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선체병(螺旋体病) - 란관염 (卵管炎) - 란관적수 (卵管積水) - 란현풍안(蘭弦風眼) - 류마티즘 - 류연(流涎) - 륵막염(肋膜炎) - 리급후중(里急后重) - 마목탄탄(痲木癱瘓) - 마진(痲疹) - 마취(痲醉)
라선체병(螺旋体病)
1) 鉤端螺旋体病(구단라선체병)
⑴ 豫防 - 매일 土茯苓(토복령) 30g 水煎(수전), 1~2 次 服用(복용), 每周連服(매주연
복) 3 日, 空腹用(공복용) 5 周, 2000 余人服葯表明(여인복약표명), 服葯組
(복약조)와 照組發病率(조조발병률) 比(비)는 1 : 5.58.
⑵ 治療 - 土茯苓(토복령) 66g, 甘草(감초)10, 水煎分(수전분) 2 次服(차복), 重症者
(중증자)에게는 葡萄糖(포도당)과 維生素(유생소)C 를 급여하고, 出血(출
혈) 傾向(경향)이 있으면 激素(격소)를 첨가 사용하였다, 治療(치료) 18例
均愈(균유), 平均往院(평균왕원) 3.6天(일). 또한 頭痛(두통)과 痛風(통풍)도
치료가 가능 했다.
란관염 (卵管炎) : 수란관(輸卵管)
1. 相須配合(상수배합)
1) 海藻(해조)15 + 昆布(곤포)15 = 結核性輸卵管炎(결핵성수난관염)
란관적수 (卵管積水) : 수란관(輸卵管)
1. 相須配合(상수배합)
1) 橘核(귤핵)10 + 荔枝核(려지핵)10 = 輸卵管積水(수관관적수)
란미염(蘭尾炎) ⇒ 장옹(腸癰) - 맹장염(盲腸炎)
란현풍안(蘭弦風眼)
應用葯(응용약) : 膽礬(담반)
란후단사(爛喉丹痧)
일종의 급성 전염병으로서 겨울과 봄 두 계절에 많이 발생한다. 입과 코를 통해 침입
한 疫毒(역독)의 氣(기)가 肺胃(폐위)에 맺혀있는 熱(열)과 함께 熏蒸(훈증)하게 됨으
로써 發病(발병)한다. 그 證勢(증세)를 관찰하면 咽喉(인후)가 아프면서 腐爛(부란)되
고 肌膚(기부)에 붉은 斑疹(반진, 丹痧(단사))이 돋는 것을 主症(주증)으로 한다. 때문
에 爛喉丹痧(란후단사)라고도 하는 것이다. 傳染性(전염성)이 있고 流行(유행)을 일
으키기 때문에 疫喉(역후)의 하나로써 또한 疫喉痧(역후사)라고도 하는 이 病(병)은
猩紅熱(성홍열)이다.
疫喉(역후)에는 爛喉痧(란후사)와 白喉(백후)가 포괄되어 있으나 양자를 분류하고 있
다. 白喉(백후)는 小兒(소아)에게 잘 발생하는 급성 전염병의 하나로서 疫癘(역려)의
氣(기)가 입과 코로부터 들어가 肺經(폐경)과 胃經(위경)을 침범하여 燥火(조화)를 化
(화)하고 위로 咽喉(인후)를 熏蒸(훈증) 함으로써 발생한다.
임상표현은 咽喉粘膜(인후점막)에 잘 떨어지지 않는 灰白色(회백색)의 痂膜(가막)이
생기는 것이다. 全 身性中毒症狀(전신성중독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나타난다.
발병계절은 겨울과 봄 2계절로서 기후가 건조한 환경에서는 더욱 쉽게 유행되어 전
파되기 때문에 疫喉(역후)라고도 하는 것이다.
1. 參照文(참조문) 1) 백후(白喉)
2.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攻毒消腫(공독소종)
⑴ 癰疽疔瘡(옹저정창)
① 蟾穌(섬소) 配 牛黃(우황), 雄黃(웅황). . . ≒ 六神丸(육신환)
3. 辨證施治(변증시치)
1) 熱毒熾盛證(열독치성증)
臨床 : 온독(溫毒)으로 인한 난후단사(爛喉丹痧)의 증견(證見) - 장열번조(壯熱煩
躁) 함으로 구갈인음(口渴引飮)하며, 인후가 붉게 붓고 문드러지는데(咽喉
紅腫糜爛), 이는 온독의 사기가(溫毒之邪) 뜨겁게 화로 변하고 건조해져서
(化燥化火), 기분에 열기가 강해(熱熾氣分), 열독이 영혈을 굽기 때문이다
(毒燔營血所致).
治宜 : 청기영(淸氣營), 해독구음(解毒救陰)
方用 : 량혈청기탕(凉血淸氣湯)《정감인의안(丁甘仁醫案)》
≒ 서각첨(犀角尖), 박하엽(薄荷葉), 선석곡(鮮石斛), 흑치자(黑梔
子), 모단피(牡丹皮), 선생지(鮮生地), 생석고(生石膏), 선죽엽
(鮮竹葉), 황련(黃連),적작(赤芍),연교(連翹),
2) 毒壅上焦證(독옹상초증)
臨床 : 란후사(爛喉痧) 중에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을 보게 되는 것은 대부분 온
독(溫毒)의 사기(邪氣)가 기분에 쌓여 뭉쳐진(蘊結氣分) 것이 원인이 되므
로 화열의 기세로 가득차서(火 熱熾盛), 위로 인후에 붙은(上客咽喉) 것이
다.
症見 : 장열(壯熱)하며, 구갈(口渴)하고, 인후가 홍종부란(咽喉紅腫腐爛)한다. 혀는
진홍색이며 혓바늘이 돗고(舌絳起芒刺), 태황(苔黃)하며, 맥은 홍삭(脈洪
數)하다.
治宜 : 淸氣解毒(청기해독)
方用 : 余氏淸心凉膈散(여씨청심량격산)《溫熱經緯》
≒ 양격산(凉膈散, 대황(大黃), 박초(朴硝), 감초(甘草), 치자
(梔子), 박하엽(薄荷葉), 황금(黃芩), 황연(黃連), 죽엽(竹葉)
减 박초(朴硝), 대황(大黃),
加 길경(桔梗), 생석고(生石膏). - 팔미약조성(八味葯組成)
或用 : 錫類散(석류산)《金匱翼》
≒ 상아(象牙屑)15, 청대(靑黛)30, 인지갑(人指甲)1.5, 진주(珍珠)0.9,
빙편(冰片)0.9, 우황(牛黃)1.5. 벽전(壁錢).
각연세분(各硏細粉) 혼균성산(混勻成散). 장약분(將葯粉)취입환처
(吹入患處).吹喉(취후)
류마티즘
應用葯(응용약) : 骨擔根(골담근), 冷草(냉초),
류연(流涎)
1) 流涎不禁(류연불금)
應用葯(응용약) : 佩蘭(패란),
⑴ 口多涎唾(구다연타), 혹 小兒(소아) 流涎不禁(류연불금)
① 益智仁(익지인) 配 黨參(당삼), 白朮(백출), 陳皮(진피)
② 理中丸(리중환)
≒ 人參(인삼)6, 乾姜(건강)5, 炙甘草(자감초)6, 白朮(백출)9,
加 益智仁(익지인)10
2) 多唾(다타)
⑴ 中氣散寒(중기산한), 開胃攝唾(개위섭타) - 食少多唾(식소다타)
① 益智仁(익지인) 配 黨參(당삼), 白朮(백출), 陳皮(진피)
류체(流涕) ⇒ 비연(鼻淵)륭폐(癃閉) ⇒ 임병(淋病)
륵막염(肋膜炎)
應用葯(응용약) : 商陸(상육)
리급후중(里急后重)
參照文(참조문) : 이질설사(痢疾泄瀉) - 痢疾里急后重(이질리급후중)
1) 瀉痢(사리) 應用葯(응용약) : 大黃(대황),
마목구련(麻木拘攣) ⇒ 수족마목(手足麻木), 수족마비(手足麻痹)
마목탄탄(痲木癱瘓)
1. 參照文(참조문)
1) 반신불수(半身不遂)
2) 수족마목(手足麻木)
2.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手足麻木的要葯(수족마목적요약) : 天麻(천마) - 平肝熄風(평간식풍) - 息風止痙
(식풍지경), 平抑肝陽(평억간양), 祛風通絡(거풍통락).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肢体癱瘓(지체탄탄)
應用葯(응용약) : 鷄血藤(계혈등), 草烏(초오)(溫),
① 鷄血藤(계혈등) 配 活血通絡葯(활혈통락약) - 益氣養血(익기양혈)
2) 瘓患(탄환)
⑴ 輕瘓(경탄) : ① 守宮(수궁) 加 朱砂(주사), 全蝎(전갈)
3) 肢体麻木(지체마목) - 四肢麻木(사지마목)
應用葯(응용약) : 草烏(초오)(溫),
- 麻木拘攣(마목구련) : 金錢白花蛇(금전백화사),
- 四肢麻木(사지마목) - 祛風濕(거풍습) : 南蛇藤(남사등, 臭花椒
(취화초), 노박덩굴).
① 尋骨風(심골풍) 浸酒(침주) 或制成浸膏服(혹제성침고복),或加 獨活(독활),羌活
(강활),威靈仙(위령선)
마비(痲痹) ⇒ 수족마목(手足麻木), 수족마비(手足麻痹)
마진(痲疹)
痲疹(마진) 보통 痧子(사자)라고 하는 것으로 紅疫(홍역)을 말한다. 흔히 소아들의 전염병
으로서 時邪疫毒(시사역독)을 감수하여 생긴다. 病毒(병독)은 주로 肺衛(폐위)를 통해서
침범하는데 초기에는 먼저 肺衛風熱證狀(폐위풍열증상)이 나타남으로써 기침이 나고, 眼
結膜(안결막)이 벌겋고 붉으며 빛을 싫어하고 눈물이 많이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皮疹
(피진)이 돋을 때는 發疹(발진)이 귀 뒤로부터 髮際(발제) 및 목에 나타나면서 점차 얼굴과
전신에 돋고 발진과 발진사이에는 정상적인 피부를 볼 수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1. 參照文(참조문) 1) 풍진(風疹)
2. 應用葯(응용약) : 徐長卿(서장경), 西河柳(서하유), 紫萁貫衆(자기관중),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麻疹不透(마진불투) 또는 透發不暢(투발불창)
應用葯(응용약) : 葛根(갈근), 西河柳(서하유), 櫻桃核(앵도핵), 牛蒡子(우방자), 檉柳(정
유), 荊芥(형개),
① 浮萍(부평) : 辛凉解表(신량해표) - 散風(산풍), 透疹(투진), 利尿(이뇨)
⑴ 麻疹初起(마진초기) : 透發麻疹(투발마진) - 疹出不暢(진출불창)
① 葛根(갈근) 配 升麻(승마) ≒ 升摩葛根湯(승마갈근탕)
② 浮萍(부평) 加 薄荷(박하), 蟬退(선퇴), 牛蒡子(우방자)
③ 蟬退(선퇴) 加 葛根(갈근), 牛蒡子(우방자). . . 宣散作用(선산작용) - 透疹(투진)
④ 薄荷(박하) 加 荊芥(형개), 連翹(연교), 蟬退(선퇴), 牛蒡子(우방자)
⑤ 升麻(승마) 加 葛根(갈근). . . ≒ 升摩葛根湯(승마갈근탕)
⑥ 牛蒡子(우방자) 加 荊芥(형개), 金銀花(금은화), 薄荷(박하)
⑦ 荊芥(형개) 加 薄荷(박하), 蟬退(선퇴), 牛蒡子(우방자)
⑧ 胡菜(호채) 單用(단용),- 煎湯(전탕) 局部熏洗(국부훈세)
⑨ 胡菜(호채) 或配伍(혹배오) 其他(기타) 解表透疹葯(해표투진약) 同用(동용)
2) 淸熱毒(청열독)
⑴ 凉血化斑(양혈화반)
① 貫衆(관중) 加 板藍根(판람근), 大靑葉(대청엽), 紫草(자초)
⑵ 痲疹熱毒盛(마진열독성)
① 升麻(승마) 加 紫草(자초), 牛蒡子(우방자), 大靑葉(대청엽)
② 羚羊角(영양각)
≒ 羚羊角水解注射液(영양각수해주사액)
☞ 山羊角(산양각)으로 代用(대용) 10~15g 할 수 있다.
⑶ 痲疹紫暗(마진자암), 疹出不暢(진출불창), 兼有(겸유) 咽喉腫痛(인후종통)
① 紫草(자초)
加 牽牛子(견우자), 山豆根(산두근), 連翹(연교) ≒ 紫草消毒飮(자초소독음)
3) 痲疹預防(마진예방)
應用葯(응용약) : 紫草(자초),
⑴ 凉血解毒(양혈해독)
① 紫草(자초) 單用煎服(단용전복) - 紫草(자초) 10g 每天(매천) 1次 連服(연복) 3天,
② 紫草(자초) 或加 甘草(감초), 綠豆(녹두) - 水煎服(수전복)
4. 辨證施治(변증시치)
1) 溫邪侵襲肺衛證(온사침습폐위증)
臨床 : 마진초기(麻疹初起)에 본증을 볼 수 있는 것은 마독이 폐를 범하므로(麻毒犯
肺), 사열에 막혀서(邪熱壅阻), 폐위가 실선(肺衛失宣)하고, 기도가 불이(氣道不
利)하며, 발열하고 오한(發熱惡寒)이 나며, 기침과 재채기(咳嗽噴嚔)를 하고, 양
눈은 빛을 두려워하며 눈물을 흘리고(兩眼流泪而畏光), 몸에는 홍진이 돋아나
는데(身出紅疹) 귀뒤(耳后), 목덜미(頸部)로 해서 점차 만연되어 안면과(漸漫及
顔面), 몸통(軀体), 사지(四肢)로 퍼지고,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며 한번 호흡하
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고(脈浮數), 설태는 얇고 미끈거린다(苔薄
膩).
治宜 : 신양투표(辛凉透表).
方用 : 승마갈근탕(升摩葛根湯)《염씨소아방론(閻氏小兒方論)》
≒ 승마(升麻), 갈근(葛根), 작약(芍葯), 자감초(炙甘草).
2) 毒壅上焦證(독옹상초증) - 痧子(사자, 痲疹)
臨床 : 마진(痲疹)이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에 보이는 사람은 대부분 폐위(肺衛)에 열
독이 온결(熱毒蘊結) 됨으로 인해서 기도가 막혀(氣道壅塞) 불통(不通)한다.
症見 : 고열번갈(高熱煩渴)하며, 해천기급(咳喘氣急)하고, 콧방울이 벌렁 거리며(鼻煽),
마진불투 (麻疹不透)하고, 한출번조(汗出煩躁), 설홍태황(舌紅苔黃), 맥은 세삭
(脈細數)하다.
治宜 : 宣肺達邪(선폐달사), 淸熱解毒(청열해독).
方用 :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傷寒論》
≒ 마황(麻黃)5, 행인(杏仁)9, 감초(甘草)6, 석고(石膏)18.
마취(痲醉)
1) 痲醉(마취)
⑴ 痲醉葯劑(마취약제)
① 양금화(洋金花) 常與 川烏(천오), 草烏(초오),姜黃(강황). . ≒ 整骨麻葯方(정골마약방)
外科 手術痲醉 效果滿意 - 術后 一般恢復良好
⑵ 痲醉止痛(마취지통)
① 川烏(천오) 加 蟾穌(섬소), 生南星(생남성),生半夏(생반하). . .
≒ 外敷痲葯方(외부마약방)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