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탐방28 발광(發狂) - 발열(發熱)

Aktualisiert: 25. Sept. 2019

발광(發狂) - 발열(發熱)


발광(發狂)

참조문(參照文) : 전간(癲癎)

1) 熱病發狂(열병발광)

⑴ 痰熱鬱于胸中(담열울우흉중

① 瓜蒂(과체) - 內服(내복) - 湧吐熱痰(용토열담)

⑵ 譫語驚癎(섬어경간) 應用葯(응용약) - 淸熱解毒(청열해독) : 玳瑁(대모)

⑶ 譫語發狂(섬어발광) 應用葯(응용약) : 大黃(대황),

2) 驚悸發狂(경계발광)

應用葯(응용약). ① 活血化瘀(활혈화어) : 番紅花(번홍화),


발열(發熱) - 虛熱(허열)

임상에서 제일 흔히 접하게 되는 증상이다. 그러나 발열의 類型(류형)과 兼證(겸증)은 비

교적 복잡하다. 우선 크게 外感(외감)과 內傷(내상)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外感發熱(외감발열)은 대부분 實證(실증)에 속하는 것으로써 六淫(육음) 혹은 外邪

(외사)가 인체에 침입한 후 正氣(정기)와 抗爭(항쟁)하는 것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

를 表熱(표열), 里熱(리열), 半表半里 熱(반표반리열)로 분류한다. 表熱(표열)은 대체로 風

寒(풍한)을 싫어하며 설태가 엷고 희며(苔薄白), 겸하여 맥이 浮(부)하거나 혹은 기침이 나

고 코가 막히는 등 증상이 나타난다. 半表半里證(반표반리증)의 특이한 주요점은 寒熱(한

열)이 往來(왕래)하고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며 불편하거나 吐(토)하고 입 안이 쓰며 목

안(咽喉)이 마르고 脈(맥)리 현하고 삭한(弦數) 것이다. 里(리)에 熱(열)이 있으면 惡寒(오

한)이 나지 않고 도리어 惡熱(오열)이 나며 구갈이 나며 설태가 누렇게 마르거나 혹은 대

변이 굳거나 더러운 냄새가 나는 묽은변(溏便)을 누고 맥이 대체로 沉(침)하고 數(삭)하며

有力(유력)한다. 만일 邪氣(사기)가 盛(성)하여 營分(영분), 血分(혈분)에 깊게 들어가면 昏

迷(혼미), 痙攣(경련), 發疹(발진) 등 위험한 증상이 나타난다.

둘째 內傷發熱(내상발열)은 대체로 虛證(허증)에 속한다. 주로 臟腑(장부)의 陰陽(음양)이

失調(실조)됨으로써 일어난다. 陽虛(양허, 氣虛)와 陰虛(음허) 두 가지 類型(류형)으

로 나눈다. 이 장에서는 虛證(허증)에 속하는 內傷發熱(내상발열)을 거론한다. 陽虛發熱

(양허발열), 陰虛發熱(음허발열)

1. 參照文(참조문)

1) 서열(暑熱)

2) 한출(汗出)

3) 열병(熱病)

2. 應用葯(응용약) : 분꽃(紛豆花(분두화),

① 解熱(해열) : 紫根(자근), 薺菜(제채), 芒莖(망경, 억새), 蒼耳子(창이

자), 靑蒿(청호), 土夏枯草(토하고초), 黃海木(황해목, 생

강나무),

② 无汗發熱(무한발열) : 偑蘭(풍란),

③ 熱煩滿(열번만) : 酸漿(산장, 꽈리, 登呂根),

④ 表症發熱(표증발열) : 葛根(갈근),

⑤ 感冒身熱(감모신열) : 牡蒿(모호, 제비쑥),

3. 特秀效能(특수효능) 및 要葯(요약)

1) 陰虛發熱的要葯(음허발열적요약) : 鱉甲(별갑) - 滋陰潛陽(자음잠양),軟堅散結(연견

산결),退熱除蒸(퇴열제증)

2) 淸虛熱要葯(청허열요약) : 銀柴胡(은시호) - 淸虛熱(청허열), 除疳熱(제감열)

4. 常用葯(상용약) - 淸虛熱(청허열) : 石斛(석곡)

1) 退虛熱(퇴허열) : 黃柏(황백), 知母(지모) 各60, 熟地黃(숙지황) 24, 山茱萸(산수유),

山葯(산약) 各12, 澤瀉(택사), 茯苓(복령), 牡丹皮(모단피) 各9.

≒ 知柏地黃丸(지백지황환)

- 滋陰降火(자음강화) - 陰虛火旺(음허화왕), 盜汗(도한)

2) 淸熱燥濕(청열조습), 瀉火解毒(사화해독) 退虛熱(퇴허열) : ☆ 黃柏(황백)

3) 退虛熱(퇴허열), 淸火(청화) - 凉血退蒸(양혈퇴증), 淸泄肺熱(청설폐열) : ☆ 地骨皮

(지골피)

4) 退虛熱(퇴허열): ☆地骨皮(지골피) + 牡丹皮(모단피) - 凉血(량혈),淸虛熱(청허열).

5) 淸熱燥濕(청열조습), 又能退虛熱(우능퇴허열) : ☆ 胡黃連(호황련).

6) 淸虛熱(청허열), 消疳熱(소감열) : ☆ 銀柴胡(은시호).

7) 祛風濕(거풍습), 淸虛熱(청허열) : ☆ 秦艽(진구).

8) 養胃陰生津液(양위음생진액), 又能滋津陰(우능자진음), 淸虛熱的(청허열적) 有效葯

物(유효약물) : ☆ 麥門冬(맥문동)

5.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靑蒿(청호) + 白薇(백미) = 退虛熱(퇴허열), 瀉相火作用的葯物(사상화작용적약물)

2) 黃柏(황백) + 知母(지모) = 淸實熱(청실열), 退虛熱(퇴허열). 瀉相火作用的葯物(사

상화작용적약물)

6.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虛熱(허열) - 淸虛熱(청허열)

應用葯(응용약) : 地骨皮(지골피),

① 神經性熱病(신경성열병) : 靑蒿(청호),

② 慢性間歇熱(만성간헐열) : 靑蒿(청호),

③ 陰虛潮熱(음허조열) 盜汗(도한): 龜板(귀판),龜甲(구갑),靑蒿(청호)

④ 虛勞發熱(허로발열) : 枸骨葉(구골엽),

⑤ 解熱(해열) : 酸漿(산장, 꽈리),

1) 陰虛發熱(음허발열)

應用葯(응용약). ① 陰虛發熱要葯(음허발열요약) : 鱉甲(별갑),

⑴ 滋陰潛陽(자음잠양)

① 鱉甲(별갑) 常配 靑蒿(청호), 秦艽(진구), 知母(지모). . . ≒ 靑蒿鱉甲湯(청호

별갑탕), ≒ 秦艽鱉甲散(진구별갑산).

② 黃柏(황백) 加 知母(지모), 熟地黃(숙지황), 龜板(구판). . ≒ 知柏地黃丸(지백

지황환), ≒ 大補陰丸(대보음환) - 配合(배합) 養陰葯(양음약) - 滋生腎陰(자

생신음) ☞ 腎相火(신상화)를 制止(제지)

⑵ 淸虛熱(청허열) : 陰虛發熱(음허발열) 또는 陰虛燥咳痰稠(음허조해담조)

① 知母(지모) 加 貝母(패모). . . ≒ 二母散(이모산) - 淸瀉肺火(청사폐화), 滋陰

潤肺(자음윤폐), 化痰止咳(화담지해)

② 知母(지모) 加 黃柏(황백). . . ≒ 知柏地黃丸(지백지황환) - 陰虛火旺(음허화

왕), 肺腎陰虧(폐신음휴),- 骨蒸潮熱(골증조열), 盜汗(도한), 心煩(심번)

⑶ 退虛熱(퇴허열) - 病后(병후) 陰虛口渴(음허구갈), 虛熱不退(허열불퇴), 骨蒸潮

熱(골증조열)

① 糯稻根(나도근) 可單用(가단용),

② 糯稻根(나도근) 可與 沙參(사삼), 麥冬(맥동), 地骨皮(지골피).

③ 胡黃連(호황연) 加 銀柴胡(은시호), 地骨皮(지골피). . . ≒ 淸骨散(청골산)

⑷ 陰虛內熱(음허내열) 潮熱(조열)

應用葯(응용약) : 牡蒿(모호, 제비쑥), 靑蒿(청호),

⑸ 夜熱早凉(야열조량)

應用葯(응용약) : 淸熱凉血(청열양혈) : 牡丹皮(모단피),

① 加 知母(지모), 鱉甲(별갑), 生地(생지) ≒ 靑蒿鱉甲湯(청호별갑탕)

⑹ 骨蒸潮熱(골증조열)

① 白薇(백미) 加 生地(생지), 知母(지모), 靑蒿(청호)

② 胡黃連(호황연) 加 銀柴胡(은시호), 地骨皮(지골피). . . ≒ 淸骨散(청골산)

2) 骨蒸勞熱(골증노열), 陰虛發熱(음허발열), 日晡潮熱(일포조열), 手足心熱(수족심

열) 應用葯(응용약) ; 糯稻根(나도근), ① 補陰(보음) : 鱉甲(별갑),

⑴ 養陰淸熱(양음청열) - 益氣陰(익기음) 除熱(제열)

① 浮小麥(부소맥) 常配 玄參(현삼), 麥冬(맥동), 生地(생지), 地骨皮(지골피)

② 浮小麥(부소맥) 配 生地(생지), 麥冬(맥동), 黃芪(황기), 牡蠣(모려)

③ 熟地黃(숙지황) 常配 山茱萸(산수유), 山葯(산약). . . ≒ 六味地黃丸(육미)

④ 女貞子(여정자) 配 地骨皮(지골피), 生地黃(생지황)

⑤ 銀柴胡(은시호)

加 靑蒿(청호), 鱉甲(별갑), 地骨皮(지골피). . . ≒ 淸骨散(청골산)

⑥ 地骨皮(지골피)

加 知母(지모), 鱉甲(별갑), 銀柴胡(은시호) ≒ 地骨皮湯(지골피탕)

⑦ 知母(지모) 加 黃柏(황백). . . ≒ 知柏地黃丸(지백지황환)

⑧ 별갑(鱉甲)

加 銀柴胡(은시호), 地骨皮(지골피), 靑蒿(청호), 知母(지모). . .≒ 淸骨散

⑨ 秦艽(진규) 加 靑蒿(청호), 鱉甲(별갑), 知母(지모), 地骨皮(지골피). . .≒ 秦艽

鱉甲散(진구별갑산)

⑩ 靑蒿(청호) 加 秦艽(진구), 鱉甲(별갑), 知母(지모)

⑵ 澀熱(삽열) : 虛熱不退(허열불퇴) : 陰虛陽亢(음허양항)

① 鱉甲(별갑) 配 生地(생지), 牡蠣(모려), 菊花(국화)

⑶ 陰虛潮熱(음허조열) - 夜熱早凉(야열조량)

應用葯(응용약) : 午后潮熱(오후조열) : 知母(지모),

① 生地黃(생지황)

加 知母(지모), 靑蒿(청호), 鱉甲(별갑). . .≒ 靑蒿鱉甲湯(청호별갑탕)

② 銀柴胡(은시호)

加 靑蒿(청호), 鱉甲(별갑), 地骨皮(지골피). . . : ≒ 淸骨散(청골산)

⑷ 滋陰除熱(자음제열) - 滋腎陰(자신음), 淸虛熱(청허열)

① 石斛(석곡) 加 生地(생지), 白薇(백미), 麥冬(맥동)

② 女貞子(여정자) 配 地骨皮(지골피), 牡丹皮(모단피), 生地(생지)

3) 肺虛熱(폐허열)

⑴ 咳嗽(해수)

① 白薇(백미) 加 貝母(패모), 海蛤殼(해합각)

4) 産后發熱(산후발열)

⑴ 血虛發熱(혈허발열) - 夜熱早凉(야열조량), 低熱不退(저열불퇴) 昏迷(혼미)

① 白薇(백미) 加 當歸(당귀), 人參(인삼), 甘草(감초) ≒ 白薇湯(백미탕) - 養血

益陰(양혈익음), 淸熱除蒸(청열제증)

5) 除疳熱(제감열)

⑴ 小兒疳積(소아감적),消化不良(소화불량),腹脹体瘦(복창체수), 下痢發熱(하리

발열)

① 胡黃連(호황연)

加 黨參(당삼), 白朮(백출), 使君子(사군자), 山楂(산사) ≒ 肥兒丸(비아환)

2 實熱(실열)

⑴ 惡寒无汗發熱(오한무한발열)

應用葯(응용약) : 羌活(강활),

⑵ 无汗骨蒸(무한골증)

應用葯(응용약) : 淸熱凉血(청열양혈) : 牡丹皮(모단피)

⑶ 鬱熱(울열) - 熱鬱(열울)

① 桃仁(도인) 加 紅花(홍화) 四物湯(사물탕) ≒ 桃紅四物湯(도홍사물탕)

⑷ 熱結積滯(열결적체)

應用葯(응용약). ① 瀉熱行滯(사열행체) : 番瀉葉(번사엽),

① 番瀉葉(번사엽) 單種(단종)을 물에 울려 服用(복용) : 小劑量 緩下, 大劑量 峻下

② 番瀉葉(번사엽)加 枳實(지실), 厚朴(후박) - 瀉下導滯(사하도체) 作用(작용)을

增加(증가)

7. 辨證施治(변증시치)

發熱(발열) exergomic, fervescence, flush, pyrexia

1) 血瘀證(혈어증)

臨床 : 내상 발열병중에 혈어증은 대체로 오후 혹은 해질녘(晩間)에 발열 현상을 나

타내고, 입과 목구멍이 건조하고(口燥咽乾), 심한 갈증으로 물을 마시려하며

(煩渴欲飮), 아픈 자리(痛處) 혹은 종괴(腫塊)가 항상 고정된 자리이다. 맥과

증상이 일치하지 않는 것이 어혈발열(瘀血發熱)의 특징이다. 어혈발열자(瘀

血發熱者)로서 그 맥이 삽(澁)한 사람은 다만 물을 마시는(嗽水) 것을 입에서

원치 않는다. 이는 어혈이 내정되어서(瘀血內停), 열이 안에 막혀있고 기혈

이 막혀서 통하지 못하고(氣血壅遏不痛 鬱熱內在) 때문이다.

治宜 : 활혈화어(活血化瘀)

方用 :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의림개착(醫林改錯)》리혈제(理血劑) 加减

≒ 생지황(生地黃), 당귀(當歸), 적작(赤芍), 천궁(川芎), 도인(桃仁),

홍화(紅花), 시호(柴胡), 지각(枳殼), 길경(桔梗), 우슬(牛膝), 감초

(甘草).

2) 血虛證(혈허증)

臨床 : 발열병중에 보는 혈허증의 임상표현은 발열(發熱), 밤에 중하고 낮에는 경하

며(夜重晝輕), 가슴이 두근거리고 힘이 없으며(心悸乏力), 얼굴색이 밝지 못

하며(面色不華), 혀는 담담하고(舌淡)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번 호

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細數). 이는 오랜 병으로 심간의 혈이 허하거

나(久病心肝血虛), 혹 비가 혈을 산생하지 못하거나(脾不生血), 혹 과다한 출

혈(失血過多) 때문이다.

治宜 : 청열양혈(淸熱養血)

方用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난실비장(蘭室秘藏)》《內外傷辨惑論》補益劑

≒ 당귀(當歸), 황기(黃芪).

3) 肝陰虛證(간음허증)

臨床 : 내상발열 중에 출현하는 간음허증(肝陰虛證)의 임상표현은 오후 혹은 야간

에 조열(潮熱)이 있거나 혹은 손과 발바닥에 열이 나고(手足心熱), 목구멍이

마르고 입이 쓰며(口苦咽乾), 마음이 불안하고 조급하며 괴로운(煩躁不安)

등 특징이 있다. 이는 간음이 부족해서, 음(陰)이 양(陽)을 견제하지 못함으로

허열(虛熱)이 안에 생긴 때문이다.

治宜 : 자음(滋陰) 양간(養肝) 청열(淸熱).

方用 : 일관전(一貫煎)《유주의어(柳洲醫語)》加减

≒ 사삼(沙蔘), 맥동(麥冬), 당귀(當歸), 건지황(乾地黃), 구기자(枸杞子),

천련자(川楝子).


註▷ 조열(潮熱) : 몸에 열이 나는 것이 마치 조숫물이 밀려드는 것과 같이 오르며 또 일

정한 시간이 있고 매일 그 시간에 이르면 체온이 높아지는데 대체로 오

후에 나타난다. 조열의 병인은 3가지로 분류하는데

① 체내에 음액이 부족하여 매일 밤이면 열이 나고 식은땀이 나는데 이것은 음허조

열(陰虛潮熱) 이라 함다.

② 양기(陽氣)가 습사(濕邪)에 억제 되어서 오후가 되면 열이 나는데 이것을 습온조

열(濕溫潮熱) 이라고 한다.

③ 열사(熱邪)가 아래로 장에 맺혀있어서 매일 오후가 되면 열이 나는데 이것을 일

포조열(日晡潮熱)이라고 한다.

이외에 온병(溫病)이 영분(營分) 혹은 혈분(血分)에 전입되는 단계에서 신열(身熱)

이 늘 오후에 점차적으로 높아지는데 이런 열형(熱型)은 조열이라고 하지 않고 열

입영분(熱入營分) 혹은 열입 혈분(熱入血分)이라고 한다.


발한해표(發汗解表) ⇒ 해표(解表)

1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탐방139 22. 기타약물(其他葯物)

22. 기타약물(其他葯物) 葯種(약종) : 木槿皮(목근피), 木槿花(목근화), 茯苓皮(복령피), 茯神(복신), 絲瓜絡(사과락), 龍齒(용치), 楡根皮(유근피), 좀작살나무, 天葵子(천규자), 茺尉子(충위자),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목근피(木槿皮) : 淸熱殺虫止痒(청열살충지양) - 皮膚疥癬(피부개선), 목근화(木槿花) : 淸熱利濕(청열이습), 凉血(량

탐방138 效能主治 21. 拔毒化腐生肌葯

21. 발독화부생기약(拔毒化腐生肌葯) 葯種(약종) : 輕粉(경분), 爐甘石(노감석), 硼砂(붕사), 砒石(비석), 升葯(승약), 鉛丹(연단)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경분(輕粉) : 外用(외용) : 攻毒殺虫(공독살충) - 疥瘡(개창), 頑癬(완선), 臁瘡(렴창), 梅毒(매 독), 瘡瘍(창양), 濕疹(습진), 黃水瘡(황수창), 瘡瘍潰爛(창양궤란) 內服(내

탐방137 20. 解毒殺虫燥濕止痒葯

20. 해독살충조습지양약(解毒殺虫燥濕止痒葯) - 외용약(外用葯) + 內服葯(내복약) 葯種(약종) : 大蒜(대산), 大楓子(대풍자). 明礬(명반), 白礬(백반), 蜂房(봉방), 蛇床子(사상 자), 雄黃(웅황), 硫黃(유황), 皂礬(조반), 土荊皮(토형피), 󰜋麻子(피마자), 血竭 (혈갈). 効能(효능) 및 主治(주치) 대산(大蒜) : 行氣消積(행기소적),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