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병(溫熱病) - II
辨證施治(변증시치)
春溫(춘온), 冬溫(동온), 暑溫(서온), 風溫(풍온), 濕溫(습온), 溫毒(온독) 등이다.
1) 춘온(春溫) - 온병(溫病), 온열병(溫熱病).
춘온(春溫) : 봄에 발생하는 온병(溫病)이다.
그의 임상특점은 초기부터 리열(里熱)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고
열(高熱)이 나며, 구갈(口渴)이 나며, 번조(煩躁)하고, 소변이 붉은(尿赤) 등이다. 혹은 외한
리열(外寒里熱)이 나타나고 추위를 타며 몸에 열(熱)이나고, 땀이 나지 않으며, 구갈(口渴)
이 나고, 머리와 몸이 아프고 번조불안(煩躁不安)하며, 목안이 마르고, 설질이 붉으며 맥세
삭(脈細數)하다. 리열(里熱)이 몹시 성(盛)할 때에는 발반(發斑)과 혼미(昏迷), 사지경련(四
肢痙攣) 등 증상이 나타난다. 유행성뇌척수막염(流行性腦脊髓膜炎) 등에서 나타난다.
⑴ 기음양허증(氣陰兩虛證)
臨床 : 대부분 봄에 온열한 사기에 감수되어 사열(邪熱)이 기분(氣分)에 들어가고 양명
경(陽明經)에 열결(熱結)되어 기진(氣津)을 모상(耗傷)함으로 몸에 열이 나고 위
장(胃腸)의 전도(傳導) 기능을 실직(失職)하게 됨으로, 기력을 잃게 되고 정신이
피로하며(神疲乏力), 입이 건조하고 목구멍이 아프며(口乾咽痛), 소복이 붓고 그
득하며 단단하고(少腹脹滿堅實), 대변이 나오려 하지 않고(大便秘結), 설태는 누
렇게 그을리었으며(苔焦黃), 맥은 힘을 주어야 짚이고 가늘며 연하다(脈沉弱).
治宜 : 익기양음(益氣養陰), 증액도하(增液導下).
方用 : 신가황용탕(新加黃龍湯)《溫病條辨》공축제(攻逐劑) 加减
≒ 생지황(生地黃), 맥문동(麥門冬), 현삼(玄參), 대황(大黃), 망초(芒硝),
감초(甘草), 인삼(人蔘), 당삼(黨參), 해삼(海參), 강즙(姜汁).
⑵ 열입기분증(熱入氣分證)
臨床 : 춘온열입기분증(春溫熱入氣分證) 춘온(春溫)은 항상 장(臟)에 리열(里熱)이 숨어
있음으로써 병이 발생하게 되면 위분증(衛分證) 단계에는 없고 기분(氣分)에 있
으므로 풍온과는 서로 구별이 가능하다(可與風溫相別) 또 사기(邪氣)가 소양(少
陽)혹은 양명(陽明)에 있음을 구별 한다. 사기가 소양담에 있는 사람(邪在少陽膽
者)은 입이 쓰고(口苦), 구갈(口渴), 심번(心煩), 소변이 짧고 진하며(尿短赤), 맥현
삭(脈弦數)을 위주로 하는 특징이 있다. 소양이 울열(鬱熱少陽)로 말미암아 진액
을 손상하게 된(傷及津液) 때문이다
治宜 : 고한청해소양(苦寒淸解少陽).
方用 : 황금탕(黃芩湯)《상한론(傷寒論)》
≒ 황금(黃芩), 작약(芍葯), 감초(甘草), 대조(大棗).
사재양명위자(邪在陽明胃者), 약상미결실(若尙未結實) 열울기분(熱鬱氣分) 리무
실체자(里无實滯者) 대제청개(大劑淸開) 기분지열(氣分之熱)
方 : 백호탕(白虎湯)《상한론(傷寒論)》
≒ 석고(石膏), 지모(知母), 갱미(粳米), 감초(炙甘草).
⑶ 열입영분증(熱入營分證)
臨床 : 춘온열입영분증(春溫熱入營分證)은 잠복해 있던 동온(冬溫)의 사기(邪氣)가 안
에서 발생하는(伏氣內發) 것으로 봄에 보게 된다. 몸에 열이 나는데 밤에 심하고
(身熱夜甚), 마음이 괴로 우며 몹시 성급하고 어지럽다(心煩躁擾), 목이 마르지만
갈증은 심하지 않으며(咽干而不甚渴), 혹은 때때로 헛소리를 치며(時有譫語), 혀
는 새빨갛고 설태는 없으며(舌紅絳无苔),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번 호
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細數). 대체로 음기가 평소에 허하
고(陰氣素虛), 열사가 안을 살라(熱邪內灼), 영음이 모손(營陰耗損)됨으로 심신이
어지럽게 된(心神被擾) 때문이다.
治宜 : 청영설열(淸營泄熱)
方用 : 청영탕(淸營湯)《온병조변(溫病條辨)》
≒ 서각(犀角),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죽엽심(竹葉心), 맥문동(麥門冬),
단삼(丹參), 황련(黃連), 은화(銀花), 연교(連翹).- 水煎服
⑷ 열상기음증(熱傷氣陰證)
臨床 : 춘온열상기음증(春溫熱傷氣陰證)은 춘온이 발병하여 중초(中焦)에 있으므로 말
미암아 양명(陽明)의 열결(熱結)이 가장 쉽게 부실(腑實, 腸實)로 되는 것이다. 그
러므로 만약 부실실하(腑實失下)하거나 혹은 협체이발(挾滯而發)하면 항상 신열
불퇴(身熱不退)하고, 복만변비(腹滿便秘)하며, 구설이 간조(口干舌燥)하고, 권태
소기(倦怠少氣)하는 등 증상을 본다.
治宜 : 위부(胃腑)에 실사가 아직 제거되지 않은(實邪未去), 사람이 기음(氣陰)을 상(傷)
했다면 익기양음(益氣養陰)하면서 통하결체(通下結滯)해야 한다.
方用 : 신가황용탕(新加黃龍湯)《온병조변(溫病條辨)》
≒ 생지황(生地黃), 맥문동(麥門冬), 현삼(玄參), 대황(大黃), 망초(芒硝),
감초(甘草), 인삼(人蔘), 당삼(黨參), 해삼(海參), 강즙(姜汁).
⑸ 열모진음증(熱耗眞陰證)
臨床 : 신열(身熱), 구간(口干), 수족심열(手足心熱) 심우수족배(甚于手足背), 신권(神
倦), 맥허(脈虛) 등이다. 만약 설조이농(舌燥耳聾)하면 이는 신정이 크게 줄어서
(腎精大虧), 신음이 모두 다 마르려는 것이다(眞陰欲竭).
治宜 : 의자보진음(宜滋補眞陰).
方用 : 가감복맥탕(加减復脈湯)《온병조변(溫病條辨)》
≒ 감초(甘草), 건지황(乾地黃), 백작(白芍), 맥문동(麥門冬), 아교(阿膠),
화마인(火麻仁).
만약 수족을 꿈틀거리고(手足蠕動), 혀가 진홍색에 태가 적은(舌絳苔少) 등의 증
상은 간(肝)과 신(腎)의 음(陰)이 모두 소모되면서 신수(腎水)가 간목(肝木)을 함
양(涵養)하지 못하여(水不涵木), 허풍이 내동하기(虛風內動) 때문이다.
治宜 : 자음잠양(滋陰潛陽)
方用 : 이갑복맥탕(二甲復脈湯)《온병조변(溫病條辨)》
≒ 감초(甘草), 건지황(乾地黃), 백작(白芍), 맥문동(麥門冬), 아
교(阿膠), 화마인(火麻仁), 모려(牡蠣), 별갑(鱉甲).
⑹ 열극생풍증(熱極生風證)
臨床 : 熱極生風證(열극생풍증)의 春溫(춘온)은 언제나 잠복해 있던 외감사기로 말미암
아 발병함으로서(常由外感引動伏邪) 리와 외가 서로상합(里外相合)해서 마치 수
리(올빼미)가 덮치듯 열사가 덮치는데(邪熱鴟張), 風(풍)이 動(동)하는 氣勢(기세)
로 불발의 근원(燎原)을 이루는 것이다. 그 특징은 표증초기(表證初起)에 리열이
이미 성한(里熱已盛), 고로 장열(故見壯熱), 번조(煩躁), 구갈(口渴) 등 사열이 영
혈에 들어가(迨邪熱入營), 영이 열화가 성함을(營熱火熾) 보이는 것으로 수족궐
음의 병이 같다(手足厥陰同病). 불어오는 풍의 양사는(煽動風陽), 작열 번조를 보
이고(則見灼熱煩躁), 입이 말라 껄끄럽고, 헛소리를 치며(譫語口干), 눈을 감고
정신이 흐리며(神昏目弔), 목이 뻣뻣하고 경풍이 나며(瘈瘲項强), 각궁반장(角弓
反張), 설질홍강(舌質紅絳) 맥상현삭(脈象弦數) 등이다.
治宜 : 淸營透熱(청영투열), 凉肝熄風(량간식풍)
方用 : 淸營湯(청영탕)《溫病條辨》
加 鉤藤(구등), 丹皮(단피), 羚羊角(영양각)
或 : 紫雪丹(자설단) 同用(동용)
≒ 서각(犀角),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죽엽심(竹葉心), 맥문동(麥門冬),
단삼(丹參), 황련(黃連), 은화(銀花) 연교(連翹). - 水煎服
마치 간경에 사열이 성해서(如邪熱盛于肝經) 열이 극에 이르러 풍을 일으키는
사람은(熱極生風者) 壯熱(장열), 瘈瘲(계종), 痙厥(경궐) 등의 증상 외에 頭暈脹痛
(두운창통), 手足躁扰(수족조우, 瘛瘲)하고, 舌紅苔燥无津(설홍태조무진) 한다.
治宜 : 凉肝熄風(량간식풍)
方用 : 羚羊鉤藤湯(영양구등탕)《通俗傷寒論》加减
≒ 영양각(羚羊角), 상엽(桑葉), 천패모(川貝母), 생지황(生地黃),
구등(鉤藤), 국화(菊花), 복신목(伏神木), 작약(芍葯), 감초(甘
草), 죽여(竹茹).
註 ▷ 瘛瘲(계종) : 보통 抽風(추풍)이라고 하는데 소아경풍의 일종이다.
瘈(계)는 힘줄이 당기면서 줄어드는 것이고, 瘲(종)은 힘줄이 이완되
어 늘어난 것이다. 따라서 계종은 손발이 수시로 신축되는(手足躁扰) 상태를 형
용한 것으로 이는 熱極生風(열극생풍), 肝風內動(간풍내동)의 증후이다.
⑺ 음허풍동증(陰虛風動證)
臨床 : 안으로 사열이 가득하고 왕성하여(里熱熾盛), 음액이 줄어들고(陰液被耗), 병의
후기에는(病之后期) 극히 쉽게 신음이 줄어드는 증이(眞陰耗竭) 발생하여 허풍
내동(虛風內動)을 일으킨다. 症見 : 몸이 여위고(形体消瘦), 입술은 그을리고 혀
는 시들어 빠지며(脣焦舌萎), 손가락을 고물고물 뒤척이며(手指蠕動), 마음이 몹
시 슬퍼서 가만히 있지 못하며(心中怛怛大動) 심하면 혹 정신이 지치고, 계종하
며(甚或神倦瘈瘲), 맥은 허하고(脈虛), 혀는 진홍색이고 태는 적으며(舌絳少苔),
때로는 옷을 벗으려한다(時時欲脫).
治宜 : 育陰潛陽(육음잠양), 滋陰熄風(자음식풍)
方用 : 大定風珠(대정풍주)《溫病條辨》
≒ 백작(白芍), 건지황(乾地黃), 맥문동(麥門冬), 아교(阿膠), 마인(麻仁),
오미자(五味子), 구판(龜板), 별갑(鱉甲), 모려(牡蠣), 감초(甘草), 계자
황(鷄子黃).
⑻ 음허화왕증(陰虛火旺證)
臨床 : 음허화왕증(陰虛火旺證)은 대부분 평소에 몸에 먼저 음정이 줄어들음으로 말미
암아(多由素体陰精先虧), 정기가 부족(正氣不足) 한데다가 봄에 온열의 사기에
감수 되어 이루어진 것이다(復感春今溫熱邪氣而成). 정기가 허한 틈을 타고 사
기가 침습함으로 말미암아(由于正虛邪襲), 온사는 직접 안으로 몰려 쳐들어와
(溫邪易于長驅直入) 병이 일어나는 고로 즉 리열이 치성한 증상을 보게 된다(故
起病卽見里熱熾盛之證). 사기의 감수에는 경중이 있음으로 해서(因感邪有輕
重), 인체의 정허에는 적은 것과 심한 것이 있다(人体正虛有微甚). 이로 인하여
(因此), 그 리열 증상을 보건데(其里熱見證) 또한 기가 있는 것과 영이 있는 것이
같지 않다(又有在氣在營的不同). 사기가 기분에 있는 사람은(邪在氣分者), 기를
맑게 해야 하고(淸氣卽可), 사기가 영분에 있는 사람은(邪在營分者) 투열전기 함
이 마땅하다(當透熱轉氣).
만일 일시적으로 병세가 진일보 발전(假若病勢進一步發展)하면 리열이 치성하
여 음액을 작상하게 된다(則可致里熱熾盛而灼傷陰液). 즉 오국통(吳鞠通)은 소
위 “少陰溫病(소음온병), 眞陰欲竭(진음욕갈), 壯火復熾(장화복치)” 之候(지후).
라 했다.
表現 : 신열구간(身熱口干), 심번(心煩), 조우불매(躁扰不寐), 설홍태황(舌紅苔黃), 맥세
삭(脈細數).
治療 : 黃連阿膠湯(황연아교탕)《溫病條辨》
≒ 황련(黃連), 아교(阿膠), 황금(黃芩), 작약(芍葯), 계자황(鷄子黃).
① 邪熱偏重者(사열편중자) : 加 梔子(치자), 連翹(연교).
② 陰傷偏重者(음상편중자) : 可去 黃芩(황금)., 加 元參(원삼), 生地(생지), 麥冬(맥
동).- 養陰救液(양음구액) 助轉氣之機(조전기지기).
⑼ 춘온열상기음증(春溫熱傷氣陰證)
臨床 : 춘온열상기음증(春溫熱傷氣陰證)은 춘온이 발병하여 중초(中焦)에 있으므로 말
미암아 양명(陽明)의 열결(熱結)이 가장 쉽게 부실(腑實, 腸實)로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만약 부실실하(腑實失下)하거나 혹은 협체이발(挾滯而發)하면 항상
신열불퇴(身熱不退)하고, 복만변비(腹滿便秘)하며, 구설이 간조(口干舌燥)하고,
권태소기(倦怠少氣)하는 등 증상을 본다.
治宜 : 위부(胃腑)에 실사가 아직 제거되지 않은(實邪未去), 사람이 기음(氣陰)을 상
(傷)했다면 익기양음(益氣養陰)하면서 통하결체(通下結滯)해야 한다.
方用 : 신가황용탕(新加黃龍湯)《溫病條辨》
≒ 생지황(生地黃), 맥문동(麥門冬), 현삼(玄參), 대황(大黃), 망초(芒硝),
감초(甘草), 인삼(人蔘), 당삼(黨參), 해삼(海參), 강즙(姜汁).
2) 동온(冬溫)
겨울철에 비정상적인 기후(겨울에는 추워야 하는데 도리어 따뜻한 것)를 감수하여 발생
하는 열성병이다. 주요증상은 초기에 두통(頭痛)이 있고, 땀이 나지 않으며(无汗), 열이 나
고 오한이 좀 나고(發熱微惡寒), 구갈이 나고 코가 마르거나(口渴鼻干) 혹 코가 막히면서
콧물이 흐르고(鼻塞流涕), 기침이 나며 기가 상역하거나(咳嗽氣逆) 혹은 목안이 마르고
가래가 맺히며(咽干痰結), 맥이 삭(脈數)하고, 설태가 흰 것이 점차 누렇게 되며 따라서 땀
이 나나 열이 내리지 않고, 구갈(口渴)이 나며, 온열(溫熱)이 나고 옆구리가 아프며, 맥이
활하고 삭하며(脈滑數), 설질이 붉고 설태가 누르고도 조(燥)한 등 증상이 나타난다. 후에
는 전변되어 풍온(風溫)과 대체로 비슷하게 된다.
⑴ 열모진음증(熱耗眞陰證)
풍온(風溫), 온열(溫熱), 온역(瘟疫), 온독(瘟毒), 동온(冬溫) 등으로
臨床 : 만약 사기가 양명에 오래 머무르고(邪在陽明久羈), 맥이 침실(沉實)하던 것이 허
대(虛大)하게 되며, 장열(壯熱)하던 발열이 머물고(發熱稽留), 수족심열(手足心
熱) 심우수족배(甚于手足背), 번갈(煩渴)하던 것이 구간태조(口干苔燥)한데 도
리어 목은 심하게 마르지 않는(反不甚渴) 것은 사열(邪熱)이 심입하초(深入下焦)
하여 모상진음(耗傷眞陰)한 것이므로 모두 복맥탕(復脈湯)을 가감(加减)하는 것
이 마땅하다.
만약 마음이 슬프고(心中怛怛) 맥세촉(脈細促)한 사람은 신수가 줄고 음이 부족
하며(陰虛水虧) 허풍이 안을 어지럽힌다(虛風內擾).
治宜 : 자음잠양(滋陰潛陽), 진간식풍(鎭肝熄風).
方用 : 삼갑복맥탕(三甲復脈湯)《온병조변(溫病條辨)》치풍제(治風劑)
≒ 감초(甘草), 건지황(乾地黃), 백작(白芍), 맥문동(麥門冬), 아교(阿膠),
모려(牡蠣), 별갑(鱉甲), 구판(龜板), 마황(麻黃).
3) 복서(伏暑) - 온병(溫病), 온열병(溫熱病).
⑴ 열입영분증(熱入營分證)
臨床 : 복서열입영분증(伏暑熱入營分證)은 서열(暑熱)에 상(傷)한 것이 원인이 되어 습
사에 막힌(遏于濕邪) 증상을 보면 발열이 밤에 중하고(發熱夜重), 마음이 괴로워
잠을 이루지 못하며(心煩不寐), 조급 하고 어지러워 불편해 하며(躁扰不寧), 갈
증은 나지만 물을 마시지 않고(渴不欲飮), 눈과 입술이 붉으며(目赤脣紅), 소변
발이 짧고 색이 붉으며 뜨겁고 아프다(小便短赤熱痛), 혀는 새빨갛고(舌絳), 태
는 누렇고 미끈거리며(苔黃膩),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한 것이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細數).
治宜 : 청심양영(淸心凉營), 청사화부(淸瀉火府).
方用 : 도적청심탕(導赤淸心湯)《통속상한론(通俗傷寒論)》
≒ 생지황(生地黃), 목통(木通), 맥문동(麥門冬), 주복신(朱茯神) 모단피
(牡丹皮), 연자심(蓮子心), 익원산(益元散), 죽엽(竹葉).
若 : 경궐이 병행하여 발작한 환자(痙厥幷發者)는
治 : 청열식풍(淸熱息風), 개규투락(開竅透絡).
方 : 서영삼즙음(犀羚三汁飮)《통속상한론(通俗傷寒論)》
≒ 서각(犀角), 연교(連翹), 백미(白薇), 조각자(皂角刺), 영양각(羚羊角),
울금(鬱芩), 천죽황(天竹黃), 모단피(牡丹皮), 죽력(竹瀝), 선석창포즙
(鮮石菖蒲汁), 생우즙(生藕汁).
⑵ 瘀熱相搏證(어열상박증) 伏暑(복서) 혹 暑溫病(서온병)에 출현하는 어열상박증(瘀熱相
搏證)의 표현
臨床 : 발열이 밤에 심하며(發熱夜甚), 정신이 어둡고 헛소리를 치며(神昏譫語), 물을
마시려 하지 않고(漱水不欲咽), 혀는 진홍색이며 태는 없고(舌絳无苔), 눈으로
보기에는 약간 건조하며(望之若干), 손가락으로 문지르면 오히려 윤이 나거나
(捫之尙潤), 혹은 어두운 자줏빛의 윤이 나는데(或紫暗而潤), 이는 심포가 열에
의해 폐색됨으로 말미암은 것으로서(此由熱閉心包), 혈락(모세혈관)이 어체된
(血絡瘀滯) 때문이다(所致). 何秀山(하수산) 說 “熱陷心包終神昏(열함심포종신
혼),非痰迷心竅(비담미심규), 旣瘀塞心孔(기어색심공)”라 하였다. 즉 熱陷心包
(열함심포)로 정신이 어두운 것은 담이 심규를 미혹시킨 것이 아니라 이미 심으
로 통하는 구멍이 막힌 것이다.
治宜 : 청영설열(淸營泄熱), 개규통어(開竅通瘀).
方用 : 서지청락음(犀地淸絡飮)《통속상한론(通俗傷寒論)》
≒ 서각(犀角), 모단피(牡丹皮), 연교(連翹), 죽력(竹瀝), 생지황(生地黃),
적작(赤芍), 도인(桃仁), 생강즙(生姜汁), 선창포즙(鮮菖蒲汁), 백모근
(白茅根), 등심(燈芯).
⑶ 복서열상기음증(伏暑熱傷氣陰證)
證狀 : 복서열상기음증(伏暑熱傷氣陰證)이란 무더운 여름철에 서사(暑邪)에 상(傷)한
것이 병발(病發)하지 않고 체내에 잠복하고 있다가 추동(秋冬)에 이르러 시사
(時邪)에 이끌려 발병함으로 초기에는 항상 한열(寒熱)을 발(發)하고 있어서 마
치 외감병(外感病) 사기(邪氣)와 유사(一似)하다. 만약 부당하게 해표(表散)를
위해 신온(辛溫)한 약물을 과용하게 되면 매번 체표(体表)가 해산(解散)됨에 따
라 이어서 복사(伏邪)가 화로 변(化火)하며, 상진모기(傷津耗氣)하는 열세(熱勢)
가 다시 일어나(復起)면서, 한출구갈(汗出口渴)하고, 설태황흑무진(舌苔黃黑无
津)하며 맥상은 활삭(脈象滑數)한 등 증상을 보게 된다.
治宜 : 청서열(淸暑熱), 익기음(益氣陰)
方用 : 뢰씨(雷氏) 청량척서법(淸凉滌暑法)《시병론(時病論)》
≒ 활석(滑石), 감초(甘草), 청호(靑蒿), 백편두(白萹豆), 연교(連翹), 복령
(茯苓), 통초(通草), 서과취의(西瓜翠衣). 거(去) 편두(扁豆), 통초(通
草). 가(加) 생지(生地), 서양삼(西洋參).
⑷ 서습곤조중초증(暑濕困阻中焦證)
臨床 : 서습곤조중초(暑濕困阻中焦)에 의해 나타나는 복서병(伏暑病)에는 서습이 내
복(暑濕內伏)하여 항상 위장(胃腸)의 적체가 상결(積滯相結)하고 서습이 협체
(暑濕挾滯)된 증상(證狀)을 이루고 있으며, 흉복이 작열(胸腹灼熱)하며, 헛구역
질이 나고(嘔惡), 된장 같은 묽은 변을 보며 변을 보고난 뒤가 상쾌하지 못하고
(便溏如醬而不爽), 설태는 누런 때가 낀 것이 미끈거리는(苔黃垢膩) 등 습열적
체상합(濕熱積滯相合)을 위주로 하는 표현을 한다.
治宜 : 苦辛通降(고신통강)
方用 : 枳實導滯湯(지실도체탕)《通俗傷寒論》
≒ 대황(大黃), 지실(枳實), 후박(厚朴), 빈낭(檳榔), 황련(黃連), 연교(連
翹), 자초(紫草), 목통(木通), 산사육(山楂肉), 신곡(神曲), 감초(甘草).
⑸ 서습협체증(暑濕挾滯證)
臨床 : 복서(伏暑)가 서습협체증(暑濕挾滯證)에서 보이는 사람은 추동(秋冬)에 발재(發
在)한 것으로 흉복이 작열(胸腹灼熱)하며, 오심구토(惡心嘔吐)하고, 변당불상
(便溏不爽)하며, 색황여장(色黃如醬)하고, 설태황후구니(舌苔黃厚垢膩)한 症狀
(증상)을 보이는 등 하는 것은 서습(暑濕)이 적체(積滯)되어 위장(胃腸)을 험하
게 하는 즉 위기를 불강(胃氣不降)케 하고, 전도를 불이(傳導不利)하게 하기 때
문이다.
治宜 : 苦辛通降(고신통강) - 消積導滯(소적도체), 淸熱利濕(청열이습).
方用 : 枳實導滯湯(지실도체탕)《通俗傷寒論》
≒ 대황(大黃), 지실(枳實), 후박(厚朴), 빈낭(檳榔), 황련(黃連), 연교(連
翹), 자초(紫草), 목통(木通), 산사육(山楂肉), 신곡(神曲), 감초(甘草).
4) 풍습(風濕) - 온병(溫病), 온열병(溫熱病)
⑴ 열입영분증(熱入營分證)
臨床 : 풍습열입영분증(風濕熱入營分證)은 동춘(冬春)에 발생함으로 병이 도래함이
비교적 급하고(來勢較急), 발전이 신속(發展迅速)하다. 만일 설질이 새빨갛고
(舌質紅絳), 마음이 괴로우며 성급하고 어지러우며(心煩躁擾), 몸에 열이 나는
데 밤에 심하고(身熱夜甚), 혹 심하면 때때로 헛소리를 치고(甚或時有譫語), 반
진이 은은하게 돋는다(斑疹隱隱). 이는 사열(邪熱)이 영분(營分)으로 내함(內
陷) 함으로 영음이 모손(營陰耗損)된 때문이다.
註 ▷ 반진(斑疹) : 점이 크고 넓게 이루어져 있고, 붉은색 혹은 자색이며, 만져도 거
칠음이 없는 것을 반(斑)이라 하는데 대체로 열(熱)이 양명(陽明)에
울결(鬱結)되어 영혈(營血)을 핍박(逼迫) 함으로 기부(肌膚)로 외발 한다. 진(疹)
은 그 모양이 마치 좁쌀 같고 붉은색이거나 자색이고 피부보다 높게 도드라져
서 만지면 거칠음이 있다.(그러나 개중에는 피부가 도드라졌지 만 겉칠은 감이
없는 것도 있다.) 이는 대체로 풍열(風熱)이 울체(鬱滯)되어 속으로 영분(營分)
이 막혀서 혈락(血絡)으로부터 피부로 돋아난 것이다.
治宜 : 청영설열(淸營泄熱), 기기투열전기(冀其透熱轉氣)
方用 : 청영탕(淸營湯)《온병조변(溫病條辨)》
≒ 서각(犀角),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죽엽심(竹葉心), 맥문동(麥門
冬), 단삼(丹參), 황련(黃連), 은화(銀花), 연교(連翹).- 水煎服
5) 풍온(風溫)
本證(본증)은 대부분 春季(춘계)에 발생한다. 봄철에는 풍이 많고(春季多風), 기후가 따뜻
하여(氣侯溫暖), 풍온열사(風溫熱邪)가 언제나 허한 틈을 타서 쉽게 안으로 끼어들어(乘
虛內陷), 역전심포(逆傳心包)한다.
봄철에 풍온병사(風溫病邪)에 감수(感受)되어 발생되는 급성열병(急性熱病)이다. 엽천사
(葉天士)의 온열론(溫熱論)에서는 “풍온(風溫)이란 봄철에 풍(風)을 감수한데서 그 기(氣)
가 이미 온(溫)하게 되었다.” 라고 하였으며 “溫邪上受(온사상수), 首先犯肺(수선범폐), 逆
傳心包(역전심포).” 라 하여 그 病理機制(병리기제)를 밝혔다.
이 병은 초기에 사기(邪氣)가 폐위(肺衛)에 있어서 주로 발열(發熱), 구갈(口渴), 자한(自
汗), 오한(惡寒), 해수(咳嗽), 두통(頭痛) 등 증상이 나타난다. 병세가 발전하는 과정중에서
때로는 혼미(昏迷), 섬어(譫語) 등 역전심포(逆傳心包)의 증후 및 발반(發斑)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온병(溫病)에서 땀이 난 후 몸이 뜨겁고(高熱), 땀이 절로 나며(自汗), 코를 골면서 잠을 자
고, 잠자기를 즐기게(嗜眠) 되며, 말하기 곤란해 하는 증후가 나타나는데 이것을 풍온(風
溫)이라고도 한다.
《傷寒論》 만일 치료시기를 놓치면(若治療失時) 열사(熱邪)에 덮쳐 심규가 폐색되고(心竅
閉塞), 내폐외탈증(內閉外脫證)을 형성(形成)하며 겸하여 물 흐르듯이 땀을 흘리고(大汗
淋漓), 면색이 창백(面色蒼白)하며, 오줌을 싸고(遺溺), 손을 뿌리치는(手撒) 등 증상을 나
타낸다.
혹 열사가 치성(熱邪熾盛)함으로 인하여 기음이 열에 의해 모상(耗灼氣陰)하고 기음양탈
증(氣陰兩脫證)을 형성하며 신혼섬어(神昏譫語)가 나타나고, 끈끈하고 미끈거리는 땀을
흘리고(汗出粘膩), 숨이 차며 얼굴색이 붉고(面紅氣短), 설홍태광(舌紅苔光), 맥세욕절(脈
細欲絶) 등이 나타나는데 이 2개의 증은 모두 위태로운 징후로서(斯二證皆屬危候), 전력
을 다하는 치료가 요구된다(需全力救治).
⑴ 온사침습폐위증(溫邪侵襲肺衛證)
臨床 : 풍온병(風溫病) 초기(初起)에 본증은 대부분 풍열사기가 체표를 침습(風熱襲表)
하거나 혹은 풍사가 폐를 침범(風邪犯肺)함으로 본증을 본다. 만약 풍열이 체표
를 침습(風熱襲表)하여 위기를 뒤덮으면(衛氣被阻), 폐기가 선발을 잃고(肺氣失
宣), 피모가 사기를 받으며(皮毛受邪), 발열하는 증상을 보고(症見發熱), 풍한을
싫어하고(微惡風寒), 땀이 적거나 혹은 땀이 없으며(少汗或无汗), 기침(咳嗽)하
고, 약간 구갈이 난다(口微渴)., 설태는 희며 얇고(苔薄白), 맥은 약간 눌러도 짚
이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浮數).
治宜 : 신양해표(辛凉解表).
方用 : 신양평제(辛凉平劑) 은교산(銀翹散)《온병조변(溫病條辨)》
≒ 은화(銀花),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길경(桔梗), 박하(薄荷), 죽엽
(竹葉), 형개수(荊芥穗), 두시(豆豉), 감초(甘草), 노근(蘆根).
만약 : 풍사가 폐를 범하고(風邪犯肺), 폐가 선산을 잃으며(肺失宣散), 사기가 아
직 열로 변하지 않고(邪未化熱), 병세가 비교적 경하며(病勢較輕), 전신
증상(全身症狀)이 명현하지 않은(還不明顯), 증상은 기침(咳嗽)를 위주로 하고,
또 머리에 창통이 나는 것을 보고(且見頭脹), 몸에 열은 심하지 않으며(身不甚
熱), 약간 구갈이 있고(口微渴), 설태는 얇으며(苔薄), 맥은 가볍게 눌러도 짚이
는(脈浮) 사람은
治 : 신양해표(辛凉解表).
方 : 신양경제(辛凉輕劑) 상국음(桑菊飮) 온병조변(溫病條辨)》
≒ 상엽(桑葉), 국화(菊花), 행인(杏仁), 길경(桔梗), 박하(薄荷), 감초
(甘草), 로근(蘆根), 연교(連翹).
⑵ 열입기분증(熱入氣分證)
臨床 : 풍온열입기분증(風溫熱入氣分證)은 풍온(風溫)의 사기(邪氣)가 구비(口鼻)를 통
하여 침입함으로 말미암아 태음으로부터 나타내는데(發自太陰), 풍사(風邪)는
이리저리 잘 옮겨 다니며 변화를 많이 하는 것으로(善行數變), 열의 도움을 받
게 되면(得溫爲助), 더욱 빠르게 전변되 어(傳變愈速), 흉격(胸膈) 아래위로 모
두 병이 들 수 있다. 그 발병정형(發病情形)을 수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可分
數種), 사열이 폐를 막아(邪熱壅肺), 폐가 선발과 숙강기능을 잃고(肺失宣降), 숨
을 헐떡거리며 기침을 하고(以咳喘), 몸에 열이 나며 오한은 하지 않고(身熱而
不惡寒), 한출(汗出), 심번(心煩), 구갈(口渴), 맥삭(脈數) 등을 위주로 하는 특징
이 있는 열조폐기(熱阻肺氣)에 속한다.
治宜 : 청선폐기(淸宣肺氣).
方用 : 마행석감탕(麻杏石甘湯)《상한론(傷寒論)》
≒ 마황(麻黃), 행인(杏仁), 감초(甘草), 석고(石膏).
若症見 : 조열과 변비(潮熱便秘)가 있으며, 가래와 침으로 기도가 막혀 호흡이 촉박하
여 헐떡거리며 기침을 하고 불편하다(喘促不寧, 痰涎壅滯), 설태는 누렇고 두
터운 것이 번들번들하고(舌苔黃厚而滑), 오른쪽 촌맥이 크고 실한 사람은(脈
右寸實大者) 폐가 사열을 받아(肺受邪熱) 증화(蒸化)함으로 폐기가 숙강을 잃
고(氣失肅降), 대장으로 파급(派及大腸)되어, 음식 찌꺼기들이 전도되지 않으
며(傳導不利), 위부에는 열이 맺혀(胃腑熱結), 아래로 내려가지 않기(通降失
常) 때문이다.
治 : 의선청통강(宜宣淸通降)
方 : 선백승기탕(宣白承氣湯)《온병조변(溫病條辨)》
≒ 석고(石膏), 대황(大黃), 행인(杏仁), 과루피(瓜蔞皮).
若症見 : 신열면적(身熱面赤), 오열심번(惡熱心煩), 한 대출(汗大出), 태황조(太黃燥),
맥홍대(脈洪大) 한 사람은 열입양명기분(熱入陽明氣分)을 위주로 리열증박
우외(里熱蒸迫于外)한 때문이다.
治 : 수청열보진(須淸熱保津), 금표퇴열(金飇退熱),
方 : 백호탕(白虎湯)《상한론(傷寒論)》
≒ 석고(石膏), 지모(知母), 갱미(粳米), 감초(炙甘草).
若 : 열입기분증(熱入氣分證)에서 물을 마시면 구토(得水則嘔)하고, 가슴이 아프고(胸
痛) 혀가 번들 번들한 사람(舌滑者)은 탁담(濁痰)과 습열(濕熱)이 함께 상초(上焦)
의 기분(氣分)을 어지럽히고 위기가 내려가지 않으며(胃氣不降), 누런 탁한 사기
가 머무른(濁邪停黃) 때문이다. 이미 담열(痰熱)이 흉부에 맺혀서(結胸) 이루어진
증상이다.
治 : 청화개결병용(淸化開結幷用)
方 : 소함흉가지실탕(小陷胸加枳實湯)《온병조변(溫病條辨)》
≒ 황련(黃連), 과루실(瓜蔞實), 지실(枳實), 반하(半夏).
⑶ 열모진음증(熱耗眞陰證) 풍온(風溫), 온열(溫熱), 온역(瘟疫), 온독(瘟毒), 동온(冬溫) 등
臨床 : 만약 사기가 양명에 오래 머무르고(邪在陽明久羈), 맥이 침실(沉實)하던 것이
허대(虛大)하게 되며, 장열(壯熱)하던 발열이 머물고(發熱稽留), 수족심열(手足
心熱) 심우수족배(甚于手足背), 번갈(煩渴)하던 것이 구간태조(口干苔燥)하나
도리어 목은 심하게 마르지 않는(反不甚渴) 것은 사열(邪熱)이 심입하초(深入下
焦)하여 모상진음(耗傷眞陰)한 것이므로 모두 복맥탕(復脈湯)을 가감(加减)하
는 것이 마땅하다. 만약 마음이 슬프고(心中怛怛) 맥세촉(脈細促)한 사람은 신
수가 줄고 음이 부족하며(陰虛水虧) 허풍이 안을 어지럽힌다(虛風內擾).
治宜 : 자음잠양(滋陰潛陽), 진간식풍(鎭肝熄風).
方用 : 삼갑복맥탕(三甲復脈湯)《온병조변(溫病條辨)》치풍제(治風劑)
≒ 감초(甘草), 건지황(乾地黃), 백작(白芍), 맥문동(麥門冬), 아교(阿
膠), 모려(牡蠣), 별갑(鱉甲), 구판(龜板), 마황(麻黃).
⑷ 열독치성증(熱毒熾盛證)
臨床 : 열독이 두루 퍼짐을(熱毒彌漫) 위주로 하는 증상(症狀) - 몸에 고열이 나며(身大
熱), 몹시 목이 마르고(口大渴), 눈이 붉고 입술이 부으며(目赤脣腫), 마음이 초
조하고 괴롭고 호흡이 거칠며(氣粗煩躁), 자나 깨나 불안하고(臥起不安), 피부
에는 자줏빛 반이 돋고(紫斑), 치판(齒板), 심하면 정신이 어둡고 헛소리를 치며
(甚則神昏譫語), 설사를 하며(下利), 사지말단으로부터 냉기가 오르고(手足厥
冷), 맥은 뼈에 이르기까지 꾹 눌러야 짚인다(脈伏). 이는 열독이 안을 가로막고
(此爲熱毒內壅), 제멋대로 어지럽힘을 위주로 하는 증상을 가리킨다(充斥肆逆).
상초를 열로 찜으로 구갈이 나고 입술이 부으며(上蒸見口渴脣腫), 눈이 붉은(目
赤) 것을 보게 된다.; 熱(열)이 아래로 다그침으로 설사를 하고(迫下則見下利),
심장을 요란케 함으로서 정신이 어두워 헛소리를 치며(擾心則神昏譫語), 마음
이 초조하며 괴롭고 불안해하며(煩躁不安), 락맥이 막혀 순통하지 못함으로 팔
다리가 말단으로 부터 서늘하고(阻絡則手足厥冷), 맥은 뼈까지 꾹 눌러야 짚이
는 것이다(脈伏). 치판(齒板)이란 - 아무래도 치은결판(齒齦結瓣)을 말하는 것
같다. 즉 잇몸이 위열(胃熱)로 벌겋게 부은 것이 마치 화판(花瓣)모양을 하고 있
다는 것이다. 대체로 출혈(出血), 동통(疼痛)을 동반하거나 궤란(潰爛)되고 입안
에서 더러운 냄새가 나는데 이는 열독(熱毒)이 내공(內攻)하여 위화(胃火)가 극
성한 것에 속한다.
治宜 : 청열(淸熱), 투사(透邪), 해독(解毒).
方用 : 승마(升麻), 황금(黃芩), 서각(犀角), 은화(銀花), 두권(豆卷), 감초(甘草).
《외감온병편(外感溫病篇)》
⑸ 열극생풍증(熱極生風證)
臨床 : 熱極生風證(열극생풍증)의 風溫(풍온) 初起(초기)에는 發熱(발열), 惡風(오풍),
咳嗽(해수), 口渴(구갈) 등을 위주로 하는 症狀(증상)을 보일 때는 熱勢(열세)가
旺盛(왕성)하여 驚厥(경궐)을 할 수 있는데 이는 火氣(화기)가 旺盛(왕성)하여
肺金(폐금)을 가둠으로써(火旺金囚), 肝木(간목)이 두려울 것 없이 되자(木无所
畏) 풍화가 안에 돌아 풍이 일어난 것이다(風火內旋而生風).
治宜 : 宣肺透邪(선폐투사), 熄風淸熱(식풍청열)
方用 : 銀翹散(은교산)《溫病條辨(온병조변)》 加 鉤藤(구등), 全蝎(전갈).
≒ 은화(銀花),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각9, 길경(桔梗), 박하(薄荷) 각6,
죽엽(竹葉)4, 형개수(荊芥穗), 두시(豆豉), 감초(甘草) 각(各)5, 노근(蘆
根).- 水煎服.
만일 평소에 담열이 있는데다(若素有痰熱) 풍온 사기를 감수하다(復感風溫)
症見 : 壯熱(장열), 神昏(신혼), 頸强(경강), 抽축者(추축자), 이는 폐와 위가 담열
로 서로 엉키고(乃肺胃痰熱互結), 막혀서 풍을 낳은 것이다(鬱而生風(울
이생풍).
治 : 需淸宣痰熱(수청선담열), 則風自止(칙풍자지)
方 :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傷寒論》 去 麻黃(마황),
加 竹瀝(죽력), 川貝(천패), 蟬衣(선의) 등
≒ 마황(麻黃)5, 행인(杏仁)9, 감초(甘草)6, 석고(石膏)18.
⑹ 음허동풍증(陰虛動風證)
臨床 : 풍온 사열에 이끌 린지 오래되며(風溫邪熱久羈), 신음이 줄어들고(消爍眞陰), 하
초에 병이 들어(病入下焦), 사기는 적으나 허가 많아(虛多邪少), 신수가 간목을
함양하지 못하고(水不涵木), 근맥이 영혈을 잃어(筋脈失營), 허풍이 안에서 동요
(虛風內動)하므로 그 증상은 몸에 열이 나는데 밤에 심하며(其證身熱夜甚), 손과
발바닥에 열이 나며(手足心熱), 정신이 피로 하고 귀가 잘 들리지 않으며(神倦耳
聾), 손발을 꿈틀꿈틀 뒤척이고(手足蠕動), 혀는 진홍색으로 빛나며 태는 없다
(舌光絳无苔), 맥은 허대 하거나 혹은 결대 하다(脈虛大或結代).
治宜 : 當養陰熄風(당양음식풍),
方用 : 加减復脈湯(가감복맥탕)《溫病條辨》
≒ 감초(甘草), 건지황(乾地黃), 백작(白芍),맥문동(麥門冬),아교(阿膠),
화마인(火麻仁).
⑺ 역전심포증(逆傳心包證)
逆傳心包證(역전심포증)은 外感熱病(외감열병) 과정 중에 危重證候(위중증후)이다.
溫邪上受(온사상수)라 함은 사열(邪熱)이 衛(위, 体表)를 통해서 氣(기), 營(영), 血(혈)로
들어오는 것으로써 즉 체표로부터 리에 이르는(由表及里), 順傳(순전)을 말하는 것이
다. 다만 稟賦(품부, 先天)가 허약할 뿐인데 만일 邪氣(사기)를 感受(감수)함으로써 비
교적 重(중)하게 된 사람은 逆傳(역전)하여 凶險(흉험)한 徵候(징후)를 나타낼 수 있다.
마치 風溫病(풍온병) 중에 풍과 열이 서로 부추겨서(風熱相煽), 풍이 화의 기세를 타고
(風乘火勢), 화가 풍의 위엄을 빌어(火借風威), 사기가 체표를 범하고(病邪犯表) 내친
길에 안으로 들어와(旋卽入里) 역전하여 허깨비(神昏病)으로 변한다(逆傳變幻). 심포
락이 사기에 감수되면(包絡受邪), 맑은 정신이 흐려지고(神明被扰), 심규가 폐색 되는
(心竅閉塞), 위험한 증상이 겹쳐서(危症疊出) 나타난다. 고열을 볼 수 있고(可見高熱),
신혼(神昏), 섬어(譫語), 설강어건(舌强語蹇), 사지궐냉(四肢厥冷), 심칙경궐추축(甚則
痙厥抽축), 설강무태(舌絳无苔) 등이다.
治宜 : 淸心開竅(청심개규), 瀉熱止痙(사열지경)
方用 : 淸宮湯(청궁탕)《溫病條辨》
≒ 서각(犀角), 현삼심(玄參心), 연자심(蓮子心), 연교심(連翹芯), 죽엽권심
(竹葉卷心), 연심맥동(連心麥冬).
宜服 : 安宮牛黃丸(안궁우황환)《溫病條辨》
≒ 우황(牛黃), 울금(鬱芩), 서각(犀角), 황련(黃連), 주사(朱砂), 치자(梔
子), 웅황(雄黃), 황금(黃芩)각30, 진주(珍珠)15, 빙편(冰片), 사향(麝
香) 각7.5, 금박(金箔).
或 : 至寶丹(지보단)《和劑局方》
≒ 주사(朱砂), 사향(麝香), 안식향(安息香), 생오서각(生烏犀角), 우황(牛黃),
호박(琥珀), 용뇌빙편(龍腦冰片), 웅황(雄黃), 대모(玳瑁, 거북), 금박(金
箔), 은박(銀箔).
紫雪丹(자설단)《和劑局方》
≒ 석고(石膏), 한수석(寒水石), 자석(磁石), 활석(滑石), 서각(犀角), 영양각
(羚羊角), 청목향(靑木香), 침향(沉香), 현삼(玄參), 승마(升麻),감초(甘草),
정향(丁香), 박초(朴硝), 사향(麝香), 주사(朱砂), 초석(硝石), 적금(赤金).
每次 0.9~1.5g, 每天 3次, 病重者 每次 可增至 3g, 溫開水送下.
⑻ 상초조열증(上焦燥熱證)
臨床 : 풍온객우폐위(風溫客于肺衛)로 말미암아 사열이 떠나지 않고 연연히 머물러 있
으면서(邪熱留戀不去) 위분을 통해서 기분으로 들어가(由衛入氣), 열사가 진액
을 상하고 조로 변하여(熱邪傷津化燥) 발생하는 상초조열증(上焦燥熱證) 이다.
症見 : 身熱(신열), 汗出(한출), 咳嗽氣急(해수기급), 胸悶脇痛(흉민협통), 口渴引
飮(구갈인음), 口鼻干燥(구비간조), 舌紅(설홍), 苔黃(태황), 脈數(맥삭).
治宜 : 辛凉甘潤(신량감윤), 淸熱宣肺(청열선폐).
方用 : 桑杏湯(상행탕)《溫病條辨》
≒ 桑葉(상엽), 杏仁(행인), 沙參(사삼), 象貝母(상패모), 豆豉(두시), 梔子皮
(치자피), 梨皮(이피).
合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傷寒論》加减(가감)
≒ 麻黃(마황), 杏仁(행인), 甘草(감초), 石膏(석고).
⑼ 풍온을 실치(風溫失治)하여 사열이 하초로 전이(熱傳下焦)하게 되면 신열면적(身熱面
赤)하고, 구간설조(口干舌燥)하며, 신권기단(神倦氣短)하고, 손과 발바닥에 열이 나던
것이(手足心熱)이 손등과 발등으로 가는 사람을 본다. 맥(脈)이 만약 크고 허하며 잘 흩
어지는(脈若虛大易散) 것은 간신(肝腎)이 병(病) 들은 것에 속하는 것으로 하초(下焦)
의 진음(眞陰, 腎陰)이 모두 말라버리려(欲竭) 하고, 원기(元氣)가 모산(耗散)되어 욕탈
(欲脫)하려는 기음양상증(氣陰兩傷證)에 속하는 것이다.
治宜 : 자음고진익기(滋陰固津益氣).
方用 : 일갑복맥탕(一甲復脈湯)《온병조변(溫病條辨)》
≒ 감초(甘草), 건지황(乾地黃), 백작(白芍), 맥동(麥冬), 아교(阿膠), 모려
(牡蠣)., 加 인삼(人參).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