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혈(出血)
1. 參照文(참조문).
1) 지혈(止血)
2) 내출혈(內出血)
3) 외상출혈(外傷出血)
4) 뉵혈(衄血), 토뉵(吐衄), 각혈(咯血),
5) 변혈(便血), 뇨혈(尿血) 등
2.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各種內外諸出血症(각종내외제출혈증)- 收斂止血的要葯(수렴지혈적요약): 白及(백급)
2) 止血效果良好(지혈효과량호) : 百合(백합) - 咳嗽咯血(해수각혈) 咽痛(인통)
3, 常用葯(상용약)
1) 瘀熱所致(어열소치), 出血證(출혈증) 宜選(의선) : ☆ 茜草(천초)
2) 跌打損傷之出血(질타손상지출혈) 宜首選(의수선) : ☆ 三七(삼칠)
3) 治脾氣虛寒的(치비기허한적) 胃出血(위출혈) 應首選 : 炮姜(포강) + 黃芪(황기)
4) 大出血(대출혈), 氣隨血脫者(기수혈탈자) 當首選(당수선) : ☆ 人參(인삼)
5) 收斂止血(수렴지혈), 固精止帶(고정지대), 制酸止痛(제산지통), 收濕斂瘡(수습렴창) :
烏賊骨(오적골)
6) 澁腸止瀉(삽장지사), 收斂止血(수렴지혈): ☆ 赤石脂(적석지), 禹余粮(우여량)-都具有
的功效(도구유적공효)
4. 相須配合(상수배합)과 治症(치증)
1) 白茅根(백모근) + 蘆根(로근) = 流行性出血熱(류행성출혈열)
2) 鮮地黃(선지황) + 乾地黃(건지황) = 血熱妄行(혈열망행), 或陰虛血熱(혹음허혈열), 迫
血妄行(박혈망행) - 咳血(해혈), 吐血(토혈), 鼻血
(비혈), 皮下出血(피하출혈) 等
3) 乾地黃(건지황) + 白茅根(백모근) = 血熱妄行(혈열망행), 衄血(뉵혈), 吐血(토혈), 脈細
數(맥세삭)
4) 人參(인삼)3 + 三七(삼칠)6 = 各種出血性疾患(각종출혈성질환) - 衄血(뉵혈), 吐血(토
혈), 尿血(뇨혈), 便血(변혈), 崩漏下血(붕루하혈)
5) 阿膠(아교)10 + 仙鶴草(선학초)15 = 多種出血性疾病(다종출혈성질병) - 咯血(각혈),
吐血(토혈), 衄血(뉵혈), 尿血(뇨혈), 便血(변혈),
子宮出血(자궁출혈)
6) 白茅根(백모근)30 + 白茅花(백모화)10 = 肺出血(폐출혈) - 各種原因引起的(각종원인
인기적) 肺出血諸症(폐출혈제증)
5.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各種出血(각종출혈)
應用葯(응용약)
① 虛實寒熱(허실한열) 各種出血(각종출혈) : 仙鶴草(선학초), 刺兒菜(자아채), 川骨
(천골, 개연꽃),
② 收斂止血葯(수렴지혈약) : 景天草(경천초), 白及(백급), 仙鶴草(선학초), 紫珠(자주),
棕櫚炭(종려탄), 血余炭(혈여탄), 藕節(우절), 刺猬皮(자위피)
③ 活血止血(활혈지혈) : 麒麟草(기린초),
2) 內傷出血(내상출혈)
① 紫珠葉(자주엽) 單用(단용) - 服用(복용)
② 紫珠葉(자주엽) 亦可配 其他止血葯(기타지혈약) 同用(동용)
③ 花蕊石(화예석) 單用(단용).-硏末(연말) 童便調服(동변조복) ≒ 花蕊石散(화예석산)
④ 花蕊石(화예석) 或配 三七(삼칠), 血余炭(혈여탄)
3) 血熱出血(혈열출혈) 應用葯(응용약) : 苧麻根(저마근), 地楡(지유),
⑴ 血熱妄行(혈열망행)
① 棕櫚炭(종려탄) 小薊(소계), 山梔(산치). . . ≒ 十灰散(십회산)
② 靑黛(청대) 加 靑黛粉(청대분) ≒ 淸金散(청금산)
⑵ 凉血(양혈) - 益氣攝血(익기섭혈) - 氣不攝血(기불섭혈),
應用葯(응용약) : 側柏葉(측백엽),
① 貫衆(관중, 炒炭用) 加 黃芪(황기), 當歸(당귀), 阿膠(아교).
⑶ 凉血止血(양혈지혈)
① 側柏葉(측백엽) 加 大薊(대계), 小薊(소계), 白茅根(백모근)
⑷ 滋陰凉血止血(자음양혈지혈)
① 墨旱蓮(묵한연) 單用(단용) 或配 生地(생지), 阿膠(아교), 蒲黃(포황)
⑸ 上部出血(상부출혈) : 吐血(토혈), 衄血(뉵혈)
① 白茅根(백모근) 單種(단종) 或加 仙鶴草(선학초)
② 犀角(서각) 加 生地黃(생지황), 丹皮(단피), 赤芍(적작). . .≒ 犀角地黃湯
③ 水牛角(수우각) 加 生地(생지), 丹皮(단피), 赤芍(적작)
④ 艾葉(애엽) 加 荷葉(하엽), 生地黃(생지황), 側柏葉(측백엽) ≒ 四生丸(사생환)
4) 氣不攝血(기불섭혈)
⑴ 益氣攝血(익기섭혈) ① 貫衆(관중, 炒炭用) 加 黃芪(황기), 當歸(당귀), 阿膠(아교).
⑵ 氣虛(기허) : 不能攝血的(불능섭혈적), 便血(변혈), 崩漏(붕루)
① 黃芪(황기) 配 人參(인삼), 龍眼肉(용안육), 當歸(당귀)
⑶ 升陽止血(승양지혈)
① 蓮花葉(연화엽) 加 生姜(생강), 側柏葉(측백엽). . . ≒ 血生丸(혈생환)
5) 血寒出血(혈한출혈)
⑴ 益氣補血(익기보혈), 溫經止血(온경지혈) - 虛寒證(허한증) 崩漏(붕루)
① 仙鶴草(선학초) 加 黨參(당삼), 黃芪(황기), 熟地(숙지), 炮姜(포강)
② 艾葉(애엽) 炒炭用(초탄용) 或加 阿膠(아교), 地黃(지황). . . ≒ 艾膠湯(애교탕)
⑵ 寒性出血(한성출혈)
① 棕櫚炭(종려탄) 加 炮姜(포강), 烏梅(오매) -
② 棕櫚炭(종려탄) 亦常與 黃芪(황기), 白朮(백출), 烏賊骨(오적골) - 益氣固崩(익
기고붕)
⑶ 虛寒性出血(허한성출혈)
① 側柏葉(측백엽) 加 炮姜(포강), 艾葉(애엽). . . ≒ 栢葉湯(백엽탕)
6) 收斂止血(수렴지혈)
① 蒲黃(포황) 單味(단미) - 冲服(충복),
② 蒲黃(포황) 亦可配伍(역가배오) 其他(기타) 止血葯(지혈약) 同用(동용).
7) 外傷出血(외상출혈)
⑴ 刀傷出血(도상출혈) - 創傷出血(창상출혈)
① 止血定痛(지혈정통) : 降香(강향) 單用外敷(단용외부).
② 創傷出血(창상출혈)
應用葯(응용약) : 卷柏(권백),
⑵ 外傷出血(외상출혈)
應用葯(응용약) : 降香(강향),
① 墨旱蓮(묵한연)의 新鮮(신선)한 것을 찧어서 乾燥(건조)시킨 후 細末(세말)해
서 外敷(외부)한다. 外
② 松花粉(송화분) 外用(외용) 調敷患處(조부환처).
③ 兒茶(아차) 配 血竭(혈갈), 白及(백급), 龍骨(용골)
④ 四季靑(사계청) 鮮葉(선엽) 搗敷傷口(도부상구),
⑤ 혹은 四季靑(사계청) 乾葉(건엽) 硏細(연세) 撒敷在傷口(살부재상구)
⑥ 紫珠葉(자주엽) 單味(단미) 硏粉撒(연분살)
⑦ 혹은 紫珠葉(자주엽) 浸劑(침제)에 紗布(사포)를 적셔서 출혈부위를 압박해 덮
어 싸매다.
⑧ 蚤休(조휴) 單用(단용) 或加 三七(삼칠), 血竭(혈갈), 自然銅(자연동) 등 - 化瘀
止血(화어지혈), 瘀腫疼痛(어종동통)을 治療(치료)한다.
⑶ 外傷出血(외상출혈) - 收斂止血(수렴지혈)
① 蒲黃(포황) 單用(단용) - 外敷(외부)
② 海螵蛸(해표소) 可單用(가단용) 硏末外敷(연말외부) ③ 花蕊石(화예석) 單用
(단용).- 硏末外敷(연말외부)
8) 內外出血(내외출혈)
① 三七(삼칠) 單種粉(단종분)을 呑服(탄복)
② 三七(삼칠) 或加 血余炭(혈여탄), 花蕊石(화예석). . ≒ 化血丹(화혈단) - 化瘀止
血(화어지혈)
③ 三七(삼칠) 單種粉(단종분)을 外敷(외부) : 外傷出血(외상출혈) - 止血定痛(지
혈정통)
⑴ 肝鬱化熱(간울화열), 血熱妄行(혈열망행) - 凉血止血(량혈지혈) 順氣降火
① 鬱金(울금)
加 生地(생지), 丹皮(단피), 山梔(산치), 牛膝(우슬) ≒ 生地黃湯(생지황탕)
⑵ 熱結下焦(열결하초), 尿血(뇨혈), 血淋(혈림) :
① 鬱金(울금) 加 生地(생지), 小薊(소계)
9) 各種出血(각종출혈)
⑴ 氣火上逆(기화상역), 迫血妄行(박혈망행)
① 牛膝(우슬) 則配 白茅根(백모근), 山梔(산치), 代赭石(대자석)
⑵ 創傷出血(창상출혈)
① 劉寄奴(유기노) 配 茜草(천초), 五倍子(오배자). . . ≒ 지혈흑융서
10) 産后出血(산후출혈)
① 益母草(익모초) 配 馬齒莧(마치현)
⑴ 産后子宮弛緩性出血(산후자궁이완성출혈)
應用葯(응용약) : 겨우살이,
11) 腦出血(뇌출혈)
應用葯(응용약) : 棕板(종판),
6. 方劑構成(방제구성)
1) 지혈약 (止血葯) : 凉血止血葯(량혈지혈약), 化瘀止血葯(화어지혈약), 收斂止血葯(수
렴지혈약), 溫經止血葯(온경지혈약) 等 4종이 있으며
⑴ 凉血止血葯(양혈지혈약) - 大薊(대계)(凉), 小薊(소계)(凉), 地楡(지유)(寒), 苧麻根
(저마근)(寒), 白茅根(백모근)(寒), 槐花(괴화)(微寒), 側柏
葉(측백엽)(微寒), 羊蹄(양제)(寒).
⑵ 收斂止血葯(수렴지혈약) - 白及(백급)(微寒), 仙鶴草(선학초)(平), 紫珠(자주)(凉), 棕
櫚炭(종려탄)(平), 血余炭(혈여탄)(平), 藕節(우절)(平), 刺
猬皮(자위피)(平).
⑶ 化瘀止血葯(화어지혈약) - 三七(삼칠)(溫), 蒲黃(포황)(平), 茜草(천초)(寒), 花蕊石
(화예석)(平), 血余炭(혈여탄)(平).
⑷ 溫經止血葯(온경지혈약) - 艾葉(애엽)(溫), 灶心土(조심토)(溫)(伏龍肝), 炮姜(포강)
(溫).
2) 凉血止血葯(량혈지혈약) :大薊(대계)(凉), 小薊(소계)(凉), 地楡(지유)(微寒),槐花(괴화)
(微寒)(附葯 槐角), 側柏葉(측백엽)(微寒), 白茅根(백모근)
(寒), 苧麻根(저마근)(寒), 羊蹄(양제)(寒).
歸經 肝 : 大薊(대계), 小薊(소계), 地楡(지유), 槐花(괴화),側柏葉(측백엽),
苧麻根(저마근),羊蹄(양제).
心 : 大薊(대계), 小薊(소계), 苧麻根(저마근), 羊蹄(양제).
肺 : 側柏葉(측백엽), 白茅根(백모근).
胃 : 地楡(지유), 白茅根(백모근).
大腸 : 地楡(지유), 槐花(괴화), 側柏葉(측백엽), 大腸(대장).
膀胱 : 白茅根(백모근).
3) 지혈제 (止血劑)
⑴ 血液(혈액)이 離經忘行(이경망행) 引起(인기) - 吐血(토혈), 衄血(뉵혈), 咳血(해혈),
便血(변혈), 崩漏(붕루) 等 各種(각종) 出血證(출혈증)에 適用(적용)된다.
⑵ 常用葯(상용약)은 止血葯(지혈약)으로써
側柏葉(측백엽), 小薊(소계), 槐花(괴화), 竈心黃土(조심황토), 艾葉(애엽) 等이 있으
며 또한 方劑(방제)를 構成(구성)한다.
出血證(출혈증)은 證狀(증상)이 매우 복잡하여 病因(병인)에도 寒熱虛實(한열허실
)이 다르고 出血部位(출혈부위)도 上下內外(상하내외)의 區別(구별)이 있고 病症
勢(병증세)에도 緩急(완급)이 差(차)가 있다.
⑶ 止血劑(지혈제) 사용은 病症勢(병증세)에 따라 달라진다.
① 血熱忘行者(혈열망행자)의 治法(치법)은 凉血止血(량혈지혈) 토록 하며
② 冲任脈(충임맥) 虛損者(허손자)의 治法(치법)은 補血(보혈)하면서 止血固澁(지
혈고삽) 하고
③ 陽氣虛弱(양기허약), 攝血不能者(섭혈불능자)의 治法(치법)은 溫陽益氣(온양익
기)하며 攝血(섭혈)하는 것이 좋다.
⑷ 代表方(대표방)으로는 十灰散(십회산), 四生丸(사생환), 小薊飮子(소계음자), 槐花
散(괴화산), 黃土湯(황토탕), 膠艾湯(교애탕) 等이다.
十灰散(십회산)
≒ 大薊(대계), 小薊(소계), 薄荷葉(박하엽), 側柏葉(측백엽), 茅根(모근), 茜根
(천근), 山梔(산치), 大黃(대황), 丹皮(단피), 棕櫚皮(종려피) 各等分.
- 凉血止血(량혈지혈)
四生丸(사생환)
≒ 生薄荷葉(생박하엽)9, 生艾葉(생애엽)9, 生側柏葉(생측백엽)12, 生地黃(생
지황)15. - 凉血止血(량혈지혈)
小薊飮子(소계음자)
≒ 生地黃(생지황)30, 小薊(소계)15, 滑石(활석)15, 木通(목통)9, 蒲黃(포
황)9, 藕節(우절)9, 淡竹葉(담죽엽)9, 當歸(당귀)6, 山梔子(산치자)9, 炙
甘草(자감초)6.- 凉血止血(량혈지혈), 利水通淋(이수통림)
槐花散(괴화산)
≒ 槐花(괴화)12, 側柏葉(측백엽)12, 荊芥穗(형개수)6, 枳殼(지각)6.
- 淸腸止血(청장지혈), 疏風下氣(소풍하기)
黃土湯(황토탕)
≒ 甘草(감초), 乾地黃(건지황), 白朮(백출), 附子(부자), 阿膠(아교), 黃芩(황
금) 各量9, 竈心黃土(조심황토)30.
- 溫陽健脾(온양건비), 凉血止血(량혈지혈)
膠艾湯(교애탕)
≒ 川芎(천궁)6, 阿膠(아교)9, 艾葉(애엽)9, 甘草(감초)6, 當歸(당귀)9, 芍葯(작
약)12, 乾地黃(건지황)12. - 補血止血(보혈지혈), 調經安胎(조경안태)
7. 辨證施治(변증시치)
출혈(出血) apoplexy, bleeding, haemorrhagia, hermorrhage, stxis
1) 혈허증(血虛證) - 출혈(出血)
臨床 : 출혈성 잘병중에 보는 혈허증의 임상표현은 비뉵(鼻衄), 치뉵(齒衄), 심하면 혹
기뉵(肌衄), 얼굴색이 하얗고(面色晄白), 머리가 어지러우며 눈에 불꽃이 날고
(頭暈眼花), 심장이 두근거리며(心悸), 정신이 피로하고 힘이 없는(神疲乏力)
등 이는 과다한 출혈(失血過多)로, 혈이 부족한 것이 기역시 줄게 되었고(血虛
氣亦虧), 따라서 기가 혈을 통섭하지 못하게 됨으로(氣不攝血), 출혈이 멎지 않
는 것이다(故血出不止).
治宜 : 보기섭혈(補氣攝血)
方用 : 인삼귀비탕(人參歸脾湯)《부인량방(婦人良方)》보익제(補益劑)
≒ 인삼(人參), 백출(白朮), 복령(茯苓), 황기(黃芪), 용안육(龍眼肉),
산조인(酸棗仁), 당귀(當歸), 원지(遠志), 목향(木香), 감초(甘草).
2) 血脫(혈탈)
⑴ 혈탈증(血脫證) - 대출혈(大出血)
臨床 : 돌연 대량의 출혈(失血), 혹은 만성출혈(慢性出血)이 오랫동안 낫지 않고(久
而不愈), 얼굴색이 창백하며(面色蒼白), 윤택하지 못하고, 눈앞으로 불꽃이
날고 머리가 어지러우며(頭暈眼花), 팔다리가 차가운 것이 선명하게 드러
나고(四肢淸冷), 심한 경우에는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져(昏厥)사람을 알
아보지 못하는(人事不省) 특이한 점이 있다. 혈위기모(血爲氣母), 기위혈사
(氣爲血師)라 하였다. 즉 혈은 기를 낳고, 기는 혈을 통솔한다. 따라서 대량
출혈(大量失血)은 필연적으로 기가 의지할 곳이 없게 되고(氣无所附), 혈을
따라 기가 빠져나가 병들게 되고(釀成氣隨血脫之患) 한편 새로운 혈을 신
속히 산생하지 못하므로(新血不能速生) 이런 상황에 서는 원기가 거처할
곳을 견고하게 해야 함이 급한 것이다(元氣所當急固).
治宜 : 보기양혈(補氣養血), 양생음장(陽生陰長)
方用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내외상변혹론(內外傷辨惑論)》補益劑
≒ 당귀(當歸), 황기(黃芪).
⑵ 혈탈증(血脫證) - 대한(大汗)
臨床 : 물을 뿌린 듯이 땀을 줄줄 흘리고(大汗淋漓), 수족이 아래로부터 위로 차가
워져 오르고(手足厥逆) 맥이 실같이 가늘고 끊어지려 하는(脈細欲絶) 등 망
양(亡陽)의 징후를 나타내면
治宜 : 회양구역(回陽救逆)
方用 : 삼부탕(參附湯)《부인량방(婦人良方)》온리제(溫裏劑)
≒ 포부자(炮附子), 인삼(人參), 생강(生姜), 대조(大棗).
或 : 사역탕(四逆湯)《상한론(傷寒論)》온리제(溫裏劑)
≒ 포부자(炮附子), 건강(乾姜), 감초(甘草).
若 : 혈열자(血熱者)
治 : 청열양혈(淸熱凉血)
方 :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천금요방(千金要方)》청열제(淸熱劑)
≒ 서각(犀角), 생지황(生地黃), 모단피(牡丹皮), 작약(芍葯).
若 : 몹시 괴로워 화를 내고, 근심이 사무치거나(憂思惱怒), 간이 혈을 저장하지
못하여(肝不藏血) 간이 화기로 가득차고 불길의 기세가 세다(肝火熾盛).
治 : 소간청열양혈(疏肝淸熱凉血)
方 : 단치소요산(丹梔消遙散)《부인량방(婦人良方)》
≒ 시호(柴胡), 당귀(當歸), 작약(芍葯), 복령(茯苓), 백출(白朮), 감
초(甘草), 모단피(牡丹皮), 치자(梔子).
若 : 사려상비(思慮傷脾), 심비양허(心脾兩虛), 비불통혈(脾不統血)
治 : 익기양혈(益氣養血)
方 : 귀비탕(歸脾湯)《제생방(濟生方)》보익제(補益劑)
≒ 인삼(人參), 백출(白朮), 황기(黃芪), 복령(茯苓), 용안육(龍眼肉), 산조
인(酸棗仁), 목향(木香), 당귀(當歸), 원지(遠志), 감초(甘草), 생강(生
姜), 대조(大棗).
3) 혈열증(血熱證)
臨床 : 혈열증에 속하는 토혈(吐血), 뉵혈(衄血), 각혈(咯血), 변혈(便血), 뇨혈(尿血)등
에 이르는 출혈성 질병으로 혈색이 선홍색이며, 혀가 붉고(舌紅), 맥이 한번 호
흡 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脈數) 공통된 증상은 대부분 외감풍열에 의한 조
사(外感風熱燥邪)로 폐경의 락맥이 열사로 상한(熱傷肺絡) 경우로서 ; 혹 매운
음식을 선호하여(嗜食辛辣), 위장이 온열하거나(溫熱于胃腸), 혹은 사무(事務)
가 마음먹은 대로 뜻과 같이 성취되지 못하여(情志不遂), 희, 노, 사, 우, 공(喜,
怒,思,憂,恐)의 정서가 화(火)로 화하거나(五志化火), 혹은 힘들고 괴로운 일을
과도하게 함으로써(煩勞過度), 심화가 항성하여(心火亢盛), 열이 소장으로 전
이되거나(移熱于小腸), 혹은 오랜 병으로 간신의 음이 줄어(久病肝腎陰虧), 명
문의 상화가 망령되이 날뛰게 되는(相火妄動) 상황을 가리켜서 한편 “혈득열칙
비(血得熱則沸)”라 하였다. 즉 혈이 열을 얻으면 끓는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혈
맥이 열에 상하고(熱傷血脈), 양경의 락맥을 상하게 되면 혈이 밖으로 넘쳐 나
오고(陽絡傷則血外溢), 음경의 락맥을 상하게 되면 혈이 안으로 넘치게 되는
(陰絡傷則血內溢) 것이라 했고
《장경악(張景岳)》說 “동자다유화(動者多由火), 화성칙핍혈망행(火盛則逼血妄
行)”이라 하였다.
이 역시 활동하는 자는 열(火)이 많음으로 말미암아 열화가 가득하면 혈을 핍
박하여 망동케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치료는 양혈지혈(凉血止血)을 위주로
함을 치료원칙의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무릇 병인으로 인하여 병위(病位)가
부동(不同)함으로 구체적인 치료 역시 서로 다르다.
疾病 : 해혈자(咳血者)
治宜 : 자음윤폐(滋陰潤肺),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醫方集解》조즙암(趙蕺庵) 치조제(治燥劑)
≒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맥문동(麥門冬), 백합(百合), 당귀
(當歸), 초작약(炒芍葯), 패모(貝母), 감초(甘草), 현삼(玄參), 길경(桔
梗).
疾病 : 뉵혈(衄血), 토혈(吐血)
治宜 : 청위사화(淸胃瀉火),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옥녀전(玉女煎)《경악전서(景岳全書)》加减 청열제(淸熱劑)
≒ 석고(石膏), 숙지황(熟地黃), 맥문동(麥門冬), 지모(知母), 우슬(牛膝).
或 : 청간사화(淸肝瀉火)
方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난실비장(蘭室秘藏)》加减
≒ 용담초(龍膽草), 황금(黃芩), 치자(梔子), 택사(澤瀉), 목통(木通), 차
전자(車前子),당귀(當歸), 생지(生地), 시호(柴胡), 감초(甘草).
疾病 : 변혈자(便血者)
治宜 : 청열거습(淸熱祛濕), 화영지혈(和營止血).
方用 : 적소두당귀산(赤小豆當歸散)《금궤요략(金匱要略)》
≒ 적소두(赤小豆), 당귀(當歸).
合 지유산(地楡散)《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 지유(地楡), 천초근(茜草根), 황금(黃芩), 황련(黃連), 치자인(梔子仁),
복신(茯神), 해백(薤白).
疾病 : 뇨혈(尿血)
治宜 : 청심사화(淸心瀉火).
方用 : 소계음자(小薊飮子)《제생방(濟生方)》리혈제(理血劑) 加减
≒ 소계(小薊), 포황(蒲黃), 우절(藕節), 활석(滑石), 목통(木通), 생지(生
地), 당귀(當歸), 치자(梔子), 감초(甘草), 죽엽(竹葉).
或 : 자음청화(滋陰淸火), 양혈지혈(凉血止血).
方 : 지백지황환(知柏地黃丸)《의방고(醫方考)》加减
≒ 지모(知母), 황백(黃柏),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
葯), 모단피(牡丹皮), 택사(澤瀉), 복령(茯苓).
4) 간화상염증(肝火上炎證)
臨床 : 이 장에서 말하고자 하는 간화상염증(肝火上炎證)에 의한 출혈병(出血病)은 토
혈(吐血), 뉵혈(衄血)로써 그 혈색이 묽고 투명한 붉은 색이며(鮮紅), 옆구리가
아프고(脇痛), 입안에 쓴 맛이 돌며(口苦), 목구멍이 건조하고(咽乾), 주위 사람
을 화나게 하며 마음을 괴롭히고(心煩善怒), 불편하고 조급해 한다(躁扰不寧).
눈곱이 많이 끼고 동자가 붉으며(目赤多眵), 혀는 붉고 태는 누르며(舌紅苔黃),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하고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
弦數). 이는 정지의 변화가 간을 상함으로(情志傷肝) 말미암아 기가 막힌 것이
화로 변하여(氣鬱化火) 화(火)와 기(氣)가 혈(血)을 핍박함으로(火氣交迫) 양경
(陽經)의 락맥(絡脈)이 손상을 받고(陽絡受損), 간 이 혈을 저장하는 직분을 잃
게 되며(藏血失職), 화열(火熱)에 의한 뜨거운 혈(血)의 성질을 따라 상부의 입
과 코로 넘쳐 나오기(上溢口鼻) 때문이다.
治宜 : 청간사화(淸肝瀉火),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의종금감(醫宗金鑑)》청열제(淸熱劑)
≒ 용담초(龍膽草), 택사(澤瀉),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당귀(當
歸), 생지(生地), 시호(柴胡), 황금(黃芩), 치자(梔子), 감초(甘草).
合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천금방(千金方)》청열제(淸熱劑)
≒ 서각(犀角, 水牛角), 생지황(生地黃), 모단피(牡丹皮), 작약(赤芍
葯).
5) 심비양허증(心脾兩虛證)
臨床 : 심비양허증(心脾兩虛證)으로 인한 출혈병(出血病) 중에 뉵혈(衄血), 변혈(便血),
뇨혈(尿血), 피하출혈(皮下出血), 부녀붕루(婦女崩漏) 등은 출혈량이 많고(出血
量多), 혈색이 담홍(血色淡紅)색이 며, 심장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며(心悸氣短),
얼굴색이 밝지 못하고(面色无華), 입술과 손발톱의 색이 흰 것(脣甲色白)을 위
주로 하는 특징이 있다. 대부분 심비가 허약(心脾虛弱)하고 심이 혈을 주관하
지 못하므로(心不主血), 비가 혈을 통섭하지 못하는(脾不統血) 때문이다(所致).
治宜 : 보심비(補心脾), 익기섭혈(益氣攝血).
方用 : 귀비탕(歸脾湯)《제생방(濟生方)》가감(加减)
≒ 인삼(人蔘), 백출(白朮), 황기(黃芪), 복령(茯苓), 용안육(龍眼肉), 산조인
(酸棗仁), 목향(木香), 당귀(當歸), 원지(遠志),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
조(大棗).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