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탐방112 혈허(血虛) - 협통(脇痛)

Aktualisiert: 1. Okt. 2019


혈허(血虛) - 협늑창통(脇肋脹痛) ⇔ 동통(疼痛) - 협통(脇痛)



혈허(血虛)

1. 常用葯(상용약) :

補血葯(보혈약) - 當歸(당귀), 白芍(백작), 熟地黃(숙지황), 阿膠(아교), 龍眼肉(용안육), 何首

烏(하수오).

2. 應用葯(응용약)

1) 血虛(혈허), 血寒(혈한), 血瘀皆可應用的(혈어개가응용적) “血病之要葯(혈병지요약)” :

☆ 當歸(당귀)

2) 治血虛萎黃(치혈허위황),心悸失眠(심계실면), 又可用于(우가용우) 腎陰不足(신음부족),

潮熱盜汗(조열도한), 耳鳴耳聾的(이명이농적) 首選葯(수선약) : ☆ 熟地(숙지)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補血(보혈)

① 熟地黃(숙지황), 當歸(당귀), 白芍(백작). . . ≒ 四物湯(사물탕)

2) 面色萎黃(면색위황)

① 大棗(대조) 配 熟地(숙지), 阿膠(아교), 當歸(당귀) 등 補血葯(보혈약)

3) 血虛臟躁(혈허장조)

⑴ 神志不安(신지불안)

① 大棗(대조) 常配 甘草(감초), 小脈(소맥) ≒ 甘麥大棗湯(감맥대조탕)

4) 心慌(심황) 頭暈(두운)

應用葯(응용약) - 血虛頭暈心慌(혈허두운심황) : 黨參(당삼),

① 白朮(백출) 配 熟地(숙지), 當歸(당귀), 白芍(백작) 等 補血葯(보혈약) ; 血虛(혈허)


혈흡충병(血吸虫病) ⇒ 살충(殺虫)


협늑창통(脇肋脹痛) ⇔ 동통(疼痛)

1. 常用葯(상용약)

1) 脇肋疼痛(협늑동통) - 補血(보혈) : 白芍(백작),

2) 感受外邪(감수외사), 往來寒熱(왕래한열), 伴脇肋脹痛(반협늑창통) 首選葯物(수선

약물) : ☆ 柴胡(시호) - 解表泄熱(해표설열), 疏肝解鬱(소간해울).

3) 肝氣鬱滯(간기울체), 脇肋作痛而兼熱者(협늑작통이겸열자) : ☆ 川楝子(천련자) -

行氣止痛(행기지통), 殺虫療癬(살충료선)

2.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枳殼(지각)10 + 鬱金(울금)15 = 膽結石所引起的(담결석소인기적), 脇肋疼痛(협늑

동통) 等症

2) 川楝子(천련자)10 + 澤蘭葉(택란엽)10= 脇肋疼痛(협늑동통) - 肝鬱不舒(간울불서)

3) 附子(부자)10 + 白芍(백작)15 = 脇肋疼痛(협늑동통), 肝脾腫大(간비종대) - 證屬(증

속) 寒滯肝脈(한체간맥), 絡道瘀阻(락도어조)

4) 枳殼(지각)10 + 鬱金(울금)15 = 脇肋脹痛(협늑창통) - 肝鬱氣滯(간울기체) 氣血不

和(기혈불화), 刺痛(자통), 心下逆滿(심하역만)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肝胃氣滯(간위기체)

⑴ 疏肝和胃(소간화위)

① 綠萼梅(녹악매) 加 柴胡(시호), 佛手(불수), 香附(향부)

2) 肝鬱(간울)

⑴ 柔肝止痛(유간지통)

① 白芍(백작) 常配 當歸(당귀), 白朮(백출), 柴胡(시호). . . ≒ 逍遙散(소요산)

⑵ 活血行氣(활혈행기)

① 延胡索(연호색) 配 柴胡(시호), 鬱金(울금)

⑶ 氣滯血瘀(기체혈어)

① 鬱金(울금) 配 丹參(단삼), 柴胡(시호), 香附(향부).- 配伍同用

偏氣鬱(편기울) : 加 木香(목향)

偏血鬱(편혈울) : 加 鬱金(울금). . . ≒ 顚倒木金散(전도목금산)

② 川芎(천궁) 加 柴胡(시호), 白芍(백작),香附(향부). .≒柴胡疏肝飮(시호소간음)

3) 협늑동통(脇肋疼痛)

⑴ 肝脾腫大(간비종대)

① 별갑(鱉甲) 配 柴胡(시호), 蟅虫(자충), 丹皮(단피). . . ≒ 鱉甲煎丸(별갑전환)

⑵ 通經活絡(통경활락)

① 絲瓜絡(사과락)

加 瓜蔞皮(과루피),桔梗(길경),枳殼(지각) : 寬胸理氣葯(관흉리기약)

⑶ 脇肋脹痛(협늑창통)

① 鬱金(울금) 加 丹參(단삼), 柴胡(시호), 香附(향부), 枳殼(지각)

② 川楝子(천련자) 加 柴胡(시호), 白芍(백작), 枳實(지실) - 肝經有熱(간경유열)

⑷ 胸脇損傷(흉협손상) 胸悶疼痛(흉민동통) :

① 鬱金(울금) 配 丹參(단삼), 柴胡(시호), 杏仁(행인)


협심증(狹心症) ⇒ 심통(心痛)


협통(脇痛)

1.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脇痛必用葯(협통필용약) : 靑皮(청피) - 疏肝理氣(소간리기), 消積化滯(소적화체)

2.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靑皮(청피)6 + 橘皮(귤피)10 = 兩脇脹痛(양협창통) - 肝鬱氣滯(간울기체), 胃氣不和(위

기불화)

2) 靑橘葉(청귤엽)10 + 鬱金(울금)12 = 兩脇脹痛(양협창통) - 肝鬱氣滯(간울기체), 氣機不

暢(기기불창), 或肝氣犯胃(혹간기범위), 心下逆滿

(심하역만), 納谷不消(납곡불소) 등증

3) 附子(부자)10 + 白芍(백작)15 = 脇痛(협통) - 證屬(증속) 寒滯肝脈(한체간맥), 絡道瘀阻

(락도어조), 脇肋疼痛(협늑동통), 肝脾腫大(간비종대)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血瘀(혈어)

⑴ 氣滯血瘀(기체혈어)

① 當歸(당귀) 常配 鬱金(울금), 香附(향부) ② 延胡索(연호색) 加 川楝子(천련자)

2) 肝氣鬱滯(간기울체)

⑴ 肝胃不和(간위불화)

① 麥芽(맥아) 配伍(배오) 疏肝理氣葯(소간리기약)

② 八月札(팔월찰) - 疏肝理氣(소간리기), 散結(산결) - 肝胃氣通(간위기통)

③ 香附子(향부자) 加 木香(목향), 佛手(불수)- 中焦氣行不暢(중초기행불창)

⑵ 疏肝理氣(소간리기)

① 玫瑰花(매괴화) 加 香附(향부), 佛手(불수), 砂仁(사인) 等

② 佛手(불수) 加 柴胡(시호), 香附(향부), 鬱金(울금)

③ 檳榔(빈랑), 靑皮(청피), 枳實(지실) 各量10, 麥芽(맥아), 當歸(당귀), 柴胡(시호),

川芎(천궁), 生地(생지) 各量15, 白芍(백작)20. 甘草(감초)5. (或去甘草)

④ 香附子(향부자) 加 柴胡(시호), 白芍(백작), 枳殼(지각) - 脇痛(협통)

⑶ 疏肝破氣(소간파기)

① 靑皮(청피) 加 柴胡(시호), 鬱金(울금), 香附(향부)

⑷ 燥濕化痰(조습화담) - 舒肝理氣(서간리기)

① 佛手(불수) 加 絲瓜絡(사과락), 瓜蔞皮(과루피), 陳皮(진피)

⑸ 行氣通絡(행기통락)

① 絲瓜絡(사과락) 加 柴胡(시호), 鬱金(울금), 白芍(백작)

⑹ 化瘀消積(화어소적) - 脇下癥塊(협하징괴)

① 鬱金(울금) 加 鱉甲(별갑), 莪朮(아출)등 化瘀消積葯(화어소적약, 丹參(단삼),澤蘭

(택란),靑皮(청피))


3) 脘脇脹痛(완협창통)

⑴ 疏肝理氣(소간리기) 應用葯(응용약) : 預知子(예지자),

① 玫瑰花(매괴화) 加 香附(향부), 佛手(불수), 砂仁(사인) 等

4) 脇下脹滿(협하창만)

應用葯(응용약) : 金佛草(금불초),

4. 辨證施治(변증시치)

1) 기체증(氣滯證)

臨床 : 항상 간담(肝膽)의 병변(病變)에서 보게 되며 정지가 억울(情志抑鬱)하고, 간이

조달기능을 상실(肝失條達)함으로 협통(脇痛)을 앓게 된 환자에게서 항상 많이

보게 되는(每每多見) 것이다.

症狀 : 간기울체(肝氣鬱滯) - 영쪽 옆구리가 붓고 아픈(兩脇脹痛) 것이 정해진 자리가

아니라 이곳저곳 돌면서 숨어들 듯 하고(走竄不定), 가슴이 시원하게 확 트이지

않고 답답하며(胸悶不舒), 입안은 쓰고(口苦), 트림을 자주 하는(噯氣頻作) 등의

증상은 대체로 정서파동(情緖波動)에 따라 증감(增減) 한다.

治宜 : 소간리기(疏肝理氣)

方用 : 시호소간산(柴胡疏肝散)《景岳全書》

≒ 초초진피(醋炒陳皮), 시호(柴胡), 지각(枳殼), 작약(芍葯), 자감초(炙

甘草), 향부(香附), 천궁(川芎).

2) 혈어증(血瘀證)

臨床 : 협통병 중에 출현하는 혈어증의 임상표현은 마치 찌르는 뜻한 협부동통(脇部疼

痛)이 있으며 아픈 곳은 옮겨 다니지 않으나(痛處不移)움직이면 통증이 심해진

다(動則痛劇) 밤이 되면 더욱 심해지는(入夜尤甚)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넘어져

서 손상 받은(跌仆損傷) 좌상과 함께(挫傷幷傷) 간기가 울결되거나(肝氣鬱結) 혹

은 기체가 오래 되어 혈어로 되어(氣滯日久導致血瘀), 락맥을 요해 함으로 저리

고 아프다(痹阻脈絡).

治宜 : 활혈거어(活血祛瘀), 소간통락(疏肝通絡)

方用 : 복원활혈탕(復元活血湯)《醫學發明》골상제(骨傷劑)

≒ 시호(柴胡), 천화분(天花粉), 당귀(當歸), 도인(桃仁), 홍화(紅花), 천

산갑(穿山甲), 대황(大黃), 감초(甘草).

3) 간경습열증(肝經濕熱證)

臨床 : 협통병중에 나타나는 간경습열증의 임상표현은 대부분 오른쪽 옆구리가 계속

부르고 아프며(右脇持續脹痛), 혹 넓게 쏘는 듯이 극심하게 아프고(陳發劇痛) 통

증이 심하(心下) 혹은 흉배(胸背)에 이르고, 구고(口苦), 인건(咽乾), 구오(嘔噁)

혹은 한열왕래(寒熱往來), 소변단적(小便短赤), 대변비결(大便秘結) 등

治宜 : 소간이담(疏肝利膽) 청해습열(淸解濕熱)

方用 : 대시호탕(大柴胡湯)《상한론(傷寒論)》표리쌍해제(表裏雙解劑) 加减

≒ 시호(柴胡), 황금(黃芩), 작약(芍葯), 반하(半夏), 생강(生姜), 대조(大棗),

대황(大黃), 지실(枳實).

4) 간음허증(肝陰虛證)

臨床 : 협통병 중에 간음허증(肝陰虛證)의 임상표현은 옆구리와 갈빗대에 은은한 통증

이 있고(脇肋隱痛) 그 통증이 쉼 없이 계속 이어지고(悠悠不休), 혀는 붉고 태는

적으며(舌紅少苔), 맥이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한 것이 한번 호흡하는 동안

에 5번 이상 뛰는(脈弦細而數) 특징이 있으며 간(肝)의 음혈(陰血)이 부족하여

경맥(經脈)을 유양(濡養)할 수 없기 때문에《金匱翼 ․ 脇痛統論》설에 서는 “간이

허한 자는(肝虛者) 간음이 허한 것이다(肝陰虛也). 음이 허하면 맥이 허급해 지

는데(陰虛則脈絀急), 간기는 맥을 궤어 협늑과격에 퍼져 있다(肝之脈貫膈布脇

肋), 때문에 음허혈조(陰虛血燥)하면, 경맥을 유양하지 못하게 됨으로 협늑이 아

픈 것이다(則經脈失養而痛)”라고 하였다.

治宜 : 양음유간(養陰柔肝)

方用 : 일관전(一貫煎)《柳洲醫語》

≒ 사삼(沙蔘), 맥동(麥冬), 당귀(當歸), 건지황(乾地黃), 구기자(枸杞子), 천

련자(川楝子).

5) 간혈어체증(肝血瘀滯證)

臨床 : 협통병(脇痛病) 중에 나타나는 간혈어체증(肝血瘀滯證)은 대부분 가슴과 옆구

리에 통증이 나는데 마치 바늘로 찌르는 뜻하고(胸脇刺痛), 아픈 곳이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었으며(固定不移), 밤이 되면 통증이 심해지고(入夜更甚) 옆구리 아

래로 덩어리가 있어서 결린다. 혀는 어두운 자줏빛이며(舌質紫暗), 맥은 길고 가

야금 줄을 누르는 뜻한 것이 순조롭지 못하며 칼로 대나무를 긁는 것 같은(脈弦

澁) 등등의 증상이다. 병이 오랜 동안 서서히 진행되어 간기가 막히고(病緩肝鬱

日久) 기가 막혀서 혈이 병들은(氣滯血瘀) 어혈이 멈추어 쌓인(瘀血停積) 때문이

다.

治宜 : 리기(理氣), 활혈(活血), 화어(化瘀).

方用 :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醫林改錯》가감(加减)

≒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천궁(川芎), 적작(赤芍), 도인(桃仁), 홍

화(紅花), 시호(柴胡), 지각(枳殼), 길경(桔梗), 우슬(牛膝), 감초(甘

草).

6) 간기울결증(肝氣鬱結證)

臨床 : 협통(脇痛), 위완통(胃脘痛), 복통(腹痛) 중에 출현하는 욱신거리는 통증(疼痛)을

위주로 하는 부으면서 아프거나(脹痛), 혹은 심하게 붓고 아프거나(脹甚于痛),

혹 기가 파고들어 숨기라도 하듯이(有氣走竄), 욱신거리는 통증이 이따금씩 발

작하는 것과(疼痛發作往往) 의지(意志)가 잘 펼쳐지지 않는 것과는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다(與情志不暢 密切相關). 매번 정서적인 변화에 따라(每隨着情緖的

變化) 증감(增感)하고, 그와 함께 가슴이 답답하며 부적절하고(幷有胸悶不適),

위와 배가 그득하며 결리고(脘腹痞滿), 식사량이 감소되는(納食减少) 등, 정서

(情緖, 七情)를 위주로 상한 때문에(七情所傷), 간의 기화기능이(肝之氣機) 막혀

통달(通達)하지 못하게 된 때문이다.

治宜 : 소간리기지통(疏肝理氣止痛)

方用 : 시호소간산(柴胡疏肝散)《景岳全書》

≒ 초초진피(醋炒陳皮), 시호(柴胡), 지각(枳殼,麩炒), 작약(芍葯), 자감

초(炙甘草), 향부(香附), 천궁(川芎).

合 : 금령자산(金鈴子散)《素問病機氣宜保命集》리기제(理氣劑)

≒ 금령자(金鈴子), 연호색(延胡索).

7) 간비불조증(肝脾不調證)

臨床 : 간비불조증(肝脾不調證) 중에 보게 되는 협통병(脇痛病)은 그 협통이 창통(脹痛)

을 위주로 하고 동통이 꿰뚫고 돌아다니는데(疼痛走竄), 매번 억울(抑鬱)하고 혹

은 몹시 노하게 되면(惱怒) 동통이 더욱 가중(加重)되어 나타나게 되는 것이 특

징이다. 그 동통(疼痛)은 간의 조달기능이 상실됨으로(肝失條達), 기화기능이 불

이(氣機不利)해져서 소설하는 직분을 잃게 되기(疏泄失職) 때문이다. 오랜 동안

간기가 비장을 억제하게 되면(日久肝氣乘脾), 옆구리가 붓고 아픔이 있는 것 외

에(除有脇脹痛外), 소화불량 등 위의 수납기능의 정체로 음식량이 적을 수 있고

(向可有 食少納呆), 얼굴과 눈에 허성 부종이 생기며(面目虛浮), 팔다리에 힘이

없고 괴로운(肢困无力) 등 증상(症狀)이 있을 수 있다.

治宜 : 소간리기건비(疏肝理氣健脾)

方用 : 시호소간산(柴胡疏肝散)《경악전서(景岳全書)》

작가(酌加) 건비약물(健脾葯物)- 복령(茯苓), 백출(白朮).

≒ 醋炒陳皮(초초진피), 柴胡(시호) 各6, 枳殼(지각,麩炒), 작약(芍葯) 各

4.5, 자감초(炙甘草)1.5, 향부(香附), 천궁(川芎) 各4.5.

8)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

臨床 :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 중에 협통병(脇痛病)의 특징은 옆구리와 갈빗대가 은

은히 아픈 것이(脇肋隱痛), 쉼 없이 계속이어 지며(綿綿不休), 허리와 무릎이 시

큰거리고 저린 통틍이 수반되고(伴有腰膝痠軟), 눈이 아찔하며 빙빙 돌면서 머

리가 어지럽고(頭暈目眩), 오후에 열이 오르고 잠이 들면 땀을 흘리는(潮熱盜汗)

등 간신에 음이 줄어드는(肝腎陰虧) 증상(症狀)을 위주로 한다. 이는 희, 노, 우,

사, 비, 경, 공(喜,怒,憂,思,悲,驚,恐)등 정서의 변화로 내장을 손상 받아(七情內傷)

화(火)로 변하고 음을 손상한 것이다(化火傷陰); 오랜병으로 정혈을 손상 받아

줄고(久病精血虧損), 맥락이 유양(濡養)을 잃었기(脈絡失養) 때문이다.

《景岳全書 ․ 脇痛》云 “內傷虛損脇肋疼痛者(내상허손협늑동통자), 凡房勞過度

(범방노과도), 腎虛羸瘦之人(신허리수지인), 多有脇肋間隱隱作痛(다유협늑간은

은작통), 此肝腎精虛不能化氣(차간신정허불능화기), 氣虛不能生血而然(기허불

능생혈이연).”

내상으로 허손되어 옆구리와 갈빗대에 동통이 있는 사람은 무릇 과도한 성생활

로 腎臟(신장)이 허하고 몸이 파리하게 여윈 사람으로 대부분 옆구리와 늑골 사

이가 은은하게 아픔이 일어나는데 이는 肝腎(간신)에 정기가 부족하여 氣化(기

화)가 불가능하고, 氣虛(기허)함으로 자연 血(혈)을 산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라 하였다.

治宜 : 자보간신(滋補肝腎)

方用 : 일관전(一貫煎)《유주의화(柳洲醫話)》

≒ 사삼(沙蔘), 맥동(麥冬), 당귀(當歸), 건지황(乾地黃), 구기자(枸杞子), 천련

자(川楝子).

9) 담열증(膽熱證)

臨床 : 담열증(膽熱證) 중에 출현하는 협통병(脇痛病)은 언제나 외사가 체내로 깊이 들

어와 열로 화하거나(外邪入里化熱) 혹은 정서변화가 조화롭지 못함으로(七情失

調), 담부에 열이 막혀(膽腑鬱熱) 간의 락맥에 숨어 들무로써(竄于肝絡) 협통(脇

痛)이 나고, 겸하여 입이 쓰고 목구멍이 건조해지며(口苦咽干), 쓴물이 올라온다

(泛惡苦水), 마음이 초조하고 괴로워 잠을 못자고(心煩不寐), 대변이 뭉쳐 잘 나

오질 않으며(大便秘結), 혀는 붉고 태는 누렇다(舌紅苔黃)., 맥은 길고 가야금 줄

을 누르는 듯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弦數).

治宜 : 청간담이조기기(淸肝膽而調氣機)

方用 : 금령자산(金鈴子散)《素問病機氣宜保命集》

≒ 금령자(金鈴子), 연호색(延胡索)

合 좌금환(左金丸)《단계심법(丹溪心法)》화재(化裁)

≒ 황련(黃連), 오수유(吳茱萸).

10) 간담습열증(肝膽濕熱證)

臨床 : 본증에서 보는바와 같은 협통(脇痛)은 대부분 간담에 습열이 쌓이고 맺혀서(多

因濕熱蘊結于肝膽), 간락이 조화를 잃고(肝絡失和), 담이 소설기능을 상실(膽失

疏泄) 함으로 입이 쓰고(故以口苦), 옆구리 갈빗대가 붓고 아프며(脇肋脹痛), 혀

는 붉고 태는 누렇고 미끈거리며(舌紅苔黃膩), 맥이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

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을 위주로 하는 증상(脈弦數

爲主症) 보이고 겸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소화불량 식욕감퇴 등 위의 수납기능

이 감퇴되며(兼見胸悶納呆), 메스꺼워 헛구역질(嘔惡) 등을 하는 것을 본다.

治宜 : 청열이습(淸熱利濕), 소간리기(疏肝理氣).

方用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의종금감(醫宗金鑑)》

작가(酌加) : 천련(川楝), 원호(元胡).

≒ 용담초(龍膽草), 택사(澤瀉),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당귀(當歸),

생지(生地), 시호(柴胡), 황금(黃芩), 치자(梔子), 감초(甘草).

31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탐방139 22. 기타약물(其他葯物)

22. 기타약물(其他葯物) 葯種(약종) : 木槿皮(목근피), 木槿花(목근화), 茯苓皮(복령피), 茯神(복신), 絲瓜絡(사과락), 龍齒(용치), 楡根皮(유근피), 좀작살나무, 天葵子(천규자), 茺尉子(충위자),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탐방138 效能主治 21. 拔毒化腐生肌葯

21. 발독화부생기약(拔毒化腐生肌葯) 葯種(약종) : 輕粉(경분), 爐甘石(노감석), 硼砂(붕사), 砒石(비석), 升葯(승약), 鉛丹(연단)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경분(輕粉) : 外用(외용) : 攻毒殺虫(공독살충) - 疥瘡(개창),...

탐방137 20. 解毒殺虫燥濕止痒葯

20. 해독살충조습지양약(解毒殺虫燥濕止痒葯) - 외용약(外用葯) + 內服葯(내복약) 葯種(약종) : 大蒜(대산), 大楓子(대풍자). 明礬(명반), 白礬(백반), 蜂房(봉방), 蛇床子(사상 자), 雄黃(웅황), 硫黃(유황), 皂礬(조반),...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