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선염(扁桃腺炎) - 폐결석(肺結石) - 폐농양(肺膿瘍) - 폐로(肺癆) - 폐신(肺腎) - 폐심(肺心) - 폐염(肺炎) - 폐옹(肺癰) -
편도선염(扁桃腺炎)
1. 應用葯(응용약) : 桔梗(길경), 魚腥草(어성초), 위령선(威靈仙), 穿心蓮(천심연),
2. 其他葯(기타약) : 狼把草(랑파초, 가막사리),
- 祛風通絡(거풍통락), 凉血消腫(양혈소종) : 絡石藤(락석등)
① 부처손(佛手) 30-60g 水煎服(수전복), 或丸劑(혹환제) 服用(복용)
3. 相須配合(상수배합)과 治症(치증)
1) 馬勃(마발)4.5 + 靑黛(청대)10 = 扁桃腺炎(편도선염) - 熱邪火毒(열사화독) 聚于上
焦(취우상초)
4.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急性(급성)
⑴ 扁桃體炎(편도체염)
應用葯(응용약) : 苦木(고목, 소태나무)
⑵ 化膿性扁桃体炎(화농성편도체염)
應用葯(응용약) - 淸熱解毒(청열해독) : 金蓮花(금연화),
폐결석(肺結石)
1) 矽肺(석폐)
① 姜半夏(강반하) 口服(구복),
② 肌肉注射(기육주사) 혹은 噴霧給葯(분무급약), 每日 23g. 症狀改善(증상개선).
폐결핵(肺結核) ⇒ 결핵(結核)
폐경(閉經) ⇒ 경폐(經閉)
폐농양(肺膿瘍)
1. 參照文(참조문).
1) 폐염(肺炎) 2) 폐옹(肺癰)
2. 應用葯(응용약) : 桔梗(길경), 魚腥草(어성초), 甛瓜子(첨과자),
3.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花蕊石(화예석)10 + 鐘乳石(종유석)15 = 肺膿瘍(폐농양) 引起的(인기적) 咯血(각혈)
4.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淸熱(청열) 應用葯(응용약).
① 淸熱化痰(청열화담) 消癰排膿(소옹배농) : 冬瓜子(동과자),
② 淸熱解毒(청열해독), 活血祛瘀(활혈거어) : 半枝蓮(반지련),
⑴ 祛痰止咳(청열거담지해)
① 白毛夏枯草(백모하고초) 單種(단종) 或加 蒲公英(포공영), 金銀花(금은화)
② 白毛夏枯草(백모하고초) 加 淸熱祛痰(청열거담) 止咳葯物(지해약물)
폐로(肺癆)
五勞(오로)의 하나이다. 肺氣(폐기)가 損傷(손상)되어 발생하는 병으로 주요증상은 기침이
나고 가슴이 그득하며 잔등이 아프고 추위를 타며 얼굴이 여위고 和愛(화애)한 빛이 없으
며 皮毛(피모)가 마르는 등 증상을 보이는 즉 肺癆(폐로)이다.
1. 應用葯(응용약)
1) 肺勞吐血(폐로토혈) : 분꽃(紛豆花(분두화),
2.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白前(백전)10 + 百部(백부)10 = 肺癆(폐로)(類似肺結核), 咳嗽(해수) 等症(등증)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肺腎兩虛(폐신양허)
⑴ 喘咳痰血(천해담혈)
① 冬虫夏草(동충하초) 單獨(단독), 或配 沙參(사삼), 阿膠(아교), 川貝(천패) 등 - 肺
勞痰血(폐로담혈)
⑵ 陰虛者(음허자)
① 百部(백부) 配 沙參(사삼), 麥冬(맥동), 生地(생지), 白芍(백작)
4. 辨證施治(변증시치)
1) 기음양허증(氣陰兩虛證)
臨床 : 폐로병(肺癆病) 중에 기음양허증(氣陰兩虛證)을 표현하는 자는 대부분 선천적인
원기가 허약하거나(禀賦虛弱), 거처를 주의하여 가리지 않았음으로(起居不愼),
쉬 피로하고 노동에 게으르며 사려가 깊지 못하고 걱정과 근심을 하게 되고(勞
倦思慮), 원기가 흩어져 소모되어(耗散元氣), 정기가 부족한(正氣不足) 허한 틈
을 타서 폐결핵균이 침입하여(瘵虫乘虛而入), 폐음을 손상시키는(損傷肺陰), 비,
위, 폐(脾,胃,肺)의 기음양허(氣陰兩虛)를 나타내는 것이다.
症見 : 기침을 하면서 피를 뱉고(咳嗽咯血), 오후에 몸에 열이 나는데 마치 조숫물이 밀
려들듯이 열이 오르고(午后潮熱), 얼굴이 복숭아 빛처럼 발갛게 뜨고(臉泛桃紅),
정신적으로 피로하고 숨이 차며(氣短神疲), 말소리가 낮고 약하며(語聲低微), 잠
이 들면 땀을 흘리고 또 운동을 하지 않는대도 땀이 절로 나며(自汗盜汗), 식사량
이 감소되고(納食减少), 혀는 붉고 태는 적으며(舌紅苔少),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지만 무력하다(脈細无力).
治宜 : 익기양음(益氣養陰), 배토생금(培土生金).
方用 : 월화환(月華丸)《의학심오(醫學心悟)》보익제(補益劑) 加减
≒ 천동(天冬), 맥동(麥冬), 생지(生地), 숙지(熟地), 산약(山葯), 백부(百部),
사삼(沙蔘), 천패모(川貝母), 복령(茯苓), 아교(阿膠), 삼칠(三七), 국화(菊
花), 상엽(桑葉), 달간(獺肝).
註 폐로(肺癆) : 세균성폐결핵(細菌性肺結核)
폐로(肺勞) : 오로(五勞, (心勞, 肝勞, 脾勞, 肺勞, 腎勞))중에 하나로서 폐기가 손
상을 받아 생긴병이다.
주요증상은 기침을 하고, 가슴이 그득하며, 잔등이 아프고 추위를
타며 얼굴이 여위고 얼굴빛이 밝지 못하며 피모(皮毛)가 마르는 등
의 표현을 한다.
2) 폐음허증(肺陰虛證)
臨床 : 폐로병(肺癆病) 중에 보게 되는 폐음허증(肺陰虛證)의 임상표현은 대부분 가래
가 적고 마른기침을 하며(乾咳少痰), 혹은 가래에 피가 실같이 섞여 나오고(痰中
帶血), 가슴이 아프며(胸痛), 몸에 열이 나는데 마치 조숫물이 밀려들 듯 치밀어
오르고 광대뼈 부위가 붉고(潮熱顴紅), 잠이 들면 땀을 흘리며(盜汗), 호상 쉽게
뒤섞이는(互相雜易) 등, 오랜 기침으로 손상을 받아 허약해짐을(久咳虛損) 위주
로 하는 특징이 있다.
이는 결핵균에 의해 폐가 좀이 쓸듯 먹히고(癆虫飮肺), 음진이 소모되고 손상을
받아(陰津耗傷), 폐기가 상역(肺氣上逆)하게 된 병이다.
治宜 : 양음청폐(養陰淸肺), 살충지해(殺虫止咳)
方用 :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의방집해(醫方集解)》
加 백부(百部), 십대공노엽(十大功勞葉) 등.
≒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맥문동(麥門冬), 백합(百合) 당귀(當
歸), 작약(炒芍葯), 패모(貝母), 감초(生甘草), 현삼(玄參), 길경(桔梗).
3) 폐기음양허증(肺氣陰兩虛證)
臨床 : 폐로병(肺癆病) 중에 보는 폐기음양허증(肺氣陰兩虛證)은 언제나 기침하며 피
를 토하고(咳嗽吐血), 땀을 절로 흘리고 잠이 들면 땀을 흘리며(自汗盜汗), 열이
나는데 마치 조숫물이 밀려들듯이 오르고 양쪽 볼이 붉어지며(潮熱顴紅), 얼굴
은 희고(面白), 숨이 차며 겁에 질린 목소리를 내고 (聲怯氣短), 정신이 피로하며
(神疲), 힘이 없고 게으른(倦怠乏力) 등 “허손(虛損)”의 특징을 보인다.
治宜 : 양음익기(養陰益氣)
方用 : 월화환(月華丸)《의학심오(醫學心悟)》보익제(補益劑) 가미(加味)
≒ 천동(天冬), 맥동(麥冬), 생지(生地), 숙지(熟地), 산약(山葯), 백부(百部),
사삼(沙蔘), 천패모 (川貝母), 복령(茯苓), 아교(阿膠), 삼칠(三七), 국화(菊
花), 상엽(桑葉), 달간(獺肝).
폐신(肺腎)
1. 常用葯(상용약)
1) 益肺腎(익폐신), 壯陽益精(장양익정), 平喘止嗽(평천지수) : ☆ 冬虫夏草(동충하초)
2. 相須配合(상수배합)
1) 補肺氣助腎陽(보폐기조신양), 定喘(정천) : ☆ 蛤蚧(합개) + 胡桃肉(호도육)- 都具有功效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補肺氣(보폐기), 益腎精(익신정) : 肺腎兩虛(폐신양허)한 氣喘(기천)
應用葯(응용약) - 補肺益腎(보폐익신) : 冬虫夏草(동충하초),
⑴ 補益肺腎(보익폐신), 納氣平喘(납기평천)
① 紫河車(자하차) 單用(단용)
或配 人參(인삼), 蛤蚧(합개), 胡桃肉(호도육), 地龍(지용)
2) 肺腎兩虛(폐신양허). - 久咳虛喘(구해허천), 勞嗽痰血(노수담혈).
- 補益肺腎(보익폐신), 平定喘咳(평정천해)
⑴ 肺勞痰血(폐로담혈) :
① 冬虫夏草(동충하초) 單獨(단독) 或(혹) 沙參(사삼), 阿膠(아교),川貝(천패)
⑵ 咳喘氣短(해천기단) :
① 冬虫夏草(동충하초) 常配 人參(인삼), 胡桃肉(호도육), 蛤蚧(합개)
폐심(肺心)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大棗(대조)10枚 + 黑錫丹(흑석단)15 = 肺心病患者(폐심병환자), 表現爲(표현위) 眞陽
衰微(진양쇠미), 或陰陽俱虛者(혹음양구허자)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補肺心(보폐심)
應用葯(응용약) : 죽대,
2) 肺心病(폐심병)
① 葶藶子(정력자) 單用(단용) 硏末服(연말복)
② 葶藶子(정력자) 或配 生脈散(생맥산), 參附湯(삼부탕)
폐염(肺炎)
1. 應用葯(응용약) : 魚腥草(어성초), 穿心蓮(천심연), 玄參(현삼),
2.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白茅根(백모근) + 蘆根(로근) = 肺熱咳嗽(폐열해수), 支氣管肺炎(지기관폐염), 大葉性肺
炎(대엽성폐염), 病毒性肺炎(병독성폐염)
2) 桑白皮(상백피)10 + 地骨皮(지골피)15 = 肺炎(폐염) 急性支氣管炎(급성지기관염), 肺氣
腫(폐기종) 合幷感染(합병감염) 등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淸肺(청폐)
⑴ 淸熱祛痰止咳(청열거담지해)
① 白毛夏枯草(백모하고초) 單種(단종) 或加 淸熱祛痰(청열거담) 止咳葯(지해약).
⑵ 淸熱解毒(청열해독) 應用葯(응용약) : 板藍根(판람근),
⑶ 小兒肺炎(소아폐염)
① 羚羊角(영양각) ≒ 羚羊角水解注射液(영양각수해주사액)
☞ 山羊角(산양각)으로 代用(대용) 10~15g 할 수 있다.
폐옹(肺癰)
肺部(폐부)에 발생하는 癰瘍(옹양), 膿血咳痰(농혈해담)의 병증으로서 肺膿瘍(폐농양), 肺
壞疽(폐괴저) 등 질병과 비슷하다. 대부분 風熱病(풍열병)에서 邪氣(사기)가 肺(폐)에 鬱滯
(울체)되어 맺힘으로서 발생하거나 혹은 술을 즐겨 마시거나, 볶은 음식과 튀김, 매운 음
식, 뜨겁고, 기름진 음식물을 많이 먹어 燥熱(조열)이 肺(폐)를 상하므로 초래된다. 병세
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3기로 나눈다.
1) 表證期(표증기) : 주요표현은 惡寒(오한), 發熱(발열), 汗出(한출), 咳嗽(해수), 胸痛(흉
통)이 나며 脈(맥)이 浮數(부삭)하다.
2) 釀膿期(양농기) : 주요표현은 咳嗽(해수), 肺氣上逆(폐기상역), 胸悶痛(흉민통), 때로는
오한으로(時有惡寒) 몸을 떨고(顫動), 맥이 滑數(활삭)하다.
3) 潰膿期(궤농기) : 주요표현은 비린내가 나는(腥臭), 膿血(농혈)을 뱉는 것이다, 또한 기
타 병에서 續發(속발)할 수 있다.
1. 應用葯(응용약) : 紫菀(자원),
① 化痰(화담) : 款冬花(관동화),
② 吐膿(토농) : 桔梗(길경),
2. 常用葯(상용약)
1) 淸熱解毒(청열해독) 排膿(배농) : ☆ 魚腥草(어성초)
2) 肺癰(폐옹) 咳唾膿痰(해타농담) 量多時(량다시) 葯物(약물) : ☆ 桔梗(길경)
3. 配伍葯(배오약)
1) 枇杷葉(비파엽)10 + 六一散(육일산)10= 肺癰諸症(폐옹제증)-輕者較佳(경자교가)
2) 冬瓜子(동과자)15 + 甛瓜子(첨과자)15 =(打煎服) 肺癰(폐옹) - 類似肺膿瘍
3) 冬瓜子(동과자)15 + 冬葵子(동규자)15 =(打煎服) 肺癰(폐옹) - 類似肺膿瘍
4) 杏仁(행인)10 + 薏苡仁(의이인)30 = 肺癰(폐옹) - 類似肺膿瘍(유사폐농양)
4.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肺癰(폐옹)
① 紫皮蒜肉(자피산육) 30g 을 끓는 물에 1-1.5分 넣었다 꺼내어 그 물에 粳米(갱미)
30g을 넣어 粥(죽)을 쑨 후 蒜(산)과 白及粉(백급분) 3g을 粥(죽)에 넣어 服用(복용)
하는데 이를 一回用(일회용)으로 하여 每日(매일) 朝夕(조석)으로 3 個月(개월) 服
用(복용)한다.
② 桃仁(도인) 加 紅花(홍화) 四物湯(사물탕) ≒ 桃紅四物湯(도홍사물탕)
2) 淸熱解毒(청열해독)
① 地耳草(지이초) 魚腥草(어성초), 薏苡仁(의이인), 蒲公英(포공영)
⑴ 咳吐膿血(해토농혈)
① 瓜蔞(과루) 配 魚腥草(어성초), 蘆根(로근)
② 款冬花(관동화) 配 桔梗(길경), 薏仁(의인) ≒ 款花湯(관화탕)
③ 魚腥草(어성초) 加 桔梗(길경), 蘆根(로근), 薏仁(의인)
④ 敗醬草(패장초) 加 魚腥草(어성초), 蘆根(로근), 桔梗(길경)
⑵ 淸熱化痰(청열화담)
① 貝母(패모) 常配 蒲公英(포공영), 魚腥草(어성초)
3) 咳吐膿痰(해토농담)
⑴ 排膿消癰(배농소옹)
① 桔梗(길경) 加 生姜(생강), 橘皮(귤피)
② 浙貝母(절패모) 配 魚腥草(어성초), 蘆根(로근)
③ 蒲公英(포공영) 加 魚腥草(어성초), 蘆根(로근), 冬瓜仁(동과인)
4) 肺癰咯痰(폐옹각담) 濃稠腥臭(농조성취)
⑴ 淸肺化痰(청폐화담)
① 金蕎麥(금교맥) 單用(단용) 或加 魚腥草(어성초), 金銀花(금은화), 葦莖(위경)
② 桔梗(길경) 配 甘草(감초). . . ≒ 桔梗湯(길경탕)
更配 魚腥草(어성초), 冬瓜仁(동과인) - 加强 淸熱排膿(청열배농)
⑵ 肺熱咳嗽(폐열해수) - 淸熱瀉火(청열사화)
① 蘆根(로근) 加 瓜蔞(과루), 貝母(패모), 黃芩(황금)
② 蘆根(로근) 加 薏苡仁(의이인), 冬瓜仁(동과인) ≒ 葦莖湯(위경탕)
⑶ 淸熱排膿(청열배농) - 咳吐膿痰(해토농담)
① 薏苡仁(의이인)
加 葦莖(위경), 冬瓜仁(동과인), 桃仁(도인),魚腥草(어성초) ≒ 葦莖湯(위경탕)
5) 恢復期(회복기)
⑴ 癰腫消散(옹종소산)
① 白及(백급) 加 金銀花(금은화), 桔梗(길경), 沙參(사삼), 甘草(감초)
5. 辨證施治(변증시치)
1) 담어호결증(痰瘀互結證)
臨床 : 폐옹 중에 출현하는 담어호결증(痰瘀互結證)의 그 특점은 기침을 하며 고름이
섞인 가래를 토하는데(咳吐膿痰), 고약한 비린내가 나는가 하면(氣味腥臭), 혹
피를 토하고(咯血), 가슴이 부르고 답답하며 바늘로 찌르는 듯이 아프다(胸部
脹悶刺痛)., 그 병기(病機)는 탁한 열담의 사기(邪熱痰濁)와 어혈이 폐를 막아
(瘀血壅肺), 안으로 악창을 이룬 것이다(內結成癰).
治宜 : 척담화어(滌痰化瘀), 청열개결(淸熱開結).
方用 : 천금위경탕(千金葦莖湯)《備急千金要方》옹양제(癰瘍劑)
≒ 위경(葦莖), 도인(桃仁), 이미(苡米), 과판(瓜瓣).
合 소함흉탕(小陷胸湯)《傷寒論》거담제(祛痰劑)
≒ 황련(黃連), 반하(半夏), 과루실(瓜蔞實).
2)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
臨床 : 폐옹병(肺癰病) 중에 출현하는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의 임상특징은 바람이
싫고(惡風), 열이 나며(發熱), 기침하며 가래는 적고 끈끈하고(咳嗽痰少而粘),
가슴이 아프며(胸痛), 기침을 할 때 더욱 심하고(咳時尤甚), 호흡이 불리하며
(呼吸不利), 입과 코가 건조하고(口乾鼻燥), 설태는 누렇고 얇으며(舌苔薄黃),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고 순조롭고 월활한 맥이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
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浮滑而數)., 이는 풍열(風熱)에 상한 것으로, 담열이폐
를 사르기(痰熱灼肺) 때문이다.
治宜 : 소산풍열(疏散風熱), 청폐화담(淸肺化痰).
方用 : 은교산(銀翹散)《온병조변(溫病條辨)》해표제(解表劑) 加 어성초(魚腥草) 등.
≒ 은화(銀花),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길경(桔梗), 박하(薄荷), 죽엽(竹
葉), 형개수(荊芥穗), 두시(豆豉), 감초(甘草), 노근(蘆根).
- 수전복(水煎服)
3) 담열옹폐증(痰熱壅肺證)
臨床 : 폐옹병(肺癰病) 중에 출현하는 담열옹폐증(痰熱壅肺證)의 임상표현은 언제나
장열로 땀을 흘리며(壯熱汗出), 추워서 덜덜 떨며(寒戰), 가슴이 답답하고 아
프며(胸悶作痛), 몸을 돌리면 움직일 수 없고(轉側不利), 숨쉬기가 급해지고
기침을 하며(咳嗽氣急), 기침을 하며 고름이 섞인 가래를 토하고(咳吐膿痰),
그 맛이 비린내가 나며(其味腥臭), 입과 목구멍이 건조하고(口乾咽燥), 초조하
고 괴로워 불안한(煩躁不安) 등 특징이 있다. 이는 담열이 쌓이고 뭉침(痰熱蘊
結)으로, 사독이 폐를 막고(邪毒壅肺), 열에 막혀 혈어가 된(熱壅血瘀) 것 들이
쌓이고 뭉쳐서 악창을 이루고(蘊結成 癰), 부패되어 고름이 된 것이다(腐而成
膿).
治宜 : 청열화담(淸熱化痰), 해독배농(解毒排膿).
方用 : 천금위경탕(千金葦莖湯)《備急千金要方》옹양제(癰瘍劑)
≒ 위경(葦莖), 도인(桃仁), 과판(瓜瓣).
註▷ 장열(壯熱) : 실증(實證)에서 나타나는 고열(高熱)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온병(溫病)
이 기분(氣分)에 있는 열형(熱型)에 속한다.
Commenta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