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토(湧吐) - 우울(憂鬱) - 우췌(疣贅) : 사마귀 - 우피선(牛皮癬) - 울증(鬱證)
용토(湧吐)
1. 應用葯(응용약) : 瓜蒂(과체), 黎蘆(여로), 常山(상산), 膽礬(담반)
2.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諸風痰飮(제풍담음)을 治療(치료)
① 黎蘆(여로) 加 鬱金(울금). - 細末(세말) 溫漿水(온장수)로 服用(복용)
2) 痰涎壅盛(담연옹성)
⑴ 中風不語(중풍불어)
① 黎蘆(여로) 加 南星(남성). - 丸劑(환제)를 溫酒(온주)로 服用(복용)
3) 湧吐風痰(용토풍담) - 中風痰壅(중풍담옹),
應用葯(응용약) - 風痰(풍담),
毒物(독물) : 膽礬(담반),
⑴ 癲狂煩亂(전광번난), 不省人事(불성인사) 或 誤服毒物(오복독물) 未吸收時(미흡수
시) 사용
① 黎蘆(여로) 加 瓜蒂(과체), 防風(방풍). . . ≒ 三莖散(삼경산)
4) 熱痰宿食(열담숙식)
應用葯(응용약) : 瓜蒂(과체)
內服(내복) - 湧吐熱痰(용토열담) 宿食(숙식),
外用(외용) - 硏末吹鼻(연말취비) 可引祛濕熱(가인거담열)
⑴ 內服(내복) - 湧吐熱痰宿食(용토열담숙식) 痰熱鬱于胸中(담열울우흉중)하여 癲癎
(전간), 發狂(발광), 喉閉(후폐), 喘息(천식), 煩燥不眠(번조불면), 宿食停
胃(숙식정위)한 胸脘脹痛(흉완창통), 風癇(풍간), 痰喉風(담후풍).
① 痰涎壅盛(담연옹성), 呼吸困難(호흡곤난) : 瓜蒂(과체) 單用, 細末服用(단용, 세말
복용)
② 風癇(풍간) 纏喉風(전후풍) : 瓜蒂(과체) 加 赤小豆(적소두)하여 細末(세말)해서
香豉湯(香豉湯(향시탕)으로 복용 : 痰涎堵塞胸中(담연도색흉중) 或 宿食(숙식)
停留胃脘證(정유위완증)
熱痰鬱于胸中(열담울우흉중) 및 宿食停滯于胃(숙식정체우위) 所致的多種病證(소
치적다종병증)
① 熱痰鬱于胸中 爲癲癎發狂(위전간발광) 或喉痹喘息(혹후비천식)
㉠ 瓜蒂(과체) 可單用 硏末呑服 取吐(가단용 연말탄복 취토),
㉡ 瓜蒂(과체) 或配 鬱金(울금) 等分爲末(등분위말) 溫開水調服(온개수조복).
② 宿食停滯(숙식정체), 胃脘脹痛(위완창통) 煩悶不食(번민불식) 噯腐(애부) :
㉠ 瓜蒂(과체) 配 赤小豆(적소두). 香豉煎湯(향시전탕) 送服(송복) ≒ 瓜蒂散(과체
산)
⑵ 外用(외용) - 去濕熱黃疸(거습열광달), 目黃(목황)과 夏月傷冷水(하월상냉수)한 水
行 皮中(수행피중), 身熱(신열), 痿重(위중)
① 濕熱除祛(습열제거) : 瓜蒂(과체) 單用(단용) 細末(세말) 吹鼻入(취비입)
② 黃疸病(황달병)에서 目黃證候(목황증후) 治療(치료) : 瓜丁(과정)을 細末(세말) 吹
鼻入(취비입)
③ 濕家頭中寒濕(습가두중한습) 頭疼鼻塞(두동비색) : 瓜蒂粉(과체분) :
④ 濕熱黃疸(습열황달) 祛濕退黃(거습퇴황) : 瓜蒂(과체) 可單用 硏末吹鼻(가 단용
연말 취비) 今鼻中黃水出(금비중황수출) 引去濕熱之邪(인거 습열지사) 而達退
黃(이갈퇴황)
⑤ 均能退黃(균능퇴황) : 或單用煎湯 內服(혹 단용 전탕 내복), 或硏末送服(혹열말
송복)
⑶ 其他(기타)
① 行水濕(행수습) 退黃疸(퇴황달) - 夏月傷冷水(하월상냉수) 水行皮中(수행피중)
身熱疼重而(신열동중이) 脈微弱(맥미약) 및 諸黃證(제황증) 治療(치료) -《金匱要
略》
② 風痰湧吐(풍담용토) : 膽礬(담반)을 細末(세말)하여 溫醋湯(온초탕)으로 口服(구
복)한다.
③ 吐涎(토연) : 二莖散(이경산) ≒ 膽礬(담반), 姜蚕(강잠)을 細末(세말)하여 吹入咽
喉(취입인후)한다.
④ 催吐(최토) - 毒物誤食(독물오식) 二莖散(이경산) ≒ 膽礬(담반)과 姜蚕(강잠)을
細末(세말)하여 溫水溶解(온수용해)해서 服用(복용)한다.
⑷ 現代
① 瓜蒂(과체) 5g을 熱水(열수) 100ml에 10日/沈(침)하여 濾過后(여과후), 高壓滅菌
(고압멸균) 3~4 시간하여서 每次(매차) 5ml씩 日/3~4차 食后(식후)에 服用(복
용) 黃疸(황달)을 治療(치료)한다.
② 瓜蒂(과체)를 누렇게 익혀서 가루 내어 0.1~1.5g씩 싸두었다가 사용할 때 한 봉
투를 4~6 등분 하여 아침 食前(식전) 20~30分에 鼻孔內(비공내)로 吸入(흡입)
(一鼻孔에 一等分量)하기를 5~7日 間隔(간격)으로 한번에 1 봉투씩 吸入(흡입)
하는데 4 봉투를 1 療程(료정)으로 한다.
⑸ 注意
1) 体虛(체허) 失血(실혈) 및 上部(상부)에 實邪(실사)가 있는 사람은 禁(금)한다.
2) 葯(약)을 服用后(복용후) 砂糖(사당) 한알을 넘기면 葯力(약력)이 增强(증강)한다.
3) 中毒(중독)으로 嘔吐(구토)가 激烈不止(격열불지)하면 熱水(열수)에 麝香(사향)
0.1~0.15g 을 풀어 服用(복용)한다.
우울(憂鬱)
參照文(참조문). 1) 안신(安神) 2) 심번(心煩)
1) 懮鬱痞悶(우울비민)
⑴ 解鬱安神(해울안신) 應用葯(응용약) : 番紅花(번홍화),
우췌(疣贅) : 사마귀
체표(體表)에 생기는 연생물로서 췌우(贅疣), 천일창(千日瘡), 후자(瘊子), 반예(飯蕊)라고
도 한다. 이 병의 대부분 손등, 손가락 혹은 머리, 얼굴 등 부위에 많이 생긴다. 환부의 연
생물은 초기에 작은 것은 기장쌀알 만큼하고 큰 것은 콩알 만큼하며 표면에 도드라져 나
왔고 그 표면이 거칠며 모양이 화예와 같고 색은 회백색이거나 거무스레한 황색이다. 사
마귀의 수량은 일정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자각증상이 없으며 힘을 주어누를 때 좀 아픈
감이 나고 다쳐서 상하거나 혹은 마찰되면 피가 쉽게 난다. 치료(治療)할 때에는 우선적으
로 처음생긴 사마귀(모우(母疣))를 치료하여야 한다. 원발성(原發性)의 사마귀가 치료되
면 계발성(繼發性)의 사마귀는 따라서 저절로 치료된다.
應用葯(응용약) : 消積軟堅(소적연견), 破瘀散結(파어산결) : 惱砂(뇌사)
우피선(牛皮癬)
환부(患部)의 피부가 마치 소의 목 가죽과 같이 두텁고 딴딴하기 때문에 우피선이라 한
다. 대부분 풍(風), 습(濕), 열(熱)이 기분(氣分)에 맺히거나 혈허생풍(血虛生風) 화조(化
燥)에 의하여 발생 하는데 이는 정서(情緖)와도 일정한 관계가 있다. 흔히 목부위 팔꿈
치 오금에 많이 발생하고, 위 눈꺼플, 회음(會陰) 넓적다리 내측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
다. 피부(皮膚)의 손상(損傷)이 평평한 구진(丘疹)이고 융합되어 크게 되며 마르고 두껍
고 태선(苔蘚)과 같은 변화가 있고 긁으면 비듬이 좀 일어나고 진발성(陳發性)으로 가
려운데 밤이면 더욱 심하게 가렵다. 이 병의 발작은 때로는 정신적 자극을 받는 것과 관
계된다. 또 만성피부병(慢性皮膚病)으로서 경상적(經常的)으로 발작 한다. 신경성피부
염(神經性皮膚炎) 만성습진(慢性濕疹) 등과 비슷하다.
參照文(참조문).
1) 선병(癬病)
2) 백비(白疕)
상용약 (常用葯)
1) 淸熱凉血之品(청열양혈지품) :
赤芍(적작), 丹皮(단피), 白鮮皮(백선피), 連翹(연교), 金銀花(금은화), 苦參(고삼), 蒼
朮(창출), 透骨草(투골초), 蟬退(선퇴), 蛇皮(사피), 蛇床子(사상자), 地膚子(지부자),
黃柏(황백), 百部(백부), 苦楝皮(고련피), 花粉(화분)
울증(鬱證)
1. 常用葯(상용약)
1) 肝氣鬱滯(간기울체)로 인한 痛經葯(통경약)으로 제일 좋은 약은 ☆ 香附(향부) - 月經
不調(월경불조), 痛經(통경) 및 乳房脹痛(유방창통).
2.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黃連(황련)5 + 吳茱萸(오수유)5. 治 肝鬱化火(간울화화), 胃失和降(위실화강), 脇肋脹
痛(협늑창통), 嘔吐(구토), 呑酸(탄산), 嘈囃(조잡), 噯氣(애기),
口苦(구고), 舌紅苔黃(설홍태황), 脈弦數(맥현삭).
2) 左金丸(좌금환)10 + 血余炭(혈여탄)10. 治 肝鬱化火(간울화화), 脇肋脹痛(협늑창통),
嘔吐呑酸(구토탄산), 嘈雜噯氣(조잡애기), 口苦
納呆(구고납매), 胃脘疼痛(위완동통).
3. 辨證施治(변증시치)
1) 기체증(氣滯證)
臨床 : 기체(氣滯)로 인한 울증(鬱證)은 대부분 마음과 뜻이 억울하고, 장기(臟器)의 기
화작용이 통달(通達)하지 못한다. 《醫經溯洄集 ․ 五鬱論》의 中說 “凡病之起也 多
由乎鬱, 鬱者滯而不通之意 - 무릇 병이 일어나는 것은 대부분 통하지 않음으로
말미암은 것이 로다. 통하지 않는 것은 막혀서 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라고 하
면서 설명하기를 기체(氣滯)는 모든 울증(鬱證)에 앞선다고 하였다.
症狀 : 간기울결(肝氣鬱結) - 정신과 뜻이 억울하고(神情抑鬱), 마음이 불편하고 괴로우
며(心煩不寧),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게 붓고(胸脇脹滿), 한숨을 잘 쉬며(善太
息), 소화불량 식욕감퇴 등 위(胃)의 수납기능의 정체가 생기고 트림을 한며(噯氣
納呆), 부녀자의 경우 월경불조(女子月經不調)가 생기고 설태는 얇고 적으며 미
끈거리고(苔薄膩),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하다(脈弦).
治宜 : 소간리기(疏肝理氣) 해울개결(解鬱開結)
方用 : 월국환(越鞠丸)《丹溪心法》리기제(理氣劑)
≒ 천궁(川芎), 창출(蒼朮), 향부(香附), 산치(山梔), 신곡(神曲).
或用 : 소요산(逍遙散)《太平惠民和劑局方》화해제(和解劑) 加减
≒ 시호(柴胡), 당귀(當歸), 백작(白芍), 복령(茯苓), 백출(白朮), 자감초(炙甘
草), 생강(生姜), 박하(薄荷).
만약 - 트림이 계속되면(噯氣不除)
方 : 선복대자탕(旋復代赭湯)《傷寒論》리기제(理氣劑)
≒ 선복화(仙復花), 대자석(代赭石), 인삼(人參), 반하(半夏),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2) 담기허증(膽氣虛證)
臨床 : 담기허증(膽氣虛證)에서 보는 울증(鬱證)의 임상표현은 심정이 억울(心情抑鬱)
하고, 정신이 황홀(精神恍惚)하며, 사물에 잘 놀라고(觸事善驚), 근심에 사무쳐
잘 울고(多憂善哭), 설질이 담홍(舌質淡紅)하며, 태는 희고 얇으며(苔薄白), 맥은
갈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듯하며 실같이 가늘고 똑 똑하다(脈弦細). 매사 마음과
의지대로 되질 않음으로 해서(每因情志不遂), 간기가 울결(肝氣鬱結)되고, 담에
연루되기(累及膽腑) 때문이다(所致).
治宜 : 해울리기(解鬱理氣), 양심안신(養心安神).
方用 : 월국환(越鞠丸)《단계심법(丹溪心法)》
≒ 천궁(川芎), 창출(蒼朮), 향부(香附), 산치(山梔), 신곡(神曲).
合 감맥대조탕(甘麥大棗湯)《금궤요략(金匱要略)》
≒ 감초(甘草), 소맥(小麥), 대조(大棗).
3) 肝氣鬱滯(간기울체)
⑴ 易怒(이노), 胸悶(흉민), 胸脇脹痛(흉협창통), 刺痛(자통).
治 : 소간해울(疏肝解鬱), 건비화영(健脾和營) 양혈조경(養血調中).
方 : 逍遙散(소요산)《和劑局方》卷九 화해제(肝脾和解劑)
≒ 시호(柴胡), 당귀(炒當歸), 백작(白芍), 복령(茯苓), 백출(白朮) 각30, 감초
(炙甘草)15, 생강(生姜), 박하(薄荷).-上爲粗末. 每服 6 克, 水 300 毫升,
加 외생강(煨生姜) 1塊(切) 박하(薄荷) 少許, 同煎至 210 毫升, 去滓熱服
不拘時候. 或水煎服
⑵ 胸脇脹痛(흉협창통), 月經失調(월경실조), 頭痛(두통), 頭暈(두운).
治 : 疏肝行氣(소간행기), 解鬱泄熱(해울설열)., 소간리기건비(疏肝理氣健脾), 제습산
만(除濕散滿). 화위지통(和胃止痛).
方 : 柴胡舒肝散(시호서간산)《景岳全書》卷五十六
≒ 醋炒陳皮(초초진피), 柴胡(시호) 各6, 枳殼(지각,麩炒), 작약(芍葯) 各
4.5, 자감초(炙甘草)1.5, 향부(香附), 천궁(川芎) 各4.5. 上爲粗末. 加
水 220 毫升, 煎至 180 毫升, 空腹時服.
⑶ 肝氣鬱結(간기울결)
① 흉협동통(胸脇疼痛) 한열왕래(寒熱往來) 흉민불서(胸悶不舒) 정신억울(精神抑鬱).
治 : 疏肝行氣(소간행기), 解鬱泄熱(해울설열).,
方 : 시호소간산(柴胡疏肝散)《景岳全書》리기제(理氣劑)
② 한습중조(寒濕中阻)자 완복비만(脘腹痞滿) 식소납매(食少納呆) 설태백니(舌苔白
膩) 맥현(脈弦).
治 : 疏肝解鬱(소간해울), 化濕中阻(화습중조)
方 :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沈氏尊生書》리기제(理氣劑)
≒ 목향(木香), 지각(枳殼), 후박(厚朴), 청피(靑皮), 진피(陣皮), 오약
(烏葯), 향부(香附), 사인(砂仁), 계심(桂心), 감초(甘草), 천궁(川
芎), 창출(蒼朮), 생강(生姜), 대조(大棗).
③ 한기객위(寒氣客胃), 위완통(胃脘痛) 혹 구토(嘔吐), 或連 흉협창통(胸脇脹痛) 태
박백(苔薄白) 맥침현(脈沉弦).
治 : 溫胃散寒止痛(온위산한지통)
方 : 량부환(良附丸)《良方集腋》리기제(理氣劑)
≒ 고량강(高良姜), 향부(香附).- 주세(酒洗) 7 번. 미탕(米湯) 가(加) 생강
즙(生姜汁), 鹽爲丸, 백개수(白開水)로 복용한다.
한중자(寒重者) : 고량강(高良姜) 배(倍) 향부(香附)
기중자(氣重者) : 향부(香附) 배(倍) 고량강(高良姜)
인한겸기자(因寒兼氣者) : 각등분(各等分)
⑷ 肝鬱化火(간울화화)
① 肝脾血虛(간비혈허), 化火生熱(화화생열) - 月經不順(월경불순), 小腹作痛(소복
작통)
治 : 疏肝健脾(소간건비), 和血調經(화혈조경)
方 : 丹梔消遙散(단치소요산)《婦人良方》
≒ 당귀(當歸) 백작(白芍) 운령(云苓) 감초(甘草) 생강(生姜) 백출(白
朮) 박하(薄荷) 시호(柴胡), 단피(丹皮) 산치(山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