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탐방18 뇨실금(尿失禁) - 뉵혈(衄血)

Aktualisiert: 23. Sept. 2019


뇨실금(尿失禁) - 뇨통(尿痛) - 뉵혈(衄血)


뇨실금(尿失禁)

1. 參照文(참조문) - 뇨빈(尿頻) : 小便无度(소변무도)

2. 特秀效能(특수효능) 및 要葯(요약)

1) 小兒尿傷的要葯(소아뇨상적요약) : 韭子(구자)

3. 應用葯(응용약)

1) 夜尿(야뇨)

應用葯(응용약) : ① 暖腎縮尿(난신축뇨) : 益智仁(익지인),

② 小兒尿床(소아뇨상) : 韭子(구자)

③ 小兒遺尿(소아유뇨) : 桑螵蛸(상표소),

④ 姙娠婦尿頻症(임신부뇨빈증) : 桑螵蛸(상표소)

2) 遺尿(유뇨) - 小兒遺尿(소아유뇨)

應用葯(응용약) : 鷄內金(계내금)

① 暖腎縮尿(난신축뇨) : 益智仁(익지인), 海馬(해마),

② 縮小便(축소변) : 白果(백과),

4.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⑴ 桑螵蛸(상표소)6-10 + 海螵蛸(해표소)10-12 = (打碎先煎) 小兒遺尿(소아유뇨)

5.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腎氣不固(신기불고)

⑴ 澁精縮尿(삽정축뇨)

① 鷄內金(계내금) 配 桑螵帩(상표초), 覆盆子(복분자), 益智仁(익지인)

② 覆盆子(복분자) 可與 桑螵蛸(상표소, 海螵蛸, 烏賊骨), 益智仁(익지인)

③ 蓮須(연수) 加 沙苑子(사원자), 芡實(검실), 龍骨(용골), 牡蠣(모려)

④ 桑螵蛸(상표소) 加 遠志(원지) . . . ≒ 桑螵蛸散(상표소산)

⑵ 補腎固澁(보신고삽)

① 韭子(구자)

常配 補骨脂(보골지), 益智仁(익지인), 龍骨(용골) - 腎陽虛衰(신양허쇠)

② 白果(백과)

常配 熟地(숙지), 山茱肉(산수육), 覆盆子(복분자) 等 補腎固澁(보신고삽)

③ 覆盆子(복분자) 加 桑螵蛸(상표소), 益智仁(익지인), 金櫻子(금앵자)

④ 山茱萸(산수유) 常與 熟地(숙지), 山葯(산약). . . ≒ 六味地黃丸(육미지황환),

腎氣丸(신기환).

⑤ 山茱萸(산수유) 或 桑螵帩(상표초), 覆盆子(복분자), 益智仁(익지인), 沙苑子

(사원자), 金櫻子(금앵자)

⑶ 固精縮尿(고정축뇨)

應用葯(응용약) : 鷄內金(계내금),

① 補腎助陽(보신조양), 固精縮尿(고정축뇨) : 補骨脂(보골지),

② 刺猬皮(자위피) 單用(단용) 細末服用(세말복용)

③ 刺猬皮(자위피)

或加 益智仁(익지인), 龍骨(용골) 등 收斂固澁葯(수렴고삽약) 配合(배합)

④ 金櫻子(금앵자) 單用 熬膏服(오고복) ≒ 金櫻子膏(금앵자고)(久煎)

⑤ 金櫻子(금앵자) 或與 芡實(검실) ≒ 水陸二仙丹(수육이선단)

⑥ 金櫻子(금앵자) 或與 其他(기타) 補腎(보신), 固澁之品(고삽지품) 同用(동용)

⑦ 金櫻子(금앵자) 加 芡實(검실) . . .≒ 水陸二仙丹(수육이선단) 遺精(유정), 尿頻

(뇨빈), 白濁(백탁), 白帶過多(백대과다)

⑷ 暖腎縮尿(난신축뇨)

① 益智仁(익지인) 配 山葯(산약), 烏葯(오약). . . ≒ 縮泉丸(축천환)

② 海馬(해마) 單用(단용). - 硏末(연말) 혹 浸酒服(침주복), - 補腎壯陽(보신장양)

③ 海馬(해마) 亦可配(역가배) - 補骨脂(보골지), 淫羊藿(음양곽), 覆盆子(복분자)

2) 肝腎不足(간신부족)

⑴ 腎陽虛衰(신양허쇠)

① 韭子(구자) 常配 補骨脂(보골지), 益智仁(익지인), 龍骨(용골)

⑵ 溫補固澁(온보고삽) : 尿頻(뇨빈), 遺尿(유뇨)

① 狗脊(구척)

加 五加皮(오가피), 益智仁(익지인), 桑螵帩(상표초), 木瓜(목과), 杜仲(두중)

⑶ 補腎壯陽(보신장양) - 止遺溺(지유익)

① 仙茅(선모) 配 淫羊藿(음양곽), 菟絲子(토사자)

3) 小兒遺尿(소아유뇨)

⑴ 腎陽不足(신양부족)

① 補骨脂(보골지)

單獨(단독)으로 볶아서 가루를 내어 每次(매차) 溫水口服(온수구복)

② 桑螵蛸(상표소) 可單用爲末(가단용위말) 米湯送服(미탕송복)

⑵ 小兒夜尿症(소아야뇨증)

5-10歲 : 重用 石菖蒲(석창포) 石菖蒲(석창포)30-50, 桑螵帩(상표초)15, 陳膽星

(진담성)5, 五倍子(오배자)5-7.5, 川芎(천궁)5, 甘草(감초)5.

10歲左右 : 麻黃(마황) 麻黃(마황)10, 益智仁(익지인)15, 石菖蒲(석창포)15, 桑螵

帩(상표초)15, 甘草(감초)5.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 加 益智仁(익지인), 桑螵帩(상표초), 石菖蒲

(석창포) 5歲 5g, 3歲 3.5g

4) 老人夜尿症(노인야뇨증)

應用葯(응용약) : 前胡(전호),

5) 小便不禁(소변불금)

⑴ 益陽澁精(익양삽정) - 固精縮尿(고정축뇨)

應用葯(응용약) : 紫梢花(자초화)

⑵ 補腎益精(보신익정) 縮尿(축뇨)

① 菟絲子(토사자)

常配 桑螵帩(상표초), 鹿茸(녹용), 五味子(오미자) ≒ 兎絲子丸(토사자환)

⑶ 補腎助陽(보신조양) ① 巴戟天(파극천)

① 加 益智仁(익지인), 桑螵帩(상표초), 菟絲子(토사자)

⑷ 小便失禁(소변실금)

應用葯(응용약) : 狗脊(구척),

⑸ 尿有余瀝(뇨유여력)

應用葯(응용약) : 菟絲子(토사자),

6. 辨證施治(변증시치)

1) 遺尿(유뇨)

⑴ 신기불고증(腎氣不固證)

臨床 : 신기불고증(腎氣不固證) 중에 유뇨병은 잠자리게 오줌을 싸고(遺尿), 맑은

오줌을 자주 많이 보며(小便淸長而頻數), 얼굴색이 종이같이 희고(面色晄

白), 허리가 시큰시큰 쏘며 저리고 대퇴부위가 약하며(腰腿痠軟), 혹 지력이

둔하고 더듬거리는(智力遲鈍) 등 증을 나타낸다. 대부분 선천부족(先天不

足)으로 인하여 신(腎)이 허(虛)하고, 수도(水道)를 제약(制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治宜 : 온신고삽(溫腎固澁).

方用 : 상표소산(桑螵蛸散)《본초연의(本草衍義)》

≒ 상표소(桑螵蛸), 구판(龜板), 용골(龍骨), 인삼(人蔘), 복신(茯神),

창포(菖蒲), 원지(遠志), 당귀(當歸).

合 고포탕(固脬湯)《잡병원유서촉(雜病源流犀燭)》

≒ 상표소(桑螵蛸), 황기(黃芪), 사원자(沙苑子), 산수유(山茱萸), 당

귀(當歸), 복신(茯神), 토사자(菟絲子), 백작(白芍), 마(升麻), 양유

(羊乳).

2) 방광허한증(膀胱虛寒證)

臨床 : 방광허한증(膀胱虛寒證)에서 보는 유뇨(遺尿) 환자는 대부분 잠잘 때 오줌이

흘러나가고(睡中尿液遺出), 잠에서 깨어난 뒤에야 알게 되며(醒后始覺), 얼굴

색이 밝고 활기차지 못하고(面色无華), 몸은 여위며(形体消瘦), 생각과 기억력

이 부족하다(精神不足)., 이는 신이 허하고 방광이 냉함으로(腎虛脬冷) 말미암

아 심비가 기허하기(心脾氣虛) 때문이다.

《諸病源候論 ․ 小便病諸候》篇說 “遺尿者, 此由膀胱虛寒, 不能約水故也.”

유뇨증 환자(주로 소아), 이는 방광이 허냉(虛冷)하여 오줌(뇨도)을 열고 닫는

약속을 지키지 못함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治宜 : 조보심신(調補心腎), 고삽지유(固澁止遺).

方用 : 상표소산(桑螵蛸散)《본초연의(本草衍義)》

≒ 상표소(桑螵蛸), 구판(龜板), 용골(龍骨), 인삼(人蔘), 복신(茯神), 창

포(菖蒲), 원지(遠志), 당귀(當歸).


뇨통(尿痛)

參照文(참조문) : 임병(淋病) - 石淋(석림), 熱淋(열림)

應用葯(응용약) - 小便自通(소변자통) : 鷄骨草(계골초),


뇨혈(尿血) ⇒ 혈뇨(血尿)


뉵혈(衄血)

1. 應用葯(응용약) : 廘角膠(녹각교), 大薊(대계), 仙鶴草(선학초), 小薊(소계), 紫草(자초), 赤芍

(적작), 棕板(종판), 地骨皮(지골피), 車前子(차전자), 茜草(천초), 蒲黃(포

황), 風香脂(풍향지), 血余炭(혈여탄), 荊芥(형개,炒成炭用), 黃芩(황금), 黃

葯子(황약자),

① 凉血止血(량혈지혈), 淸肝瀉火(청간사화) : 槐花(괴화),

② 凉血止血(량혈지혈) : 白茅根(백모근), 翻白草(번백초)

③ 淸熱解毒(청열해독) : 大黃(대황), 백두옹(白頭翁),

④ 淸熱利濕(청열이습) : 馬藺子(마린자),

⑤ 淸熱凉血(청열양혈) : 牡丹皮(모단피),

2.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各種內外諸出血症(각종내외제출혈증) - 收斂止血的要葯(수렴지혈적요약) : 白及(백급)

3. 相須配合(상수배합)과 治症(치증)

1) 女貞子(여정자)10 + 旱蓮草(한련초)10 = 陰虛火旺(음허화왕), 迫血妄行(박혈망행) - 鼻

衄(비뉵), 齒衄(치뉵), 咯血(각혈), 吐血(토혈),

尿血(뇨혈), 便血(변혈), 崩漏下血(붕루하혈) 等症

4.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血熱妄行(혈열망행)

應用葯(응용약) : ① 收斂止血(수렴지혈) : 側柏葉(측백엽),

⑴ 凉血止血(양혈지혈)

應用葯(응용약) : 棕櫚炭(종려탄), 梔子(치자),

① 陰虛(음허) : 旱蓮草(한련초),

① 貫衆(관중, 炒炭用) 單用硏末(단용연말) 調服(조복)

② 槐花(괴화) 加 白茅根(백모근)

③ 大薊(대계) 單種(단종) 或加 小薊(소계), 側柏葉(측백엽). § 用炭(용탄)

④ 馬勃(마발) 單用(단용)

或加 凉血止血葯(양혈지혈약) 配伍(배오)- 止血時(지혈시), 兼外用(겸외용).

⑤ 白礬(백반), 兒茶(아차), 細粉(세분). 內服(내복) 혹은 外用(외용)

⑥ 白毛夏枯草(백모하고초) 單種(단종) 內服(내복)

⑦ 水牛角(수우각) 加 生地(생지), 丹皮(단피), 赤芍(적작)

⑧ 苧麻根(저마근) 單用(단용), 或配(혹배) 其他止血葯(기타지혈약)

⑨ 地骨皮(지골피) 單用(단용) 酒煎服(주전복)

⑩ 地骨皮(지골피) 或加 白茅根(백모근), 側柏葉(측백엽)등 凉血止血葯(양혈지혈약)

配伍(배오)

⑪ 茜草(천초) 常配 大薊(대계), 側柏葉(측백엽). . . ≒ 十灰散(십회산)

⑫ 梔子(치자) 加 白茅根(백모근), 側柏葉(측백엽), 大黃(대황) - 血熱妄行(혈열망행)

⑬ 黃芩(황금) 黃芩炭(황금탄). - 單種(단종)

⑭ 黃芩(황금) 或加 生地黃(생지황), 白茅根(백모근), 三七(삼칠)

2) 熱入血分(열입혈분)

⑴ 淸熱凉血(청열양혈)

① 赤芍(적작) 加 犀角(서각), 生地(생지), 丹皮(단피). . . ≒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3) 肝鬱化熱(간울화열), 血熱妄行(혈열망행) - 凉血止血(량혈지혈)

⑴ 順氣降火(순기강화)

① 鬱金(울금)

加 生地(생지), 丹皮(단피), 山梔(산치), 牛膝(우슬) ≒ 生地黃湯(생지황탕)

4) 鼻衄頭痛(비뉵두통)

應用葯(응용약) : 紫萁貫衆(자기관중),

5) 其他(기타) ① 血余炭(혈여탄) 常配 藕汁(우즙)

⑴ 散瘀止血(산어지혈)

① 荊芥炭(형개탄), 藕節(우절), 白茅根(백모근)

5. 辨證施治(변증시치)

1) 혈허증(血虛證)

臨床 : 출혈성 잡병중에 보는 혈허증의 임상표현은 비뉵(鼻衄), 치뉵(齒衄), 심하면 혹

기뉵(肌衄)이 있다. 혈이 부족한 관계로 얼굴색이 하얗고(面色晄白), 머리가 어

지러우며 눈에 불꽃이 날고(頭暈眼花), 심장이 두근거리며(心悸), 정신이 피로하

고 힘이 없는(神疲乏力) 등 증상을 나타내는데 이는 과다한 출혈(失血過多)로,

혈이 부족하게 되고 따라서 기역시 줄게 되어(血虛氣亦虧), 기가 혈을 통섭하지

못하게 됨으로(氣不攝血), 출혈이 멎지 않는 것이다(故血出不止).

治宜 : 보기섭혈(補氣攝血)

方用 : 인삼귀비탕(人參歸脾湯)《부인량방(婦人良方)》보익제(補益劑)

≒ 인삼(人參), 백출(白朮), 복령(茯苓), 황기(黃芪), 용안육(龍眼肉), 산

조인(酸棗仁), 당귀 (當歸), 원지(遠志), 목향(木香), 감초(甘草).

2) 혈열증(血熱證)

臨床 : 혈열증에 속하는 토혈(吐血), 뉵혈(衄血), 각혈(咯血), 변혈(便血), 뇨혈(尿血)을

막론하고 출혈성 질병으로 혈색이 선홍색이며, 혀가 붉고(舌紅), 맥이 한 번 호

흡 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脈數)등 이런 공통된 증상은 대부분 외감풍열에

의한 조사(外感風熱燥邪)로 폐경의 락맥이 열사에 상한(熱傷肺絡) 경우이거나 ;

혹 매운 음식을 선호하여(嗜食辛辣), 위장이 온열하거나(溫熱于胃腸), 혹은 사

무(事務)가 마음먹은 대로 뜻과 같이 성취되지 못하여(情志不遂), 희, 노, 사, 우,

공(喜,怒,思,憂,恐)의 정서가 화(火)로 화하거나(五志化火), 혹은 힘들고 괴로운

일을 과도하게 함으로(煩勞過度), 심화가 항성하여(心火亢盛), 열이 소장으로

전이되거나(移熱于小腸), 혹은 오랜 병으로 간신의 음이 줄어(久病肝腎陰虧),

명문의 상화가 망령되이 날뛰게 되는(相火妄動) 상황을 가 리켜서 한편 “혈득열

칙비(血得熱則沸)”라 하였다. 즉 혈이 열을 얻으면 끓는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혈맥이 열에 상하고(熱傷血脈), 양경의 락맥을 상하게 되면 혈이 밖으로 넘쳐

나오고(陽絡傷則血外溢), 음경의 락맥을 상하게 되면 혈이 안으로 넘치게 되는

(陰絡傷則血內溢) 것이라 했고 《장경악(張景岳)》說 “동자다유화(動者多由火),

화성칙핍혈망행(火盛則逼血妄行)”이라 하였다. 이 역시 활동하는 자는 열(火)

이 많음으로 말미암아 열화가 가득하면 혈을 핍박하여 망동케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치료는 양혈지혈(凉血止血)을 위주로 함을 치료원칙의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무릇 병인으로 인하여 병위(病位)가 부동(不同)함으로 구체적인 치료

역시 서로 다르다.

疾病 : 해혈자(咳血者)

治宜 : 자음윤폐(滋陰潤肺),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醫方集解》조즙암(趙蕺庵) 치조제(治燥劑)

≒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맥문동(麥門冬), 백합(百合), 당귀

(當歸), 초작약(炒芍葯), 패모(貝母), 감초(甘草), 현삼(玄參), 길경(桔

梗).

疾病 : 뉵혈(衄血), 토혈(吐血)

治宜 : 청위사화(淸胃瀉火),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옥녀전(玉女煎)《경악전서(景岳全書)》加减 청열제(淸熱劑)

≒ 석고(石膏), 숙지황(熟地黃), 맥문동(麥門冬), 지모(知母), 우슬(牛膝).

或 : 청간사화(淸肝瀉火)

方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난실비장(蘭室秘藏)》加减

≒ 용담초(龍膽草), 황금(黃芩), 치자(梔子), 택사(澤瀉), 목통(木通), 차

전자(車前子),당귀(當歸), 생지(生地), 시호(柴胡), 감초(甘草).

3)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

臨床 : 비뉵병(鼻衄病) 중에 출현하는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의 임상특징은 코에서

피를 흘리고(鼻乾衄血), 입과 목구멍이 건조하며(口乾咽燥), 혀는 붉고(舌紅),

맥은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뛴다(脈數)., 이는 풍열사기가 폐를 침범하

여(風熱犯肺), 혈을 핍박함으로 혈이 제멋대로 행(迫血妄行) 하기 때문이다.

治宜 : 청설폐열(淸泄肺熱),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사백산(瀉白散)《소아약증직결(小兒葯證直訣)》청열제(淸熱劑)

≒ 상백피(桑白皮), 지골피(地骨皮), 갱미(粳米), 감초(甘草).

4) 조사범폐증(燥邪犯肺證)

臨床 : 비뉵(鼻衄) 중에 조사범폐증(燥邪犯肺證)의 임상특징은 마른 코에서 코피가 나

고(鼻燥而衄), 입이 마르고 가래가 적은데 사례가 들어 기침을 하고(口乾咳嗆

痰少), 혀는 붉고(舌紅), 맥은 가볍게 눌러도 짚이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며(脈浮數)., 혹은 몸에 열이 있다(或有身熱). 이는 조열이

폐를 침범하여(燥熱犯肺), 혈을 핍박함으로 혈이 제멋대로 행하기(迫血妄行)

때문이다.

治宜 : 청열생진(淸熱生津),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사삼맥동탕(沙蔘麥冬湯)《온병조변(溫病條辨)》치조제(治燥劑)

≒ 사삼(沙蔘), 맥동(麥冬), 옥죽(玉竹), 천화분(天花粉), 백편두(白萹

豆), 상엽(桑葉), 감초(甘草).

5) 심비양허증(心脾兩虛證)

臨床 : 심비양허증(心脾兩虛證)으로 인한 출혈병(出血病) 중에 뉵혈(衄血), 변혈(便血),

뇨혈(尿血), 피하출혈(皮下出血), 부녀붕루(婦女崩漏) 등은 출혈량이 많고(出血

量多), 혈색이 담홍(血色淡紅)색이며, 심장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며(心悸氣短),

얼굴색이 밝지 못하고(面色无華), 입술과 손발톱의 색이 흰 것(脣甲色白)을 위

주로 하는 특징이 있다. 대부분 심비가 허약(心脾虛弱)하고 심이 혈을 주관하

지 못하므로(心不主血), 비가 혈을 통섭하지 못하는(脾不統血) 때문이다(所致).

治宜 : 보심비(補心脾), 익기섭혈(益氣攝血).

方用 : 귀비탕(歸脾湯)《제생방(濟生方)》가감(加减)

≒ 인삼(人蔘), 백출(白朮), 황기(黃芪), 복령(茯苓), 용안육(龍眼肉), 산조인

(酸棗仁), 목향(木香), 당귀(當歸), 원지(遠志),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

조(大棗).

6)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 혈증(血證)

臨床 : 혈증은 치뉵(齒衄)과 같은 역시 간신음허(肝腎陰虛)의 표현을 하는 증후이다.

이는 정지로 내장을 상하고(情志內傷), 욕정에 빠져(縱情色欲), 간과 신의 음이

줄어들거나(肝腎陰虧), 음허로 내열(陰虛內熱)이 일어나, 맥락을 살라 손상시

키므로(灼傷脈絡), 락맥이 손상을 받아 혈이 넘쳐(絡傷血溢)흐르기 때문이다.

출혈하는 그 혈색은 담홍(淡紅)하고, 잇몸은 부어서 들뜨며 잇 발은 흔들리고

(齦浮齒搖) 약간 아픈(微痛) 것을 특징으로 한다.

《景岳全書 ․ 血門》云 “血從齒縫牙齦中出者(혈종치봉아은중출자), 名爲齒衄

(명위치뉵). 此手足陽明二經及(차수족양명이경급) 足少陰腎家之病(족소음신

가지병). 腎水不足(신수부족), 口不臭(구불취), 牙不痛(아불통), 但齒搖不堅(단

치요불견), 或微痛不甚(혹미통불심), 而牙縫時多出血者(이아봉시다출혈자),

此腎陰不固(차신음불고), 虛火偶動而熱(허화우동이열).” - 피가 이를 꿰매듯

이를따라 잇몸 사이로 출혈하는 것을 치뉵 이라 한다. 이는 수족양명 2경 및

족소음신의 병이다. 신수가 부족하고, 입에서 냄새가 나지 않으며, 이도 아프

지 않지만 단지 이가 흔들리고 견고하지 못하며, 혹 약간의 통증은 심하지 않

고, 이를 꿰고 돌며 많은 출혈을 하는 사람은 신음이 견고하지 못하여 허화가

뜻하지 않게 움직여 열이 나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治宜 : 자음강화(滋陰降火),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자수청간음(滋水淸肝飮)《의종기임편(醫宗己任編)》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모단피(牡丹皮), 택사

(澤瀉), 복령(茯苓), 당귀신(當歸身,) 백작(白芍), 시호(柴胡), 산치

자(山梔子), 조인(棗仁).

合 천근산(茜根散)《경악전서(景岳全書)》

≒ 천초근(茜草根), 황금(黃芩), 아교(阿膠), 측백엽(側柏葉), 생지(生地),

감초(甘草).


눈꼽(多眵) ⇒ 다루(多淚) - 多淚多眵(다루다치)

눈물(淚,泪) ⇒ 다루(多淚)

눈병 ⇒ 안질(眼疾)

15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탐방139 22. 기타약물(其他葯物)

22. 기타약물(其他葯物) 葯種(약종) : 木槿皮(목근피), 木槿花(목근화), 茯苓皮(복령피), 茯神(복신), 絲瓜絡(사과락), 龍齒(용치), 楡根皮(유근피), 좀작살나무, 天葵子(천규자), 茺尉子(충위자),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목근피(木槿皮) : 淸熱殺虫止痒(청열살충지양) - 皮膚疥癬(피부개선), 목근화(木槿花) : 淸熱利濕(청열이습), 凉血(량

탐방138 效能主治 21. 拔毒化腐生肌葯

21. 발독화부생기약(拔毒化腐生肌葯) 葯種(약종) : 輕粉(경분), 爐甘石(노감석), 硼砂(붕사), 砒石(비석), 升葯(승약), 鉛丹(연단)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경분(輕粉) : 外用(외용) : 攻毒殺虫(공독살충) - 疥瘡(개창), 頑癬(완선), 臁瘡(렴창), 梅毒(매 독), 瘡瘍(창양), 濕疹(습진), 黃水瘡(황수창), 瘡瘍潰爛(창양궤란) 內服(내

탐방137 20. 解毒殺虫燥濕止痒葯

20. 해독살충조습지양약(解毒殺虫燥濕止痒葯) - 외용약(外用葯) + 內服葯(내복약) 葯種(약종) : 大蒜(대산), 大楓子(대풍자). 明礬(명반), 白礬(백반), 蜂房(봉방), 蛇床子(사상 자), 雄黃(웅황), 硫黃(유황), 皂礬(조반), 土荊皮(토형피), 󰜋麻子(피마자), 血竭 (혈갈). 効能(효능) 및 主治(주치) 대산(大蒜) : 行氣消積(행기소적),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