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맹(夜盲) - 야제(夜啼) - 양위(陽萎)
야맹(夜盲)
1. 應用葯(응용약) : 夜明砂(야명사), 蒼朮(창출), 호박(南瓜(남과)),
① 호박(종자) : 補中益氣(보중익기), 消炎止痛(소염지통), 利尿(이뇨).
호박(南瓜(남과), 番瓜(번과), 金瓜(금과), 倭瓜(왜과), 北瓜(북과), 金冬瓜
(금동과), 番蒲(번포)라 한다.
2.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夜盲雀目(야맹작목)
① 珍珠母(진주모) 配 蒼朮(창출), 猪肝(저간), 혹 鷄肝(계간) 同煮服(동자복)
2) 夜盲症(야맹증) - 角膜軟化(각막연화)
① 蒼朮(창출) 單種(단종) 혹은 猪肝(저간), 羊肝(양간)과 함께 쪄서 먹는다.(蒸煮同食)
3. 辨證施治(변증시치) nyctalopia, night blindnrss
1) 간혈허증(肝血虛證)
臨床 : 작맹병중에 시야가 어두워 물체가 잘 보이지 않고 안화가 날며(視物昏花), 밤눈
이 어둡고(夜盲), 따라서 눈동자가 시큰거리며 껄끄러우며 아픈 것이(睛珠酸澁
疼痛) 미능골이 아프게 되는(牽引眉棱骨痛) 것이 특징이다. 대체로 간혈(肝血)이
부족하고 청규를 영양치 못하기 때문이다(淸竅失養).
《필화의경(筆花醫鏡)》曰 “肝之虛 腎水不能涵木而血少也. 脈左關必弱或空大其
症爲脇痛 爲頭眩, 爲目乾 爲眉棱骨眼眶痛.”
간이 허한 것은 신수(腎水)가 혈(血)이 적어서 간목(肝木)을 능숙하게 적셔(涵養)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좌측 관맥이 필히 약하거나 혹은 맥이 크고 속이 비었을
것이고 그 증상(症狀)은 주로 옆구리가 아프고, 주로 머리가 갑자기 아찔하면서
캄캄해지고, 주로 눈안에 진액이 마르고, 주로 미능골과 눈자위가 아프다. 라고
했다.
治宜 : 자간양혈명목(滋肝養血明目)
方用 : 사물탕(四物湯)《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補益劑
≒ 숙지황(熟地黃), 당귀(當歸), 백작(白芍), 천궁(川芎).
야열조량(夜熱早凉) ⇒ 발열(發熱) - 虛熱(허열)
야제(夜啼)
1. 常用葯(상용약)
1) 凉肝止驚(량간지경) : ☆ 鉤藤(구등)
2.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鉤藤(구등)15 + 薄荷(박하)10 = 小兒夜寐不安(소아야매불안) 驚抖(경두), 咳嗽(해수)
2) 蟬退(선퇴)6 + 薄荷(박하)10 = 小兒夜啼不眠之證(소아야제불면지증)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諸癇啼叫(제간제규)
⑴ 鉤藤(구등) 配 天竹黃(천죽황), 蟬蛻(선태), 黃連(황련) ≒ 鉤藤飮(구등음)
2) 小兒驚哭(소아경곡)
⑴ 凉肝止驚(량간지경)
① 鉤藤(구등) 配 蟬蛻(선태), 薄荷(박하)
⑵ 凉肝熄風(량간식풍)
① 蟬退(선퇴) 單種(단종) 或加 全蝎(전갈), 姜蚕(강잠), 鉤藤(구등) - 祛風止痙(거풍
지경)
3) 小兒夜啼(소아야제)
⑴ 淸心降火(청심강화) 應用葯(응용약) : 燈心草(등심초),
양위(陽萎)
양사불거(陽事不擧)라고도 한다. 음경(陰莖)이 발기(勃起) 되지 않는 병증을 가리킨다.
《내경(內經)》에서는 음위(陰萎)라고 하였다. 이는 대체로 ㉮ 성욕이 지나치거나 혹은 수
음(手淫)하여 정기(精氣)가 손상되고 명문지화(命門之火)가 쇠약하거나 ㉯ 혹은 사려(思
慮), 근심, 걱정, 우울(憂鬱) 등 정서(情緖)상에 이상으로 심비(心脾)가 손상되었거나 혹 두
려움이 심하여 신기(腎氣)가 손상된 데서 생긴다. 전자의 명문지화(命門之火)가 쇠약한
것은 대체로 머리가 어지럽고, 정신이 피로하며, 허리와 무릎이 시큰시큰 쏘고, 연약하
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는 겁이 많고, 의심이 많으며, 잠자리가 불안하다.
1.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肝腎不足(간신부족)
⑴ 腎陽虛衰(신양허쇠) - 補腎助陽(보신조양)
應用葯(응용약) : 陰起石(음기석), 葱子(총자), 菟絲子(토사자),
① 陽痿陰冷(양위음냉) : 黃狗腎(황구신),
② 補腎陽益精血(보신양익정혈) : 鹿鞭(녹편),
③ 腎虛(신허) - 固精縮尿(고정축뇨) - 早泄(조설), 尿頻(뇨빈) : 覆盆
子(복분자),
① 韭子(구자) 常配 補骨脂(보골지), 益智仁(익지인), 龍骨(용골)
② 覆盆子(복분자) 常與 枸杞子(구기자), 菟絲子(토사자), 五味子(오미자). .≒ 五子
衍宗丸(오자연종환)
③ 沙苑子(사원자) 常配 煅龍骨(단용골), 蓮須(연수), 芡實(검실). . . ≒ 金鎖固精丸
(금쇄고정환)
④ 山茱萸(산수유) 多與 補骨脂(보골지), 巴戟天(파극천), 淫羊藿(음양곽)等 補腎助
陽類(보신조양)
⑤ 鎖陽(쇄양) 常配 巴戟天(파극천), 補骨脂(보골지), 菟絲子(토사자)
⑥ 丁香(정향) 加 附子(부자), 肉桂(육계), 淫羊藿(음양곽)
⑦ 巴戟天(파극천) 配 淫羊藿(음양곽), 仙茅(선모), 枸杞子(구기자). . . ≒ 贊育丸(찬
육환)
⑵ 陽萎早泄(양위조설) 應用葯(응용약)
1) 溫腎補陰(온신보음) : 陰起石(음기석), 楮實子(저실자),
2) 益陽澁精(익양삽정) : 紫梢花(자초화), 核桃仁(핵도인),
① 覆盆子(복분자) 常與 枸杞子(구기자), 菟絲子(토사자), 五味子(오미자). .≒ 五
子衍宗丸(오자연종환)
② 陽起石(양기석) 配 山茱萸(산수유), 淫羊藿(음양곽), 菟絲子(토사자). . .
⑶ 陽痿遺精(양위유정)
應用葯(응용약) - 溫腎壯陽(온신장양) : 海龍(해용),
- 溫腎陽(온신양) 强筋骨(강근골) 益精養血(익정양혈) : 鹿角(녹각),
- 益精補髓(익정보수) : 龜板(구판), 陽萎(양위), 遺精(유정), 遺尿(유
뇨), 尿頻(뇨빈)
① 韭子(구자) 常配 補骨脂(보골지), 益智仁(익지인), 龍骨(용골)
② 刺猬皮(자위피) 單用(단용) 細末服用(세말복용)
③ 刺猬皮(자위피) 或加 益智仁(익지인), 龍骨(용골) 등 收斂固澁葯(수렴고삽약) 配
合(배합)
④ 菟絲子(토사자) 常配 枸杞子(구기자), 覆盆子(복분자), 五味子(오미자). .≒ 五子
衍宗丸(오자연종환)
⑷ 陽萎滑精(양위활정) 應用葯(응용약) : 鹿茸(녹용),
⑸ 陽萎精冷(양위정냉) 應用葯(응용약) : 海馬(해마),
① 海狗腎(해구신) 配 人參(인삼), 鹿茸(녹용), 附子(부자) ≒ 膃肭臍丸(올눌제환)
⑹ 補肝腎(보간신)
① 杜仲(두중) 配 山茱萸(산수유), 菟絲子(토사자), 覆盆子(복분자)
⑺ 下元虛敗(하원허패)
① 補骨脂(보골지) 配 菟絲子(토사자), 胡桃肉(호도육), 沈香(침향). . . ≒ 補骨脂丸
(보골지환)
⑻ 寒濕內盛的(한습내성적) - 自汗(자한)
① 附子(부자) 加 黃芪(황기), 桂枝(계지)
② 淫羊藿(음양곽) 加 燒酒(소주)(1:10) 浸(침) 10天(천)
2) 陽萎(양위) - 陽萎不育(양위불육)
⑴ 補腎益精血(보신익정혈)
① 肉蓗蓉(육종용) 配 熟地(숙지), 菟絲子(토사자), 五味子(오미자). . . ≒ 肉蓗蓉丸
(육종용환)
⑵ 血虛(혈허) 陽萎(양위)
① 人參(인삼) 配 鹿茸(녹용), 胎盤(태반, 紫河車) - 補陽葯(보양약) - 益氣壯陽(익기
장양)
⑶ 精少不育(정소불육)
① 海狗腎(해구신) 配 人參(인삼), 鹿茸(녹용), 紫河車(자하차), 淫羊藿(음양곽)
⑷ 補腎壯陽(보신장양)
① 海馬(해마) 單用(단용). - 硏末(연말) 혹 浸酒服(침주복),
② 海馬(해마) 亦可配(역가배) - 補骨脂(보골지), 淫羊藿(음양곽), 覆盆子(복분자)
3) 下焦虛寒(하초허한)
⑴ 腎陽衰微(신양쇠미)
① 蛇床子(사상자) 配 五味子(오미자), 菟絲子(토사자), 肉桂(육계), 熟地(숙지) ≒
三子丸(삼자환)
⑵ 火衰陽萎(화쇠양위)
① 硫黃(유황) 加 鹿茸(녹용), 補骨脂(보골지)
4) 陽萎(양위) - 中醫葯學(중의약학)
⑴ 陽萎(양위), 尿頻(뇨빈)
① 杜仲(두중), 山茱萸(산수유), 菟絲子(토사자), 覆盆子(복분자)
⑵ 腎陽不足(신양부족), 精虧血虛(정휴혈허) - 助腎陽(조신양), 益精血(익정혈)
① 蛤蚧(합개) 單用浸酒服(단용침주복),
② 或配 人參(인삼), 鹿茸(녹용), 淫羊藿(음양곽)
⑶ 陽萎精冷(양위정냉)
① 海狗腎(해구신), 人參(인삼), 鹿茸(녹용), 附子(부자) ≒ 膃肭臍丸(올눌제환)
⑷ 精少不育(정소불육)
① 海狗腎(해구신), 人參(인삼), 鹿茸(녹용), 紫河車(자하차), 淫羊藿(음양곽)
⑸ 補腎壯陽(보신장양) - 腎陽虛(신양허), 陽萎(양위)
① 淫羊藿(음양곽) 單獨酒浸(단독주침)
② 淫羊藿(음양곽), 熟地(숙지), 枸杞子(구기자) ≒ 贊育丸(찬육환)
2. 辨證施治(변증시치)
1) 간양허증(肝陽虛證)
臨床 : 간양허증(肝陽虛證)의 양위병(陽萎病)은 남녀 간에 교회(交會) 중에 간허(肝虛)
로 인하여 기가 능숙하게 도래하지 못함으로(氣不能至), 떨치고 일어나서 오르
지 못하고(不能昻奮) 양기의 도리(陽道)를 다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간양이 부족한데다가 외한(外寒)을 받음으로 인해서 그 사람의 음낭(陰囊)이 차
갑고 축축이 젖었으며(陰濕), 다리가 따뜻하지 않고(下肢不溫), 맥은 힘주어 눌
러야 짚이고 실같이 가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4번 이하로 뛰는 느린 맥이
다(脈沉細遲).
治宜 : 보간장양(補肝壯陽).
方用 : 녹용환(鹿茸丸)《六經方證中西通解》
≒ 녹용(鹿茸), 파극천(巴戟天), 토사자(菟絲子), 구기자(枸杞子), 두중(杜
仲), 속단(續斷), 황기(黃芪), 복령(茯苓), 포부자(炮附子), 우슬(牛膝), 계
지(桂枝), 산약(山葯), 오미자(五味子), 인삼(人參), 감초(甘草).
或 : 온양보간전(溫陽補肝煎)《中醫證候鑒別診斷學》加减
≒ 육계(肉桂), 선령비(仙靈脾), 자석영(紫石英), 사상자(蛇床子), 백작
(白芍), 목과(木瓜).
加减 - ① 간음(肝陰), 간혈(肝血) 겸허 : 加 당귀(當歸), 구기자(枸杞子).
② 겸 중초허한(中焦虛寒) : 加 인삼(人參), 건강(乾姜).
③ 소복산통(少腹疝痛) : 去 목과(木瓜),
加 소회향(小茴香), 호로파(葫蘆巴), 려지핵(荔枝核).
④ 구산상기(嘔酸上氣) : 오수유(吳茱萸), 천초(川椒).
간양허증(肝陽虛證)에서 보는 허손(虛損)은, 언제나 음허(陰虛)를 위주로 하는 허손병
(虛損病)과는 다르다. 우선 그것이 양허증(陽虛證)란 것이다. 양허(陽虛) 허손(虛損)은
대부분 걱정, 시름, 그리움, 근심(憂愁思慮)으로 상신(傷神)하는 특징이 있고, 혹은 일
을 절제하지 못하여(勞役不節) 기력을 손상하고(傷力), 혹은 과도한 색욕으로 정을 따
라 기를 잃게 되며(氣隨精去), 혹은 평소에 선천의 원양(元陽)이 부족하여 한냉(寒冷)
으로 상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간양허증의 주요 병위(病位)는 간(肝)이 아니라 신(腎)이다(肝而不在
腎). 간의 양은 신에서 생김으로 당연히 신허(腎虛)의 영향은 간(肝)에 미치게 됨으로
간허에 이르게 된다.
간양허증(肝陽虛證) 허손병(虛損病)의 주증(主症)과 주방(主方)은 당용천(唐容川)에
있는《六經方證中西通解》중에 론술 되어 있다. 기타 설은《金匱要略》에 “肝陽虛則精
寒腎冷 滑精无禁 宜天雄散” 신(腎)이 냉(冷)하고 정(精)이 한(寒)하여 간양(肝陽)이 부
족하고, 활정을 금치 못하는 데는 천웅산(天雄散)이다. 라고 하였다.
2) 신양허증(腎陽虛證)
臨床 : 신양허증(腎陽虛證) 중에 보는 양위병(陽萎病)은 성기가 서지 못하고(陽事不
擧), 혹 선다 해도 견 고하지 못하며(擧而不堅), 아무 감정 없이 사정하고(滑精),
정신이 시들어 빠졌으며(精神萎靡), 허리와 무릎이 연약하고 시큰거리는(腰膝
酸軟) 특징이 있다. 이는 대부분 욕구를 따라 방종한(恣情縱欲) 생활을 함으로
신정이 줄어들어(腎精虧損), 명문화가 쇠약하고(命門火衰), 정기가 부족하며 추
운(精氣虛寒) 때문이다.
治宜 : 보신장양(補腎壯陽)
方用 : 찬육단(贊育丹)《경악전서(景岳全書)》
≒ 熟地(숙지, 蒸, 搗), 白朮(백출), 當歸(당귀), 枸杞子(구기자), 杜仲(두중,
酒炒), 仙茅(선모,酒蒸 1 日), 巴戟肉(파극육, 甘草湯炒), 山茱萸(산수유),
淫羊藿(음양곽, 羊油拌炒), 肉蓗蓉(육종용, 酒洗), 韭子(구자, 炒黃), 蛇
床子(사상자, 微炒), 製附子(제부자), 肉桂(육계).
註▷ 명문(命門) : ㉮ 생명의 문이란 뜻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인체생명의 근본이고
생명을 유지하는 요소이다. 명문학설은 장부학설의 구성부분으
로 된다. 대다수의 장기는 하나이지만 신(腎) 만은 2개로 구성 되었다. 고대의학
자들은 난경(難經)에서는 왼쪽의 것은 신(腎)이고 오른쪽의 것은 명문이다. 라고
하였으며 신간동기(腎間動氣)에서는 두 개의 신(腎) 사이에서 생기는 인체동력
(人体動力)의 시원을 론거 함으로써 이것을 명문화(命門火)라 하는 것이다.
신(腎)은 수장(水臟)이므로 이는 물속의 화(火)로서 선천의 진기(眞氣)가 되는 것
이다.
명문의 작용을 살펴보면
- 명문은 원기의 근본으로서 인체가 열 에너지를 산생하는 발원지이다.
- 명문은 삼초의 기화를 도와준다.
- 명문의 화(火)는 비위(脾胃)를 따뜻하게 하고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것을 돕는
다.
- 명문은 인체의 성기능, 생식계통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음으로 명문지화
(命門之火)가 부족하거나 혹은 편항(偏亢)하면 모두 병리적 상태가 된다.
- 명문은 납기작용이 있어서 호흡계통의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신장에는 원음(元陰)과 원양(元陽)이 저장되어 있다.
원음은 신정(腎精)을 가리키고, 원양(元陽)은 명문화(命門火)를 가티킨다.
때문에 만일 신음(腎陰)의 결손에 의하여 명문화(命門火)가 편왕(偏旺)하게
되면 성기능이 항진되고 음경(陰莖)이 쉽게 거동(擧動)하게 되며 꿈이 많고,
수면장애가 온다. 지나치게 되면 상화망동(相火妄動)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3) 신기허증(腎氣虛證)
臨床 : 신기허증(腎氣虛證) 중에 보는 양위(陽萎), 유정병(遺精病)은 성생활이 안 되고
(陽事不用), 너무 일찍 사정하거나 정액이 저절로 흘러나오며(遺精早泄), 성욕
이 감퇴되고(性欲减退), 팔다리가 연약하고 정신이 피로하며(神疲肢軟), 머리가
어지러운(頭暈) 등 증(症)을 볼 수 있다. 대부분 방자하게 욕구를 따른(恣情縱
欲), 성생활로 신을 상한(房勞傷腎) 때문이다.
治宜 : 고신삽정(固腎澁精)
方用 : 반용환(斑龍丸)《의통방(醫統方)》보익제(補益劑)
≒ 숙지황(熟地黃), 토사자(菟絲子), 보골지(補骨脂), 백자인(柏子仁), 복신
(茯神),녹각교(鹿角膠).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의방집해(醫方集解)》보익제(補益劑)
≒ 검실(芡實), 사원질려(沙苑蒺藜), 용골(龍骨), 모려(牡蠣)., 연자(蓮
子).
4) 신정부족증(腎精不足證)
臨床 : 신정부족증(腎精不足證)일 때 출현하는 각종 허약 증후(虛勞), 발기부전(陽萎),
불임(不孕)은 정액을 흘리며(遺精), 아무 감정 없이 정액을 흘리고(滑精), 귀 울
림이 나며, 귀가 어두워지는 귀머거리(耳鳴耳聾), 발기부전(陽痿不擧), 힘이 없
고 정신 피로(神疲乏力)를 볼 수 있으며 여자는 월경량이 적거나(經少) 혹은 경
폐(經閉), 불임(不孕) 등등
治宜 : 익신전정(益腎塡精),
方用 : 대보원전(大補元煎)《경악전서(景岳全書)》
≒ 인삼(人蔘), 산약(山葯), 숙지황(熟地黃), 두중(杜仲), 구기자(枸杞子),
당귀(當歸), 산수유(山茱萸), 감초(甘草).
하차대조환(河車大造丸)(《醫方集解》引吳球方)
≒ 자하차(紫河車), 숙지황(熟地黃), 두중(杜仲), 천문동(天門冬), 맥문
동(麥門冬), 구판(龜板), 황백(黃柏), 우슬(牛膝).
양진(痒疹) ⇒ 소양증(瘙痒症)양혈(養血) ⇒ 보혈(補血)
Commenta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