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통(腹痛) - 복통설사(腹痛泄瀉) - 복협창만(腹脇脹滿) - 부고염(附睾炎) - 부식췌우(腐蝕贅疣) - 부종(浮腫)
복통(腹痛)
1. 參照文(참조문)
1) 흉민복창(胸悶腹脹)
2. 應用葯(응용약) : 罌粟殼(앵속각), 적작(赤芍), 川木通(천목통), 黃海木(황해목, 생강나무),
1) 寒積腹痛(한적복통) : 좀작살나무,
2) 腹中攣急作痛(복중련급작통) : 甘草(감초),
3. 常用葯(상용약)
1) 腹冷症(복냉증) : ☆ 艾葉汁(애엽즙)
2) 寒疝腹痛(한산복통) : ☆ 吳茱萸(오수유)
3) 溫中止痛(온중지통) : ☆ 乾姜(건강) + 良姜(량강)
4) 寒證腹痛(한증복통) : ☆ 吳茱萸(오수유) + 小茴香(소회향), 烏葯(오약).
5) 脘腹脹痛(완복창통) - 脾胃氣滯(비위기체), 食積不化(식적불화), 腸鳴泄瀉(장명설사),
里急后重(리급후중), 下痢腹痛(하리복통) : ☆ 木香(목향)
6) 脾胃氣滯所致(비위기체소치) - 胸脇(흉협), 脘腹疼痛(완복동통), 疝氣痛(산기통), 睾丸
腫痛(고환종통) 而偏于熱(而偏于熱(이편우열) : ☆ 川楝子(천련자).
7) 脘腹攣痛的(완복련통적) 葯物(약물) : ☆ 白芍(백작)
8) 瀉痢腹痛(사리복통) - 補血(보혈) : 白芍(백작),
4. 相須配合(상수배합)
1) 白芍(백작) + 桂枝(계지) = 腹痛(복통), 證屬(증속) 氣血不調(기혈불조), 虛寒性腹痛(허
한성복통) - 類似(유사) 腸痙攣(장경련)
2) 延胡索(연호색)10 + 川楝子(천련자)10 = 腹痛(복통)
3) 萊菔子(래복자)10 + 萊菔纓(래복영)15 = 腹痛(복통) - 脾胃不和(비위불화), 消化不良
(소화불량), 噯氣食臭(애기식취) 腹脹(복창)
4) 三稜(삼릉)10 + 莪朮(아출)10 = 食積腹痛(식적복통) 等症
5) 五靈脂(오령지)(布包)10 + 降香(강향)(后下)6 = 腹痛(복통)- 氣滯血瘀(기체혈어)
6) 附子(부자)10 + 白芍(백작)15 = 腹痛(복통)- 證屬(증속) 虛寒爲患者(허한위환자)
7) 吳茱萸(오수유)10 + 木瓜(목과)15 = 腹痛(복통)
8) 白芍(백작)60 + 甘草(감초)10 = 腹中疼痛(복중동통), 類似(유사) 腸痙攣(장경련)
5.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脘腹痛(완복통)
應用葯(응용약) - 脘腹疼痛(완복동통) : 降香(강향),
⑴ 脾胃虛弱(비위허약) - 緩急止痛(완급지통)
應用葯(응용약). ① 脘腹虛痛(완복허통) : 蜂蜜(봉밀),
① 甘草(감초) 配 桂枝(계지), 芍葯(작약), 飴糖(이당) ≒ 小建中湯.
② 蜂蜜(봉밀) 配 芍葯(작약), 甘草(감초)
⑵ 脘腹刺痛(완복자통) 應用葯(응용약) : 天仙藤(천선등), 腹中血氣刺痛(복중혈기자통)
① 紅花(홍화) 單用 酒煎服(주전복) ≒ 紅藍花酒(홍람화주)
⑶ 脾胃寒濕(비위한습) 應用葯(응용약) : 藁本(고본), 草豆寇(초두구),
① 花椒(화초) 加 乾姜(건강). . . ≒ 大建中湯(대건중탕) - 脾胃虛寒(비위허한)
② 黃芪(황기) 配 桂枝(계지). . . ≒ 黃芪建中湯(황기건중탕) - 補氣溫中(보기온중)
⑷ 胃寒腹痛(위한복통) 應用葯(응용약) - 脘腹冷痛(완복냉통) : 花椒(화초)
① 篳茇(필발) 單用 或加 乾姜(건강), 厚朴(후박), 附子(부자). . . ≒ 蓽茇丸(필발환)
② 花椒(화초) 加 生姜(생강), 白豆蔲(백두구)
③ 花椒(화초) 加 乾姜(건강). . . ≒ 大建中湯(대건중탕) - 脾胃虛寒(비위허한)
2) 食積腹痛(식적복통)
⑴ 消食健脾(소식건비)
① 鷄矢藤(계시등) 配 山楂(산사), 神曲(신곡)
⑵ 더러운(穢濁) 氣(기) 와 不潔(불결)한 飮食(음식)으로 인한 痧脹腹痛(사창복통)이 나
고, 吐瀉不止(토사불지)하며 심한 경우 혼궐(甚則昏厥)한다.
① 섬소(蟾穌) 常配 麝香(사향), 丁香(정향), 蒼朮(창출). . . ≒ 蟾酥丸(섬소환)
3) 腹中痞塊(복중비괴) 應用葯(응용약) : 阿魏(아위),
4) 經閉(경폐) 혹 産后腹痛(산후복통)
① 姜黃(강황) 配 當歸(당귀), 川芎(천궁), 紅花(홍화).
5) 虛寒腹痛(허한복통)
⑴ 血虛(혈허)
① 當歸(당귀) 常配 桂枝(계지), 白芍(백작)
② 肉桂(육계)
加 熟地(숙지), 當歸(당귀), 川芎(천궁), 乾姜(건강). . . ≒ 理陰煎(리음전)
⑵ 寒疝腹痛(한산복통) 參照文(참조문) : 산통(疝痛)
應用葯(응용약) : 八角茴香(팔각회향),
① 蜂蜜(봉밀) 加 烏頭(오두) ≒ 大烏頭湯(대오두탕)
② 吳茱萸(오수유) 加 烏葯(오약), 小茴香(소회향)
⑶ 虛寒性(허한성) 里急腹痛(리급복통)
① 飴糖(이당) 配 桂枝(계지), 芍葯(작약), 炙甘草(자감초) ≒ 小建中湯(소건중탕)
⑷ 中虛寒盛(중허한성), 脘腹痛甚(완복통심)
① 飴糖(이당) 配 蜀椒(촉초), 乾姜(건강), 人參(인삼). . . ≒ 大建中湯(대건중탕)
⑸ 虛寒性(허한성) - 血虛里寒(혈허리한), 寒凝腹痛(한응복통), 腹瀉(복사)
① 炮姜(포강) 加 當歸(당귀), 川芎(천궁) ≒ 生化湯(생화탕)
6) 脘腹冷痛(완복냉통)
⑴ 寒濕內盛(한습내성) - 便溏(변당)
① 附子(부자) 加 人參(인삼). . . ≒ 附子理中丸(부자리중환)
⑵ 寒疝腹痛(한산복통)
① 延胡索(연호색) 加 小茴香(소회향), 吳茱萸(오수유) - 小腹冷痛(소복냉통)
② 川烏(천오) 單用(단용) - 濃煎(농전) 加 蜜服(밀복) ≒ 大烏頭煎(대오두전) - 手足
厥冷(수족궐냉)
7) 脘腹脹痛(완복창통)
⑴ 行氣止痛(행기지통)
① 烏葯(오약) 加 香附(향부), 木香(목향), 陳皮(진피), 枳殼(지각)
8) 肝木克脾土(간목극비토) - 肝脾實火(간비실화)
⑴ 痛瀉(통사) - 腹痛泄瀉(복통설사)
① 防風(방풍) 加 陳皮(진피), 白芍(백작), 白朮(백출). . . ≒ 痛瀉要方(통사요방)
9) 小腹冷痛(소복냉통)
⑴ 經寒(경한),
① 胡蘆巴(호로파) 配 當歸(당귀), 烏葯(오약), 醋炒艾葉(초초애엽)
10) 暑熱腹痛(서열복통)
⑴ 中暑發痧腹痛(중서발사복통)
應用葯(응용약) : 靑木香(청목향),
11) 虫積腹痛(충적복통)
參照文(참조문) : 1) 감적(疳積)
2) 살충(殺虫)
應用葯(응용약) : 狗脊貫衆(구척관중), 阿魏(아위), 川楝子(천련자), 莢果蕨貫衆(협과
궐관중), 花椒(화초),
⑴ 驅虫(구충)
① 貫衆(관중) 加 使君子(사군자), 苦楝根皮(고련근피) - 蛔虫(회충)
⑵ 殺虫(살충)
② 川楝子(천련자) 加 檳榔(빈랑), 使君子(사군자)
⑶ 吐蛔(토회) - 手足厥逆(수족궐역), 煩悶吐蛔(번민토회)
① 花椒(화초) 加 烏梅(오매), 乾姜(건강), 黃柏(황백). . . ≒ 烏梅丸(오매환)
⑷ 較輕者(교경자)
① 花椒(화초) 加 烏梅(오매), 榧子(비자), 使君子(사군자)
6. 辨證施治(변증시치) aneilema, celialgia
1) 기체증(氣滯證)
臨床 : 위완(胃脘) 이하에 기(氣)가 막힌 경우와 위장(胃腸)의 기기불리(氣機不利) 등과
관계가 있다. 임상에서 한(寒), 열(熱), 식사(食邪)에 막혀 요해를 받는 실증 복통
을 볼 수 있다.
① 한응우복(寒凝于腹) : 복통(腹痛)이 심하고, 손으로 눌러주고 따뜻하게 해주면
좋고(喜暖喜按), 팔다리가 차며(肢冷), 설사를 하며(大便
泄瀉), 밝은 소변을 보고(小便淸白), 혀는 희고 미끈거리
며(苔白膩),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지만 팽팽히 긴장
하고 유력하며 꼬인 줄을 누르는 것 같다(脈沉緊).
治 : 온산한사(溫散寒邪) 행기지통(行氣止痛).
方 : 리중탕(理中湯)《傷寒論》加减
≒ 인삼(人參), 백출(白朮), 건강(乾姜), 감초(甘草).
② 열결우복(熱結于腹) : 배가 그득하며 붓고 아프고(腹痛脹滿), 대변이 단단하고
변비가 있으며(大便秘結) 배가 부르고 손으로 누르는 것
이 싫고, 마음이 괴롭고 입이 건조하며(口乾心煩), 설태
는 누럲고 거칠며(苔黃糙),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지
만 촌, 관, 척 삼부맥이 모두 유력하다(脈沉實 有力).
方 : 대승기탕(大承氣湯)《傷寒論》공축제(攻逐劑, 瀉下劑)
≒ 대황(大黃), 망초(芒硝), 지실(枳實), 후박(厚朴).
③ 식체대장(食滯大腸) : 배가 그득차서 붓고 아프며(腹痛脹滿), 배에서 소리가
나며 트림을 하며 부패한 냄새가 나고(噯腐腸鳴), 설사
를 하고(大便泄瀉) 변에서는 더러운 냄새 가 나며(穢濁
而臭), 음식을 먹을 생각이 별로 없고(納食少思), 설태는
누렇고 두터우며 미끈거리고(苔黃厚膩), 맥은 순조롭고
원활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滑數).
治 : 소도적체(消導積滯)
方 : 지실도체환(枳實導滯丸)《內外傷辨惑論》 消道劑
≒ 대황(大黃), 지실(枳實), 신곡(神曲), 복령
(茯苓), 황금(黃芩), 황련(黃連),백출(白朮),
택사(澤瀉).
2) 혈어증(血瘀證)
臨床 : 복통병 중에 볼 수 있는 혈어증의 임상표현은 복부에 찌르는 뜻한 통증이 있고
(腹部刺痛), 손을 대면 통증이 심해지는데(按之痛甚), 아픈 자리가 고정되고 이
동하지 않으며(固定不移), 혹은 꾸러미에 싸인 덩어리가 있는 뜻한(或有包塊) 증
상이다. 주요하게 한성 객사가 혈맥을(寒客血脈), 손상을 주고(跌扑損傷), 혹은
뜻대로 되지 않아 발끈 화를 내어(情志怫鬱), 기혈이 맺혀서 막히고(氣血鬱結),
간경 혹은 충임 2맥이(肝經或冲任二脈) 어혈로 막혔기 때문이다(瘀滯所致).
治宜 : 활혈화어(活血化瘀) 완급지통(緩急止痛)
方用 : 소복축어탕(少腹逐瘀湯)《醫林改錯》경산제(經産劑)
≒ 소회향(小茴香), 건강(乾姜, 포강(炮姜)), 관계(官桂), 연호색(延胡索),
몰약(沒葯), 당귀(當歸), 천궁(川芎), 적작(赤芍), 포항(浦項), 오령지
(五靈脂).
3) 혈한증(血寒證)
臨床 : 복통에 출현하는 혈한증(血寒證)의 임상표현은 아랫배가 찌르는 뜻이 아프거나
(下腹刺痛) 혹은 배가 풍선처럼 부르며 아르고(脹痛), 불알을 끌어당겨 떨어져
나가는 듯이 아프고(牽引睾丸墜痛), 심한 경우에는 아픔이 옆구리를 공격하듯
이어지고(攻痛連脇), 병행하여 다리가 차며 추운 것이 두렵고 다리가 차며(幷見
肢冷畏寒), 설태는 백활하고(舌苔白滑), 맥은 힘을 주어야 짚이는 맥이 길고 가
야금 줄을 누르는 뜻하거나 혹은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4번 이하로 뛰는 느린
(脈沉弦或遲) 등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하초가 허한 한데다(下焦虛寒), 한
사를 감수하게 되어(復感受寒邪), 간맥에 한사가 엉기게된(寒凝肝脈) 때문이다.
治宜 : 온간산한(溫肝散寒), 경산제(經産劑).
方用 : 온경탕(溫經湯)《금궤요략(金匱要略)》加减
≒ 오수유(吳茱萸), 당귀(當歸), 천궁(川芎), 작약(芍葯), 인삼(人參), 계지(桂
枝), 아교(阿膠), 모단피(牡丹皮), 생강(生姜), 반하(半夏),맥문동(麥門冬),
감초(甘草).
4) 간기울결증(肝氣鬱結證) : 협통(脇痛), 위완통(胃脘痛), 복통(腹痛).
臨床 : 협통(脇痛), 위완통(胃脘痛), 복통(腹痛) 중에 출현하는 욱신거리는 통증(疼痛)을
위주로 하는 부으면서 아프거나(脹痛), 혹은 심하게 붓고 아프거나(脹甚于痛),
혹 기가 파고들어 숨기라도 하듯이(有氣走竄), 욱신거리는 통증이 이따금씩 발
작하는 것과(疼痛發作往往) 의지(意志)가 잘 펼쳐지지 않는 것과는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다(與情志不暢 密切相關). 매번 정서적인 변화에 따라(每隨着情緖的
變化) 증감(增感)하고, 그와 함께 가슴이 답답하며 부적절하고(幷有胸悶不適),
위와 배가 그득하며 결리고(脘腹痞滿), 식사량이 감소되는(納食减少) 등, 정서
(情緖, 七情)를 위주로 상한 때문에(七情所傷), 간의 기화기능이(肝之氣機) 막혀
통달(通達)하지 못하게 된 때문이다.
治宜 : 소간리기지통(疏肝理氣止痛)
方用 : 시호소간산(柴胡疏肝散)《景岳全書》
≒ 초초진피(醋炒陳皮), 시호(柴胡), 지각(枳殼), 麩炒), 작약(芍葯), 자감
초(炙甘草), 향부(香附), 천궁(川芎).
合 : 금령자산(金鈴子散)《素問病機氣宜保命集》리기제(理氣劑)
≒ 금령자(金鈴子), 연호색(延胡索).
5) 한체간맥증(寒滯肝脈證)
臨床 : 복통중에 출현하는 한체간맥증(寒滯肝脈證)은 역시 소복동통(小腹疼痛)을 위주
로 배 전체와 옆구리로 통세(痛勢)가 파급되고 또 갑자기 꼼작할 수 없고(拘急
感) 유별나게 산기(疝氣)가 고환을 끌어당겨 아프다.
治宜 : 소간리기(疏肝理氣), 온산결합(溫散結合).
方用 : 천태오약산(天台烏葯散)《의학발명(醫學發明)》리기제(理氣劑)
≒ 오약(烏葯), 목향(木香), 소회향(小茴香), 량강(良姜), 빈낭(檳榔), 청
피(靑皮), 천련자(川楝子), 파두(巴豆).
6) 비양허증(脾陽虛證) 완복통(脘腹痛)
臨床 : 완복동통(脘腹疼痛) 환자에게서 보는 비양허증(脾陽虛證)은 중양이 적음으로
(中陽式微), 음한이 안에 가득차서(陰寒內盛), 갑자기 완복에 동통이 일어나고
(脘腹急暴疼痛), 따뜻하게 해주면 통증이 감소되며(得溫痛感), 차갑게 되면 다
시 심해진다(遇冷更甚)., 혹은 구토를 겸하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한다(或兼嘔吐
不能食).
治宜 : 온중산한(溫中散寒)하고, 비중초득온(俾中焦得溫)케 하여, 음한을 줄이고 통증
을 멈출 수 있게 한다(則陰寒消而痛可止).
方用 : 부자갱미탕(附子粳米湯)《금궤요략(金匱要略)》온리제(溫里劑)
≒ 부자(附子), 갱미(粳米), 반하(半夏), 감초(甘草), 대조(大棗).
심한 환자는 대건중탕(大建中湯)《금궤요략(金匱要略)》온리제(溫里劑)
≒ 촉초(蜀椒), 건강(乾姜), 인삼(人蔘), 이당(飴糖).
7) 간비불조증(肝脾不調證)
臨床 : 복통병(腹痛病) 중에 간비불조증(肝脾不調證)은 소화불량 등으로 위의 수납기
능이 정체되고 식욕감퇴로 음식량이 줄며(食少納呆), 위와 배가 붓고 답답하며
(脘腹脹悶), 아픔이 아랫배에 미치고(痛引小腹), 정해진 곳이 없이 거세게 파고
들며(攻竄不定), 정지변화에 따라(隨情志變化) 동통이 더욱 극심해지고(疼痛加
劇), 트림이나 혹은 방귀를 뀌게 되면(得噯氣或矢氣) 그 통증이 감소되는(則其
痛可减) 등을 임상특징으로 한다. 이는 간기가 울결(肝氣鬱結)됨으로 말미암아
비가 건전한 운화기능을 잃게 되기(脾失健運) 때문이다.
治宜 : 소간리기(疏肝理氣)
方用 : 시호소간산(柴胡疏肝散)《경악전서(景岳全書)》
≒ 醋炒陳皮(초초진피), 柴胡(시호) 各6, 枳殼(지각,麩炒), 작약(芍葯)各
4.5, 자감초(炙甘草)1.5, 향부(香附), 천궁(川芎) 各4.5.
8) 대장습열증(大腸濕熱證)
臨床 : 복통(腹痛) 중에 출현하는 대장습열증(大腸濕熱證)의 임상표현은 하복부(下腹
部)에 명현(明顯)하게 나타나며, 대변이 끈끈해서 막히고(大便粘滯), 변을 보고
난 뒤가 상쾌하지 못하며 항문이 불로 지지듯이 뜨겁고(不暢而肛門灼熱), 아파
서 손을 대지 못하게 하며(痛而拒按), 따뜻한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不喜溫暖).
治宜 : 조기도체(調氣導滯), 청화습열(淸化濕熱).
方用 : 작약탕(芍葯湯)《素問病機氣宜保命集》가감(加减)
≒ 작약(芍葯), 황금(黃芩), 황연(黃連), 당귀(當歸), 목향(木香), 빈낭(檳榔),
육계(肉桂), 대황(大黃), 감초(甘草).
9) 대장결열증(大腸結熱證)
臨床 : 복통병(腹痛病) 중에 대장결열증(大腸結熱證)은 필히 배가 붓고 아프며(腹脹滿
而痛), 심하면 단단하고 아파서 손을 대지 못하게 한다(硬痛拒按)., 신열과 복열
이(身熱腹熱) 나고, 대변이 불통(大便不通)하며, 구갈이 나고 메스꺼우며(口渴
嘔惡), 소변색이 붉고 소변을 볼 때 따끔거리는데(小便赤澁) 이는 조열이 장도
를 막음으로(燥熱壅塞腸道), 장부의 기가 운행을 단절하고 불통함으로(氣機閉
而不通), “불통칙통(不通則痛)”하는 것이다.
治宜 : 사열통부(瀉熱通腑).
方用 : 대시호탕(大柴胡湯)《상한론(傷寒論)》加减
≒ 시호(柴胡), 황금(黃芩), 작약(芍葯), 반하(半夏), 생강(生姜), 대조(大
棗), 대황(大黃), 지실(枳實).
10) 대장허한증(大腸虛寒證)
臨床 : 복통(腹痛) 중에 출현하는 대장허한증(大腸虛寒證)의 임상표현은 복통이 은은
하고(腹痛隱隱), 따뜻한 것과 손으로 눌러 주는 것을 좋아하며(喜暖喜按), 추위
를 두려워하고 팔다리가 차며(肢冷畏寒), 설사를 하고 배에서 소리가 난다(腸鳴
泄瀉).
治宜 : 온중지통(溫中止痛).
方用 : 황기건중탕(黃芪建中湯)《금궤요략(金匱要略)》
加 백출(白朮), 복령(茯苓), 포강(炮姜).
≒ 소건중탕(小建中湯) 加 황기(黃芪)
황기(黃芪), 계지(桂枝), 감초(甘草), 대조(大棗), 생강(生姜), 이당(飴
糖), 작약(芍葯).
11) 소장허한증(小腸虛寒證)
臨床 : 복통(腹痛) 중에 보는 소장허한증(小腸虛寒證)은 매번 대체로 복통이 계속되고
(腹痛綿綿), 때로는 시작하고 때로는 멈추는데(時作時止), 아플 때는 손을 대면
편해지고(痛時喜按), 굶주리거나 일을 하고 난 뒤에는 다시 심해지며(飢餓及勞
累后更甚), 음식을 먹거나 따뜻하게 해주면 약간 감소된다(得食得溫后稍减).,
대변이 적고 묽으며(大便溏薄), 전신이 피로하고(神疲), 숨이 차며(氣短), 추위에
약하다(怯寒).,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며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다(脈沉細). 대
체로 비위가 비어서 약하고(脾胃虛衰), 비양이 줄어들어 모자라는 상태가 오래
되어서(久則脾陽虧虛), 음한이 안에 차고(陰寒內盛), 건전한 소화기능을 분별하
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健運无權所致). 《素問 ․ 擧痛論》曰 “寒氣客于小腸, 小
腸不得成聚, 故后泄腹痛矣” 라 하였는데 이는 한사의 객기로 소장이 수성지관
(受盛之官)으로써 음식물이 위로부터 모여들음을 얻지 못함으로 설사 후에 복
통이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治宜 : 감온보양(甘溫補養), 익기산한(益氣散寒).
方用 : 부자리중환(附子理中丸)《화제국방(和劑局方)》가감(加减)
≒ 인삼(人蔘), 건강(乾姜), 백출(白朮), 부자(附子), 감초(炙甘草).
若 : 구사불지(久瀉不止), 중기하함(中氣下陷) 合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비위론
(脾胃論)》 ≒ 황기(黃芪), 인삼(人蔘), 백출(白朮), 당귀신(當歸身), 승마(升麻), 시
호(柴胡), 진피(陣皮), 자감초(炙甘草).
12) 비위양허증(脾胃陽虛證)
臨床 : 복통, 위완통 중에 비위양허증(脾胃陽虛證)의 임상표현은 통세가 면면히 이어
지고(痛勢綿綿), 따 뜻하게 감싸거나 않아주는 것을 좋아하고(喜暖喜按), 굶주
리거나(飢餓) 혹은 일을 한 후에는 아픔이 심하고, 식사를 하거나(得食) 혹은 휴
식(休息)을 한 후에는 아픔이 덜하다(痛减). 복통자(腹痛者)는 소복에 동통(少
腹疼痛)이 있고, 대변이 묽고 량이 적은(大便溏薄) 것이 특이한 점이다.
위완통자(胃脘痛者)는 소화불량 식욕감퇴 등 위의 수납기능이 정체(納谷呆滯)
되고, 맑은 물을 토하며(泛吐淸水), 팔다리가 따뜻하지 않은(手足不溫) 것이 특
이한 점이다. 이는 모두 비위의 양기가 부족(脾胃陽虛)함으로 허한이 안에 가득
한(虛寒內盛) 때문이다. 허하면 안아주는 것을 좋아하고(虛則喜按), 추우면 따
뜻한 것을 좋아한다(寒則喜溫).
治宜 : 감온보허(甘溫補虛), 완급지통(緩急止痛).
方用 : 황기건중탕(黃芪建中湯)《금궤요략(金匱要略)》가감(加减)
≒ 소건중탕(小建中湯) 加 황기(黃芪) : 황기(黃芪), 계지(桂枝), 감초
(甘草), 대조(大棗), 생강(生姜), 이당(飴糖), 작약(芍葯).
복통설사(腹痛泄瀉)
參照文(참조문) : 1) 설사(泄瀉)
2) 식중독(食中毒)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瀉痢腹痛(사리복통)
⑴ 夏冷飮食不洁(하냉음식불길) 暑濕內阻(서습내조) - 解毒辟穢(해독벽예)
① 靑木香(청목향) 鮮品搗爛取汁(선품도란취즙)
② 靑木香(청목향) 或 乾品(건품).- 硏末服(연말복), 或加 葛根(갈근), 黃連(황련).
복협창만(腹脇脹滿)
應用葯(응용약) : 胡蘆巴(호로파),
부고염(附睾炎)
1) 急性附睾炎(급성부고염) : ① 生姜(생강)을 陰囊(음낭)에 外敷(외부)한다.
부비강염(副鼻腔炎)
應用葯(응용약) : 黃瓜菜(황과채, 씀바귀),
부스럼 ⇒ 옹종(癰腫)
부식(腐蝕) ⇒ 미란(糜爛)
부식췌우(腐蝕贅疣) ⇒ 사마귀부인병(婦人病)
1) 정혈(靜血) 應用葯(응용약) : 川骨(천골, 개연꽃),
부정맥(不整脈) ⇒ 심장병(心臟病)
부종(浮腫)
1. 參照文(참조문) : 1) 수종(水腫)
2. 應用葯(응용약).: 一葉草(일엽초), 냉이(薺菜)
3. 常用葯(상용약) : 利水消腫葯(이수소종약)
1) 浮腫(부종) 小便不利(소변불리) : 苦參(고삼),
2) 利水滲濕(이수삼습), 利尿通淋(이뇨통림) : 木通(목통),
3) 行氣(행기), 利尿(이뇨) : 楡根皮(유근피), 一葉草(일엽초),
4) 水腫性(수종성) : 梓實(재실, 노나무 木角豆), 棕板(종판),
5) 体虛浮腫(체허부종) : 紅芪(홍기),
6) 多種疾病(다종질병) 引起(인기) 浮腫(부종) : 萱草(훤초),
4. 相須配合(상수배합)
1) 冬葵子(동규자)15 + 茯苓(복령)30 = 浮腫(부종) - 急慢性腎炎(급만성신염) 所致(소치)
2) 赤小豆(적소두)30 + 赤茯苓(적복령)15 = 下肢浮腫(하지부종) - 濕熱爲患(습열위환)
3) 大腹皮(대복피)12 + 檳榔(빈랑)10= 下枝水腫(하지수종)-腹水引起(복수인기)
4) 血余炭(혈여탄)10 + 韭菜子(구채자)10 = 下肢浮腫(하지부종)
5.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냑물配合(배합)
1) 面目浮腫(면목부종)
應用葯(응용약) - 利水消腫(이수소종) : 葫蘆(호로)
① 牽牛子(견우자) 配 葶藶子(정력자), 杏仁(행인), 陳皮(진피) ≒ 牽牛子散
⑴ 利水消腫(이수소종)
① 澤漆(택칠) 單用(단용) - 熬膏(오고) 溫酒送服(온주송복).
② 澤漆(택칠) 復方應用(복방응용) 加 白朮(백출), 茯苓(복령), 澤瀉(택사)
③ 葫蘆(호로) 加 猪苓(저령), 茯苓(복령), 澤瀉(택사) 葫蘆(호로)는 冬瓜皮(동과피)의
利水作用(이수작용)과 비슷하다.
2) 身面浮腫(신면부종)
⑴ 瀉水逐飮(사수축음)
① 芫花(원화) 加 甘遂(감수), 大戟(대극). . . ≒ 十棗湯(십조탕), 舟車丸(주차환)
⑵ 行血利尿(행혈이뇨) 應用葯(응용약) : 澤蘭(택란),
① 澤蘭(택란) 則配 防己(방기)
② 澤蘭(택란) 配 白朮(백출), 茯苓(복령), 防己(방기)
3) 利水消腫(이수소종)
① 昆布(곤포, 감태)와 海帶(해대, 다시마)를 均用(균용)한다.
4) 四肢浮腫(사지부종)
⑴ 利水消腫(이수소종)
① 澤漆(택칠) 單用(단용) - 熬膏(오고) 溫酒送服(온주송복).
② 澤漆(택칠) 復方應用(복방응용) 加 白朮(백출), 茯苓(복령), 澤瀉(택사)
⑵ 全身浮腫(전신부종) 尿少(뇨소) : 皮水一身(피수일신), 肌膚悉腫(기부실종), 小便短少
(소변단소)
應用葯(응용약) - 淸熱利水(청열이수) : 羅布麻葉(라포마엽),
① 防己(방기) 加 茯苓(복령), 黃芪(황기), 桂枝(계지) ≒ 防己茯苓湯(방기복령탕)
5) 脚氣浮腫(각기부종) - 利水消腫(이수소종)
① 鬱李仁(울이인) 鮮品(선품)
加 桑白皮(상백피), 赤小豆(적소두), 白茅根(백모근) ≒ 鬱李仁湯(울이인탕)
6) 産后浮腫(산후부종)
應用葯(응용약) - 行血祛瘀(행혈거어) 凉血祛風(양혈거풍) : 凌霄花(능소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