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탐방79 음한(陰寒) - 이명(耳鳴)

Aktualisiert: 30. Sept. 2019

음한(陰寒) - 음허(陰虛) - 이노(易怒) - 이농(耳聾) - 이농(耳膿) - 이명(耳鳴)


음한(陰寒)

1) 女性의 陰寒症(음한증) 治療(치료)

① 사상자(蛇床子) 加 白粉(백분).- 大棗(대조)만 하게 솜으로 싸서 膣內(질내)에 揷入(삽

입)한다.


음허(陰虛)

1. 常用葯(상용약)

1) 滋腎陰爲(자신음위) 見長的(견장적) 葯物(약물) : ☆ 天冬(천동)

2) 潤肺養陰(윤폐양음), 益胃生津(익위생진), 淸心除煩的(청심제번적) 葯物(약물) :

☆ 麥門冬(맥문동)

2. 相須配合(상수배합)과 治症(치증)

1) 赤芍(적작) + 白芍(백작) = 陰虛津虧(음허진휴), 口乾舌燥(구건설조), 目赤而痛(목적이

통), 而有(이유) 余熱未淸者(여열미청자)

2) 天冬(천동) + 麥冬(맥동) = 陰虛發熱(음허발열), 津少口乾(진소구건), 口渴(구갈), 乾咳

少痰(건해소담), 心煩不安(심번불안) 等

3) 鱉甲(별갑) + 龜板(구판) = ⑴ 陰虛發熱(음허발열), 骨蒸潮熱(골증조열), 盜汗(도한), 肺

癆(폐로)(類似肺 結核) 咳嗽(해수)

⑵ 陰虛陽亢(음허양항), 肝陽上扰(간양상우), 頭暈(두훈), 目

眩(목현), 頭痛(두통), 耳鳴(이명),

4) 靑蒿(청호) + 鱉甲(별갑) = 陰虛發燒(음허발소), 骨蒸潮熱(골증조열), 盜汗(도한), 咳嗽

(해수) 등증

5) 知母(지모) + 黃柏(황백) = 陰虛發熱(음허발열), 骨蒸潮熱(골증조열), 盜汗(도한) 等症

6) 乾地黃(건지황) + 熟地黃(숙지황) = 陰虛血虧(음허혈휴), 骨蒸潮熱(골증조열), 等症

7) 丹皮(단피)10 + 丹參(단삼)15 = 陰虛發熱(음허발열) - 低熱不退者(저열불퇴자)

8) 麻黃根(마황근) + 浮小麥(부소맥) = 陰虛內熱(음허내열) - 陰虛有熱(음허유열) 盜汗(도

한) 等症

9) 桑葉(상엽)10 + 黑芝麻(흑지마)30 = 陰虛血燥(음허혈조) - 頭暈目眩(두훈목현), 視物不

明(시물불명), 大便乾燥(대변건조) 等症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腎陰不足(신음부족) ⑴ 滋陰(자음) - 補精益髓(보정익수)

① 熟地黃(숙지황) 常配 山茱萸(산수유), 山葯(산약). . . ≒ 六味地黃丸(육미지황환)

2) 肝腎陰虛(간신음허)

⑴ 滋養肝腎之陰(자양간신지음)

① 墨旱蓮(묵한연) 配 女貞子(여정자) ≒ 二至丸(이지환)

⑵ 滋補肝腎(자보간신) - 陰和補血(음화보혈)

① 桑椹(상심) 單用(단용)으로 煎后(전후) 飴糖(이당)을 타서 口服(구복)한다.

② 桑椹(상심) 配制 何首烏(하수오), 女貞子(여정자), 旱蓮草(한련초, 墨旱蓮) - 滋補

(자보) ≒ 首烏延壽丹(수오연수단)

⑶ 補精益髓(보정익수)

① 熟地黃(숙지황) 常配 制何首烏(제하수오), 枸杞子(구기자), 菟絲子(토사자)

3) 陰傷虛風內動(음상허풍내동) 脈沉數(脈沉數(맥침삭)

① 鱉甲(별갑) 加 牡蠣(모려), 生地(생지), 阿膠(아교). . . ≒ 三甲復脈湯(삼갑복맥탕)

4) 열상음(熱傷陰) - 야열조량(夜熱早凉) 形瘦脈數(형수맥삭) 舌紅少苔(설홍소태)

① 별갑(鱉甲)

加 靑蒿(청호), 生地(생지), 丹皮(단피), 知母(지모). .≒ 靑蒿鱉甲湯(청호별갑탕)

② 丹皮(단피), 知母(지모), 鱉甲(별갑), 生地(생지) ≒ 靑蒿鱉甲湯(청호별갑탕)


이노(易怒)

1) 陰虛陽亢(음허양항)

⑴ 平肝潛陽(평간잠양)

① 牡蠣(모려) 加 龍骨(용골), 珍珠母(진주모), 白芍(백작)

② 石決明(석결명)

配 夏枯草(하고초), 鉤藤(구등), 菊花(국화) 等 淸熱平肝葯(청열평간약)

③ 珍珠母(진주모) 配 鉤藤(구등), 菊花(국화), 夏枯草(하고초)


이농(耳聾)

1.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痰濁蒙蔽(담탁몽폐)

⑴ 開竅寧神(개규영신)

① 石菖蒲(석창포)

配 茯苓(복령), 遠志(원지), 龍骨(용골). . .≒ 安神定志丸(안신정지환)

2) 肝經實熱(간경실열)

⑴ 瀉肝火(사간화) - 淸肝熄風(청간식풍)

① 龍膽草(용담초)

加 柴胡(시호), 黃芩(황금), 木通(목통). . . ≒ 龍膽瀉肝湯(용담사간탕)

3) 腎虛耳聾(신허이농)

應用葯(응용약) - 陽虛(양허) : 骨碎補(골쇄보),

⑴ 聰耳明目(총이명목)

① 磁石(자석)

常配 熟地黃(숙지황), 山茱萸(산수유),五味子(오미자). .≒ 耳聾左慈丸(이농좌자환)

2. 辨證施治(변증시치)

1) 耳聾(이농) deaf, deafnrss

⑴ 기폐증(氣閉證)

臨床 : 기폐이농(氣閉耳聾)은 대부분 급격히 크게 화(怒)를 내는 통에 간을 상하여

(暴怒傷肝), 간기가 뭉치고 막히며(肝氣鬱結) 겸하여 담이 화(火)로 되어서(兼

來痰火) 위로 청규를 어지럽히고(上擾淸竅) 폐색(閉塞)시켜 귀의 혈맥을 요해

하며 병들게 한다(耳脈瘀阻).

症見 : 그 초기증상으로는 귀 울림(耳鳴)이 나고, 언제나 정서파동(情緖波動)

에 따라 경중(輕重)으로 나타나고, 계발성적으로 듣는 귀가 어두워지

며(繼則耳聾), 따라서 갑자기 눈이 아찔하며 캄캄해지고 머리가 아프며(伴頭

痛目弦), 마음이 괴롭고 입이 쓰며(口苦心煩), 가슴이 답답하고 가래가 많고

(痰多胸悶), 대변이 단단히 뭉쳤으며(大便秘結), 소변은 누렇고 진하다(小便

黃赤)., 혀는 붉고(舌紅), 태는 누렇고 미끈거리며(苔黃膩),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하거나 혹은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하면서도 맥이 순조롭고

원활하다(脈弦數或弦滑).

治宜 : 청간설열(淸肝泄熱), 화담개폐(化痰開閉)

方用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난실비장(蘭室秘藏)》

≒ 용담초(龍膽草), 황금(黃芩), 치자(梔子), 택사(澤瀉),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당귀(當歸), 생지(生地), 시호(柴胡), 감초(甘草).

合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의방고(醫方考)》거담제(祛痰劑) 加减

≒ 괄루인(括樓仁), 황금(黃芩), 복령(茯苓), 지실(枳實), 행인(杏

仁), 진피(陳皮), 남성(南星), 반하(半夏), 강즙(姜汁).


이농(耳膿)

應用葯(응용약) : 九節菖蒲(구절창포), 虎耳草(호이초),


이뇨(利尿) ⇒ 소변불리(小便不利)

이담(利膽) ⇒ 담즙분비(膽汁分泌)


이명(耳鳴)

1. 應用葯(응용약) : 葛根(갈근), 骨擔花(골담화), 九節菖蒲(구절창포),

2.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肝腎陰虛(간신음허) 應用葯(응용약) : 광나무, 女貞實(여정실),

⑴ 補益肝腎(보익간신)

應用葯(응용약) - 陽虛(양허) : 骨碎補(골쇄보)

① 山茱萸(산수유) 常與 熟地(숙지), 山葯(산약). . . ≒ 六味地黃丸(육미지황환)

⑵ 淸瀉肝火(청사간화)

① 珍珠母(진주모) 常與 牡蠣(모려), 白芍(백작), 磁石(자석) 等 同用(동용)

2) 平肝熄風(평간식풍)

⑴ 祛風通絡(거풍통락)

① 20% 天麻(천마) 注射劑(주사제)를 每次(매차) 2~4ml씩, 每日(매일) 1~3次(차).

일반적으로 1~4次 정도 근육주사를 하면 그 효력이 현저하다.

3) 腎虛耳鳴(신허이명)

應用葯(응용약) : 枸骨葉(구골엽),

- 補腎陽益精血(보신양익정혈) : 鹿鞭(녹편),

⑴ 聰耳明目(총이명목)

① 磁石(자석)

常配 熟地黃(숙지황),山茱萸(산수유),五味子(오미자). .≒ 耳聾左慈丸(이농좌자환)

4) 痰濁蒙蔽(담탁몽폐)

⑴ 開竅寧神(개규영신)

① 石菖蒲(석창포)

配 茯苓(복령), 遠志(원지), 龍骨(용골). . . ≒ 安神定志丸(안신정지환)

3. 辨證施治(변증시치)

1) 이농이명(耳聾耳鳴)

⑴ 간양상항증(肝陽上亢證)

臨床 : 이농이명병(耳聾耳鳴病) 중에 간양상항증(肝陽上亢證)에는 2 종류의 정황

(情況)이 있다.

㉠ 신수(腎水)이 허하여 간목(肝木)를 적셔주지 못해서(水虧不能涵木) 양기

가 항성 해 보이는 증상을 제외하고(除陽亢見證外), 신음허(腎陰虛)의 필

수적 兼症(겸증)인 허리가 시큰거리고 저리며(腰痠), 잠을 자지 못하며(不

寐), 건망(健忘), 쉽게 피로하고 괴로우며(易煩易倦), 정서격동(情緖激動)으

로 인하여 쉽게 절로 땀이 나고 폭발하듯 열이 나며(轟熱自汗), 또한 성생활

을 절제하지 못하거나(房室不節) 혹은 자위행위 및 유정병(手淫遺精病)이 있

治 : 자수함목(滋水涵木)

方 : 좌귀음(左歸飮)《경악전서(景岳全書)》보익제(補益劑)

≒ 숙지황(熟地黃), 산약(山葯), 구기자(枸杞子), 자감초(炙甘草), 복령(茯

苓),산수유(山茱萸).

或 : 지백지황환(知柏地黃丸)《의방고(醫方考)》

≒ 지모(知母), 황백(黃柏),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

(山葯), 모단피(牡丹皮), 택사(澤瀉), 복령(茯苓).

合 천마구등음(天麻鉤藤飮)《잡병증치신의(雜病證治新義)》

≒ 천마(天麻), 구등(鉤藤), 석결명(石決明), 치자(梔子), 황금(黃

芩), 천우슬(川牛膝), 두중(杜仲), 익모초(益母草), 상기생(桑寄

生), 야교등(夜交藤), 주복신(朱茯神).

加 자주환(磁朱丸)《비급천금요방(備急千金要方)》

≒ 자석(磁石), 주사(朱砂), 신곡(神曲, 六曲).


㉡ 간담습열(肝膽濕熱)과 간양상항(肝陽上亢)이 병행하는 증상은 눈이 붉고

(目赤), 입이 쓰며(口苦), 대변이 뭉쳐져 나올 생각을 않고(大便秘結), 소변

색황(小便色黃), 음낭이 축축하게 젖고 가려우며(陰囊濕痒), 맥은 길고 가야

금 줄을 누르는 듯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來弦數).

治 : 평간잠양(平肝潛陽), 청화이습(淸火利濕).

方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醫宗金鑑》청열제(淸熱劑)

≒ 용담초(龍膽草), 택사(澤瀉),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당귀

(當歸), 생지(生地), 시호(柴胡), 황금(黃芩), 치자(梔子), 감초(甘

草).

⑵ 간화상염증(肝火上炎證)

臨床 : 이명이농병(耳鳴耳聾病) 중에 간화상염증(肝火上炎證)의 임상표현은 마치

조숫물이 밀려드는 소리처럼 귀 울림이(耳鳴如潮) 갑자기 발작하거나 혹은

귀가 어두워져서 들을 수 없고(耳聾失聽), 마음이 귀찮고 괴로우며 화를 많

이 내고(心煩多怒), 화를 내면 더욱 심해지며(怒則尤甚), 밤잠이 불편하고(夜

臥不寧), 머리가 어지러우며 욱신거리는 통증이 나고(頭暈疼痛), 얼굴색이

붉고(面赤), 입안에 쓴맛이 돌고 목구멍이 건조하며(口苦咽乾), 맥은 길고 가

야금 줄을 짚은 뜻한 것이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다(脈弦數). 이

는 뜻과 의지대로 되지 않아 억울함으로(情志抑鬱) 말미암아 기가 막힌 것이

화(火)로 변하거나(鬱而化火), 혹은 갑자기 폭발할 것 같은 노기로 간(肝)을

상하고(暴怒傷肝), 간화가 경맥을 순행하다(肝火循經) 상부의 귀를막아(上壅

于耳), 맑은 구멍을 덮어씌운(淸竅被蒙) 때문이다.

治宜 : 청간설열(淸肝泄熱), 강화통규(降火通竅)

方用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醫宗金鑑》청열제(淸熱劑)

≒ 용담초(龍膽草), 택사(澤瀉),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당귀(當

歸), 생지(生地), 시호(柴胡), 황금(黃芩), 치자(梔子), 감초(甘草).

合 통기산(通氣散)《醫林改錯》이비제(耳鼻劑)

≒ 시호(柴胡), 향부(香附), 천궁(川芎).

⑶ 청양불승증(淸陽不升證)

臨床 : 이명병(耳鳴病) 중에 나타나는 청양불승증(淸陽不升證)의 임상표현은 대부

분 시물이 불청하고(視物不淸), 얼굴색이 밝게 피어남이 적고(面色少華), 식

욕부진(食欲不振), 목소리가 낮고 숨이 차며(聲低氣短), 기력이 없고 묽은 변

을 보며(乏力便溏), 혀는 크고, 태는 두터우며(舌嫩苔厚), 맥은 위로 뜬 것이

연하고 실같이 가는(脈濡細) 등 중기부족(中氣不足) 증상을 겸하고 있다. 이

는 음식을 절제하지 않고 마음 내키는 대로 기름진 음식을 먹고(飮食不節),

일에는 지나치게 게을러 편안하게 앉아서 오랜 세월 생활함으로(勞倦過度),

비위를 손상하여(損傷脾胃), 중기부족(中氣不足)을 겸하고 있음으로 청양이

불승(淸陽不升) 하기 때문이다.

治宜 : 건비익기(健脾益氣), 승양익위(升陽益胃).

方用 : 익기총명탕(益氣聰明湯)《동원시효방(東垣試效方)》

≒ 인삼(人蔘), 황기(黃芪), 감초(甘草), 승마(升麻), 갈근(葛根), 만형

자(蔓荊子), 백작(白芍), 황백(黃柏).

⑷ 신기허증(腎氣虛證)

臨床 : 신기허증(腎氣虛證)에 출현하는 이명, 이농, 현운 등 질병 중에 귀 울림(耳

鳴), 귀머거리(耳聾), 머리 어지러움(頭暈), 눈이 아찔하고 캄캄하며(目眩), 정

신을 잃고 쓰러지며(精神萎靡), 허리가 시큰거리고 연약한(腰酸軟) 등 증상

을 볼 수 있다. 신은 귀를 주관한다(腎主耳), 그러므로 신(腎)이 허(虛)하면 정

불상승(精不上承) 함으로 청력이 감퇴(聽力减退) 되는 것이다. 장경악(張景

岳) 說 “无虛不作眩(무허불작현)” 즉 허(虛)하지 않으면 현혹되는 일이 일어

나지 않는다. 라고 했으며 신이 허하면 물이 줄어들어 목(木)이 요동을 함으

로 눈이 아찔하고 머리가 어지러운(腎虛則水虧木搖 故眩暈) 것이다.

治宜 : 보신리허(補腎理虛).

方用 : 이농좌자환(耳聾左慈丸)《소아약증직결(小兒葯證直訣)》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목단피(牧丹皮), 택

사(澤瀉), 복령(茯苓), 오미자(五味子), 자석(磁石).

或 : 우귀환(右歸丸)《경악전서(景岳全書)》

≒ 녹각교(鹿角膠), 숙지황(熟地黃), 산약(山葯), 산수유(山茱萸), 두중(杜

仲), 당귀(當歸), 구기자(枸杞子), 토사자(菟絲子), 포부자(炮附子), 육

계(肉桂).


이목질환(耳目疾患)

1) 耳目腫痛(이목종통)

⑴ 瀉火解毒(사화해독)

① 黃連(황연) 單種(단종).- 硏末(연말). 혹 浸汁(침즙) 外用(외용)

1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탐방139 22. 기타약물(其他葯物)

22. 기타약물(其他葯物) 葯種(약종) : 木槿皮(목근피), 木槿花(목근화), 茯苓皮(복령피), 茯神(복신), 絲瓜絡(사과락), 龍齒(용치), 楡根皮(유근피), 좀작살나무, 天葵子(천규자), 茺尉子(충위자),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목근피(木槿皮) : 淸熱殺虫止痒(청열살충지양) - 皮膚疥癬(피부개선), 목근화(木槿花) : 淸熱利濕(청열이습), 凉血(량

탐방138 效能主治 21. 拔毒化腐生肌葯

21. 발독화부생기약(拔毒化腐生肌葯) 葯種(약종) : 輕粉(경분), 爐甘石(노감석), 硼砂(붕사), 砒石(비석), 升葯(승약), 鉛丹(연단)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경분(輕粉) : 外用(외용) : 攻毒殺虫(공독살충) - 疥瘡(개창), 頑癬(완선), 臁瘡(렴창), 梅毒(매 독), 瘡瘍(창양), 濕疹(습진), 黃水瘡(황수창), 瘡瘍潰爛(창양궤란) 內服(내

탐방137 20. 解毒殺虫燥濕止痒葯

20. 해독살충조습지양약(解毒殺虫燥濕止痒葯) - 외용약(外用葯) + 內服葯(내복약) 葯種(약종) : 大蒜(대산), 大楓子(대풍자). 明礬(명반), 白礬(백반), 蜂房(봉방), 蛇床子(사상 자), 雄黃(웅황), 硫黃(유황), 皂礬(조반), 土荊皮(토형피), 󰜋麻子(피마자), 血竭 (혈갈). 効能(효능) 및 主治(주치) 대산(大蒜) : 行氣消積(행기소적),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