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상(燙傷) -태동불안(胎動不安) - 태루하혈(胎漏下血) - 토뉵(吐衄) - 토사(吐瀉)
탕상(燙傷)
應用葯(응용약) : 自然銅(자연동),
1) 凉血解毒(량혈해독)
① 대황(大黃) 單種(단종)
或加 地楡粉(지유분)을 麻油(마유)로 調製(조제) 外敷(외부)
≒ 如意金黃散(여의금황산)
② 木芙蓉葉(목부용엽)을 單獨(단독) 細末(세말)하여, 蜜水混合(밀수혼합)해서 外敷
(외부) 患處周圍(환처주위)하되 除外中心(제외중심)하는데
㈀ 乾燥(건조)해지면 바꾸어 붙인다.
㉠ 發病(발병) 初起(초기)에는 消腫止痛(소종지통)하고
㉡ 發病(발병) 中期后(중기후)에는 膿聚毒出(농취독출)시킨다.
③ 地楡(지유) 單味(단미).- 硏末(연말) 麻油調敷(마유조부),
或配(혹배) 大黃粉(대황분),
或配(혹배) 黃連(황련), 冰片(빙편)
⑴ 淸熱解毒(청열해독)
應用葯(응용약) - 燙傷(탕상)의 毒(독) : 蜂蜜(봉밀)
- 淸熱解毒(청열해독) : 접시꽃, 地楡(지유),
① 四季靑(사계청) 乾葉硏細粉(건엽연세분)을 麻油調敷(마유조부)한다.
② 垂盆草(수분초) 鮮品搗爛(선품도란) 取汁服(취즙복)하고 병행하여 外涂(외도)하
거나 혹은 즙을 짜고남은 찌꺼기를 환처에 붙인다(渣外敷)
③ 生蚯蚓(생구인) - 搗爛(도란), 配 白雪糖(백설당). 外敷(외부)
⑵ 膚腠灼痛(부주작통) 혹 潰后黃水(궤후황수)
應用葯(응용약) : 蜂蠟(봉랍),
① 虎杖(호장) 單用(단용).- 硏末(연말) 香油調敷(향유조부)
② 虎杖(호장) 加 地楡(지유), 冰片(빙편).- 共硏末(공연말) 調油敷患處(조유부환처)
태동불안(胎動不安)
1. 參照文(참조문) : 임신병(妊娠病)
2. 應用葯(응용약) : 艾葉(애엽)
① 發汗解表(발한해표) : 紫蘇(자소)(紫蘇)
② 淸熱安胎(청열안태) : 苧麻根(저마근), 黃芩(황금),
3. 常用葯(상용약) :
1) 淸熱燥濕(청열조습) 安胎(안태) : ☆ 黃芩(황금) - 胎熱不安的(태열불안적) 首選葯
物(수선약물)
2) 安胎(안태), 化濕(화습), 行氣(행기) : ☆ 砂仁(사인)
3) 胎動不安(태동불안) : ☆ 紫蘇(자소), 黃芩(황금), 砂仁(사인)
4) 淸熱凉血(청열양혈), 止血(지혈), 安胎(안태) : ☆ 苧麻根(저마근)
5) 補氣健脾(보기건비), 燥濕利水(조습이수), 止汗(지한), 安胎的(안태적),葯物(약물) :
☆ 白朮(백출) - 脾氣虛(비기허)적, 胎動不安(태동불안) 當選用(당선용)
6) 補肝腎(보간신), 强筋骨(강근골) 安胎(안태) : ☆ 杜仲(두중)
7) 補腎安胎(보신안태) : ☆ 桑寄虫(상기충)
8) 胎動不安(태동불안) 胎漏下血(태루하혈) : ☆ 桑寄生(상기생) - 腎虛型(신허형) 補
腎安胎(보신안태).
9) 胎動不安(태동불안) : ☆ 紫蘇(자소), 黃芩(황금), 砂仁(사인)
10) 胎漏下血(태루하혈), 胎動不安(태동불안) : ☆ 桑寄生(상기생)
4. 相須配合(상수배합)과 治症(치증)
1) 杜仲(두중)12 + 續斷(속단)15 = 胎動不安(태동불안) - 冲任不固(충임불고)
2) 白朮(백출)15 + 黃芩(황금)12 = 胎動不安(태동불안) - 濕熱內蘊(습열내온)
5.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脾虛氣弱(비허기약), 胎氣不安證(태기불안증)
⑴ 安胎(안태)
應用葯(응용약) : 겨우살이, 杜仲(두중), 菟絲子(토사자),
① 白朮(백출) 配 砂仁(사인)
2) 內熱(내열) 內熱熾盛(내열치성) 應用葯(응용약) : 黃芩(황금),
⑴ 淸熱安胎(청열안태)
① 白朮(백출) 加 黃芩(황금)
② 黃芩(황금) 加 白朮(백출), 當歸(당귀). . . ≒ 當歸散(당귀산)
3) 태원불고(胎元不固)
⑴ 요산복통(腰痠腹痛)
① 백출(白朮) 配 杜仲(두중), 續斷(속단), 阿膠(아교) 等 保胎增强(보태증강)
⑵ 冲任不固(충임불고)
① 桑寄生(상기생) 加 阿膠(아교), 菟絲子(토사자), 杜仲(두중), 川續斷(천속단)
≒ 壽胎丸(수태환)
⑶ 胎動欲墜(태동욕추), 胎動如墜(태동여추) - 胎動不安(태동불안)
應用葯(응용약) : 知母(지모), 地楡(지유),
① 續斷(속단)
常配 桑寄生(상기생), 菟絲子(토사자), 阿膠(아교). . . ≒ 壽胎丸(수태환)
② 杜仲(두중)
可配 續斷(속단) 硏末(연말), 棗肉爲丸服(조육위환복) ≒ 杜仲丸(두충환)
③ 杜仲(두중) 亦可配 續斷(속단), 菟絲子(토사자), 阿膠(아교)
⑷ 先兆流産(선조유산)
應用葯(응용약) : 苧麻根(저마근),
⑸ 胎漏下血(태루하혈), 胎動不安(태동불안) - 習慣性遺産(습관성유산)
① 苧麻根(저마근) 單用(단용), 亦可配 阿膠(아교), 當歸(당귀), 白芍(백작). . .≒
苧根湯(저근탕)
4) 中虛氣滯(중허기체) - 姙娠噁阻(임신오조)
⑴ 行氣安胎(행기안태)
① 砂仁(사인)
加 人參(인삼), 黃芪(황기), 白朮(백출). . . ≒ 泰山磐石散(태산반석산)
5) 下焦虛寒(하초허한)
⑴ 溫腎散寒(온신산한)
① 艾葉(애엽) 加 香附(향부), 肉桂(육계). . . ≒ 艾附暖宮丸(애부난궁환)
6) 補肝腎(보간신) 强筋骨(강근골)
應用葯(응용약) : 槲寄生(곡기생),
⑴ 固胎元(고태원)
① 菟絲子(토사자)
常配 川續斷(천속단), 桑寄生(상기생), 阿膠(아교). . . ≒ 壽胎丸(수태환)
7) 胎動不安(태동불안)
⑴ 習慣性遺産(습관성유산)
① 杜仲(두중)
可配 續斷(속단) 硏末(연말), 棗肉爲丸服(조육위환복) ≒ 杜仲丸(두충환)
② 杜仲(두중) 亦可配 續斷(속단), 菟絲子(토사자), 阿膠(아교)
③ 杜仲(두중) 配 川斷(천단), 山葯(산약) - 肝腎虧損(간신휴손)
④ 杜仲(두중), 續斷(속단)., 硏末(연말) 棗肉(조육) ≒ 杜仲丸(두중환) - 肝腎虧損
(간신휴손)
태루하혈(胎漏下血)
胎漏(태루) 또는 胞漏(포루)라고도 한다. 임신한 후 膣(질)에서 피와 같은 액체가 배출
되는 것을 말 한다. 병증은 배가 아프지 않으며, 원인은 氣虛(기허), 血熱(혈열), 胎元
不固(태원불고) 또는 性交(성교) 등에 의해 생긴다.
1. 參照文(참조문)
1) 임신병(妊娠病)
2) 태동불안(胎動不安)
2. 症狀(증상) 및 治法(치법)과 葯物配合(약물배합)
1) 冲任不固(충임불고)
⑴ 胎動不安(태동불안)
① 桑寄生(상기생)
加 阿膠(아교), 菟絲子(토사자), 杜仲(두중), 川續斷(천속단) ≒ 壽胎丸(수태환)
② 艾葉(애엽) 加 川斷(천단), 桑寄生(상기생)
3. 辨證施治(변증시치)
1) 신기불고증(腎氣不固證)
臨床 : 신기불고증(腎氣不固證) 중에 보는 태루는 임신기에 하혈이 멈추지 않고(下
血不止), 색담(色淡), 허리가 시큰시큰 쏘고 저리며 허약하고(腰痠虛軟), 정
신이 지치고 괴로운(精神疲乏) 등 증상을 나타낸다. 대부분 과도한 노동으
로 몸을 상한(勞損過度) 탓에 신기가 줄어 부족(腎虧虛)하고, 기가 허하여 혈
이 부족하기(氣虛則血无) 때문이다. 그럼으로 루하불지(漏下不止)한다.
治宜 : 익신보기(益腎補氣)
方用 : 조기보루탕(助氣補漏湯)《전청주여과(傳靑主女科)》
≒ 인삼(人蔘), 백작(白芍), 생지황(生地黃), 익모초(益母草), 속단
(續斷), 황금(黃芩), 감초(甘草).
태사복중(胎死腹中) ⇒ 오로불하(惡露不下)
태의불하(胎衣不下) ⇒ 오로불하(惡露不下)
턱질환 ⇒ 함질환(頷疾患)
토뉵(吐衄)
參照文(참조문).
1) 토혈(吐血)
2) 뉵혈(衄血)
3) 지혈(止血)
4) 출혈(出血)
應用葯(응용약) : 紫草(자초),
⑴ 凉血止血(양혈지혈)
應用葯(응용약) : 荷葉(하엽),
① 貫衆(관중) 加 側柏葉(측백엽), 白茅根(백모근)
② 槐花(괴화) 加 白茅根(백모근)
③ 阿膠(아교) 配 蒲黃(포황), 生地(생지)
④ 梔子(치자) 加 白茅根(백모근), 側柏葉(측백엽), 大黃(대황) - 血熱妄行(혈열망행)
⑵ 胃出血(위출혈)
① 白及(백급) 加 烏賊骨(오적골) ≒ 烏及散(오급산)
⑶ 上消化道出血(상소화도출혈)
⑴ 胃十二指腸潰瘍(위십이지장궤양), 食道靜脈破裂(식도정맥파열) 등 각종 上消化道
出血
① 血竭(혈갈) 單用(단용).- 硏末服(연말복)
⑷ 血熱妄行(혈열망행) : 吐血(토혈), 衄血(뉵혈).
⑴ 淸熱止血(청열지혈)
① 代赭石(대자석) 配 白芍(백작), 竹茹(죽여), 牛蒡子(우방자) ≒ 寒降湯(한강탕)
⑵ 凉血止血(량혈지혈)
① 馬勃(마발) 單用(단용) 或加 凉血止血葯(양혈지혈약) 配伍(배오)
② 桑葉(상엽) 單種(단종) 혹은 復方(복방) : 血熱吐血(혈열토혈)
⑸ 吐衄咳唾(토뉵해타), 失血旣多(실혈기다),
⑴ 虛倦神怯(허권신겁)
① 阿膠(아교) 配 人參(인삼), 白及(백급)
⑹ 其他(기타)
① 血余炭(혈여탄) 常配 藕汁(우즙)
토담증(吐痰症)
應用葯(응용약) : 蓇葖果(골돌과),
토사(吐瀉)
1. 應用葯(응용약)
1) 高良姜(고량강) :
2) 藿香(곽향) :
山扁豆(산편두), 白萹豆(백편두), 砂仁(사인), 蒼朮(창출), 篳茇(필발), 花椒(화초)
2.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吐瀉藿亂(토사곽란)
應用葯(응용약) - 腸胃溫和(장위온화) : 小蒜(소산, 달래),
⑴ 惡寒發熱(오한발열), 嘔吐泄瀉(구토설사).
① 藿香(곽향) 加 紫蘇(자소), 半夏(반하), 厚朴(후박). . . ≒ 藿香正氣散(곽향정기산)
⑵ 暑濕吐瀉(서습토사)
應用葯(응용약). ① 補氣(보기) - 健脾化濕(건비화습), 和中消暑(화중소서) : 白萹豆
(백편두),
① 山扁豆(산편두) 煅用(단용). - 水煎服(수전복)
② 山扁豆(산편두) 也可配 香薷(향유), 厚朴(후박). . . ≒ 香薷飮(향유음)
脾虛有濕(비허유습), 体倦乏力(체권핍력), 食少便溏(식소변당), 泄瀉(설사)
① 白萹豆(백편두)
加 人參(인삼), 茯苓(복령), 白朮(백출) . . ≒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暑濕嘔吐(서습구토)
① 白萹豆(백편두)
加 香薷(향유), 厚朴(후박) 等 補暑除濕葯(보서제습약) ≒ 香薷散(향유산)
⑶ 寒濕吐瀉(한습토사)
① 應用葯(응용약) : 蒼朮(창출), 향나무,
② 篳茇(필발) 單用
或加 乾姜(건강), 厚朴(후박),附子(부자). . ≒ 蓽茇丸(필발환)- 溫中止痛(온중지통)
③ 花椒(화초) 加 蒼朮(창출), 砂仁(사인), 草豆寇(초두구) - 寒濕困重(한습곤중)
⑷ 胃寒吐瀉(위한토사)
① 高良姜(고량강) 加 炮姜(포강) 相須(상수) ≒ 二姜丸(이강환)
⑸ 腹痛吐瀉(복통토사)
應用葯(응용약) - 化濕和中(화습화중), 理氣開胃(리기개위) : 藿香(곽향),
2) 吐瀉拘攣(토사구련)
⑴ 夏傷暑濕(하상서습)
① 和胃化濕(화위화습) : 木瓜(목과) 加 蚕沙(잠사), 薏苡仁(의이인), 黃連(황련), 吳茱
萸(오수유)
3) 吐瀉(토사)
應用葯(응용약) - 嘔吐瀉痢(구토사리) : 鷄內金(계내금),
⑴ 腹痛轉筋(토사 복통전근)
① 木瓜(목과) 加 吳茱萸(오수유), 半夏(반하), 黃連(황련) ≒ 木瓜湯(목과탕)
② 蚕沙(잠사) 加 黃芩(황금), 木瓜(목과), 吳茱萸(오수유). . . ≒ 蚕矢湯(잠시탕)
⑵ 腹痛吐瀉(복통토사) - 溫脾散寒(온비산한), 脾腎受寒(비신수한)
應用葯(응용약) - 理氣開胃(리기개위) : 藿香(곽향),
l - 芳香化濁(방향화탁) : 廣藿香(광곽향),
① 益智仁(익지인) 配 黨參(당삼), 白朮(백출), 乾姜(건강)
⑶ 脘痞吐瀉(완비토사)
應用葯(응용약) - 下氣除滿(하기제만) : 厚朴(후박),
4) 吐瀉不止(토사불지)
⑴ 痧脹腹痛(사창복통) : 더러운(穢濁) 氣(기) 와 不潔(불결)한 飮食(음식)으로 인한 痧脹
腹痛(사창복통)이 나고, 吐瀉不止(토사불지)하며 甚則昏厥(심
칙혼궐)한다.
① 蟾穌(섬소) 常配 麝香(사향), 丁香(정향), 蒼朮(창출). . . ≒ 蟾酥丸(섬소환)
3. 辨證施治(변증시치)
1) 癨亂(곽란)
⑴ 한습증(寒濕證)
臨床 : 곽란병중에 한습증의 임상표현은 갑자기 위로 토하고 아래로 설사를 하며
(突然上吐下瀉), 초기에는 묽은 똥을 설사했으나(初起時下利稀糞), 계속되는
설사는 맑고 묽거나(繼則瀉下淸稀) 혹은 쌀뜨물과 같고(如米泔水), 앞가슴과
격기가 결리고 답답하며(胸膈痞悶), 복통(腹痛)이 있거나 혹은 없으며, 팔다
리가 차고(四肢淸冷), 설태는 희며 미끈거리고(舌苔白膩), 맥은 부상(浮上)한
것이 실같이 가늘고 연하며 힘을 주어야 짚인다(脈濡弱). 이것은 더럽고 흐
린 한습(寒濕穢濁)의 기(氣)가 증초를 막고(壅滯中焦), 양기를 뒤덮어 씨우고
(陽氣被遏) 기의 승강을 반역하여 어긋나게(升降悖逆) 함으로 청탁이 서로
뒤섞였기(淸濁相混) 때문이다.
治宜 : 산한조습(散寒燥濕) 방향화탁(芳香化濁).
方用 :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화제국방(和劑局方)》
合 : 순양정기환(純陽正氣丸)《北京市中葯成方選集》溫裏劑 加减
≒ 곽향(藿香), 자소(紫蘇), 백지(白芷), 길경(桔梗), 백출(白朮), 후박
(厚朴), 반하곡(半夏曲), 대복피(大腹皮), 복령(茯苓), 귤피(橘皮),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合 - 진피(陳皮), 공정향(公丁香), 복령(茯苓), 창출(蒼朮), 백출(白朮),
곽향(藿香), 반하(半夏), 관계(官桂), 청목향(靑木香), 화초(花椒),
홍령단(紅靈丹).
⑵ 진액휴손증(津液虧損證) - 폭사(暴瀉)
臨床 : 본증에 이른 환자는 대부분 음식을 절제하지 못하고(飮食不節), 전염성 서열
사독(暑邪疫毒)이 안으로 비위를 손상시킴(內傷脾胃)으로 해서, 중초에 청탁
이 서로 뒤섞이고 혼탁해져(中焦淸濁相混), 구토와 설사를 반복발작(吐瀉驟
作)하게 됨으로 진액을 크게 상하다(津液大傷).
症見 : 쌀뜨물과 같은 설사를 하며(瀉下如米泔汁), 고약하고 더러운 냄새가 나며(臭
穢難聞), 구토를하고 구갈이 난다(嘔吐口渴)., 배가 아프고 열이 나며(發熱腹
痛), 정신이 시들어 버리고 눈을 감고 있으며(目陷神萎), 근육경련과 마비가
일어나고(轉筋拘攣), 태는 누렇고 미끈거리며(苔黃膩), 맥은 촌관척 3부맥이
모두 무력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띈다(脈虛數). 전근(轉筋) : 근
육경련(抽筋)이라고 한다. 이는 대부분 비장근(腓腸肌)의 경련(痙攣)에서 많
이 나타나는 일종에 진액손상(津液損傷)의 표현이다. 구련(拘攣) : 구(拘)는
전신의 근육이 수축된다는 뜻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素問 ․ 生氣通天論》에 “근육이 수축되어 손발이 구급됨으로 잘
펼 수 없다.” 하였고《素問 ․ 至眞要大論》에는 “內爲痙强拘瘛(내위경강구계)”
라 하였다. 拘瘛(구계)란 구급되어 경풍을 일으킨다는 것을 말한다.《소문 ․
육원정기대론》에는 “筋絡拘强(근락구강)이라고 했는데 拘强(구강)이란 구
급되어 꿋꿋하다는 말이다. 따라서 拘攣(구련)이란 이로 인하여 마비와 경련
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쥐가 난다고도 표현한다.
治宜 : 청열화습(淸熱化濕), 벽예설탁(辟穢泄濁)
方用 : 연조탕(燃照湯)《곽란론(霍亂論)》거습제(祛濕劑)
≒ 활석(滑石), 두시(豆豉), 산치자(山梔子), 황금(黃芩), 후박(厚朴), 반하
(半夏), 백두구(白豆蔲), 패란(佩蘭).
或 : 잠시탕(蚕矢湯)《곽란론(霍亂論)》거습제(祛濕劑) 加减
≒ 잠사(蚕沙), 통초(通草), 목과(木瓜), 의이인(薏苡仁), 대두황권(大豆黃
卷), 황련(黃連), 반하(半夏), 황금(黃芩), 오수유(吳茱萸), 치자(梔子).
⑶ 비허습곤증(脾虛濕困證)
臨床 : 습곤비양증(濕困脾陽證)의 곽란병(癨亂病) 환자의 임상표현은 병이 매우 급
하고 신속하게 일어나고(起病急驟), 위로는 토하며 아래로는 설사를 하기를
(上吐下瀉), 하루에 십여 번 이상 심하게 행하는데, 소화되지 않은 맑은 곡식
을 설사하거나(下利淸谷) 혹은 쌀뜨물 같은(如米泔水)것을 설사하고, 냄새는
심하지 않으나(不甚臭穢), 배가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며(胸悶腹痛), 팔다리
가 청량하게 차다(四肢淸冷), 이는 한습이 중초에 옹체됨으로 해서(此因寒濕
壅滯中焦), 비양을 가로막고 요해함으로(遏阻脾陽), 청탁을 가리지 못하기
때문에(所以淸濁不分), 위로는 토하고 아래로는 설사를 한다(上吐下瀉).
治宜 : 방향조습(芳香燥濕), 온중건비(溫中健脾).
方用 :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화제국방(和劑局方)》거습제(祛濕劑)
≒ 곽향(藿香), 자소(紫蘇), 백지(白芷), 길경(桔梗), 백출(白朮), 후박
(厚朴), 반하곡(半夏曲), 대복피(大腹皮), 복령(茯苓), 귤피(橘皮),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화제국방(和劑局方)》
≒ 평위산(平胃散, 진피(陣皮), 후박(厚朴), 창출(蒼朮), 감초(甘
草)) 가(加) 곽향(藿香), 반하(半夏).
⑷ 위한증(胃寒證)
臨床 : 위한증(胃寒證) 중에 출현하는 구토(嘔吐), 설사병(泄瀉病)의 임상표현의 특
징은 구토(嘔吐), 복사(腹瀉)를 위주로 한다. 그 위완동통(胃脘疼痛)은 병세
가 비교적 경(輕)하지만 병행하여 장명(腸鳴) 및 배꼽주위에 창통(臍周脹痛)
을 수반한다. 대체로 무더운 여름철에(暑夏之季), 차고 서늘한 음식을 과식
(過食寒凉)하거나 혹은 이슬과 서늘한 바람이 부는 로천(露天)의 땅에 누워
밤잠을 잠으로 말미암아(夜臥風凉露天之地), 한사가 경락을 거치지 않고 직
접 위부에 침습하여 병리변화를 일으킨다(寒邪直中胃府引起). 한의 성질은
엉기고 껄끄러워(寒性凝澁), 기화기능이 막혀서 요해되고(阻滯氣機), 중초의
양기가 손상을 받으므로(中陽受損), 위의 화강기능이 상실되고(胃失和降),
또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과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이 상교(相交)함
으로서 한사(寒邪)가 장 사이에 들어가 머물게(竄留腸間) 됨으로, 배꼽 주위
에 창통(臍周脹痛), 장명(腸鳴), 복사(腹瀉) 등 장한증상(腸寒症狀)을 나타내
게 된다.
治宜 : 온중산한지통(溫中散寒止痛).
方用 : 후박온중탕(厚朴溫中湯)《내외상변혹론(內外傷辨惑論)》
≒ 후박(厚朴), 운령(云苓), 감초(甘草), 초구인(草蔲仁), 건강(乾姜),
생강(生姜), 진피(陣皮), 목향(木香).
본증의 임상소견은 대부분 외감(外感)에 의한 오한(惡寒), 신통(身痛), 두통
(頭痛) 등 증상(症狀)을 겸한다.
治宜 : 온중해표(溫中解表).
方用 : 향소산(香蘇散)《화제국방(和劑局方)》
≒ 향부(香附), 자소엽(紫蘇葉), 진피(陣皮), 감초(甘草).
토사곽란(吐瀉藿亂) ⇒ 토사(吐瀉)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