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탐방86 장출혈(腸出血) - 정신병(精神病)

Aktualisiert: 30. Sept. 2019



장출혈(腸出血) - 장풍(腸風) - 저혈압(低血壓) - 전간(癲癎) - 전광(癲狂) - 癲癎發狂(전간발광) - 전열선염(前列腺炎) - 절종(癤腫) - 정신병(精神病)




장출혈(腸出血)

參照文(참조문) : 변혈(便血)

1) 血熱妄行(혈열망행)

⑴ 腸風下血(장풍하혈)

應用葯(응용약) - 淸熱凉血(청열양혈) 止血(지혈) : 槐花(괴화),

① 槐花(괴화) 加 荊芥(형개), 側柏葉(측백엽)

≒ 楡槐臟連丸(유괴장연환) - 腸風便血(장풍변혈)

⑵ 淸熱利濕(청열이습), 凉血(양혈) : 木槿花(목근화),


장풍(腸風)

1) 祛風濕(거풍습)

應用葯(응용약) - 祛風濕(거풍습) : 南蛇藤(남사등, 臭花椒(취화초), 노박덩굴).


저혈압(低血壓)

參照文(참조문))

1) 休克(휴극)

應用葯(응용약) : 枳實(지실),

1) 升壓(승압) - 强心(강심) 抗休克(항휴극)

① 附子(부자), 乾姜(건강), 甘草(감초), 四逆針(사역침, 注射液)을 製造(제조)하여


장출혈(腸出血) ⇒ 出血(출혈)

적체(積滯) ⇒ 소화불량(消化不良)


전간(癲癎)

전간(癲癎) : 간질(癎疾) epilepsia, epilepsy 간증(癎證)이라고도 하며 보통 양간풍(羊癎

風)이라고 한다. 발작성 정신이상의 질병이다. 그 특징은 발작 할때 갑자기 졸도하고 흰

거품을 토하며 눈을 위로 치켜뜨고 사지(四肢)에 경련(痙攣)을 일으키거나 혹은 돼지나

양과 같은 소리를 지르며, 정신을 차린 후에는 피로한 감을 느끼는 외에는 정상적인 사람

과 다름이 없이 회복된다. 언제나 일정한 시간이 없이 반복적으로 발작한다. 병인(病因)은

몹시 놀라거나 몹시 두려워서 간신(肝腎)을 상하여 신(腎)이 허(虛)하고, 간기(肝氣)가 왕

성(旺盛)하거나 혹은 기타 질병이 계발(繼發)되어 담(痰)이 경락에 모여들어 간기(肝氣)가

조화를 잃게 됨으로 기(氣)가 상역(上逆)하고 담이 넘쳐 나와서 청규(淸竅, 頭面部 七竅)를

막기 때문에 갑자기 발작이 일어나는 것이다. 선천적 요소(稟賦)에 의하여 걸린 환자는 대

부분 아동시기에 발생한다.

임상에서는 간증(癎證)을 음간(陰癎)과 양간(陽癎) 2가지로 나눈다. 병인(病因)에 따라 또

경간(驚癎), 풍간(風癎), 식간(食癎)과 폐간(肺癎) 등으로 나눈다.

양간(陽癎) :

① 실열(實熱)에 치우친 간증(癎證)으로 일반적으로 환자의 체질이 비교적 튼튼하

고, 발작이 급하며, 갑자기 넘어지면서 소리를 지르고, 경련이 일어나며 거품을

토하고, 아관긴폐(牙關緊閉)가 생기며, 양눈을 위로 치켜뜨고, 몸에 열이 나며 맥

은 현하고 삭하다,

② 소아급경풍의 별명(別名)이다.

음간(陰癎) :

① 허한(虛寒)에 치우친 간증(癎證)으로 일반적으로 환자의 체질이 비교적 약하거나

간증이 반복적으로 발작하여 정기가 점차 쇠약해져 담(痰)이 맺히고 사라지지 않

는다. 발작할 때 나타나는 증상은 얼굴이 창백하고, 멍해 있으면서 마무것도 인식

하지 못하고 움직이지도 않으며 말하지도 않고, 몸이 차고 맥이 침하고 현하다.

② 소아만경풍(小兒慢驚風)의 별명이다.

풍간(風癎) :

① 간증이 발작할 때 목이 뻣뻣해지고, 눈을 곧추뜨며, 인사불성이고, 심지어 아관긴

폐(牙關緊閉)가 생긴다. 대체로 간경(肝經)에 열(熱)이 쌓인데서 생긴다.

② 외감풍사(外感風邪)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병으로 그 실체는 소아급경풍이다.

경간(驚癎) :

① 몹시 놀람으로 일어나는 간증을 가리킨다.

② 당, 송대의 의학서적에 소개된 경간은 소아경풍을 가리킨다.

폐간(肺癎) :

간증을 발작할 때 얼굴이 회백색이고, 눈을 위로 치켜뜨며, 놀라서 뛰고, 목이 뻣뻣

해지면서 뒤로 젖히고 손을 느슨히 하며, 입을 벌리고, 혀를 내밀며, 양(羊)이 우는

것과 같은 소리를 낸다.폐(肺)가 허(虛)한데다가 사기(邪氣)를 감수하여 간신(肝腎)

이 상(傷)함으로 일어난다.

식간(食癎) : 소아들이 젖을 먹고 상(傷)한데서 유발한다.

1. 參照文(참조문) : 풍간(風癇)

2. 常用葯(상용약)

1) 癲癎抽축(전간추축 : 羚羊角(영양각),

3.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全蝎(전갈)4.5 + 蜈蚣(오공)3 =(硏末冲服 每1g) 癲癎(전간)

2) 茺尉子(충위자)10 + 天麻(천마)10 = 癜癎爲患(전간위환), 兼見(겸견) 絡道不暢(락도

불창), 以致頭昏(이치두혼), 頭痛(두통)

3) 珍珠(진주)3 + 海參湯(해삼탕)30 = 癲癎(전간)

4) 鬱金(울금)10 + 白礬(백반)3 = 風痰癲癎(풍담전간)

5) 阿膠(아교)10, 龜板膠(구판교)10, 廘角膠(녹각교)10 =(人乳焞化(인유돈화) 白開水送

服(백개수송복)) 癲癎(전간)

4. 症狀(증상)괴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癲癎(전간)

應用葯(응용약) : 九節菖蒲(구절창포), 水菖蒲(수창포), 黎蘆(여로), 熊膽(웅담),

- 鎭靜安神(진정안신) : 珍珠(진주), 琥珀(호박)

- 瀉水逐痰(사수축담) : 甘遂(감수),

⑴ 風痰癲癎(풍담전간)

① 豆膚制甘遂(두부제감수)

② 白礬(백반) 常與 細茶(세차) 硏末(연말) 蜜丸服(밀환복)

③ 禹白附(우백부) 配 半夏(반하), 南星(남성)

④ 天南星(천남성) 配 胡椒(호초), 水牛角(수우각), 冰片(빙편). . ≒ 癲寧片(전영편)

⑵ 風痰湧吐(풍담용토)-下氣消痰(하기소담), 痰氣鬱滯(담기울체), 蒙蔽淸竅(몽폐청

규), 癲癎痰多(전간담다)

① 瓜蒂(과체) - 痰熱鬱于胸中(담열울우흉중)

② 膽礬(담반) 單獨細末(단독세말)하여 溫醋湯(온초탕)으로 服用(복용)한다.

③ 胡椒(호초) 加 篳茇(필발) 등 分爲末服(분위말복)

⑶ 熱痰鬱于胸中(열담울우흉중) 癲癎發狂(전간발광)

① 瓜蒂(과체) 可單用 硏末呑服 取吐(가단용 연말탄복 취토)

② 瓜蒂(과체) 或配 鬱金(울금) 等分爲末(등분위말) 溫開水調服(온개수조복).

⑷ 痰熱壅盛(담열옹성) 淸熱化痰(청열화담)

① 膽南星(담남성) 加 牛黃(우황), 朱砂(주사), 天麻(천마) ≒ 千金散(천금산), 癲癎

丸(전간환).

② 石菖蒲(석창포) 配 枳實(지실), 竹茹(죽여), 黃連(황련). . . ≒ 淸心溫膽湯(청심온

담탕)

③ 羚羊角(영양각) 配 鉤藤(구등), 天竹黃(천죽황), 鬱金(울금), 朱砂(주사)

④ 熊膽(웅담) 加 竹瀝(죽력). - 溶解(용해)

⑸ 痰火蒙心者(담화몽심자)

① 鬱金(울금) 加 白礬(백반) ≒ 白金丸(백금환) - 祛痰涎(거담연)

② 天竹黃(천죽황) 常配 黃連(황련), 菖蒲(창포), 鬱金(울금) - 淸心化痰(청심화담)

⑹ 癲癎痰盛(전간담성)

應用葯(응용약) : 祛痰開竅(거담개규) : 猪牙皂(저아조), 皂角(조각),

⑺ 痰迷癲癎(담미전간), 抽축(추축)

① 全蝎(전갈) 配 鬱金(울금), 白礬(백반) 등 - 硏細末服(연세말복)

⑻ 大發作(대발작)

① 石菖蒲油(석창포유) 0.2~0.3ml를 肌肉注射(기육주사)하여 鎭靜(진정), 催眠

(최면)으로 症狀(증상)을 控制(공제)해서 精神分裂症(정신분렬증)을 치료한다.

② 天麻(천마) 提取(제취) 有效成分(유효성분) 制得(제득) 香莢蘭醛片(향협란철

편)

⑼ 癲癎昏卜(전간혼복)

① 遠志(원지) 可與 半夏(반하), 天麻(천마), 全蝎(전갈)

② 朱砂(주사) 每與 磁石(자석), 龍骨(용골), 神曲(신곡). . . ≒ 磁朱丸(자주환) - 癲癎

卒昏(전간졸혼)

⑽ 心神不寧(심신불영) : 神不守舍(신불수사), 驚恐氣難(경공기난),擾動心神(요동심

신),肝火上炎(간화상염),

① 磁石(자석) 常與 朱砂(주사), 神曲(신곡). . . ≒ 磁朱丸(자주환)

② 珍珠母(진주모) 配 天麻(천마), 鉤藤(구등), 天南星(천남성), 琥珀(호박), 朱砂(주

사) - 鎭心定驚(진심정경)

⑾ 癲癎發狂(전간발광)

應用葯(응용약) : 朱砂(주사),

- 平肝鎭驚(평간진경) : 金礞石(금몽석),

① 地龍(지용) 單用(단용). - 鮮品(선품) 同鹽化爲水(동염화위수) 飮服(음복)

2) 癎病(간병)

應用葯(응용약) : 黃羊角(황양각),

⑴ 風痰癎病(풍담간병)

① 白礬(백반), 細茶(세차). 細粉(세분)하여 蜜丸服用(밀환복용) ≒ 化痰丸(화담환)

5. 辨證施治(변증시치)

1) 풍담증(風痰證)

臨床 : 간병(癎病)의 풍담증은 풍담이 상부를 요동(風痰上擾) 시킴으로 말미암아 정

신과 마음이 베일에 쌓인 것 같기(心神被蒙) 때문에 일종에 발작성 질병이다.

발작시에 주요 임상표현은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고(突然昏倒),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며(不省人事), 거품을 담은 침을 토하고(嘔吐涎沫), 두 눈을 위

로 치켜뜨고(兩目上視), 몸과 팔다리를쭉 뻗으며, 입안으로 돼지, 양과 같은

짐승소리를 내고(口中發猪羊叫聲), 잠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깨어나며(移時

蘇醒), 또 경상적으로 발작하고(且經常發作), 후유증은 없다.

治宜 : 척담식풍(滌痰熄風), 개규정간(開竅定癇).

方用 : 정간환(定癎丸)《의학심오(醫學心悟)》加减

≒ 마황(麻黃), 천패모(川貝母), 담남성(膽南星), 강반하(姜半夏), 진피(陣

皮), 복령(茯苓), 복신(茯神), 단삼(丹參), 맥문동(麥門冬), 석창포(石菖

蒲), 원지(遠志), 전갈(全蝎), 강잠(姜蚕), 호박(琥珀), 주사(朱砂), 죽력

(竹瀝), 강즙(姜汁), 감초(甘草).

2) 담탁내몽심포증(痰濁內蒙心包證)

臨床 : 간증(癇證) 중에 출현하는 담탁내몽심포증(痰濁內蒙心包證)의 그 임상표현

은 항상 발작하기 전에는(發作前常有) 현운(眩暈), 흉민(胸悶), 핍력(乏力) 등

의 증상이 있고, 발작시(發作時)에는 갑자기 비틀거리다 뒤집어지며(突然跌

仆), 정신의지가 맑지 못하고(神志不淸), 가래를 토하며 사지를 쭉뻗거나(抽

축吐痰), 혹은 짐승이 우는 소리를 내거나(吼叫) 혹은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

는(二便失禁) 등의 증상을 보이고 태백니(苔白膩)하며 맥은 현활(脈弦滑)하

다.

治宜 : 滌痰熄風(척담식풍), 開竅定癎(개규정간)

方用 : 定癎丸(정간환)《醫學心悟(의학심오)》

≒ 마황(麻黃), 천패모(川貝母), 담남성(膽南星), 강반하(姜半夏), 진피

(陣皮), 복령(茯苓), 복신(茯神), 단삼(丹參), 맥문동(麥門冬), 석창포

(石菖蒲), 원지(遠志), 전갈(全蝎), 강잠(姜蚕), 호박(琥珀), 주사(朱砂),

죽력(竹瀝), 강즙(姜汁), 감초(甘草).

或 : 溫膽湯(온담탕)《千金方》

≒ 이진탕(二陣湯, 반하(半夏), 운령(云苓), 귤피(橘皮), 감초(甘草)) 加 죽

여(竹茹), 지실(枳實).


전광(癲狂) - 癲癎發狂(전간발광)

전(癲)과 광(狂)은 모두 정신이 문란한 질병으로서 허실(虛實)로 분류 된다. 전병(癲病)은

정신이 우울한 상태에 있고 정감(情感)이 박약하며, 침울하고 멍청하며, 두서없이 말하고,

배가 고픈 줄을 모르고 심한 경우는 갑자기 넘어져 눈을 곧게 뜨고 있는 등 증상을 나타내

는데 이는 허증(虛證)에 속한다.

발병은 담기울결(痰氣鬱結) 혹은 심비양허(心脾兩虛)에 의하여 일어난다. 광병(狂病)은 흥

분상태에 있고, 미쳐 날뛰면서 불안해하며, 옷을 벗어 던지며 사람을 함부로 때리거나 욕

설을 하고, 노래를 부르거나 쉴 새 없이 울며, 성을 잘 내고, 심지어 지붕위에 올라가는 등

증상을 나타내는데 이는 실증(實證)에 속한다.

발병은 양기가 지나치게 항성하거나, 심신(心神)이 외향성으로 들떠 있을 때 일어난다. 때

문에《난경 ․ 20난》에서는 “중양자는 광증이고, 중음자는 전증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전과 광은 병리적 변화에서 여전히 관련이 있다. 전증(癲證)이 오래되면 담울화화

(痰鬱化火)로 되어 광증(狂症)으로 나타날 수 있고, 광증(狂證)이 오래되면 울화(鬱火)가 점

차 배설되고 담기(痰氣)가 체류되면서 전증(癲證)이 나타날 수 있다. 때문에 흔히 이들을

전광(癲狂)이라고 하는 것이다.

전광(癲狂), 전병(癲病, 癲證), 광병(狂病, 狂證)

1.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痰熱內鬱(담열내울)

① 白礬(백반), 鬱金(울금). 丸葯(환약) ≒ 白金丸(백금환)

⑴ 湧吐熱痰(용토열담)

① 瓜蒂(과체) - 內服(내복)

⑵ 痰火蒙心者(담화몽심자)

① 鬱金(울금) 加 白礬(백반) ≒ 白金丸(백금환) - 祛痰涎(거담연)

2) 風痰癲狂(풍담전광)

⑴ 淸火痰涎(청화담연)

① 白礬(백반) 常與 鬱金(울금). . . ≒ 白金丸(백금환)

3) 平肝鎭驚(평간진경)

應用葯(응용약) : 靑礞石(청몽석),

4) 解痙止痛(해경지통) 安神定痛(안신정통)

應用葯(응용약) : 南天仙子(남천선자),

2. 辨證施治(변증시치)

1) 담화우심증(痰火扰心證)

臨床 : 전광병 중에 출현하는 담화우심증의 임상표현은 마음이 답답하고 괴로우며

(心煩), 심장이 두근거리고 두려우며(心悸), 중증 환자는 말에 조리 없이 횡설

수설 입 살에 발린 호언을 하며(胡言亂 語), 미쳐서 날뛰고(狂躁妄動), 대변은

거조하며(大便乾), 설태는 미끈거리고(苔膩) 맥은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 번

이상 뛴다.(脈數). 대부분 의지와 뜻이 잘 풀리지 않고(情志不暢), 몹시 괴로워

화를 내서 간(肝)을 상하고(惱怒傷肝), 간기가 막혀 화(火)가 되며(氣鬱化火),

열화가 진액을 가열해서 담이 되고(灼津爲痰) 담화가 상초를 어지럽혀(痰火上

擾), 심규(心竅)를 덮어 싸므로(蒙蔽) 정신의지를 어지럽게(神志逆亂) 하기 때

문이다.

治宜 : 척담청화(滌痰淸火) 진심안신(鎭心安神)

方用 : 생철락음(生鐵落飮)《醫學心悟》거담제(祛痰劑)

≒ 생철락(生鐵絡),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冬), 패모(貝母), 담성(膽

星), 귤홍(橘紅), 원지(遠志), 석창포(石菖蒲), 연교(連翹), 복령(茯苓),

복신(茯神), 현삼(玄參), 구등(鉤藤), 단삼(丹參), 주사(朱砂).

2) 혈어증(血瘀證)

臨床 : 전광병중에서 보게 되는 혈어증의 임상표현은 허망한 말과 미친 소리를 하고

(狂言妄語), 잠을 잃고(失眠), 답답해하고 괴로워하며(煩悶), 화내는 것을 정당

하게 생각하고(善怒) 혀가 붉거나 혹은 어두운 자줏빛(舌紅或紫黯)이고 맥이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면서 때때로 불규칙적으로 정지하는 맥을

(脈促)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멍든 피가 엉겨서 막히고(血瘀凝滯), 기혈이 뇌

수를 자양하지 못하기(氣血不榮于腦) 때문이다.《왕청임(王淸任)》설에 의하면

전광(癲狂)의 증상은 쉬지 않고 울고 웃기를 반복하며(哭笑不休), 노래로 욕설

을 하고(詈罵歌唱), 회피한다거나 가려서 새로워지지 못하고 허다한 나쁜 짓

이란 짓은 다하고(不避新疏, 許多惡態) 기혈이 엉겨 붙어서 막혀(氣血凝滯) 뇌

의 기와 장부의 기가 떨어져 일치하지 못하므로(腦氣與臟腑氣不接) 마치 꿈을

꾸는 것 같다(如同作夢一樣).

治宜 : 행기개어(行氣開瘀)

方用 : 전광몽성탕(癲狂夢醒湯)《의림개착(醫林改錯)》리기제(理氣劑)

≒ 도인(桃仁), 시호(柴胡), 향부(香附), 목통(木通), 적작(赤芍), 반하

(半夏), 대복피(大腹皮), 청피(靑皮), 진피(陳皮), 상백피(桑白皮), 소

자(蘇子), 감초(甘草).

3) 담기허증(膽氣虛證)

臨床 : 담기허증(膽氣虛證)에서 보는 전광병(癲狂病) 중에 임상표현은 정신실상(精神

失常)을 위주로 어리석고 멍청하게 침묵하고(沉黙痴呆), 쉽게 놀라며 몹시 두

려워하고(恐懼易驚), 말에 순서가 없으며(語无倫次), 혹 초조해하고 괴로워 잠

을 못자며(不寐煩躁), 혀는 붉고 태는 누렇다(舌紅苔黃), 맥은 순조롭고 원활한

것이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滑數). 이는 근심 걱

정이 지나치게 과도한 탓에(此因思慮太過), 담기가 부족하여(膽氣虛怯), 심신

이 편안하지 못하고(心神不寧), 담기가 막혀 열로 변한(膽氣鬱而化熱) 때문이

다(所致).

治宜 : 청열척담(淸熱滌痰), 영신정지(寧神定志).

方用 : 온담탕(溫膽湯)《천금방(千金方)》

작입(酌入) : 자석(磁石), 생대자석(生代赭石), 주사(朱砂) 등

중진안신(重鎭安神) 약물(葯物)

≒ 반하(半夏), 진피(陣皮), 감초(甘草), 죽여(竹茹), 지실(枳實), 생강(生姜).

4) 담탁내몽심포증(痰濁內蒙心包證)

臨床 : 만일 전증(癲證) 중에 출현하는 담탁내몽심포증(痰濁內蒙心包證)의 표현은

기병이 완만하며(起病緩慢), 정신이 억울하고(精神抑鬱), 표정이 싱겁고 조용

하며(表情淡漠), 정신의지가 어리석고(神志 痴呆), 말의 선후가 분별이 없으며

(語无論次), 혹은 정신이 어둡고 헛소리를 치거나(神昏譫語), 혹은 때를 가리지

않고 기뻐하다가 노하기도 하는 것이(喜怒无常), 초작이 괴이하게(初作怪異),

망견망문(妄見妄聞)하며, 태백니(苔白膩)하고, 맥은 현활(脈弦滑)하다.

治宜 : 化痰開竅(화담개규), 理氣解鬱(리기해울).

方用 : 順氣導痰湯(순기도담탕)《類證治裁(류증치재)》

≒ 도담탕(導痰湯, 반하(半夏), 복령(茯苓), 진피(陣皮), 감초(甘草), 남

성(南星), 지실(枳 實)) 加 목향(木香), 향부(香附), 오약(烏葯).


전열선염(前列腺炎)

1. 相須配合(상수배합)과 治症(치증)

1) 車前子(차전자)10 + 六一散(육일산)10 = 前列腺肥大(전열선비대), 急慢性腎炎(급만

성신염), 腎盂腎炎(신우신염), 膀胱炎(방광염), 尿道炎(뇨도염) 表現于(표현우) 小便

不利(소변불리) 諸症(제증)

2. 症狀(증상)과 治法(치법)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근년(近年) : 왕불유행(王不留行) 配 紅花(홍화), 敗醬草(패장초) 同用(동용)


절종(癤腫)

應用葯(응용약) : 土槿皮(토근피),

1) 解毒消腫(해독소종)

① 金銀花(금은화) 鮮品(선품) 찧어 外敷(외부),

② 金銀花(금은화) 或加 蒲公英(포공영), 野菊花(야국화), 紫花地丁(자화지정).

≒ 五味消毒飮(오미소독음)

2) 熱毒癤腫(열독절종)

⑴ 淸熱解毒(청열해독)

應用葯(응용약) : 重樓(중루),

① 魚腥草(어성초) 鮮品(선품) 外敷(외부)

3) 癤腫瘡毒(절종창독)

⑴ 活血消腫(활혈소종)

① 合歡皮(합환피) 須與 蒲公英(포공영), 紫花地丁(자화지정), 連翹(연교) 等


정맥염(靜脈炎) ⇒ 맥관염(脈管炎)


정신병(精神病)

1. 參照文(참조문)

신혼(神昏) : 神志, 神識, 神知 등 (신지) - 不淸(불청)

1) 淸熱解毒(청열해독)

應用葯(응용약) : 拳蔘(권삼),

2) 精神不足(정신부족)

應用葯(응용약) : 蛤蟆油(합마유),

3) 精神分裂症(정신분열증) 應用葯(응용약) : 大戟(대극),

1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탐방139 22. 기타약물(其他葯物)

22. 기타약물(其他葯物) 葯種(약종) : 木槿皮(목근피), 木槿花(목근화), 茯苓皮(복령피), 茯神(복신), 絲瓜絡(사과락), 龍齒(용치), 楡根皮(유근피), 좀작살나무, 天葵子(천규자), 茺尉子(충위자),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목근피(木槿皮) : 淸熱殺虫止痒(청열살충지양) - 皮膚疥癬(피부개선), 목근화(木槿花) : 淸熱利濕(청열이습), 凉血(량

탐방138 效能主治 21. 拔毒化腐生肌葯

21. 발독화부생기약(拔毒化腐生肌葯) 葯種(약종) : 輕粉(경분), 爐甘石(노감석), 硼砂(붕사), 砒石(비석), 升葯(승약), 鉛丹(연단)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경분(輕粉) : 外用(외용) : 攻毒殺虫(공독살충) - 疥瘡(개창), 頑癬(완선), 臁瘡(렴창), 梅毒(매 독), 瘡瘍(창양), 濕疹(습진), 黃水瘡(황수창), 瘡瘍潰爛(창양궤란) 內服(내

탐방137 20. 解毒殺虫燥濕止痒葯

20. 해독살충조습지양약(解毒殺虫燥濕止痒葯) - 외용약(外用葯) + 內服葯(내복약) 葯種(약종) : 大蒜(대산), 大楓子(대풍자). 明礬(명반), 白礬(백반), 蜂房(봉방), 蛇床子(사상 자), 雄黃(웅황), 硫黃(유황), 皂礬(조반), 土荊皮(토형피), 󰜋麻子(피마자), 血竭 (혈갈). 効能(효능) 및 主治(주치) 대산(大蒜) : 行氣消積(행기소적),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