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탐방21 담즙분비(膽汁分泌) - 대장(大腸)

Aktualisiert: 25. Sept. 2019


담즙분비(膽汁分泌) - 담핵(痰核) - 당뇨(糖尿) - 대두온(大頭瘟) - 대상포진(帶狀疱疹) - 대장(大腸)



담즙분비(膽汁分泌)

1. 應用葯(응용약) - 膽汁分泌促進(담즙분비촉진) : 梔子(치자), 黃芩(황금)

2. 常用葯(상용약)

1) 利膽退黃(이담퇴황), 瀉火解毒(사화해독), 活血化瘀(활혈화어) : ☆ 大黃(대황).

2) 利膽退黃(이담퇴황), 活血行氣(활혈행기) : ☆ 鬱金(울금). - 活血止痛(활혈지통),行

氣解鬱(행기해울), 又能(우능) 凉血淸心(량혈청심), 利膽退黃(이담퇴황).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利膽(이담)

⑴ 淸肝利膽(청간이담)

① 黃芩(황금) 加 梔子(치자), 茵陳(인진). . . ≒ 茵陳蒿湯(인진호탕)


담핵(痰核)

피하에 살구 씨 만 한 종물이 생긴 것을 가리킨다. 이는 대체로 濕痰(습담)이 몰려서 된 것

인데 종물의 수와 발생하는 부위가 일정하지 않고 색도 붉지 않고 붓지도 않으며 딴딴하

지도 않고 아프지도 않다. 손으로 만지면 과실 씨와 비슷한 것이 軟(연)하고, 光滑(광활)하

며, 움직이는데 일반적으로 화농되지 않고 터지지 않는다. 담핵은 대부분 頸部(경부, 목),

項部(항부, 목뒤), 下顎(하악)에 생기고, 또 四肢(사지), 肩(어깨), 背(잔등)에도 생긴다. 신

체 상부에 생긴 경우는 대부분 風熱(풍열)을 겸하고, 신체 하부에 생기는 경우에는 대부분

濕熱(습열)을 겸한다.

1. 參照文(참조문) : 1) 比較(비교) : 연주창(連珠瘡) - 라력(瘰癧)

2) 담음(痰飮)

3) 附錄(부록) - 화담(化痰)

2.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濕痰的要葯(습담적요약) : 半夏(반하),

2) 皮裏膜外之痰要葯(피리막외지담요약) : 白芥子(백개자)

3) 痰氣要葯(담기요약) : 前胡(전호) - 宣散風熱(선산풍열), 降氣化痰(강기화담)- 化痰止

咳(화담지해), 淸化熱痰(청화열담)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陰疽痰核(음저담핵)

① 麻黃(마황)

加 肉桂(육계), 白芥子(백개자), 熟地(숙지), 廘角膠(녹각교) ≒ 陽和湯(양화탕)

2) 痰火鬱結(담화울결)

⑴ 軟堅散結(연견산결)

應用葯(응용약) - 散結消腫(산결소종) : 海龍(해용),

① 牡蠣(모려) 加 浙貝母(절패모), 玄參(현삼) ≒ 消瘰丸(소라환)

② 半夏(반하) 配 昆布(곤포), 海藻(해조), 貝母(패모) +軟堅散結葯(연견산결약)

③ 川貝母(천패모) 配 玄參(현삼), 牡蠣(모려). . . ≒ 消瘰丸(소라환)

⑵ 淸熱化痰散結(청열화담산결)

① 白僵蚕(백강잠)

配 浙貝母(절패모), 夏枯草(하고초), 連翹(연교) 等 - 軟堅散結(연견산결)

② 海浮石(해부석) 常配 牡蠣(모려)

⑶ 散鬱結(산울결)

⑴ 痰火鬱結(담화울결)로 인한 瘰癧(라력), 癭瘤(영류)를 治療(치료)

① 夏枯草(하고초) 單種(단종) - 煎服(전복)

② 夏枯草(하고초) 혹 製造膏葯(제조고약) 服用(복용) 兼用(겸용) 外敷患處(외

부환처)

③ 夏枯草(하고초) 加 玄參(현삼), 牡蠣(모려), 昆布(곤포)

3) 腫塊堅硬(종괴견경) 不消(불소)

⑴ 消痰(소담)

① 油菜(유채) 配 沒葯(몰약), 麝香(사향), 雄黃(웅황). . . ≒ 醒消丸(성소환)


당뇨(糖尿)

1. 參照文(참조문) : 소갈증(消渴證)

2. 應用葯(응용약) : 括樓根(괄루근), 려지나무(리치), 仙鶴草(선학초),靈芝(영지), 玉竹(옥죽),

王瓜實(왕과실), 長春花(장춘화), 죽대, 車前草(차전초), 호박(南瓜(남과),

黃精(황정),

① 호박(종자) : 補中益氣(보중익기), 消炎止痛(소염지통), 利尿(이뇨).

호박(南瓜(남과), 番瓜(번과), 金瓜(금과), 倭瓜(왜과), 北瓜(북과), 金冬瓜

(금동과), 番蒲(번포)라 한다.

3. 其他葯(기타약) : 닭의장풀, 두릅나무,

① 降糖(강당) : 玉米鬚(옥미수),

② 滋補肝腎(자보간신) 益精明目(익정명목) : 枸杞子(구기자),

③ 血糖升高作用(혈당승고작용) : 淡竹葉(담죽엽),

4.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血糖降低要葯(혈당강저요약) : 荔枝核(려지핵) - 行氣散結(행기산결), 祛寒止痛(거한지

통).

2) 降血糖(강혈당) : 蛤蚧(합개) - 助腎陽(조신양), 益精血(익정혈), 補肺氣(보폐기), 定喘嗽

(정천수).

5. 相須配合(상수배합)과 治症(치증)

1) 知母(지모)10 + 石膏(석고)30 = 糖尿病(당뇨병) 上消口乾(상소구건), 口渴(구갈), 甚則

大渴引飮者(심칙대갈인음자)

2) 天冬(천동)15 + 麥冬(맥동)15 = 糖尿病(당뇨병) 表現爲上消(표현위상소) 中渴諸症者

(중갈제증자)

3) 乾地黃(건지황)15 + 熟地黃(숙지황)10 = 糖尿病 表現中消者(표현위중소자)

4) 山茱萸(산수유)15 + 牡蠣(모려)25 = 糖尿病(당뇨병) 尿糖不降者(뇨당불강자)

5) 烏梅(오매)10 + 五味子(오미자)10 = 糖尿病(당뇨병) 尿糖不降者(뇨당불강자)

6) 黃芩(황금)10 + 黃連(황련)6 = 糖尿病(당뇨병) 症見燥熱者(증견조열자)

7) 白朮(백출)15 + 玄參(현삼)30 = 糖尿病(당뇨병) - 血糖增高者(혈당증고자) 用之可使降

低 若伴有膽固醇增高者 用于降低

8) 黃芪(황기)30 + 山葯(산약)30 = 表現爲 尿糖嚴重者(뇨당엄중자) 用之卽可消除(용지즉

가소제)

9) 綠豆衣(녹두의)10 + 薏苡仁(의이인)15 = 上消諸症者宜用(상소제증자의용)

10) 葛根(갈근)15 + 丹參(단삼)15 = 糖尿病 表現爲 瘀血指徵(어혈지징) - 舌質暗(설질암),

或有瘀点(혹유어점), 瘀斑(어반), 舌下靜脈瘀滯者(설

하정맥어체자) 用之最宜(용지최의)

11) 玄參(현삼)30 + 麥冬(맥동)15 = 糖尿病 表現爲 津少口渴(진소구갈), 口渴多飮(구갈다

음) 舌紅少苔 等症

12) 知母(지모)10 + 黃柏(황백)10 + 肉桂(육계)1.5 = 糖尿病(당뇨병) 腎消(신소) 也叫下消

症見 多尿(다뇨) 小便混濁(소변혼탁) 如膏如脂(여고여지)

13) 地黃(지황)60 + 淫羊藿(음양곽)30 = 糖尿病(당뇨병) 運用胰島素(이도소, 인슐린) 치

료가 적당치 않은(治療不當所導的) 음양이 모두

허한 증(陰陽俱虛之症)


당변(溏便) ⇒ 변당(便溏)

대머리 ⇒ 독두(禿頭)


대두온(大頭瘟)

흔히 항아리손님 이라고 하며 머리가 붓는 流行性感冒(류행성감모), 大頭疫(대두역),

腦水腫大(뇌수종대), 頭風(두풍), 大頭傷寒(대두상한)이라고도 하는 溫毒(온독)의 일종

이다.

또한 溫毒(온독)의 일종으로서 大頭風(대두풍) 혹은 大頭傷寒(대두상한)이라고도 한다.

이는 風溫時毒(풍온시독)을 感受(감수)한 것이 肺胃(폐위)에 침입하여 발생하는 것이

다. 머리와 얼굴이 붉게 붓거나 인후가 부어나고 아픈 것을 특징으로 한다. 甚(심)하면

耳聾(이농), 口噤(구금), 昏迷(혼미), 譫語(섬어) 등의 위험한 증후가 나타난다.

다른 일종은 목이 크게 붓는 것이 主症(주증)인데 머리와 얼굴이 부은 것이 마치 두꺼비

모양과 같으므로 蝦蟆瘟(하마온)이라고 한다.

1.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대두온독(大頭瘟毒)

⑴ 청열해독(淸熱解毒)

① 板藍根(판람근)

加 連翹(연교), 牛蒡子(우방자), 玄參(현삼). . . ≒ 普濟消毒飮(보제소독음)

☞ 偏降(편강)하며 凉血消斑力(량혈소반력), 瀉肝火力(사간화력)이 크다.

2. 辨證施治(변증시치)

1)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

臨床 : 대두온(大頭瘟) 중에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폐위(肺

胃)에 온독(溫毒)의 객사(客邪)가 감수된 것으로서 화의 성질은 타오르므

로(火性炎上), 열독이 위로 두면을 공략(熱毒上攻頭面)한다. 발병 초기에

보는 증상은(初則症見), 두면이 홍종(頭面紅腫)하며 오한발열(惡寒發熱)이

나다가, 후에는 오한은 그치고 발열만 하며(繼則寒罷熱增), 머리와 얼굴이

불에 댄것처럼 부어서(頭面焮腫), 눈을 뜰 수가 없고(目不能開), 인후종통

(咽喉腫痛)하며, 구갈인음(口渴引飮)하고, 태황조(太黃燥), 맥삭유력(脈數

有力)하다.

治宜 : 疏風透邪(소풍투사), 淸熱解毒(청열해독).

方用 : 普濟消毒飮(보제소독음)《東垣十書》

≒ 連翹(연교, 酒炒), 牛蒡子(우방자), 薄荷(박하), 姜蚕(강잠), 升

麻(승마), 柴胡(시호), 馬勃(마발), 板藍根(판람근), 玄參(현삼),

桔梗(길경), 黃連(황련), 甘草(감초), 黃芩(황금, 酒炒), 橘紅(귤

홍). - 수전복(水煎服)


대변비결(大便秘結) ⇒ 변비(便秘)


대상포진(帶狀疱疹)

참조문

1) 요대창(腰帶瘡)

♧ 應用葯(응용약) : 馬齒莧(마치현), 徐長卿(서장경)

♧ 1) 雷公藤(뢰공등) 加 烏葯(오약) 硏末(연말) 調搽患處(조차환처)

♧ 2) 當歸注射液(당귀주사액)


대장(大腸)

1) 腸風下血(장풍하혈) : 龍骨(용골) - 斂氣逐濕(렴기축습), 止盜汗(지도한), 澁精止血(삽정지

혈), 鎭驚安神(진경안신) 平肝潛陽(평간잠양)

辨證施治(변증시치)

1) 대장습열증(大腸濕熱證)

臨床 : 복통(腹痛) 중에 출현하는 대장습열증(大腸濕熱證)의 임상표현은 하복부(下腹部)

에 명현(明顯)하게 나타나며, 대변이 끈끈해서 막히고(大便粘滯), 변을 보고 난 뒤

가 상쾌하지 못하며 항문이 불로 지지듯이 뜨겁고(不暢而肛門灼熱), 아파서 손을

대지 못하게 하며(痛而拒按), 따뜻한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不喜溫暖).

治宜 : 조기도체(調氣導滯), 청화습열(淸化濕熱).

方用 : 작약탕(芍葯湯)《素問病機氣宜保命集》가감(加减)

≒ 작약(芍葯), 황금(黃芩), 황연(黃連), 당귀(當歸), 목향(木香), 빈낭(檳榔), 육

계(肉桂), 대황(大黃), 감초(甘草).

2) 장결열증(大腸結熱證)

臨床 : 복통병(腹痛病) 중에 대장결열증(大腸結熱證)은 필히 배가 붓고 아프며(腹脹滿而

痛), 심하면 단단하고 아파서 손을 대지 못하게 한다(硬痛拒按)., 신열과 복열이(身

熱腹熱) 나고, 대변이 불통(大便 不通)하며, 구갈이 나고 메스꺼우며(口渴嘔惡), 소

변색이 붉고 소변을 볼 때 따끔거리는데(小便赤澁) 이는 조열이 장도를 막음으로

(燥熱壅塞腸道), 장부의 기가 운행을 단절하고 불통함으로(氣機閉而不通), “불통

칙통(不通則痛)”하는 것이다.

治宜 : 사열통부(瀉熱通腑).

方用 : 대시호탕(大柴胡湯)《상한론(傷寒論)》加减

≒ 시호(柴胡), 황금(黃芩), 작약(芍葯), 반하(半夏), 생강(生姜), 대조(大棗),

대황(大黃), 지실(枳實).

3) 대장허한증(大腸虛寒證)

臨床 : 복통(腹痛) 중에 출현하는 대장허한증(大腸虛寒證)의 임상표현은 복통이 은은하

고(腹痛隱隱), 따뜻한 것과 손으로 눌러 주는 것을 좋아하며(喜暖喜按), 추위를 두

려워하고 팔다리가 차며(肢冷畏寒), 설사를 하고 배에서 소리가 난다(腸鳴泄瀉).

治宜 : 온중지통(溫中止痛).

方用 : 황기건중탕(黃芪建中湯)《금궤요략(金匱要略)》

加 백출(白朮), 복령(茯苓), 포강(炮姜).

≒ 소건중탕(小建中湯)

加 황기(黃芪) : 황기(黃芪), 계지(桂枝), 감초(甘草), 대조(大棗), 생강

(生姜), 이당(飴糖), 작약(芍葯).

14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탐방139 22. 기타약물(其他葯物)

22. 기타약물(其他葯物) 葯種(약종) : 木槿皮(목근피), 木槿花(목근화), 茯苓皮(복령피), 茯神(복신), 絲瓜絡(사과락), 龍齒(용치), 楡根皮(유근피), 좀작살나무, 天葵子(천규자), 茺尉子(충위자),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목근피(木槿皮) : 淸熱殺虫止痒(청열살충지양) - 皮膚疥癬(피부개선), 목근화(木槿花) : 淸熱利濕(청열이습), 凉血(량

탐방138 效能主治 21. 拔毒化腐生肌葯

21. 발독화부생기약(拔毒化腐生肌葯) 葯種(약종) : 輕粉(경분), 爐甘石(노감석), 硼砂(붕사), 砒石(비석), 升葯(승약), 鉛丹(연단)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경분(輕粉) : 外用(외용) : 攻毒殺虫(공독살충) - 疥瘡(개창), 頑癬(완선), 臁瘡(렴창), 梅毒(매 독), 瘡瘍(창양), 濕疹(습진), 黃水瘡(황수창), 瘡瘍潰爛(창양궤란) 內服(내

탐방137 20. 解毒殺虫燥濕止痒葯

20. 해독살충조습지양약(解毒殺虫燥濕止痒葯) - 외용약(外用葯) + 內服葯(내복약) 葯種(약종) : 大蒜(대산), 大楓子(대풍자). 明礬(명반), 白礬(백반), 蜂房(봉방), 蛇床子(사상 자), 雄黃(웅황), 硫黃(유황), 皂礬(조반), 土荊皮(토형피), 󰜋麻子(피마자), 血竭 (혈갈). 効能(효능) 및 主治(주치) 대산(大蒜) : 行氣消積(행기소적),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