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뇨(血尿) - 혈당(血糖) - 혈소판(血小板) - 혈소판(血素板) - 혈액질병(血液疾病) - 혈어(血瘀) - 혈열(血熱) - 혈전폐색(血栓閉塞) - 혈지증(血脂症)
혈뇨(血尿)
1. 參照文(참조문).
1) 임증(淋證) - 血淋(혈림)
2) 출혈(出血)
2. 應用葯(응용약) : 卷柏(권백), 大薊(대계), 仙鶴草(선학초), 水蓼(수료,여뀌), 炒炭蓮房(초탄
연방), 苧麻根(저마근), 車前子(차전자), 蒲黃(포황),
3.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六一散(육일산)(滑石180 甘草30) + 荷葉(하엽) = 尿血諸症(뇨혈제증)
2) 三七(삼칠)10 + 白及(백급)10 = 尿血(뇨혈)
3) 女貞子(여정자)10 + 旱蓮草(한련초)10 = 尿血(뇨혈)-陰虛火旺(음허화왕), 迫血妄行(박
혈망행) 以致(이치)
4) 赤茯苓(적복령)15 + 赤芍(적작)10 = 尿血(뇨혈)
5) 血余炭(혈여탄)10 + 韭菜子(구채자)10 = 小便不利(소변불리),小便帶血(소변대혈)
6) 血余炭(혈여탄)10 + 車前子(차전자)10 =(布包) 小便帶血(소변대혈) - 尿少(뇨소), 尿痛
(뇨통), 尿赤(뇨적)
7) 升麻(승마)10 + 荊芥穗(형개수)10 = 尿血(뇨혈) - 血不循經(혈불순경), 溢于脈外(일우
맥외)
8) 小薊(소계) + 白茅根(백모근) = 治血熱型(치혈열형) 尿血(뇨혈)
9) 女貞子(여정자)10 + 旱蓮草(한련초)10 = 陰虛火旺(음허화왕), 迫血妄行(박혈망행) - 鼻
衄(비뉵), 齒衄(치뉵), 咯血(각혈), 吐血(토혈), 尿血
(뇨혈), 便血(변혈), 崩漏下血(붕루하혈) 等症]
4.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血熱妄行(혈열망행) - 凉血止血(양혈지혈)
應用葯(응용약) : 棕櫚炭(종려탄),
① 凉血止血(량혈지혈) : 白茅根(백모근),
② 收斂止血(수렴지혈) : 側柏葉(측백엽),
⑴ 血分有熱(혈분유열)
① 大薊(대계) 單種(단종) 或加 小薊(소계), 側柏葉(측백엽). § 用炭(용탄)
⑵ 止血利尿(지혈이뇨)
應用葯(응용약) : 川牛膝(천우슬),
① 白茅根(백모근) 加 側柏葉(측백엽), 小薊(소계), 蒲黃(포황)
② 小薊(소계) 加 藕節(우절), 蒲黃(포황), 木通(목통), 滑石(활석), 生地(생지), 當歸
(당귀), 梔子(치자), 竹葉(죽엽) ≒ 小薊飮子(소계음자)
③ 蜀葵花(촉규화, 접시꽃) 줄기를 말려 가루를 내어서 술과 함께 1숟가락씩 하루
3번 먹는다.
④ 血余炭(혈여탄) 加 滑石(활석), 白魚(백어) ≒ 滑石白魚散(활석백어산)
⑶ 收斂止血(수렴지혈)
應用葯(응용약) : 棕板(종판),
⑷ 凉血止血(량혈지혈)
應用葯(응용약) : 旱蓮草(한련초),
① 地骨皮(지골피) 單用(단용) 酒煎服(주전복)
② 地骨皮(지골피)
或加 白茅根(백모근), 側柏葉(측백엽)등 凉血止血葯(양혈지혈약) 配伍(배오)
③ 梔子(치자) 加 白茅根(백모근), 側柏葉(측백엽), 大黃(대황) - 血熱妄行(혈열망행)
⑸ 止血活血(지혈활혈)
① 地錦草(지금초) 加 白茅根(백모근), 小薊(소계)
2) 肝鬱化熱(간울화열), 血熱妄行(혈열망행) - 凉血止血(량혈지혈)
⑴ 順氣降火(순기강화)
① 鬱金(울금)
加 生地(생지), 丹皮(단피), 山梔(산치), 牛膝(우슬) ≒ 生地黃湯(생지황탕)
3) 熱結下焦(열결하초) :
① 鬱金(울금) 加 生地(생지), 小薊(소계)
4) 腎陽不足(신양부족)
⑴ 補肝腎(보간신) 益精血(익정혈)
應用葯(응용약) : 廘角膠(녹각교)
5. 辨證施治(변증시치)
1) 혈열증(血熱證)
臨床 : 혈열증에 속하는 토혈(吐血), 뉵혈(衄血), 각혈(咯血), 변혈(便血), 뇨혈(尿血)을
막론하고 출혈성질병으로 혈색이 선홍색이며, 혀가 붉고(舌紅), 맥이 한번 호
흡 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脈數) 공통된 증상은 대부분 외감풍열에 의한 조
사(外感風熱燥邪)로 폐경의 락맥이 열사로 상한(熱傷肺絡) 경우로서 ; 혹 매운
음식을 선호하여(嗜食辛辣), 위장이 온열하거나(溫熱于胃腸), 혹은 사무(事務)
가 마음먹은 대로 뜻과 같이 성취되지 못하여(情志不遂), 희, 노, 사, 우, 공(喜,
怒,思,憂,恐)의 정서가 화(火)로 화하거나(五志化火), 혹은 힘들고 괴로운 일을
과도하게 함으로(煩勞過度), 심화가 항성하여(心火亢盛), 열이 소장으로 전이
되거나(移熱于小腸), 혹은 오랜 병으로 간신의 음이 줄어(久病肝腎陰虧), 명문
의 상화가 망령되이 날뛰게 되는(相火妄動) 상황을 가리켜서 한편 “혈득열칙비
(血得熱則沸)”라 하였다. 즉 혈이 열을 얻으면 끓는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혈맥
이 열에 상하고(熱傷血脈), 양경의 락맥을 상하게 되면 혈이 밖으로 넘쳐 나오
고(陽絡傷則血外溢), 음경의 락맥을 상하게 되면 혈이 안으로 넘치게 되는(陰
絡傷則血內溢) 것이라 했고 《장경악(張景岳)》說 “동자다유화(動者多由火), 화
성칙핍혈망행(火盛則逼血妄行)”이라 하였다. 이 역시 활동하는 자는 열(火)이
많음으로 말미암아 열화가 가득하면 혈을 핍박하여 망동케 한다는 것이다. 따
라서 치료는 양혈지혈(凉血止血)을 위주로 함을 치료원칙의 기본으로 하는 것
이다. 무릇 병인으로 인하여 병위(病位)가 부동(不同)함으로 구체적인 치료 역
시 서로 다르다. 疾病 : 뇨혈(尿血)
治宜 : 청심사화(淸心瀉火).
方用 : 소계음자(小薊飮子)《제생방(濟生方)》리혈제(理血劑) 加减
≒ 소계(小薊), 포황(蒲黃), 우절(藕節), 활석(滑石), 목통(木通), 생지(生
地), 당귀(當歸), 치자(梔子), 감초(甘草), 죽엽(竹葉).
或 : 자음청화(滋陰淸火), 양혈지혈(凉血止血).
方 : 지백지황환(知柏地黃丸)《의방고(醫方考)》加减
≒ 지모(知母), 황백(黃柏),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산약(山葯),
모단피(牡丹皮), 택사(澤瀉), 복령(茯苓).
2) 신음허증(腎陰虛證)
臨床 : 뇨혈병(尿血病) 중에 출현하는 신음허증(腎陰虛證)은 소변이 짧고 색이 붉으며
띠를 두른 것 같이 피가 나오며(小便短赤帶血), 허리와 무릎이 저리고 연약하
며(腰膝痠軟), 힘이 빠지고 정신적으로 지치고(神疲乏力), 설질은 붉고(舌質紅),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脈細
數) 등 이는 색욕을 쫓다가(縱情色欲), 상화가 망동(相火妄動)하여, 신음이 줄어
들어서(腎陰虧耗), 음허로 내열이 생기고(陰虛則生內熱), 열이 락혈을 살라(熱
灼血絡) 밖으로 넘쳐난 것이다(外溢).
治宜 : 자음청화(滋陰淸火), 겸이지혈(兼以止血)
方用 : 大補陰丸(대보음환)《단계심법(丹溪心法)》보익제(補益劑)
≒ 황백(黃柏), 지모(知母, 酒浸炒), 숙지황(熟地黃, 酒蒸), 구판(龜板,酥
炙), 저척수(猪脊髓). - 水煎服(수전복)
合 소계음자(小薊飮子)《제생방(濟生方)》리혈제(理血劑)
≒ 소계(小薊), 포황(蒲黃), 우절(藕節), 활석(滑石), 목통(木通), 생지
(生地), 당귀(當歸), 치자(梔子), 감초(甘草), 죽엽(竹葉).
註 ▷ 상화망동(相火妄動) : 일반적으로 간, 신의 상화가 신음의 자양을 상실한데서
망동이 생기는 것을 가리킨다. 임상표현에서 간화상염(肝
火上炎)에 속하는 것은 현운과 두통이 나고, 물건이 똑똑하게 보이지 않으며,
귀에서 소리가 나며, 귀가 먹고, 조급해하며, 성을 잘 내고, 꿈이 많고, 얼굴이
뜨거운 감이 나는 등 증상이 나타나며, 신(腎)의 허화에 의하여 속에 열감이 나
는데 속하는 것은 오심번열이 나고, 머리와 눈이 어지러우며, 허리와 잔등, 발
목이 시큰거리고 아프며, 성기능이 항진되고, 유정(遺精), 조설(早泄) 등 증상이
나타난다.
3) 심비양허증(心脾兩虛證)
臨床 : 심비양허증(心脾兩虛證)으로 인한 출혈병(出血病) 중에 뉵혈(衄血), 변혈(便血),
뇨혈(尿血), 피하출혈(皮下出血), 부녀붕루(婦女崩漏) 등은 출혈량이 많고(出血
量多), 혈색이 담홍(血色淡紅)색이며, 심장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며(心悸氣短),
얼굴색이 밝지 못하고(面色无華), 입술과 손발톱의 색이 흰 것(脣甲色白)을 위
주로 하는 특징이 있다. 대부분 심비가 허약(心脾虛弱)하고 심이 혈을 주관하
지 못하므로(心不主血), 비가 혈을 통섭하지 못하는(脾不統血) 때문이다(所致).
治宜 : 보심비(補心脾), 익기섭혈(益氣攝血).
方用 : 귀비탕(歸脾湯)《제생방(濟生方)》가감(加减)
≒ 인삼(人蔘), 백출(白朮), 황기(黃芪), 복령(茯苓), 용안육(龍眼肉), 산조인
(酸棗仁), 목향(木香), 당귀(當歸), 원지(遠志),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
조(大棗).
혈당(血糖)
1) 降下作用(강하 ↓ 작용)
⑴ 겨우살이 30-60g
2) 升高作用(승고 ↑ 작용)
應用葯(응용약) - 淸熱除煩(청열제번) : 淡竹葉(담죽엽),
혈변(血便) ⇒ 변혈(便血)
혈소판(血小板)
1) 血小板凝集(혈소판응집)
⑴ 抑制作用(억제작용)
應用葯(응용약) : 棕板(종판),
2) 血小板減少症(혈소판감소증)
應用葯(응용약) : 羊蹄(양제, 소루쟁이- 羊蹄根)
⑴ 放射線(방사선) 治療(치료)로 血小板(혈소판) 破壞(파괴)를 다시 滋生(자생)시키는 데
有效(유효) ☆ : 山茱萸(산수유)
혈소판(血素板)
1) 血素板增生(혈소판증생) : 放射線治療(방사선치료)로 血素板(혈소판) 破壞(파괴)를 滋
生(자생)
① 血素板增生(혈소판증생) : ☆ 山茱萸(산수유)
혈압강하(血壓降下) ⇒ 저혈압(低血壓)
혈액질병(血液疾病)
應用葯(응용약) : 소루장이(羊蹄根(양제근),
혈어(血瘀)
1. 參照文(참조문).
1) 어혈(瘀血)
2) 질타손상(跌打損傷)
3) 순환장애(循環障碍)
2. 常用葯(상용약)
1) 氣滯血瘀(기체혈어), 心腹及肢体疼痛(심복급지체동통) 何葯最宜(하약최의) : ☆ 元胡
(원호) - 醋制(초제) - 加强止痛(가강지통)
2) 血瘀諸痛(혈어제통) : ☆ 五靈脂(오령지)
3.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橘核(귤핵)10 + 荔枝核(려지핵)10 = 氣滯血瘀(기체혈어) - 小腹刺痛(소복자통)
4.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氣滯血瘀(기체혈어)
⑴ 血虛兼有瘀滯(혈허겸유어체)
① 當歸(당귀) 常配 香附(향부), 桃仁(도인), 紅花(홍화)
⑵ 哮喘有聲(효천유성) 臥睡不得(와수불득)
① 代赭石(대자석) 單用硏末(단용연말), 米醋調服(미초조복)
⑶ 破血行氣(파혈행기)
應用葯(응용약) : 姜黃(강황),
2) 瘀血腫痛(어혈종통)
應用葯(응용약) - 補腎助陽(보신조양) : 鹿角(녹각),
3) 肢体瘀血疼痛(지체어혈동통)
應用葯(응용약) - 活血祛瘀(활혈거어), 消腫止痛(소종지통) : 丹參(단삼)
혈열(血熱)
1. 應用葯(응용약) : 淸熱凉血葯(청열량혈약) - 淸血分熱(청혈분열) - 血分實熱(혈분실열) 生
地黃(생지황)(寒), 牡丹皮(모단피)(微寒), 犀角(서각)(寒), 紫草(자초)(寒),
玄參(현삼)(寒), 赤芍(적작)(微寒), 水牛角(수우각)(寒).
2. 配伍葯(배오약) :
1) 白茅根(백모근)30 + 白茅花(백모화)10 = 血熱妄行(혈열망행) - 吐血(토혈), 衄血(뉵혈),
咯血(각혈), 牙齦出血(아간출혈)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積滯(적체)
⑴ 瀉火(사화)
① 大黃(대황) 加 黃連(황련), 黃芩(황금) : 瀉火(사화) ≒ 瀉心湯(사심탕)
⑵ 咽痛(인통) 牙根腫痛(아근종통)
① 大黃(대황) 加 枯礬(고반) 硏末(연말) 口腔敷(구강부) 內外用(내외용) 口瘡(구창)
혈전폐색(血栓閉塞)
1) 腦血栓(뇌혈전),
⑴ 血栓閉塞性脈管炎(혈전폐색성맥관염)
① 紅花(홍화).- 注射液(주사액) 靜滴(정적)
② 紅花(홍화) 配 當歸(당귀), 赤芍(적작), 乳香(유향), 沒葯(몰약)
혈지증(血脂症)
1. 常用葯(상용약)
1) 강혈지(降血脂) : 高血脂症(고혈지증)
凉 : 羅布麻(라포마), 微凉 : 虎杖(호장), 寒 : 桑葉(상엽), 紫萁貫衆(자기관중),
地骨皮(지골피), 微寒 : 槐花(괴화), 茵蔯蒿(인진호), 平 : 酸棗仁(산조인), 水
蛭(수질), 玉竹(옥죽), 蒲黃(포황), 微溫 : 山楂(산사), 巴戟天(파극천), 天麻(천
마), 溫 : 姜黃(강황), 大蒜(대산), 靈芝(령지), 徐長卿(서장경),
⑴ 降血淸膽固醇(강혈청담고순) 平 : 蒲黃(포황), 溫 : 姜黃(강황),
⑵ β- 脂蛋白(지단백) 溫 : 姜黃(강황),
⑶ 혈지단백(血脂蛋白) 調理 平 : 산조인(酸棗仁),
2) 脂肪沈着(지방침착)
⑴ 肝臟(간장), - 脂肪肝(지방간)
① 脂肪沈着(지방침착) 减輕(감경) 平 : 金櫻子(금앵자),
② 脂肪含量(지방함량) 降低(강저) 寒 : 澤瀉(택사),
③ 脂質合成(지질합성) 促進(촉진) 寒 : 西洋參(서양삼),
④ 脂肪變性(지방변성) 平 : 蘇敗醬(소패장),
⑵ 心臟(심장) - 脂肪心(지방심)
① 脂肪沈着(지방침착) 减輕(감경) 平 : 金櫻子(금앵자),
3) 脂肪分解(지방분해) 微溫 : 山楂(산사),
4) 脂肪消化(지방소화) 凉 : 牛黃(우황),
5) 脂質代謝(지질대사) 微寒 : 柴胡(시호), 寒 : 西洋參(서양삼),
2.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澤瀉(택사) + 大戟(대극) = 治療后(치료후) 多數(다수)의 血膽固醇(혈담고순)과 甘油
三酯(감유삼지)가 명현히 下降(하강)한다.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高血脂症(고혈지증) 應用葯(응용약) : 靈芝(영지), 玉竹(옥죽),
⑴ 澤瀉片(택사편) : 梅片(매편) 澤瀉提取物(택사제취물)0.15g, 澤瀉細粉(택사세분)
0.15g에 相當(상당) 하는 生葯(생약) 2.5~2.8g. 매차 3~4편, 日服 3~4 次, 療程
(료정)1~3个月
① 治療后(치료후) 多數(다수)의 血膽固醇(혈담고순)과 甘油三酯(감유삼지)가 명
현히 下降(하강)하고, 大戟(대극)과 함께 쓰는 것이 치료 효과를 안전하고 타당
하게 한다.
② 동시에 적지 않은 病人(병인)들의 自覺症狀(자각증상)인 頭昏(두혼), 胸悶(흉
민)이 减輕(감경) 및 改善(개선) 되었다.
⑵ 高脂血症(고지혈증) : 降血淸(강혈청), 總膽固醇(총담고순)과 甘油三酯(감유삼지)
작용을 하는
① 蒲黃(포황).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