊(담위 난세지도적)」

이라 운운한 것은 실로 이것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그런데 그의 見證(견증)을 略擧(약거)

한다면 喘咳(천해), 嘔吐(구토), 痞隔(비격), 眩暈(현운), --搦(축닉), 無端見鬼(무단견귀) 등

등 痰(담)의 所患(소환)이 아닌 것이 없으나 舍岩(사암) 治痰(치담)의 법식은 痰氣憤鬱(담

기분울, 痰飮(담음))을 肺濁(폐탁)이라 火熱結積(화열결적, 留飮(류음))을 胃淸(위청)이라,

頭目眩暈(두목현운, 懸飮(현음))을 心火(심화)라하는 등등 敍上(서상)의 九大法則(구대법

칙)으로 大分(대분)함에 끝 쳤다. 舍岩經驗例(사암경험예) 呑酸(탄산, 사슴에 酸味(산미)

가 떠올라서 심장을 자극하는 증이니 서의의 위산과다증), 嘔噦(구홰(구얼) 구역질), 嘈囃

(조잡)은 各各所治(각각소치)가 있으나 만일 한 사람이 이 3가지 증을 모두 겸했으면 반

듯이 肺濁(폐탁)이 틀림없는 것이니 少府(소부) 魚際(어제)를 補(보)하고, 尺澤(척택), 陷

谷(함곡)을 瀉(사)하라 屢屢試驗(루루시험)하였다. 여자가 더 많더라.

1) 한 男子(남자)가 年五十(연오십)에 右脇下(우협하)에 肺積(폐적)과 같은 게 있었는데

그 사람이 嗜酒无度(기주무도)하였으므로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보),

大敦(대돈), 隱白(은백),- 瀉(사)함으로써 見効(견효)하였다.

2) 한 男子(남자)가 年四十(연사십)에 冷水(냉수)에 滯(체)하여 오래 낫지 않는지라 肝正

格(간정격)을 썼더니 有効(유효)하더라.

陰谷(음곡), 曲泉(곡천).- 補(보),

中封(중봉), 經渠(경거).- 瀉(사). 담종 (痰腫)


담종 (痰腫) : 여러 곳에 痰腫이 생기는데 가렵지도 않고 아프지도 않은 증 “諸處痰腫 不癢

不痛”

處方 : 오래되면 곪는데 침으로 터드려서 고름을 뺀다. 만약 고름 빛깔이 핏

빛과 같거나 푸른빛이 있으면 좋은 증후이며, 단지 흰빛만 있고 걸쭉

하지 않아 마치 썩은 풀같은 것은 나쁜 증후이다.


담화우심(痰火扰心)

1. 中醫針灸學(중의침구학)

病因病機 :

정신자극(精神刺戟)으로 인하여 → 氣가 막혀서 火로 변하며(氣鬱化火) → 습이 조체(阻滯)되

어 담을 산생하며(濕阻痰生) → 담화가 심신을 교란(痰火攪亂心神)한다.

主要證候 : 심계실면(心悸失眠), 번조불안(煩躁不安), 심칙발광(甚則發狂) 혹 신혼섬어(神昏

譫語), 무단희소(无斷喜笑), 혹 면홍(面紅), 구갈(口渴), 혹 토혈(吐血), 뉵혈(衄血),

뇨홍열통(尿紅熱痛), 설태박황(舌苔薄黃), 맥활삭(脈滑數).

現代醫學 : 히스태리와 유사한 정신분렬증(精神分裂症), 전간(癲癇)

治則 : 청심강화(淸心降火), 척담개규(滌痰開竅).

處方 : 1) 거궐(巨闕), 심유(心兪), 대능(大陵), 간사(間使), 사신총(四神聰), 풍륭(豊隆).

침법(針法) : 강자사법(强刺瀉法)

2) 십이정혈(十二井穴), 신문(神門), 음극(陰郄), 격수(膈兪), 대추(大椎), 족삼리(足

三里), 합곡(合谷).

針法 : 사법(瀉法), 12정혈(十二井穴) 사혈(瀉血), 금구(禁灸).

2. 辨證取穴(변증취혈)

1) 간질(癎疾) 정신분렬증(精神分裂症) : 후계혈(后溪穴) - 痛玄指要賦

2) 담음폐색인후(痰飮閉塞咽喉) : 조해혈(照海穴) 침(針) 혹 사혈(瀉血)-蘭江賦

55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1 부록 오행침법

附錄(부록) 行針法(오행침법) 오행침(五行針)은 사암선생(舍岩先生)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황제내경 (黃帝內經)과 난경(難經)에서 완성하지 못한 오행침술(五行針術)을 완성하고 그 비방(秘方)을 사암도인침구요결(舍岩道人針灸要訣)에 담아...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