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탐방116 흉비증(胸痹證) - 흥분(興奮)

Aktualisiert: 21. Juni 2021



흉비증(胸痹證) : 흉통(胸痛) - 흉통(胸痛) - 흉협동통(胸脇疼痛) - 흉협창만(胸脇脹滿) - 흉협창통(胸脇脹痛) - 흥분(興奮)






흉비증(胸痹證) : 흉통(胸痛)

《金匱要略 ․ 흉비심릉단기병맥증과 치료》에 기재된 말이다. 양기(陽氣)가 정상적으로

운행되지 못함으로써 수음(水飮) 혹은 탁담(濁痰)이 가슴속에 막힌 병증이다. 주요증상

은 가슴과 잔등이 아프고, 가슴속에 배기(排氣)가 막혀 있으며 호흡이 촉박하고 기침이

나며 가래가 많은 등이다. 흉통(胸痛)은 관상동맥(冠狀動脈)이 동맥경화(動脈硬化)로

인해 혈관(血管)이 좁아져 심장근육에다 충분한 산소를 운반해주지 못하여 발생되는

것이다.

협심증(狹心症)이란 혈액공급(血液供給)이 순간적으로 부족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심근경색(心筋梗塞)이란 관상동맥이 막혀 혈액공급이 월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

는 병이다. 협심증(狹心症)에 의한 흉통(胸痛)에는 몇 가지 특징적인 점이 있다.

1) 통증을 호소하는 신체부위는 대부분 가슴의 중앙 부분이다.

2) 통증의 증상은 바윗덩어리 같은 것이 짓누르는 것 같기도 하고, 숨이 컥 막히거나,

쥐어짜는 뜻한 강한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3) 대부분의 흉통은 급하게 걸을 때나 뜀뛰기를 할 때 또는 층계를 오를 경우에 발생하

며, 흥분할 때 또는 식사 시에도 발생한다. 그러나 운동을 중지하면 통증은 1~5분

사이에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4) 기온이 떨어져 날씨가 춘운 겨울날, 외출중에 갑자기 협심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때의 흉통(胸痛)은 턱 어깨를 걸쳐 외쪽팔로 뻗치는 경우도 있다.

5) 심근경색(心筋梗塞)으로 인한 흉통(胸痛)의 발생 부위는 협심증과 비슷하더라도 아

품은 더욱 격렬하며, 30분 내지 몇 시간 동안 계속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편하게

안정을 취해도 통증은 오랫동안 지속된다. 그런가 하면 심근경색(心筋梗塞)이라고

할지라도 환자중 20~30%는 별다른 통증 없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6) 흉통(胸痛)의 발생은 심장병(心臟病)에 의한 경우도 있으나, 근육계통이나 흉부의 뼈

에 염증이나, 과다한 운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뿐만 아니라 담석증(膽

石症)이나 위궤양(胃潰瘍) 등의 위장장애로 인하여 발생되는 경우도 있으며 불안신

경증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를 잘 감별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1. 參照文(참조문): 1) 흉통(胸痛)

2) 심하비만(心下痞滿)

2. 常用葯(상용약)

1) 痰濕阻滯所致(담습조체소치) 通陽散結(통양산결), 行氣導滯(행기도체) 治胸痹疼痛

的葯物(치흉비동통적약물) : ☆ 薤白(해백)

2) 瘀血阻滯所致(어혈조체소치) 痛經(통경), 經閉(경폐), 産后瘀阻腹痛(산후어조복통),

又能用于(우능용우) 胸痛(흉통), 脘腹疼痛(완복동통) : 五靈脂(오령지)

3) 胸痹(흉비), 結胸(결흉), 胸膈痞悶(흉격비민) 作痛(작통), 等症(등증) 宜選用(의선용):

☆ 全瓜婁(전과루)

3.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胸痹的要葯(흉비적요약) : 薤白(해백) - 通陽散結(통양산결), 下氣(하기), 行氣導滯(행

기도체).

4.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芍葯(작약) + 桂枝(계지) = 胸痹(흉비), 胸痛(흉통), 證屬(증속) 心陽不振(심양불진),

經氣不和(경기불화), 氣血不調(기혈불조)

2) 丹參(단삼)5 + 檀香(단향)6 = 胸痹諸症(흉비제증) - 氣滯血瘀(기체혈어)

3) 石菖蒲(석창포)12 + 鬱金(울금)15 = 胸痹諸症(흉비제증) - 證屬(증속) 氣滯血瘀(기체

혈어), 絡道不和(락도불화)

5.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胸痹胸痛(흉비흉통)

應用葯(응용약) - 胸痹的要葯(흉비적요약) : 薤白(해백),

- 淸化熱痰(청화열담) : 瓜蔞(과루),

① 桂枝(계지), 瓜蔞(과루), 薤白(해백), 半夏(반하), 枳實(지실) ≒ 枳實薤白桂枝湯

(지실해백계지탕)

② 瓜蔞(과루) 加 半夏(반하), 桂枝(계지), 白朮(백출), 白酒(백주) - 冠心病(관심병)

③ 丹參(단삼) 常配 檀香(단향), 砂仁(사인) ≒ 丹參飮(단삼음)

⑴ 胸痹塞刺痛(흉비색자통) 應用葯(응용약) : 降香(강향),

① 五靈脂(오령지) 加 川芎(천궁), 丹參(단삼), 乳香(유향), 沒葯(몰약)

2) 胸陽不通(흉양불통) - 痰濁痹阻(담탁비조)

⑴ 寒痰阻滯(한담조체)

① 瓜蔞(과루) 配 薤白(해백) ≒ 括樓薤白白酒湯(괄루해백백주탕), 瓜蔞薤白半夏

湯(과루해백반하탕).

② 枳實(지실)

加 薤白(해백), 桂枝(계지), 瓜蔞(과루). . ≒ 枳實薤白桂枝湯(지실해백계지탕)

③ 薤白(해백)

加 瓜蔞(과루), 半夏(반하), 枳實(지실). . ≒ 瓜蔞薤白白酒湯(과루해백백주탕),

≒ 瓜蔞薤白半夏湯(과루해백반하탕), ≒ 枳實薤白桂枝湯(지실해백계지탕).

⑵ 痰瘀胸痹(담어흉비) :

① 薤白(해백) 加 丹參(단삼), 川芎(천궁), 瓜蔞皮(과루피)

3) 痰氣壅滯(담기옹체)

⑴ 淸熱化痰(청열화담)

① 絲瓜絡(사과락) 加 瓜蔞(과루), 薤白(해백), 橘絡(귤락)

② 지실(枳實) 連翹(연교), 瓜蔞(과루), 半夏(반하). . . ≒ 小陷胸加枳實湯(소함흉가

지실탕)

4) 氣鬱爲主者(기울위주자)

① 瓜蔞(과루) 配 沉香(침향), 鬱金(울금), 香附(향부) 등

5) 血瘀爲主者(혈어위주자)

① 瓜蔞(과루) 配 丹參(단삼), 桃仁(도인), 紅花(홍화).

⑴ 心血瘀阻(심혈어조)

① 琥珀(호박) 與 三七(삼칠). - 共硏末服(공연말복) - 活血散瘀(활혈산어)

6) 血虛(혈허)

⑴ 氣滯血瘀(기체혈어)

① 當歸(당귀) 常配 鬱金(울금), 香附(향부)

7) 胸痹心痛(흉비심통)

⑴ 心脈瘀阻(심맥어조)

① 莪朮(아출) 配 川芎(천궁), 丹參(단삼)

② 延胡索(연호색) 加 瓜蔞(과루), 薤白(해백), 혹은 丹參(단삼), 川芎(천궁)

③ 川芎(천궁) 加 丹參(단삼), 桂枝(계지), 檀香(단향)

④ 紅花(홍화) 配 桂枝(계지), 瓜蔞(과루), 丹參(단삼)

8) 결흉(結胸)

⑴ 水飮結胸(수음결흉) - 水飮熱邪結聚(수음열사결취) :

① 甘遂(감수, 豆膚制(두부제)) 配 大黃(대황), 芒硝(망초) ≒ 大陷胸湯(대함흉탕)

② 葶藶子(정력자) 配 杏仁(행인), 大黃(대황), 芒硝(망초). .≒ 大陷胸丸(대함흉환)

⑵ 寒實結胸(한실결흉)

① 파두(巴豆) 加 貝母(패모), 桔梗(길경) ≒ 三物小白散(삼물소백산)

9) 身熱胸痞(신열흉비)

應用葯(응용약) ① 利水滲濕(이수삼습), 利尿通淋(이뇨통림) : 木通(목통),

6. 辨證施治(변증시치)

1) 심맥비조증(心脈痹阻證)

臨床 : 흉비병 중에 출현하는 심맥비조증의 임상표현은 가슴이 답답해서 숨을 몰아

쉬고(胸悶氣憋), 통증이 은은하게 발작하며, 심장이 두근거리고, 혀의 태는

얇고 적으며 혹 미끈거리고 설질이 어둡거나 혹은 새빨갛고(舌質黯或紅絳)

맥은 가늘고 똑똑하며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것 같은(脈弦細) 것이 특점

이다. 대체로 흉양(胸陽)이 떨치고 일어나지 못하고(不振), 심기(心氣)가 부

족하여 혈맥을 요해(血脈痹阻) 하게 되고 혹은 한사가 경맥에 엉키어(寒凝脈

泣) 심맥을 막고 요해(心脈阻遏) 하기 때문이다.

治宜 : 통양(通陽), 선비(宣痹), 산한(散寒).

方用 : 괄루해백반하탕(括蔞薤白半夏湯)《金匱要略》리기제(理氣劑)

≒ 괄루(括蔞), 해백(薤白), 반하(半夏), 백주(白酒).

或用 : 오두적석지환(烏頭赤石脂丸)《金匱要略》온리제(溫裏劑) 加味

≒ 오두(烏頭), 적석지(赤石脂), 촉초(蜀椒), 건강(乾姜), 포부자(炮

附子)., 加 단삼(丹參), 도인(桃仁), 홍화(紅花), 향부(香附)등

활혈리기(活血理氣) 약(葯)

2) 담기호결증(痰氣互結證)

臨床 : 담과 기가 가슴속에 맺히고 결리게 되어서(痰氣痞結), 기화 기능이 잘 펼쳐

지지(순통) 못하므로(氣機不暢) 흉비가 되다. 임상표현 : 가슴이 그득하고 결

리며 답답하여 번민하게 되고(胸悶痞滿), 호흡이 불리하여 숨이 차고(短氣不

利), 심통이 잔등으로 이어지고(痛引心背), 몸을 구푸렸다 폈다 해도 풀리지

않는다(俯仰不舒).

治宜 : 선통강역(宣通降逆), 행기화담(行氣化痰).

方用 : 귤지강탕(橘枳姜湯)《금궤요략(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 귤피(橘皮), 지실(枳實), 생강(生姜).

3) 담어호결증(痰瘀互結證)

臨床 : 흉비 중에 출현하는 담어호결증의 임상표현은 가슴을 바늘로 찌르는 뜻한

아픔이 잔등으로 뚫고 나가며(胸部刺痛徹背), 아픈 곳이 이동되지 않고 고정

된 자리인데(固定不移), 밤이 되거나 혹은 추위를 감수하게 되면 아픔이 심

해지며(入夜或感寒則痛甚), 기침을 하면서 침과 가래를 뱉는다(咳唾痰涎).,

혀는 어두운 자줏빛인데(舌質暗紫), 이는 한담과 어혈이 가슴에서 서로 결박

됨으로 말미암아(此由寒痰與瘀血 相互搏結于胸), 맥락이 불통하고(脈絡不

通), 기기가 조체된 때문이다(氣機阻滯所致).

治宜 : 화담거어(化痰祛瘀), 선비통양(宣痺通陽).

方用 : 괄루해백반하탕(括蔞薤白半夏湯)《金匱要略》리기제(理氣劑)

≒ 괄루(括蔞), 해백(薤白), 반하(半夏), 백주(白酒).

合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醫林改錯》리혈제(理血劑)

≒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천궁(川芎), 적작(赤芍), 도인(桃

仁), 홍화(紅花), 시호(柴胡), 지각(枳殼), 길경(桔梗), 우슬(牛

膝), 감초(甘草).

4) 심양폭탈증(心陽暴脫證)

臨床 : 심양폭탈증에서 보게 되는 많은 질병 중에 흉비병 환자는 대부분 평소에 양

기가 허한 탓에(素体陽虛), 흉부에 양기가 떨치고 일어나지 못하거나(胸陽不

振) 혹은 하루 종일 운동량이 적고 누워서 지내므로(終日伏案少動), 기혈운

행이 잘 펼쳐지지 않고 있는데(氣血運行不暢), 한사가 허한 틈을 타고 침습

하게 되어(寒邪乘虛侵襲), 담과 습이 흉부의 양기를 요해하거나(痰濕痹阻胸

陽), 혹은 본성이 과격 하거나(情志過激)), 과도한 노동으로 손상하였거나(勞

傷過度) 해서 갑자기 심양을 소비한(暴耗心陽) 때문이다. 임상특점은 흉통이

잔등을 뚫고 나가고(胸痛徹背), 숨이 차고 심동계가 빠르며(心悸氣短), 얼굴

이 창백하고(面色蒼白), 천식 때문에 누울 수 없으며(喘息不得臥), 물을 뿌린

뜻이 땀을 엄청흘리고(大汗淋漓), 팔다리가 말단으로부터 차가워져 오르고

(四肢厥冷), 심지어(甚至) 정신의식이 맑지 못하며(神識不淸), 설질이 어두운

자줏빛이고(舌質紫暗), 맥이 몹시 가늘고 연하며 누르면 끊어질듯하여 맥박

을 촉감할 수 없다(脈微欲絶).

治宜 : 회양구역(回陽救逆).

方用 : 삼부용모탕(三附龍牡湯)《中醫症狀鑒別診斷學》온리제(溫里劑)

≒ 인삼(人參), 포부자(炮附子), 용골(龍骨), 모려(牡蠣).

5) 심기허증(心氣虛證)

臨床 : 심기허증(心氣虛證)에 흉비의 표현은 흉통(胸痛)으로 시작하고, 가슴이 답답

하고, 심동계가 빨라지며, 기침을 하며 숨이 차고, 기력이 없고 땀을 흘린다.

治宜 : 익기통양선비(益氣通陽宣痹)

方用 : 인삼탕(人蔘湯)《금궤요략(金匱要略)》온리제(溫里劑)

≒ 인삼(人蔘), 백출(白朮), 건강(乾姜), 감초(甘草).

或 : 생맥산(生脈散)《내외상변혹론(內外傷辨惑論)》보익제(補益劑) 加减

≒ 인삼(人參),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6) 심기음양허증(心氣陰兩虛證)

臨床 : 흉비병(胸痹病) 중에 심기음양허증(心氣陰兩虛證)이 보이는 환자는 대체로

장기간 과도한 노동으로 심비를 상하고(勞傷心脾), 심음이 부족하며(心陰不

足), 원기가 손상되고 줄어(元氣虧損) 심(心)의 기음(氣陰)이 모두 허해진 것

이다. 임상표현 : 가슴이 답답하고 때때로 아프며(胸悶時痛), 심장 박동이 빨

라져 가슴이 두근거리고(心動悸), 입과 목구멍이 마르고 아프며(口乾咽痛),

기력이 줄고 정신이 피로해져 게으르며(神疲乏力), 잠자리에 땀을 흘리고(盜

汗), 혀는 담담하며(舌淡), 태는 희고 얇고 진액이 적으며(苔薄白而少津), 맥

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때때로 정지된다(脈結代).

治宜 : 익기양심(益氣養心), 자음복맥(滋陰復脈).

方用 : 자감초탕(炙甘草湯)《상한론(傷寒論)》보익제(補益劑) 加减

≒ 자감초(炙甘草), 대조(大棗), 아교(阿膠), 생강(生姜), 인삼(人蔘), 맥

문동(麥門冬), 생지황(生地黃), 계지(桂枝), 화마인(火麻仁).

7) 심신양허증(心腎陽虛證)

臨床 : 심신양허증(心腎陽虛證)에서 보는 흉비병(胸痹病)은 대부분 심양부족(心陽

不足)으로 말미암아 고동이 무력(鼓動无力)하고, 혈액 순환이 원활하고 순조

롭지 못하여(血澁不行),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두렵고 불안하며(心悸怔忡),

가슴이 답답한 것이 풀리지 않거나(胸悶不舒) 혹은 동통을 수반하고(或伴疼

痛), 혀는 어두운 자줏빛 이거나(舌色紫黯) 혹은 어점이 있고(或有瘀点), 맥

은 순조롭지 못하고 마치 칼로 대나무를 긁는 뜻하거나 혹은 맥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멈춘다(脈澁或脈結代).

治宜 : 온양선비(溫陽宣痹), 통락화어(通絡化瘀).

方用 : 지실해백계지탕(枳實薤白桂枝湯)《금궤요략(金匱要略)》

去 후박(厚朴), 지실(枳實)

加 건강(乾姜), 세신(細辛).

≒ 지실(枳實), 해백(薤白), 계지(桂枝), 과루근(瓜蔞根),후박(厚朴).

흉통(胸痛)

參照文(참조문)

1) 흉비(胸痹)

변증시치(辨證施治) cardiagra, pectoralgia

1) 기체증(氣滯證)

흉(胸)은 상초(上焦)에 자리 잡고, 심, 폐, 격(心,肺,膈)을 간직하고 있다.

臨床(임상)

⑴ 폐기실선(肺氣失宣) : 담열(痰熱)이 안을 요해함으로 기가 막히고 가슴이 아픈(氣滯

胸痛) 환자

症狀 : 기침하며 가슴이 아프고(胸痛咳喘), 소리 내어 가래를 뱉는데 그 색이 누렇고

빽빽하며 비린내가 나고(咯痰黃稠而腥), 답답하고 괴로워 번민하며(煩悶), 설

태는 누렇고 미끈거리고(苔黃膩),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한 것이

순조롭고 원활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弦滑數).

治宜 : 관흉개울(寬胸開鬱) 청열화담(淸熱化痰)

方用 : 소함흉탕(小陷胸湯)《傷寒論》거담제(祛痰劑)

合 천금위경탕(千金葦莖湯)《千金要方》옹양제(癰瘍劑)

≒ 황련(黃連), 반하(半夏), 과루실(瓜蔞實)., 合 위경(葦莖), 도인

(桃仁), 이미(苡米), 과판(瓜瓣).

⑵ 심기실선(心氣失宣) : 흉양이 결리고 요해하여(胸陽痹阻) 탁음이 안에 엉키게(濁陰

內凝) 되어서 기가 막히고 가슴이 아픈(氣滯胸痛) 환자

症狀 : 가슴 아픈 것이 뚫고 들어가 잔등에 이르고(胸痛徹背), 가슴을 진 누르는 것

처럼 답답하고(胸悶如壓),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편하며(心悸不寧), 숨을 급하

게 모라 쉬고(氣急), 설태는 희고 미끈거리며(苔白膩),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

이지만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다(脈沉細).

治宜 : 개흉선비(開胸宣痹) 이화담탁(而化痰濁)

方用 : 괄루해백반하탕(括蔞薤白半夏湯)《金匱要略》理氣劑

合 전도목금산(顚倒木金散)《醫宗金鑑》리기제(理氣劑)

≒ 괄루(括蔞), 해백(薤白), 반하(半夏), 백주(白酒).,

合 목향(木香), 울금(鬱金).

2) 혈어증(血瘀證)

臨床 : 흉통병 중에 보는 어혈증의 임상표현은 가슴을 찌르는 뜻이 아프고(胸部刺痛),

아픈 곳이 옮겨 다니지는 안치만(痛處不移) 심통이 잔등을 뚫고(心痛徹背), 밤이

되면 더욱 심해지고(入夜尤甚), 가슴이 두근거리는(心悸) 것이 특징이다. 이것

은 의지(意志)와 정서(情緖)상의 문제로 내장을 손상하여(情志內傷) 내장의 기화

기능이 불이 해 지고(氣機不利), 혈액 순환이 화락하지 못하여(血不暢行), 혈관

에 어혈이 막히거나(脈絡瘀滯) 혹은 오랜 병이 락맥에 들어와(久病入絡), 심맥에

서 어혈이 요해하므로(心脈瘀阻), 심양이 불진하거나(心陽不振) 혹은 한습(寒濕)

의 사기가 경맥에 맺혀서(搏結于脈), 안으로 심장을 침범하고(內犯于心), 심맥을

막고 요해하기(心脈痹阻) 때문이다.

治宜 : 관흉통양(寬胸通陽) 통락지통(通絡止痛)

方用 : 지실해백계지탕(枳實薤白桂枝湯)《금궤요략(金匱要略)》理氣劑

≒ 지실(枳實), 해백(薤白), 계지(桂枝), 과루근(瓜蔞根), 후박(厚朴).

合 실소산(失笑散)《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경산제(經産劑)

≒ 오령지(五靈脂), 포황(蒲黃), 초(醋).

或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의림개착(醫林改錯)》리혈제(理血劑)

≒ 당귀(當歸), 생지(生地), 도인(桃仁), 홍화(紅花), 지각(枳殼), 적작

(赤芍), 시호(柴胡), 감초(甘草), 길경(桔梗), 천궁(川芎), 우슬(牛

膝).

간맥은 흉부와 협부에 넓게 깔려 있기(肝脈布于胸脇) 때문에 흉통은 간경병에

속한다(故胸痛有屬于肝經之病). 간맥의 혈락불통(血絡不通) 처방은 선복화탕

(仙復花湯)이다.

處方 : 선복화탕(仙復花湯)《금궤요략(金匱要略)》리혈제(理血劑)

≒ 선복화(仙復花), 총경(葱莖), 신강(新絳).

3) 한담조폐증(寒痰阻肺證)

證狀 : 흉통병(胸痛病) 중에 출현하는 한담조폐증(寒痰阻肺證)의 임상특징은 가슴 속

이 아프고 답답하며(胸中悶痛), 아플 때는 통증이 가슴으로부터 잔등을 뚫고나

가는 것 같고(痛時徹背), 숨이 차고 호흡이 급촉하여 헐떡거리며(氣短喘促), 기

침하면서 거품이 들어있는 가래를 토한다(咳吐痰沫)., 이는 한담이 모여 뭉쳐져

서(寒痰結聚), 폐기가 요해를 받아(肺氣受阻), 흉부의 양기가 떨치고 일어나지

못하기(胸陽不振) 때문이다.

治宜 : 온폐화담(溫肺化痰), 통양강역(通陽降逆).

方用 : 괄루해백반하탕(栝蔞薤白半夏湯)《金匱要略》리기제(理氣劑) 加减

≒ 괄루(栝樓), 해백(薤白), 반하(半夏), 백주(白酒).

4) 담열옹폐증(痰熱壅肺證)

臨床 : 흉통병(胸痛病) 중에 출현하는 담열옹폐증(痰熱壅肺證)의 임상특징은 숨을 헐

떡거리면서 기침을 하고 가슴이 아프며(胸痛咳喘), 누렇고 빽빽한 가래를 뱉거

나(咯痰黃稠), 혹 해혈(咳血)을 하거나 혹은 기침을 하며 비린내 나는 가래를(咳

痰腥臭) 보게 되며, 답답하고 귀찮게 열이 난다(煩悶發熱)., 이는 폐에 담열이 있

음으로(肺有痰熱), 폐의 락맥을 살라 손상(灼傷肺絡) 함으로 기능 활동이 잘 펼

쳐지지 않기(氣機不暢) 때문이다.

治宜 : 척담사열(滌痰瀉熱), 관흉개결(寬胸開結).

方用 : 소함흉탕(小陷胸湯)《상한론(傷寒論)》거담제(祛痰劑) 가감(加减)

≒ 황련(黃連), 반하(半夏), 과루실(瓜蔞實).

註▷ 기기(氣機) : 일반적으로 기(氣)의 기능활동(機能活動)을 가리킨다. 때로는 장부지

기(臟腑之氣)가 운행하는 통로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임상에서 담열

(痰熱)이 폐(肺)에 응체(凝滯)되면 폐의 기기가 순통(順通)하지 못하게 됨으로 “천

식(喘息)” 증상이 생긴다.


흉수(胸水) ⇒ 1) 수종(水腫) 2) 복수(腹水)

흉완통(胸脘痛) ⇒ 흉복창민(胸腹脹悶) 통(痛)

흉완비민(胸脘痞悶) ⇒ 흉복창민(胸腹脹悶) 통(痛)


흉협동통(胸脇疼痛)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赤芍(적작) + 白芍(백작) = 胸脇疼痛(흉협동통),腹痛堅積諸症(복통견적제증)

2) 五靈脂(오령지)(布包)10 + 降香(강향)(后下)6 = 胸脇疼痛(흉협동통) - 氣滯血瘀(기

체혈어)

3) 冬瓜子(동과자)15 + 靑橘葉(청귤엽)10 = 胸脇脹疼(흉협창동) - 氣水鬱滯(기수울

체), 絡道不暢(락도불창), 咳嗽氣短(해수기단)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寒痰(한담) - 溫肺祛痰(온폐거담)

⑴ 胸滿脇痛(흉만협통) - 痰飮停滯(담음정체), 咳逆痰多(해역담다)

① 芥子(개자, 백개자) 配 大戟(대극), 甘遂(감수) ≒ 控涎丹(공연단).

⑵ 寒痰阻滯(한담조체)

① 芥子(개자) 配 蘇子(소자), 萊菔子(래복자) ≒ 三子養親湯(삼자양친탕).

2) 熱痰(열담)

應用葯(응용약) : 蛤殼(합각),

⑴ 痰熱結胸(담열결흉) 胸脇痞滿(흉협비만) 按之則痛者(안지칙통자)

① 瓜蔞實(과루실) 配 黃連(황련), 半夏(반하) ≒ 小陷胸湯(소함흉탕)

3) 胸悶脇痛(흉민협통) - 胸脇氣滯(흉협기체)

應用葯(응용약) : 枳殼(지각),

⑴ 胸膈痞悶(흉격비민) : 痰阻氣滯(담조기체), 降氣失司(강기실사), 升降氣機(승강

기기) - 寬胸(관흉)

① 桔梗(길경) 配 枳殼(지각)

⑵ 燥濕化痰(조습화담)

① 佛手(불수) 加 枇杷葉(비파엽), 鬱金(울금)

4) 胸脇疼痛(흉협동통)

應用葯(응용약) : 澤蘭(택란),

⑴ 瘀滯(어체)

① 山楂(산사) 加 川芎(천궁), 桃仁(도인), 紅花(홍화)

⑵ 痰飮(담음)

① 旋覆花(선복화) 配 香附(향부). . . ≒ 香附旋茯花湯(향부선복화탕)

⑶ 氣滯血瘀(기체혈어)

① 鬱金(울금) 配 丹參(단삼), 柴胡(시호), 香附(향부).

- 配伍同用 偏氣鬱(편기울) : ① 加 木香(목향)

偏血鬱(편혈울) : ① 加 鬱金(울금). . . ≒ 顚倒木金散(전도목금산)

5) 胸脇刺痛(흉협자통)

應用葯(응용약) : 姜黃(강황),

6) 胸脇脘腹疼痛(흉협완복동통)

⑴ 肝鬱犯胃(간울범위)

① 玫瑰花(매괴화) 加 香附(향부), 佛手(불수), 砂仁(사인) 等

7) 胸脇脹滿(흉협창만) 疼痛(동통)

應用葯(응용약) : 枳殼(지각),

8) 胸脇損傷疼痛(흉협손상동통)

① 澤蘭(택란) 則配 丹參(단삼), 元胡(원호), 鬱金(울금)


흉협적수(胸脇積水) ⇒ 수종 (水腫) - 腹水(복수)


흉협창만(胸脇脹滿)

應用葯(응용약) : 葶藶子(정력자),

1) 理氣止痛(리기지통)

應用葯(응용약) : 川楝子(천련자),

- 降氣(강기) 開鬱(개울) : 狗寶(구보),


흉협창통(胸脇脹痛)

1.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冬瓜子(동과자)15 + 靑橘葉(청귤엽)10 = 胸脇脹疼(흉협창동) - 氣水鬱滯(기수울

체), 絡道不暢(락도불창), 咳嗽氣短(해수기단)

2.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肝氣鬱滯(간기울체) 應用葯(응용약) : 柴胡(시호),

⑴ 疏散解鬱(소산해울)

① 薄荷(박하) 加 柴胡(시호), 芍葯(작약). . . ≒ 逍遙散(소요산)

⑵ 疏肝解鬱(소간해울)

① 柴胡(시호) 加 白芍(백작), 當歸(당귀). . . ≒ 柴胡散(시호산)

② 柴胡(시호)

加 香附子(향부자), 川芎(천궁), 枳殼(지각). . . ≒ 柴胡疏肝散(시호소간산)

③ 刺蒺藜(자질려) 配 柴胡(시호), 香附(향부), 靑皮(청피)

④ 香櫞(향연) 共同 佛手(불수).- 但效力較遜(단효력교손)

2) 肝胃氣滯(간위기체)

⑴ 胸脇脹痛(흉협창통), 脘腹疼痛(완복동통)

① 청목향(靑木香) 單味(단미) - 制爲散劑(제위산제) 혹은 酊劑服(정제복) 亦可

(역가)

② 청목향(靑木香) 與 川楝子(천련자), 香附(향부)

⑵ 肝氣鬱滯(간기울체)

① 九香虫(구향충)

加 香附(향부), 玄胡索(현호색), 鬱金(울금) - 理氣止痛(리기지통)

3) 肝鬱氣滯(간울기체)

⑴ 疏肝破氣(소간파기)

① 靑皮(청피) 加 柴胡(시호), 鬱金(울금), 香附(향부)

⑵ 理氣止痛(리기지통)

① 九香虫(구향충)

加 香附(향부), 玄胡索(현호색), 鬱金(울금) - 理氣止痛(리기지통)

4) 寒凝氣滯(한응기체)

應用葯(응용약). ① 溫肺化痰(온폐화담), 止咳(지해), 利氣散結(리기산결) : 白芥子

(백개자),

⑴ 行氣止痛(행기지통)

① 沈香(침향)

加 烏葯(오약), 木香(목향), 檳榔(빈랑). . . ≒ 沈香四磨湯(침향사마탕)


흥분(興奮)

1) 心臟興奮(심장흥분)

應用葯(응용약) : 樟木(장목),

3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탐방139 22. 기타약물(其他葯物)

22. 기타약물(其他葯物) 葯種(약종) : 木槿皮(목근피), 木槿花(목근화), 茯苓皮(복령피), 茯神(복신), 絲瓜絡(사과락), 龍齒(용치), 楡根皮(유근피), 좀작살나무, 天葵子(천규자), 茺尉子(충위자),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목근피(木槿皮) : 淸熱殺虫止痒(청열살충지양) - 皮膚疥癬(피부개선), 목근화(木槿花) : 淸熱利濕(청열이습), 凉血(량

탐방138 效能主治 21. 拔毒化腐生肌葯

21. 발독화부생기약(拔毒化腐生肌葯) 葯種(약종) : 輕粉(경분), 爐甘石(노감석), 硼砂(붕사), 砒石(비석), 升葯(승약), 鉛丹(연단)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경분(輕粉) : 外用(외용) : 攻毒殺虫(공독살충) - 疥瘡(개창), 頑癬(완선), 臁瘡(렴창), 梅毒(매 독), 瘡瘍(창양), 濕疹(습진), 黃水瘡(황수창), 瘡瘍潰爛(창양궤란) 內服(내

탐방137 20. 解毒殺虫燥濕止痒葯

20. 해독살충조습지양약(解毒殺虫燥濕止痒葯) - 외용약(外用葯) + 內服葯(내복약) 葯種(약종) : 大蒜(대산), 大楓子(대풍자). 明礬(명반), 白礬(백반), 蜂房(봉방), 蛇床子(사상 자), 雄黃(웅황), 硫黃(유황), 皂礬(조반), 土荊皮(토형피), 󰜋麻子(피마자), 血竭 (혈갈). 効能(효능) 및 主治(주치) 대산(大蒜) : 行氣消積(행기소적),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