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탐방84 자시(痄腮) - 자한(自汗)

Aktualisiert: 30. Sept. 2019


자시(痄腮) - 자음(滋陰) - 자전(紫癜) - 자한(自汗)




자시(痄腮)

流行性耳下腺炎(유행성이하선염) 腮腫(시종) 혹은 含腮瘡(함시창)이라고 하며 또 蝦蟆瘟

(하마온)이라고도 한다. 溫毒病邪(온독병사)를 감수한 후 腸胃(장위)에 쌓인 열과 肝膽(간

담)의 鬱火(울화)가 소양경락을 막아 발생하는 병으로 겨울과 봄철에 흔히 유행한다. 대부

분 學齡前(학령전)의 어린이들에게 비교적 많이 발병한다. 주요증성은 한쪽 혹은 선후로

양쪽 이하선 부위가 붙고, 주위가 명확하지 않으며 누르면 유연하고, 堅實(견실)한 감이 나

며 頭痛(두통)과 壓痛(압통)등이 있는 流行性耳下腺炎(유행성이하선염)이다.

1. 應用葯(응용약) : 牛蒡子(우방자),

2.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痄腮喉痹(자시후비)

⑴ 淸熱解毒(청열해독) - 消腫止痛(소종지통)

應用葯(응용약) - 淸熱解毒(청열해독) : 大靑葉(대청엽)

① 鴨跖草(압척초) 加 板藍根(판람근), 玄參(현삼)

② 蚤休(조휴) 加 牛蒡子(우방자), 連翹(연교), 板藍根(판람근)

⑵ 熱毒瘡腫(열독창종)

① 牛蒡子(우방자) 加 銀花(은화), 板藍根(판람근)

⑶ 解毒排膿(해독배농)

應用葯(응용약) : 赤小豆(적소두),

⑷ 咽痛痄腮(인통자시)

① 板藍根(판람근) 加 連翹(연교), 牛蒡子(우방자), 玄參(현삼). . . ≒ 普濟消毒飮(보제

소독음) ☞ 偏降(편강)하며 凉血消斑力(량혈소반력),瀉肝火力(사간화력)이 크다.

2) 痄腮腫痛(자시종통) 應用葯(응용약) : 莢果蕨貫衆(협과궐관중),

3. 辨證施治(변증시치)

1)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

臨床 : 자시병(痄腮病) 중에 보이는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은 역시 외부로부터 온독

의 사기가 침입해서(溫毒外侵), 위로 뺨 부위를 범하고(上犯腮部), 기혈을 옹체

하도록 한다(致使氣血壅滯) 症見 : 발열(發熱)하며, 양쪽 뺨이 발갛게 붙고 아프

며(兩腮腫脹紅痛), 구갈(口渴), 번조(煩躁), 설강(舌絳), 맥현삭(脈弦數)하다.

治宜 : 疏風淸熱(소풍청열), 解毒消腫(해독소종).

方用 : 普濟消毒飮(보제소독음)《東垣十書》

≒ 連翹(연교, 酒炒), 牛蒡子(우방자), 薄荷(박하), 姜蚕(강잠), 升麻(승

마), 柴胡(시호), 馬勃(마발), 板藍根(판람근), 玄參(현삼), 桔梗(길경),

黃連(황련), 甘草(감초), 黃芩(황금,酒炒), 橘紅(귤홍).

- 수전복(水煎服)

另用 三黃二香散(삼황이향산)《溫病條辨》

≒ 대황(大黃), 연교(連翹), 황백(黃柏), 유향(乳香), 몰약(沒葯).

- 곱게 가루 내어(細末), 첫 번은 찻물로(茶汁) 조리해서 환처에 바

른다. 이것이 마르면 이 마른 것을 마유(麻油)에 다시 개어서 환처

에 바른다.

或如意 金黃散(금황산)《外科正宗》

≒ 大黃(대황), 黃柏(황백), 姜黃(강황), 白芷(백지) 各2500, 南星(남성), 陣皮

(진피), 蒼朮(창출), 厚朴(후박), 甘草(감초)各1000, 天花粉(천화분)5000.

- 共硏細末 可用 葱搗汁 酒 油 蜜 菊花露 銀花露 絲瓜葉搗汁 等 外敷腮

部(외부시부)


자음(滋陰)

1. 參照文(참조문).

1) 보혈(補血) - 자음보혈(滋陰補血)

2.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滋補良葯(자보량약) : 龍眼肉(용안육) - 補益心脾(보익심비), 養血安神(양혈안신).

3. 常用葯(상용약)

1) 滋陰補血(자음보혈), 潤肺(윤폐), 潤腸(윤장)

⑴ 滋陰補血(자음보혈) 潤燥(윤조) - 滋陰潤肺(자음윤폐), 又能補血(우능보혈), 止血的

(지혈적) 葯物(약물) : ☆ 阿膠(아교) - 烊化(양화)

⑵ 補脾益氣(보비익기), 又能(우능) 潤肺滋陰的(윤폐자음적) 葯物 : ☆ 黃精(황정)

⑶ 滋陰養血(자음양혈), 潤腸通便(윤장통변) : ☆ 何首烏(하수오)

2) 滋陰潤燥(자음윤조)

⑴ 淸熱瀉火(청열사화), 滋陰潤燥(자음윤조) : ☆ 知母(지모)

3) 滋陰潛陽(자음잠양)

⑴ 軟堅散結(연견산결), 滋陰潛陽的(자음잠양적) 葯物(약물) : ☆ 鱉甲(별갑)

⑵ 滋陰潛陽(자음잠양), 益腎健骨(익신건골), 養血補心(양혈보심) 功效的(공효적) 葯物

: ☆ 龜板(구판)

⑶ 滋陰潛陽(자음잠양) : ☆ 龜板(구판), 鱉甲(별갑) - 共同点(공동점)

4.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滋陰主葯(자음주약) : 熟地黃(숙지황) - 養血滋陰(양혈자음), 補精益髓(보정익수).

5. 生津潤燥葯(생진윤조약) - 陰虛陰燥證(음허음조증) 治療葯(치료약)

1) 肺陰虛(폐음허) : 乾咳少痰(건해소담), 咯血(각혈), 鼻淵(비연), 口乾(구건).

≒ 淸燥救肺湯(청조구폐탕)

2) 胃陰虛(위음허) : 嘈雜症(조잡증), 舌紅(설홍) 苔(태,胃氣) 剝苔(박태)

≒ 益胃湯(익위탕), 加减葳蕤湯(가감위유탕)

3) 心陰虛(심음허) : 心營熱證(심영열증), 煩躁(번조), 心悸(심계), 不眠(불면).

≒ 淸營湯(청영탕)

4) 肝陰虛(간음허) : 目眩頭暈(목현두운, 眩暈證), 目暗乾澁昏花(목암건삽혼화)

≒ 杞菊地黃丸(기국지황환)

5) 腎陰虛(신음허) : 腰膝酸痛(요슬산통), 无力(무력), 心腎不交(심신불교), 遺精(유정).

≒ 六味地黃丸(육미지황환), 左歸丸(좌귀환) ☞

⑴ 陰成形(음성형) : 陰(음)은 形体(형체)를 만들고

⑵ 陽化氣(양화기) : 陽(양)은 氣(기)를 돋구는 일을 한다.

☆ 자음윤조제 (滋陰潤燥劑)

1) 臟腑津液不足(장부진액부족)의 內燥證(내조증)에 適用(적용)된다.

2) 常見症(상견증) : 乾咳少痰(건해소담), 嘔逆不食(구역불식), 口中燥渴(구중조갈), 消渴

(소갈), 大便燥結(대변조결) 等

3) 常用葯方(상용약방) : 沙參(사삼), 麥門冬(맥문동), 生地黃(생지황), 玄參(현삼) 등 葯(약)

으로 方(방)을 構成(구성)하며

代表方(대표방)은 養陰淸肺湯(양음청폐탕), 麥門冬湯(맥문동탕), 增液湯(증액탕) 등이

다.

養陰淸肺湯(양음청폐탕)

≒ 大生地黃(대생지황)6, 麥門冬(맥문동)5, 生甘草(생감초)2, 玄參(현삼)5, 貝

母(패모)3, 丹皮(단피)3, 薄荷(박하)2, 炒白芍葯(초백작약)3.

- 養陰淸肺(양음청폐) 麥門冬湯(맥문동탕)

≒ 麥門冬(맥문동)60, 半夏(반하)9, 人參(인삼)6, 甘草(감초)4, 粳

米(갱미)6, 大棗(대조)12枚.

- 滋養肺衛(자양폐위), 降逆和中(강역화중)

增液湯(증액탕)

≒ 玄參(현삼)30, 麥門冬(맥문동)24, 細生地黃(세생지황)24.

- 滋陰淸肺(자음청폐), 潤燥通便(윤조통변)


자전(紫癜)

應用葯(응용약) : 紫草(자초),

① 苧麻根(저마근) 單用(단용), 或配(혹배) 其他止血葯(기타지혈약)


자한(自汗)

1. 參照文(참조문).

1) 한출(汗出)

2. 증상(症狀)과 치법(治法) 및 약물배합(葯物配合)

1) 氣虛汗出(기허한출) 應用葯(응용약) - 養陰(양음) 止汗(지한) : 糯稻根鬚(나도근수),

⑴ 收斂固澁(수렴고삽)

① 麻黃根(마황근) 常配 黃芪(황기), 白朮(백출), 當歸(당귀)

② 牡蠣(모려) 加 黃芪(황기), 麻黃根(마황근), 浮小麥(부소맥)

⑵ 表虛自汗(표허자한) - 固表止汗(고표지한)

① 白芍(백작) 常配 桂枝(계지) - 調和營衛(조화영위)

② 白朮(백출) 配 黃芪(황기), 浮小麥(부소맥)

③ 龍骨(용골) 常與 黃芪(황기), 牡蠣(모려), 浮小麥(부소맥), 五味子(오미자)

④ 黃芪(황기)

配 白朮(백출), 防風(방풍). . . ≒ 玉屛風散(옥병풍산)

- 表虛(표허) 衛陽不固自汗(위양불고자한), 且易外感者(차이외감자)

2) 血虛證(혈허증)

⑴ 營衛不和(영위불화) - 表虛汗出(표허한출)

① 白芍(백작) 常配 桂枝(계지) - 調和營衛(조화영위)

3) 産后虛汗不止(산후허한불지)

⑴ 收斂固澁(수렴고삽)

① 麻黃根(마황근) 常配 當歸(당귀), 黃芪(황기)

3. 辨證施治(변증시치)

1) 심양폭탈증(心陽暴脫證)

臨床 : 한증 중에 심양폭탈증은 대체로 오랜 병으로 말미암아(多由久病), 양기가 줄어

서 다 떨어진 중병(重病陽氣虧極)으로, 음을 거두어들일 능력이 없고(不能斂

陰), 위기가 견고하지 못해서(衛外不固), 땀을 크게 흘리게 된다(汗液大泄而成).

《張氏醫通 ․ 卷九》에 이른 바와 같이 “汗證有陰陽. 陽汗者 熱汗也, 陰汗者冷汗

也. 人但知熱能致 汗, 而不知寒亦致汗. 所謂寒者 非曰外寒 正以陽氣內虛, 則寒

生于中 而陰中无陽 則陰无所主 而汗隨氣泄. 故大驚 大恐 大懼皆能令人汗出 是

皆 陽氣頓消 眞元失守之兆”

한증(汗證)에는 음양이 있는데, 양한자는 열한이고, 음한자는 냉한이다. 사람들

은 열(熱)에 의하여 땀이 난다고는 알고 있으나 한(寒)에 의해서도 땀이 난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있다. 소위 한자(寒者)를 외한(外寒)이라 하지 않고, 양기가 내

허(內虛)하다고 하는 것이 옳다. 한(寒)이 나타나는 것은 음(陰) 중에 양(陽)이 없

기 때문이고, 음(陰)이 있을 곳이 없는 것은, 땀을 따라 기(氣)가 흘러 나갔기 때

문이다. 그럼으로 크게 놀라고, 크게 두렵거나, 크게 마음을 졸이는 사람은 모

두 땀을 흘리게 된다. 라고 인정하는 것은 진기(眞氣)와 원기(元氣)를 지키지 못

하여 양기가 부서져서 사라지는 징조 이다. 라고 하였다.

본증에서 말하는 한출(汗出)은 모두 위급한 중증으로써, 갑자기 많은 량의 땀이

멈출 줄 모르고 흐르거나, 혹은 마치 기름과 같은 땀을 흘리며(汗出如油), 또 호

흡이 미약하고 짧음을 수반하게 되고(且伴有氣短息微), 팔다리가 말단으로부

터 차가워져 오르며(四肢厥冷), 정신과 의식이 맑지 않고(神識不淸), 맥은 몹시

가늘고 연약하여 끊어지려 하며 감촉하기 어렵거나(脈微欲絶) 혹은 맥이 크고

무력한(脈大无力) 등

治宜 : 회양구역(回陽救逆), 익기생맥(益氣生脈).

方用 : 사역탕(四逆湯)《상한론(傷寒論)》온리제(溫裏劑)

≒ 포부자(炮附子), 건강(乾姜), 감초(甘草).

合 생맥산(生脈散)《내외상변혹론(內外傷辨惑論)》

≒ 인삼(人參),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註▷진기(眞氣) : 정기(正氣)라고도 한다. 《靈樞 ․ 刺節眞邪篇》에서는 “진기란 선천에

서 오는데 곡기와 합하여 몸을 자양한다.”라고 말하였다. 진기는 선

천지기와 후천지기(호흡과 음식)가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서 전신을 영양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인체의 각종 기능활동과 항병

능력은 모두 진기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때문에 진기는 인체의 생

명활동의 동력이라고 하는 것이다.

註▷원기(元氣) : 원기(原氣)라고도 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원음(元陰)의 기와 원양(元

陽)의 기가 포괄되어 있다. 이것은 본래 선천의 정(精)이 화생(化生)된

것으로서 후천에 의지하여 영양을 섭취 및 배양하면서 부단히 자생

(滋生)된다. 원기(元氣)는 신(腎, 명문(命門))에서 나와 배꼽아래 단전

(丹田)에 저장되며 삼초(三焦)를 통하여 전신에 분포되어 장부(臟腑)

등 인체의 조직기관의 기능활동을 추동한다. 그러므로 인체의 생화

를 일으키는 동력의 원천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2) 폐기허증(肺氣虛證)

臨床 : 자한병(自汗病) 중에 보게 되는 폐기허증(肺氣虛證)의 임상표현은 항상 땀을 절

로 흘리며 바람을 두려워하고(自汗畏風), 활동하게 되면 더욱 심해지며(動則益

甚), 추위와 바람에 견디지 못하고(不 耐風寒), 감기에 잘 걸리는(容易感冒) 등

특징이 있다. 이는 폐기허약(肺氣虛弱)으로 말미암아 체표의 피모가 조밀하지

못해서(腠理不密), 땀구멍을 열고 닫는 개합기능이 견고하지 못하기(開闔 失司)

때문이다.

治宜 : 익기고표(益氣固表), 렴한지한(斂汗止汗)

方用 : 옥병풍산(玉屛風散)《단계심법(丹溪心法)》

加 마황근(麻黃根), 부소맥(浮小麥), 나도근(糯稻根), 단모려(煅牡蠣)등

렴한(斂汗) 약품

≒ 백출(白朮), 황기(黃芪), 방풍(防風).

3) 심폐기허증(心肺氣虛證)

臨床 : 심폐기허증(心肺氣虛證) 환자에게 나타나는 한증(汗證)의 주요 임상표현은 땀

을 흘리며 추워서 떨거나(汗出惡風) 혹은 땀을 흘리며 심동계가 빨라져 가슴이

두근거리고(汗出心悸), 밤잠이 편하지 않고(夜寐欠寧), 얼굴색이 백지장모양

희고(面色晄白), 항상 감기에 잘 걸리며(常易感冒),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

나 가늘고 연하여 꾹 눌러야 짚인다(脈細而弱)., 설태는 희고 얇다(舌苔薄白).

땀은 심액(汗爲心液)이고, 폐는 피모와 배합(肺合皮毛)하므로 심과 폐가 기허

하면(心肺氣虛則) 피모가 견고하지 못하여(皮毛不固) 체외로 땀을 흘리는(汗液

外泄) 한출증(汗出症)을 나타낸다.

治宜 : 양심익기고표(養心益氣固表),

方用 : 옥병풍산(玉屛風散)《단계심법(丹溪心法)》

≒ 방풍(防風), 황기(黃芪), 백출(白朮).

合 계지감초탕(桂枝甘草湯)《상한론(傷寒論)》가감(加减)

≒ 계지(桂枝), 감초(甘草).

11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탐방139 22. 기타약물(其他葯物)

22. 기타약물(其他葯物) 葯種(약종) : 木槿皮(목근피), 木槿花(목근화), 茯苓皮(복령피), 茯神(복신), 絲瓜絡(사과락), 龍齒(용치), 楡根皮(유근피), 좀작살나무, 天葵子(천규자), 茺尉子(충위자),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목근피(木槿皮) : 淸熱殺虫止痒(청열살충지양) - 皮膚疥癬(피부개선), 목근화(木槿花) : 淸熱利濕(청열이습), 凉血(량

탐방138 效能主治 21. 拔毒化腐生肌葯

21. 발독화부생기약(拔毒化腐生肌葯) 葯種(약종) : 輕粉(경분), 爐甘石(노감석), 硼砂(붕사), 砒石(비석), 升葯(승약), 鉛丹(연단)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경분(輕粉) : 外用(외용) : 攻毒殺虫(공독살충) - 疥瘡(개창), 頑癬(완선), 臁瘡(렴창), 梅毒(매 독), 瘡瘍(창양), 濕疹(습진), 黃水瘡(황수창), 瘡瘍潰爛(창양궤란) 內服(내

탐방137 20. 解毒殺虫燥濕止痒葯

20. 해독살충조습지양약(解毒殺虫燥濕止痒葯) - 외용약(外用葯) + 內服葯(내복약) 葯種(약종) : 大蒜(대산), 大楓子(대풍자). 明礬(명반), 白礬(백반), 蜂房(봉방), 蛇床子(사상 자), 雄黃(웅황), 硫黃(유황), 皂礬(조반), 土荊皮(토형피), 󰜋麻子(피마자), 血竭 (혈갈). 効能(효능) 및 主治(주치) 대산(大蒜) : 行氣消積(행기소적),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