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51 담석증 (膽石症)

Aktualisiert: 9. Apr. 2022



담결석 (膽結石)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 日月(일월), 京門(경문), 淵腋(연액), 陽陵泉(양능천), 丘墟(구허).

담석증 (膽石症 Cholelitiasis) : 膽固醇結石 膽色素結石 濕合成結石

1. 中醫

간과 담(쓸개)에 기가 막히고(肝膽氣鬱), 간은 조달기능을 상실하고(肝失條達) 쓸개는

소설기능을 상실한(膽失疏泄) 실태에서 여러 날 화열로(日久火熱) 달이고 졸여 담석을

결성(煎熬成砂)한다.

急性 : 꼬는 듯이 아프며 열이 극심하고(極熱絞痛) 따라서 황달이 일어 날 수 있고(可伴

黃疸) 발열한다(發熱).

전구기(前驅期) : 먼저 검돌아래가 은은히 아프거나(先劒突下隱痛) 혹은 오른쪽

늑골 부위가 은은히 아프며(或右季肋部隱痛) 메스껍고, 구토를

한다(惡心嘔吐).

발작기(發作期) : 담교통(膽交痛), 황달(黃疸), 발열(發熱)-삼대증(三大證)

간헐기(間歇期) : 불규칙하게 상복부가 아프고(不規則上腹痛) 위장공능이 문란

(胃腸功能紊亂)하고, 소화불량 식욕감퇴등 위의 수납기능이 정

체되며(納差), 메스껍고 구토하며(惡心嘔吐), 복사(腹瀉), 음식

을 먹은 후 더욱 심하다.

按診 : 담낭자리에 압통이 있고(膽囊占壓痛), 오른쪽 상복부 살이 긴장(右上腹肌緊張)

해 있다.

1) 기체형(氣滯型) : 우늑창통(右肋脹痛), 구고(口苦), 오심(惡心), 납차(納差), 무열(无

熱), 황달(黃疸).

처방 : 내관(內關), 공손혈(公孫穴).

2) 습열형(濕熱型) : 우계늑지속창통(右季肋持續脹痛), 구고(口苦), 오심(惡心), 한 전후

발열(寒戰后發熱), 황달(黃疸).

처방 : 대추(大椎), 곡지(曲池), 외관혈(外關穴).

3) 화독형(火毒型) : 우상복극통(右上腹極痛), 혹 교통(絞痛), 구고(口苦), 인건(咽乾), 한

열왕래(寒熱往來), 황달(黃疸), 심칙혼미(甚則昏迷).

처방 : 대추(大椎), 십선(十宣穴), 수구(水溝), 관원혈(關元穴)

原則 : 소간이담(疏肝利膽 - 간실조달(肝失條達), 담실소설(膽失疏泄))

主穴 : 간수(肝兪), 담수(膽兪), 일월(日月(右)), 기문(期門(左)) 담낭혈(膽囊穴).

方義 - ① 간수(肝兪), 담수(膽兪)은 간담(肝膽)의 배수혈(背兪穴)이고,

② 기문(期門), 일월(日月)은 간담(肝膽)의 모혈(募穴)이며,

③ 담낭혈(膽囊穴)은 간담의 기화기능을 소통시키는(疏理肝膽氣機) 경험혈이다.

④ 내관(內關)은 음유맥(陰維脈)과 통(通)하고,

⑤ 공손(公孫)은 충맥(冲脈)과 통(通)하며 2혈(二穴)은 위, 심, 흉(胃,心,胸)에 작용

하여 관중화위(寬中和胃)하고 리기지통(理氣止痛)한다.

⑥ 대추(大椎)는 삼양경(三陽經)과 독맥(督脈)의 교회혈(交會穴)이고,

⑦ 곡지(曲池)는 수양명(手陽明)의 합혈(合穴)이며,

⑧ 외관(外關)은 수소양경(手少陽經)의 락혈(絡穴)이다.

⑨ 청설과 해독(淸泄解毒)은 십선혈(十宣穴)에서 사혈(瀉血)하면 청열해독을 증

강(增强淸熱解毒)할 수 있다,

⑩ 수구(水溝)는 성뇌개규(醒腦開竅)하고,

⑪ 관원(關元, 丹田)은 고익신기(固益腎氣)한다.


☞ 中西醫結合 -

배결석(排結石) : 통증(痛證)이 가신 후에 결석(結石)을 소산(消散) 시키는 료법(療法)

취혈(取穴) : 일월(日月,右) 기문(期門,右), 거궐(巨闕), 담수(膽兪,右)

전침(電針) : 소밀파(疏密波) 60분간 매일 1-2번

침후복(針后服) : 33% 유산미 40 ml ※ 결석직경(結石直徑) ≤ 1 Cm

이혈(耳穴) : 교감(交感), 신문(神門), 담(膽).

배혈(配穴) : 간(肝), 십이지장(十二指腸).

치법(治法) : 選 2-3穴 30分鍾 重刺激

이압법(耳壓法) : 매일(每天) 3-4 次, 안압(按壓), 양쪽 귀를 교대로 1-3일 2.


2. 담낭(膽囊) 또는 담도(膽道)에 결석(結石)이 생김으로써 여러 가지 장해(障害)를 일으키

지 않으면 담석증(膽石症, Cholelithiasis)이라 하지 않는다. 연령적으로는 40세 이후

에 많고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많다. 본병은 음식물의 섭취(攝取)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대식가, 미식가 특히 방성 음식을 많이 攝取하는 구미인에게 많이 발병한

다. 膽石의 크기는 사립대에서 鷄卵大까지있으며 형태적으로도 膽石 膽砂 담역 담이

등 네 가지로 구별되고 있으며 그 수도 1개에서부터 수백 개에 이르고있다. 그 색깔도

백색(白色), 회색(灰色), 황색(黃色), 갈색(褐色), 녹색(綠色), 흑색(黑色) 등 여러 가지가

있다. 膽石의 주성분은 콜레스테린과 비루빈석회로 서구인에게는 콜레스테린이 많고,

동양인에게는 비루빈석회가 많은데 이것은 음식물의 섭취상에 서 오는 차이라고 생각

되고 있다. 膽石症 환자에는 담즙울체(膽汁鬱滯,) 담도염증(膽道炎症), 신진대사(新陳

代謝)의 이상(異常, 담즙성분의 변화)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이밖에도 운동부족

(運動不足), 임신(姙娠)에 의한 담도압박(膽道壓迫), 내장하수(內臟下垂)에 의한 담즙의

배설장애(排泄障碍), 담낭관(膽囊管)이나 담낭괄략근(膽囊括約筋)의 경련(痙攣) 등이

유인이 된다. 또한 세균(細菌)에 의한 담도염(膽道炎)이나 담낭염(膽囊炎)도 원인이 된

다.

본증(本證)의 증후(證候)는 동통(疼痛), 발열(發熱), 황달(黃疸) 등 세 가지다.

1) 疼痛 : 격렬한 발작적 동통으로 견디기가 매우 어려우며 동통부위는 右側肋部와 心

窩部에서 시작하여 背部, 右側肩部, 右側上肢에 방산한다. 때로는 心窩部와

全腹部에 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왕왕 胃痙攣으로 誤診될 경우가 있다.

胃痙攣과 다른점은 胃痙攣은 疼痛部位를 壓迫하면 다소 緩和 기미가 있지만

膽石症은 그렇지 않다.

2) 發熱 : 대부분 37~40℃에 이르는 發熱 惡寒을 수반하지만 때로는 전연 熱이 없는

경우도 있으며 熱이 있다 하여도 發作이 끝나면 熱이 내려가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그러나 膽道炎이나 膽囊炎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發熱이 지속한다.

3) 黃疸 : 黃疸의 발생은 극히 가볍고 일시적이며 膽石症의 약 50%는 黃疸을 일으키지

않는다. 黃疸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膽囊結石보다도 膽道結石의 경우가 많다.


胃腸障害로서는 nausea and vomitting으로 그 원인은 反射性 胃痙攣 또는 腹膜의 刺

戟에 의한다. 때로는 便秘도 있는데 그것은 反射性 腸痙攣 때문이다.

治療 : 本病에 대한 針灸治療는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많은 침구학자에의하여 입

증되고 있다. 主治經을 위시한 取穴 및 技法은 肝經病症의 것과 對等小異하다.

肝臟을 刺戟하는 일체의음식물을 삼가고, 良質의 蛋白質 특히 植物性의 蛋白質

과 비타민 B1, B2 등을 많이 섭취하도록 한다. 針灸療法이 적응하는 시기는 간

경의 初起 국한하며 重症으로 腹水가 나타나는 시기에는 治療를 忌避하는 것이

최상책이다. - 現代針灸學 -

3. 이침(耳針)

1) 자율신경문란 (自律神經紊亂 : 交感․副交感 神經紊亂)으로 인한 각종병증, 내장에

비교적 강한 통증과 경련이 있는 예를 들면 궤양병(潰瘍病), 위경련(胃痙攣), 담결석

(膽結石), 담도회충(膽道蛔虫), 수뇨관결석(輸尿管結石)으로 인한 교통(絞痛) 등을

치료하고 또 침구마취(針灸痲醉)의 상용혈(常用穴)이며 순환계통의 병증인 무맥증

(无脈證), 관심병(冠心病), 심율실상(心律失常)등에도 효과있는 교감혈(交感穴).

2) 胰膽.

2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