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탐방92 창절(瘡癤) - 천식(喘息)

Aktualisiert: 1. Okt. 2019


창절(瘡癤) - 천식(喘息)



창절(瘡癤)

1) 熱毒(열독)

應用葯(응용약) : 苦木(고목, 功勞木(공노목), 소태나무),

⑴ 淸熱解毒(청열해독)

① 金蕎麥(금교맥)과 상응하는 淸熱解毒葯(청열해독약)을 배오(配伍)한다.

② 四季靑(사계청) 鮮葉(선엽) 搗敷患處(도부환처)

③ 敗醬草(패장초) 內服(내복) 및 鮮品外敷(선품외부)


창종(瘡腫) ⇒ 종창(腫脹)


천식(喘息) asthma, phthisic

호흡이 촉박하고 심지어 코 날개가 팔락거리거나 혹은 입을 벌리고 어깨를 쳐올리며 반

듯하게 누워 있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외감(外感) 혹은 내상(內傷) 등 질병에서 나타난

다. 임상에서는 실천(實喘)과 허천(虛喘) 두가지 류(類)로 나눈다.

실천(實喘)은 거의 풍한(風寒) 혹은 담탁(痰濁), 담열(痰熱) 등에 의하여 초래된다.

풍한(風寒)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은 초기에 오한(惡寒), 발열(發熱) 등 표증(表證)이 나타

나고 담탁(痰濁)에 의해 일어나는 것은 가슴에 그득하고 답답하며 심지어 기침에 의하여

가슴이 아프게 된다. 양자(兩者)는 급성기관지염(急性氣管支炎), 기관지천식(氣管支喘息)

등 질병에서 많이 나타난다.

담열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은 열이 나고 기침이 나면서 가래가 성(盛)하고 가슴이 아프며

번조(煩躁)하는 등 증상이 나타난다. 허천(虛喘)은 거의 폐(肺)가 약하고 신(腎)이 허(虛)

한 것에 속한다.

폐(肺)가 약한 경우는 숨이 촉박하고 숨이 차며 기침소리가 낮고 약하며 땀이 저절로 나며

(自汗), 바람을 싫어하는(畏寒) 등을 주증으로 한다.

신허(腎虛)로 일어나는 것은 내쉬는 숨(呼氣)가 길고 들이 쉬는 숨(吸氣)가 짧으며 움직이

면 숨이 더 차고, 정신이 피로하며 사지(四肢)가 서늘한 등을 주증으로 한다

1. 參照文(참조문).

1) 해수(咳嗽)

2) 해천(咳喘)

3) 효(哮) - 효천(哮喘)

2. 應用葯(응용약)

1) 咳喘之要葯(해천지요약) : 杏仁(행인),

3. 常用葯(상용약)

1) 行氣(행기), 燥濕(조습), 消積(소적), 平喘(평천) : 厚朴(후박)

2) 納氣平喘(납기평천), 潛陽安神(잠양안신), 聰耳明目(총이명목) : ☆ 磁石(자석)

3) 淸熱熄風(청열식풍), 平喘(평천), 通絡(통락), 利尿(이뇨) 等 作用的(작용적) 葯物(약물) :

☆ 地龍(지용)

4) 補肺氣(보폐기), 助腎陽(조신양), 定喘(정천) :

☆ 蛤蚧(합개) + 胡桃肉(호도육)-都具有功效(도구유공효)

5) 溫腎暖肝(온신난간). 止瀉(지사). 納氣平喘(납기평천).

壯陽的葯物(장양적약물) : ☆ 補骨脂(보골지)

6) 益肺腎(익폐신). 壯陽益精(장양익정), 平喘止嗽(평천지수) : ☆ 冬虫夏草(동충하초)

4.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熟地黃(숙지황)10 + 麻黃(마황)6 = 久喘无痰(구천무담) 諸症(제증)

5.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喘(천)

⑴ 喘息型氣管炎(천식형기관염)

① 瓜蔞注射液(과루주사액)

⑵ 肺腎不足(폐신부족) 陰陽兩虛(음양양허) 虛喘(허천)

① 代赭石(대자석)

配 黨參(당삼), 山茱萸(산수유), 胡桃肉(호도육). . ≒ 參赭鎭氣湯(삼자진기탕)

② 白果(백과)

配 五味子(오미자), 胡桃肉(호도육) 等 補腎納氣(보신납기), 斂肺平喘(렴폐평천)

⑶ 瀉肺平喘利尿(사폐평천이뇨) 不傷肺氣(불상폐기)

① 大棗(대조) 加 葶藶子(정력자) ≒ 葶藶大棗瀉肺湯(정력대조사폐탕)

⑷ 降氣平喘(강기평천)

① 萊菔子(래복자) 加 白芥子(백개자), 蘇子(소자) ≒ 三子養親湯(삼자양친탕)

⑸ 外感風寒(외감풍한) 痰熱氣促(담열기촉)

① 白果(백과) 加 黃芩(황금), 桑白皮(상백피), 麻黃(마황). . . ≒ 定喘湯(정천탕)

⑹ 肺虛喘息(폐허천식)

應用葯(응용약) : 前胡(전호),

⑺ 腎氣不足(신기부족) : 腎不納氣(신불납기)

應用葯(응용약) : 赭石(자석),

① 腎虛作喘(신허작천) - 補腎助陽(보신조양), 納氣平喘(납기평천):

補骨脂(보골지), 邪熱壅肺(사열옹폐), 肺失肅降(폐실숙강), 喘息不止(천식불지), 喉

中哮鳴(후중효명)

① 補骨脂(보골지) 常配 人參(인삼), 肉桂(육계), 沈香(침향)

② 地龍(지용) 單用(단용) - 硏末內服(연말내복)

③ 地龍(지용) 亦可與 : 麻黃(마황), 石膏(석고), 杏仁(행인)

④ 蚯蚓糞(구인분, 地龍粉) 30%로 注射液製造(주사액제조)하여 筋肉注射(근육주

사)한다.

⑻ 納氣平喘(납기평천) : 腎虛(신허) - 攝納无權(섭납무권), 氣逆作喘(기역작천)

① 磁石(자석) 常與 五味子(오미자), 胡桃肉(호도육), 蛤蚧(합개)

② 자하차(紫河車) 單用(단용), 或配 人參(인삼), 蛤蚧(합개), 胡桃肉(호도육), 地龍

(지용) - 補益肺腎(보익폐신), 納氣平喘(납기평천)

2) 喘息(천식)

⑴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

① 氣管支擴張(기관지확장) - 蚯蚓粉(구인분, 地龍粉) 30%로 地龍注射液(지용주사

액)을 製造(제조) 筋肉注射(근육주사)한다.

⑵ 痰飮喘咳(담음천해) 應用葯(응용약) : 厚朴(후박),

⑶ 喘息(천식) 兼有(겸유) 桂枝湯證(계지탕증)

① 厚朴(후박) 加 桂枝湯(계지탕) ≒ 桂枝加厚朴杏仁湯(계지가후박행인탕)

⑷ 熱痰喘息(열담천식)

① 瓜蒂(과체) - 服用(복용) - 湧吐熱痰(용토열담).

3) 哮(효) ⇒ 효천(哮喘)

6. 辨證施治(변증시치)

1) 기역증(氣逆證)을 통해서 대부분 폐기(肺氣) 상역(上逆)으로 인한 것으로써 임상변증

에서 허실(虛實)로 분류한다.

⑴ 실천(實喘) 대부분 외사(外邪)를 위주로 하며, 담탁(痰濁), 간기(肝氣) 등이 폐(肺)의

통도(通道)를 요해(要害)함으로서 기가 상역하여 기침(喘)이 조성되는 것이다.

임상표현은 숨소리가 거칠고(呼吸氣粗), 소리내어 기침하며(聲高而喘), 발병이 몹

시 빠르게 진행되고(發病驟急) 맥은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며 유력하

다(脈數有力).

① 풍한환자(風寒患者)는 기침하며 희고 묽은 가래를 뱉는다.

治 : 해표산한(解表散寒), 선폐평천(宣肺平喘)

方 : 삼요탕(三拗湯)《화제국방(和劑局方)》거담제(祛痰劑)

≒ 麻黃湯减桂枝: 마황(麻黃), 행인(杏仁), 감초(甘草).

② 풍열환자(風熱患者)는 기침하며 누렇고 끈끈하고 빽빽한 가래를 뱉으며, 심하

면 콧방울을 벌렁거리며 콧바람을 낸다(鼻煽)

治 : 청열해표(淸熱解表) 선폐평천(宣肺平喘)

方 : 마행석감탕(麻杏石甘湯)《상한론(傷寒論)》加减

≒ 마황(麻黃), 행인(杏仁), 석고(石膏), 감초(甘草).

③ 담열옹폐(痰熱壅肺)

證狀 : 반드시 끈끈하고 빽빽한 많은 가래를 보게 되며(痰多而稠), 목소리가 물

속을 헤치고 나오는 뜻하며 무겁거나(聲重漉漉) 혹은 가래에서 비린내가

나며(痰有腥臭), 가슴이 답답하여번민하던 끝에 탄성을 치다(胸悶泛噁).

治宜 : 청화담탁(淸化痰濁) 강기평천(降氣平喘)

方用 : 이진탕 합 삼자양친탕(二陳湯 合 三子養親湯)《韓氏醫通》

이진탕(二陳湯)

≒ 반하(半夏), 진피(陳皮), 복령(茯苓), 감초(甘草), 생강(生姜), 오매

(烏梅).

삼자양친탕(三子養親湯)

≒ 자소자(紫蘇子), 백개자(白芥子), 래복자(萊菔子).

或用 : 정천탕(定喘湯)《섭생중묘방(攝生衆妙方)》加减

≒ 백과(白果), 마황(麻黃), 상백피(桑白皮), 관동화(款冬花), 법반하

(法半夏), 행인(杏仁), 소자(蘇子), 황금(黃芩) 감초(甘草).

④ 간기(肝氣)가 지나치게 승발(升發)한 탓으로 기침(喘)을 하는 경우

證狀 : 반드시 정신적으로 억울해하고, 정서에 따라 기천(氣喘)의 증감(增減)을

나타내게 되는 것을 보게 되고, 가슴이 답답해하며 번민을 하고(胸悶), 밤

잠을 잃는다(失眠).

治宜 : 개울(開鬱), 강기(降氣), 평천(平喘)

方用 : 오마음자(五磨飮子)《의방집해(醫方集解)》리기제(理氣劑)

≒ 오약(烏葯) 침향(沉香) 빈낭(檳榔) 목향(木香) 지실(枳實).

或用 : 월국환(越鞠丸)《단계심법(丹溪心法)》리기제(理氣劑)

≒ 천궁(川芎) 창출(蒼朮) 향부(香附) 산치(山梔) 신곡(神曲).

⑵ 허천(虛喘) 원기가 부족하고 폐신(肺腎)이 정상적인 기(氣)의 출납(出納) 기능을 상

실함으로써 호흡의 기가 약해지고(呼吸氣怯), 기침소리가 미약하며(喘息聲微), 맥

은 꾹 눌러야 짚이는 맥으로 힘이 없다(脈弱无力).

㉮ 폐허기천(肺虛氣喘)

臨床 : 폐비기허(肺脾氣虛)로 호흡이 짧고 기침이 촉박하며(喘促氣短), 기가 적

어 힘이 들고(少氣乏力), 소화불량, 식욕감퇴 등 위의 수납기능이 정체(納

呆) 되다.

治宜 : 보토생금(補土生金)

方用 : 보폐탕(補肺湯)《영류검방(永類鈐方)》보익제(補益劑)

≒ 인삼(人參), 황기(黃芪), 숙지(熟地), 오미자(五味子), 자원(紫菀),

상백피(桑白皮).

或用 : 사군자탕(四君子湯)《화제국방(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 인삼(人參),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 신허기천(腎虛氣喘)

臨床 : 신이 흡기(吸氣)를 수납하지 못하는(腎不納氣), 폐신(肺腎)이 함께 병이

들어서 호흡이 짧고 기침이 촉박해서(喘促氣短), 입을 벌리고 어깨를 들

먹이며(長口擡肩) 기침을 하는데 움직이면 다시 심해진다(動則更甚).

治宜 : 보신납기(補腎納氣)

方用 : 금궤신기환(金匱腎氣丸)《金匱要略》보익제(補益劑)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모단피(牡丹皮),

택사(澤瀉), 복령(茯苓), 포부자(炮附子), 계지(桂枝).

或用 : 삼합산(參蛤散)《中醫方劑臨床手冊》보익제(補益劑)

≒ 인삼(人參), 합개(蛤蚧).

㉰ 외감사기(外感邪氣)를 접촉하여 촉발한 허실잡병증(虛實雜病證)의 임상표현은

폐허로 기침이 촉박하고(喘促肺虛), 위로는 담기가 막히고(痰氣壅于上), 아래로

는 신기가 줄어(腎氣虧于下), 가래가 많고 기침이 급촉한(喘促痰多) 증상을 보

게 되며, 가슴이 답답하고 땀을 흘리며(胸悶汗出), 움직이면 기침이 심해지고

(動則喘甚), 허리와 무릎이 저리고 약한(腰膝痠軟) “상실하허(上實下虛)”의 증후

다.

治宜 : 강역기(降逆氣)화담탁(化痰濁), 온신원(溫腎元)납부기(納浮氣).

方用 :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和劑局方》加减

≒ 소자(蘇子), 반하(半夏), 육계(肉桂), 전호(前胡), 후박(厚朴),

진피(陳皮), 감초(甘草), 당귀(當歸), 생강(生姜), 대조(大棗).

외감으로 인하여 허천(虛喘)이 돌발할 수 있고, 만성질환 계통의 천증(喘證)으

로 말미암아 실천(實喘)이 오래 되면 허증으로 될 수 있다. 일반적 주장은 “병이

일단 발병하게 되면 폐를 치료하지만(發則治肺) 평상시에는 비신을 조리하라

(平時調理在脾腎)” 하였다.

2) 기허증(氣虛證)

臨床 : 기허(氣虛)로 인한 천증자(喘證者)는

初 : 폐기허(肺氣虛)를 위주로 해천(咳喘), 호흡기단(呼吸氣短), 치의(治宜)와 방

용(方用)은 폐기허증(肺氣虛證)과 같다.

繼 : 폐비기허(肺脾氣虛)를 위주로 호흡과 기침이 급촉하고(喘促氣短), 소식하

며 변이 묽은(食少便溏) 자는

治宜 : 배토생금(培土生金) 폐비동치(肺脾同治)

方用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脾胃論)》補益劑 加减

≒ 황기(黃芪), 인삼(人參), 백출(白朮), 당귀신(當歸身), 승

마(升麻), 시호(柴 胡), 진피(陳皮), 자감초(炙甘草).

終 : 폐신기허(肺腎氣虛)를 위주로 어깨를 처들고 기침하며(喘息擡肩), 날숨은

많고, 들숨은 적으며(呼多吸少), 움직일 때 마다 기침이 다시 심해지고(動輒

喘促更甚), 한출(汗出), 형한지냉(形寒肢冷)하는 신불납기(腎不納氣)가 나

타나는 증상

治宜 : 익신납기(益腎納氣) 숙폐평천(肅肺平喘)

方用 : 금궤신기환(金匱腎氣丸)《금궤요략(金匱要略)》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모단피(牡

丹皮), 택사(澤瀉), 복령(茯苓), 포부자(炮附子), 계지(桂

枝).

或 : 인삼호도탕(人蔘胡桃湯)《제생방(濟生方)》補益劑 加减

≒ 인삼(人參), 호도육(胡桃肉), 생강(生姜).

3) 열담증(熱痰證)

열담증(熱痰證)에 나타나는 해수(咳嗽), 효(哮), 불매(不寐), 광(狂), 결흉(結胸) 등 질병

에는 모두 담(痰)과 열(熱)의 결합에 의한 동일한 계통의 공통된 증상표현을 하고 있으

며 또 각기 다른 질병으로서 각자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열담증(熱痰證)은 담열(痰熱)이 폐를 요해(痰熱阻肺)하여 해수(咳嗽), 효(哮)와 천(喘)

3병(病)에 이르게하고, 서로 다른 무리로서 동일한 병인(病因)과 병인위(病因位)를 가

지고 있고, 허다(許多)한 공통된 표현을 하고 있는데 마치 담(가래)의 색은 누렇고 빽

빽하고 조밀하며(痰稠色黃), 가슴이 꽉 막혀서 답답하고(胸中窒悶), 구갈이 나며 괴롭

게 열이 나는(煩熱口渴) 등이다.

각기 다른 3가지 질병으로서의 특징은 ; 해수(咳嗽)는 기가 상역하여 나오는 기침(咳

嗽氣逆)의 특징이 있고, 효(哮)는 일종의 발작성 담명기천(痰鳴氣喘)의 질환으로서 왕

왕 발작성 병을 생각할 수 있다. 호흡이 급촉하고(呼吸急促), 목구멍에서 으르렁거리

는 소리가 나는(喉間哮鳴) 특징이 있다. 천(喘)은 열담(熱痰)으로 말미암아 것으로 대

부분 외감에 의하여 일어나고(外感引起) 항상 오한발열(惡寒發熱) 등 외감증후가 있

으며, 호흡이 급촉하고, 심지어(甚至於) 어깨를 들먹이며 입을 벌리고(張口拾肩), 콧방

울을 벌름거리며 콧바람을 일구는(鼻翼搧動) 특징이 있다.

臨床 : 담열이치천자(痰熱而致喘者)

治宜 : 청열화담(淸熱化痰), 선폐평천(宣肺平喘)

方用 : 마행석감탕(麻杏石甘湯)《상한론(傷寒論)》거담제(祛痰劑)

≒ 마황(麻黃), 행인(杏仁), 석고(石膏), 감초(甘草).

或 : 상백피탕(桑白皮湯)《경악전서(景岳全書)》거담제(祛痰劑) 加减

≒ 상백피(桑白皮), 반하(半夏), 소자(蘇子), 행인(杏仁), 패모(貝母), 황련

(黃連), 황금(黃芩), 치자(梔子), 생강(生姜).

4) 습담증(濕痰證)

습담증(濕痰證)으로 출현할 수 있는 여러 질병중에 해수(咳嗽)와 천(喘)은 대다수가 습

담이 폐에 요해를(濕痰阻肺) 위주로 하는 습담증으로서 폐의 숙강기능을 상실한(肺

失肅降) 때문에 발생하는 질병이다. 臨床 : 천병(喘病)은 호흡이 급촉하고(呼吸急促),

가슴이 담담하며 가래 끓는 소리가 나고(痰鳴胸悶), 심해지면 어깨를 쳐들고 입을 크

게 벌리고(長口擡肩), 콧방울이 벌렁거리는(鼻翼搧動) 특징이 있다.

治宜 : 조습거담(燥濕祛痰), 강기평천(降氣平喘).

方用 : 삼자양친탕(三子養親湯)《韓氏醫通》거담제(祛痰劑)

合 이진탕(二陳湯)《和劑局方》 거담제(祛痰劑) 화재(化裁)

≒ 자소자(紫蘇子), 백개자(白芥子), 래복자(萊菔子)., 반하(半夏), 운령

(云苓), 노귤홍(老橘紅), 감초(甘草).

5) 수기능심증(水氣凌心證) 해천(咳喘) - 천명(喘鳴)

臨床 : 해천 중에 출현하는 수기능심증(水氣凌心證)의 임상표현은 기침을 하며 호흡이

촉박에 하고(咳喘), 호흡이 짧아 숨이 차며(氣短), 심동계가 빨라 불안해하며(心

悸),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小便不利), 심한 경우 팔다리에 부종이 생기고(甚

則肢体浮腫), 설질이 담담하고 설체는 넓적하게 크고(舌質淡舌体胖), 맥은 힘주

어 눌러야 짚이며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다(脈沉細). 이는 양기가 허하고 수기가

상역하여 심 및 폐를 침범한(系陽虛水逆 凌心及肺所致) 때문이다.

治宜 : 온양이수(溫陽利水)

方用 : 진무탕(眞武湯)《상한론(傷寒論)》

≒ 복령(茯苓), 작약(芍葯), 생강(生姜), 백출(白朮), 포부자(附子).

註 ▷ 천명(喘鳴) : 숨을 쉴 때 후두사이에서 가래소리가 나는 것을 가리킨다.

만일 가래가 성하면서 숨이 가쁘면 담천(痰喘)이라 한다. 담천에

기침이 겸하여 나면 천해(喘咳)라고 한다. 이는 만성기 관지염(慢性氣管支炎),

폐원성심장병(肺原性心臟病), 기관지천식(氣管支喘息) 등 질병에서 흔히 나타

난다.


6) 풍한범폐증(風寒犯肺證)

臨床 : 천증병(喘證病) 중에 출현하는 풍한범폐증(風寒犯肺證)의 임상특징은 호흡이

몹시 급촉하고 가슴이 답답하며(喘急胸悶), 기침을 하고(咳嗽), 가래가 묽고 색

이 희며(痰稀色白), 추운 것이 싫고 땀이 나지 않는(惡寒无汗) 등 이는 기가 막힌

실사(邪實氣壅)로써 폐의 선발과 숙강 기능을 잃은(肺失宣降) 때문이다.

治宜 : 산한(散寒) 선폐(宣肺) 평천(平喘).

方用 : 화개산(華蓋散)《화제국방(和劑局方)》거담제(祛痰劑)

≒ 마황(麻黃), 행인(杏仁), 상백피(桑白皮), 초소자(炒蘇子), 복령(赤茯苓),

진피(陣皮),감초(甘草).

7)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

臨床 : 천증병(喘症病) 중에 출현하는 풍열범폐증(風熱犯肺證)의 임상특징은 호흡이

급촉하여 숨을 급히 몰아쉬고(喘促氣急), 심하면 콧방울이 벌렁거리며(鼻翼搧

動), 기침하고(咳嗽), 빽빽한 가래가 색이 누렇고(痰稠色黃), 뱉어 내기가 어렵다

(難以咯出)., 이는 폐에 풍열이 있어서(風熱在肺), 열이 가득차고 기가 막혀서(熱

盛氣壅), 폐기가 상역하기(肺氣上逆) 때문이다.

治宜 : 청열해표(淸熱解表), 선폐평천(宣肺平喘).

方用 : 마행석감탕(麻杏石甘湯)《상한론(傷寒論)》

≒ 마황(麻黃), 행인(杏仁), 감초(甘草), 석고(石膏).

8) 한담조폐증(寒痰阻肺證)

臨床 : 천병(喘病) 중에 출현하는 한담조폐증(寒痰阻肺證)의 임상특징은 호흡이 급촉

해서 헐떡거리며(呼吸喘促), 희고 묽은 가래를 뱉는데(咯痰白稀), 잘 뱉어지고

(喜唾), 가슴이 그득하며 구역질을 하고(胸滿嘔逆), 입은 담담하며 식욕감퇴 소

화불량 등 위의 수납기능이 정체되고(口淡納呆), 팔다리가 서늘하며 추위가 두

렵다(畏寒肢冷)., 이는 비양이 부족(脾陽不足) 함으로 중초가 한해서(寒從中生),

습이 모여 담이 생기고(聚濕生痰), 위로 폐가 마르기(上乾于肺) 때문이다.

治宜 : 온화한담(溫化寒痰), 강기지해(降氣止咳).

方用 : 령감오미강신탕(苓甘五味姜辛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 복령(茯苓), 감초(甘草), 오미자(五味子), 건강(乾姜), 세신(細辛).

9) 수한사폐증(水寒射肺證)

臨床 : 천증병(喘證病) 중에 출현하는 수한사폐증(水寒射肺證)의 임상특징은 기침을

하며 호흡이 급촉하여 헐떡거리고(咳嗽喘促), 날숨이 많고, 들숨이 적으며(呼多

吸少), 움직이면 천식이 다시 심해지고(動則喘息更甚), 소변이 나오지 않으며

(小便不利), 심하면 팔다리와 몸에 부종이 생기고(甚則肢体浮腫), 설질은 담담

하고 넓적하게 크며(舌質淡胖),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고 실같이 가늘다(脈沉

細). 이는 신양(腎陽)이 허(虛)하고 수기가 상역(水逆)해서 위로 폐를 침범한(上

凌于肺) 때문이다.

治宜 : 납기귀신(納氣歸腎), 온양행수(溫陽行水).

方用 : 흑석단(黑錫丹)《太平惠民和劑局方》온리제(溫里劑)

≒ 沉香(침향), 炮附子(포부자), 胡蘆巴(호로파, 酒浸炒), 陽起石(양기석,硏

細 水飛), 小茴香(소회향, 炒), 破故紙(파고지, 酒浸炒), 肉豆寇(육두구, 面

裹, 煨), 川楝子(천련자, 蒸, 去皮,核), 木香(목향), 肉桂(육계), 黑錫(흑석,

去渣滓), 硫黃(유황).

合 진무탕(眞武湯)《상한론(傷寒論)》온리제(溫里劑)

≒ 복령(茯苓), 작약(芍葯), 생강(生姜), 백출(白朮), 포부자(炮附子).

10) 신불납기증(腎不納氣證)

臨床 : 신불납기증(腎不納氣證) 중에 보는 천증(喘證)은 천식(喘息)이 움직이면 더욱

심해지며(動則尤甚), 계속 숨을 이어서 쉬지 못하는(氣不接續) 등 특징이 있고

대부분 호흡이 촉박함이 오래되고(喘促日久), 병이 깊어져 신에 미치게 된(病深

及腎) 때문이다.

治宜 : 보신납기(補腎納氣)

方用 : 삼합산(參蛤散)《중의방제임상수책(中醫方劑臨床手冊)》

≒ 인삼(人蔘), 합개(蛤蚧).

合 칠미도기환(七味都氣丸)《의종기임편(醫宗己任編)》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복령(茯苓), 모단피

(牡丹皮), 택사(澤瀉), 오미자(五味子).

11) 심폐기허증(心肺氣虛證)

臨床 : 심폐기허증(心肺氣虛證)의 해천(咳喘)은 대부분 해천병이 낫지 않아 오래 되었

다(咳喘日久)., 증견(症見)은 기침이 무력(咳嗽无力)하고, 움직이면 심동계가 빨

라져서 가슴이 두근거리며 땀이 나고(動則心悸汗出), 숨이 차고 호흡을 헐떡거

린다(氣短作喘), 심(甚)하면 입과 입술이 푸른 자줏빛이 된다(口脣靑紫). 이는

폐기가 허쇠(肺氣虛衰)하고 심에 연루되면(累及于心) 혈액운행(血液運行)이 무

력해 진다.

治宜 : 보폐정천(補肺定喘), 익기양심(益氣養心)

方用 : 보폐탕(補肺湯)《영류검방(永類鈐方)》

≒ 인삼(人蔘), 황기(黃芪), 숙지황(熟地黃), 오미자(五味子), 자원(紫菀), 상

백피(桑白皮).

12) 비폐기허증(脾肺氣虛證)

臨床 : 비폐기허증(脾肺氣虛證)에서 보는 효천(哮喘)은 기침을 하며 끈끈한 가래가 많

고(咳嗽痰多而粘), 상쾌하게 뱉어지지 않으며(咯出不爽), 호흡이 짧고 가슴이

답답하며(胸悶氣短), 매스껍고(惡心), 소화불량 식욕감퇴 등 위의 수납기능이

정체되고(納呆), 설태가 희고 미끈거리며(舌苔白膩), 맥은 순조롭고 원활한(脈

滑) 비기부족(脾氣不足)으로 인해 담습이 내성(痰濕內盛)하고 기도를 요해함으

로(氣道被阻), 폐기가 숙강기능을 잃고 상역하게 되는 것이다(肺氣失降).

治宜 : 보비익기(補脾益氣) 거담강기이평천(祛痰降氣而平喘).

方用 :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화제국방(和劑局方)》

≒ 소자(蘇子), 반하(半夏), 육계(肉桂), 전호(前胡), 후박(厚朴), 진피(陣

皮), 감초(甘草), 당귀(當歸), 생강(生姜), 대조(大棗).

合 삼자양친탕(三子養親湯)《한씨의통(韓氏醫通)》가감(加减)

≒ 자소자(紫蘇子), 백개자(白芥子), 래복자(萊菔子).

《景岳全書 ․ 喘促》云 “폐비기허(肺脾氣虛)하여, 상초에 미열(上焦微熱)이 있고,

목이 좀 마르고 기침을 하는 사람(微渴而作喘者)”은 생맥산(生

脈散)《내외상변혹론(內外傷辨惑論)》

≒ 인삼(人蔘),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13) 폐신음허증(肺腎陰虛證)

臨床 : 기침을 하면서 숨을 헐떡거리는 해천이 오래 되면(咳喘日久), 폐의 병변이 신에

미친(肺病及腎), 금불생수(金不生水)로써 어미의 병이 자식에 미치게(母病及子)

되어 폐신음허(肺腎陰虛)에 이를 수 있다. 때문에 임상에서 천촉(喘促)을 볼 수

있고, 움직이면 천식이 다시 심해지며(喘息更甚), 몸과 정신이 지치고 피곤하여

고달프고(形神疲憊), 혀와 목구멍이 건조하며(咽干舌燥), 혀는 붉고 태는 적고

(舌紅苔少),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며 실같이 가늘지만 똑똑하다. 혹 겸하여

척맥이 약하다(脈沉細或兼尺弱).

治宜 : 자음납기(滋陰納氣)

方用 : 생맥산(生脈散)《내외상변혹론(內外傷辨惑論)》

≒ 인삼(人蔘),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合 칠미도기환(七味都氣丸)《의종기임편(醫宗己任編)》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복령(茯苓), 모단피

(牡丹皮), 택사(澤瀉), 오미자(五味子).

31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탐방139 22. 기타약물(其他葯物)

22. 기타약물(其他葯物) 葯種(약종) : 木槿皮(목근피), 木槿花(목근화), 茯苓皮(복령피), 茯神(복신), 絲瓜絡(사과락), 龍齒(용치), 楡根皮(유근피), 좀작살나무, 天葵子(천규자), 茺尉子(충위자),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탐방138 效能主治 21. 拔毒化腐生肌葯

21. 발독화부생기약(拔毒化腐生肌葯) 葯種(약종) : 輕粉(경분), 爐甘石(노감석), 硼砂(붕사), 砒石(비석), 升葯(승약), 鉛丹(연단)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경분(輕粉) : 外用(외용) : 攻毒殺虫(공독살충) - 疥瘡(개창),...

탐방137 20. 解毒殺虫燥濕止痒葯

20. 해독살충조습지양약(解毒殺虫燥濕止痒葯) - 외용약(外用葯) + 內服葯(내복약) 葯種(약종) : 大蒜(대산), 大楓子(대풍자). 明礬(명반), 白礬(백반), 蜂房(봉방), 蛇床子(사상 자), 雄黃(웅황), 硫黃(유황), 皂礬(조반),...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