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탐방107 해수(咳嗽) - II

Aktualisiert: 1. Okt. 2019



해수(咳嗽) - II

7. 方劑構成(방제구성)

1) 청열화담제 (淸熱化痰劑)

⑴ 熱痰證(열담증)에 適用(적용)된다.

⑵ 咳嗽痰黃(해수담황), 粘稠難咯(점조난각), 舌紅苔黃膩(설홍태황니), 脈滑數(맥활삭)

등으로 나타난다.

⑶ 常用葯方(상용약방)은 瓜蔞(과루), 南星(남성) 등 淸熱化痰葯(청열화담약)을 爲主

(위주)로 方劑(방제)가 構成(구성)된다.

代表方(대표방)은 淸氣化痰丸(청기화담환), 小陷胸湯(소함흉탕) 등이다.

淸氣化痰丸(청기화담환)

≒ 瓜蔞仁(과루인), 陳皮(진피), 黃芩(황금), 杏仁(행인), 枳實(지실), 茯苓(복

령)各量30, 南星(남성)45, 半夏(반하)45.

- 淸熱化痰(청열화담), 理氣止咳(리기지해)

小陷胸湯(소함흉탕)

≒ 黃連(황련)6, 半夏(반하)12, 瓜蔞實(과루실)30.

- 淸熱化痰(청열화담), 寬胸散結(관흉산결)

2) 輕宣潤燥劑(경선윤조제)

⑴ 外感凉燥(외감량조)나 溫燥證(온조증)에 適用(적용)된다.

⑵ 凉燥(량조) : 凉燥犯肺(량조범폐), 肺氣不宣(폐기불선), 惡寒頭痛(오한두통), 咳嗽鼻

塞(해수비색), 咽乾口燥(인건구조) 등

溫燥(온조) : 溫燥傷肺(온조상폐), 肺失肅淸(폐실숙청), 身熱頭痛(신열두통), 乾咳少

痰(건해소담) 혹 氣逆喘急(기역천급), 心煩口渴(심번구갈) 등 증이 보인

다.

⑶ 常用葯方

凉燥 : 蘇葉(소엽), 桔梗(길경), 前胡(전호), 杏仁(행인) 等 經宣溫潤으로 治療한다.

代表方은 杏蘇散(행소산)이 있다.

溫燥 : 桑葉(상엽), 杏仁(행인), 沙參(사삼), 麥門冬(맥문동) 等으로 조방하여 淸宣潤

肺(청선윤폐)한다.

代表方은 桑杏湯(상행탕), 淸燥救肺湯(청조구폐탕) 等이 있다.

杏蘇散(행소산)

≒ 蘇葉(소엽), 半夏(반하), 茯苓(복령), 前胡(전호), 苦桔梗(고길경), 枳殼(지각),

甘草(감초), 生姜(생강), 橘皮(귤피), 杏仁(행인) 各量6, 大棗(대조)2枚.

- 經宣凉燥(경선량조), 宣肺化痰(선폐화담).

桑杏湯(상행탕)

≒ 桑葉(상엽)3, 杏仁(행인)4.5, 沙參(사삼)6, 象貝(상패)3, 香豉(향시)3, 梔皮(치

피)3, 梨皮(이피)3. - 淸宣溫燥(청선온조)

淸燥救肺湯(청조구폐탕)

≒ 冬桑葉(동상엽)9, 石膏(석고)7.5, 人參(인삼)2, 甘草(감초)3, 胡麻仁(호

마인)3, 眞阿膠(진아교)2.4, 麥門冬(맥문동)3.6,

3) 斂肺止咳劑(렴폐지해제)

1) 久咳肺虛(구해폐허), 氣陰耗傷(기음모상)으로 인한 喘促自汗(천촉자한), 脈虛數證

(맥허삭증)에 適用(적용)된다.

2) 證狀(증상)은 오랜 기침(久咳), 기침이 심해서(咳甚) 肺虛氣弱(폐허기약)하고 氣喘

(기천)하면서 自汗(자한)하며 脈(맥)이 虛數(허삭)한 표현을 한다.

3) 常用葯(상용약)은 五味子(오미자), 罌粟殼(앵속각), 烏梅(오매) 等과 益氣養陰葯(익

기양음약) 人參(인삼), 阿膠(아교) 等으로 方劑(방제)를 構成(구성)한다.

代表方(대표방)은 九仙散(구선산)이 있다.

九仙散(구선산)

≒ 人參(인삼), 款冬花(관동화), 桔梗(길경), 桑白皮(상백피), 五味子(오미자), 阿

膠(아교), 貝母(패모), 烏梅(오매).

8. 辨證施治(변증시치) bex, cough, tussis

1) 기역증(氣逆證)을 통해서

臨床 : 폐기(肺氣) 상역(上逆)에 의한 기침(咳嗽)은 외감(外感) 혹은 내상(內傷)을 불문하

고 병사(病邪)가 폐(肺)를 범한 탓으로 폐의 선산(宣散)과 숙강(肅降) 공능에 영

향을 줌으로 기가 막혀(氣壅) 흡기(吸氣)가 적고, 기가 하강하지 않고 상역함을

(氣逆而不降) 조성한다. 임상에서 외감해수(外感咳嗽)의 폐기상역(肺氣上逆)은

그 증세(證勢)가 급하고 병정(病程)이 짧으며, 병발 초기에는 사기(邪氣)가 폐에

있고 대부분 실증(實證)을 나타낸다. 만약 풍한(風寒)에 감수된 해수는 두통(頭

痛), 콧물을 흘리고 코가 막히며(鼻塞流涕), 오한이 있고 땀은 흘리지 않고(无汗

惡寒), 관절이 아프며(關節疼痛),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고 힘주어 누르면 약해지

지만 속이 비지 않았으며 팽팽히 긴장한 꼬인 줄을 누르는 뜻 하다(脈浮緊).

治宜 : 소해풍한(疏解風寒) 선숙폐기(宣肅肺氣)

方用 : 행소산(杏蘇散)《온병조변(溫病條辨)》치조제(治燥劑) 가감(加减)

≒ 행인(杏仁), 자소엽(紫蘇葉), 전호(前胡), 길경(桔梗), 진피(陳皮), 반하(半

夏), 복령(茯苓), 지각(枳殼),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만약 : 풍열해수(風熱咳嗽)로 두통(頭痛)이 있고 발열(發熱)하며, 땀을 흘리며 바람을 실

어하고(汗出惡風), 목구멍이 아프며(咽痛),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며 힘주어 누르

면 약해지지만 속이 비지 않았으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

(脈浮數) 이다.

治宜 : 소해풍열(疏解風熱) 선숙폐기(宣肅肺氣)

方用 : 상국음(桑菊飮)《온병조변(溫病條辨)》해표제(解表劑) 가감(加减)

≒ 상엽(桑葉), 국화(菊花), 행인(杏仁), 길경(桔梗), 박하(薄荷), 감초

(甘草), 로근(蘆根),연교(連翹).

만약 : 내상해수(內傷咳嗽)로 폐기상역(肺氣上逆)하고, 그 증세(證勢)가 완만하고 병정

(病程)이 길며 병발 초기에는 기타 장부에서 말미암은 것이 폐(肺)에 미치게 된

것으로 대부분 허증(虛證) 이거나 혹은 허실래잡증(虛實來雜證)이다.

⑴ 비허루폐(脾虛累肺)

臨床 : 대부분 비(脾)의 운화기능이 건전하지 못하여(脾運失健), 수습운화(水濕運

化)가 불리(不利)하게 되어 담탁(痰濁)이 내생(內生)하게 되는 것을 가리켜

서 담탁불화(痰濁不化)라고 한다. 비(脾)는 담(痰)을 생(生)하는 원천(源泉)

이라 하고, 폐(肺)는 담(痰) 담아 두는 그릇(儲痰之器)이라 허였다.

탁담(濁痰) 역상해서 가로막으면 폐기(肺氣)를 막고 요해(要害)함으로 기

침을 하면서 많은 가래를 뱉는 것을 보게 되고, 기력이 없고 정신적으로

게으르며, 위완부와 배가 그득하고 답답하며, 음식 향과 식량이 적으며(納

谷少馨), 설태는 미끈거리고(苔膩), 맥은 순조롭고 원활하다(脈滑).

治宜 : 건비화담(健脾化痰), 선숙폐기(宣肅肺氣)

方用 : 이진탕(二陳湯)《화제국방(和劑局方)》거담제(祛痰劑)

≒ 반하(半夏), 운령(云苓), 노귤홍(老橘紅), 감초(甘草).

合 육군자탕(六君子湯)《부인량방(婦人良方)》보익제(補益劑)

≒ 인삼(人參), 복령(茯苓), 백출(白朮), 감초(甘草), 진피(陳皮), 반

하(半夏),강조(姜棗).

或用 : 평위산(平胃散)《화제국방(和劑局方)》거습제(祛濕劑) 加减

≒ 창출(蒼朮), 후박(厚朴), 진피(陳皮), 감초(甘草).

⑵ 간화범폐(肝火犯肺)

臨床 : 대부분 간기가 막혀서 화열(火熱)이 생기고(肝鬱化火), 화기가 위로 타올

라(火生炎上), 폐기를 따라(肺氣隨之), 열기가 상역하여(氣火上逆) 기침하

며 사례가 걸리는 증상을 보게 되며(證見咳嗆), 정서(情緖)에 따라 증상의

변화가 나타난다. 얼굴이 붉고 입은 쓰며(面紅口苦), 협통(脇痛), 심한 경

우에는 각혈을 하며(甚則咯血), 설질홍(舌質紅), 태황(苔黃)하고 맥은 길며

현악기 줄을 누르는 뜻하고 한번 호흡하는 사이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

(脈弦數).

治宜 : 평간사화(平肝瀉火), 청숙폐기(淸肅肺氣)

方用 : 청금화담탕(淸金化痰湯)《통지방(統旨方)》거담제(祛痰劑)

≒ 황금(黃芩), 산치자(山梔子), 길경(桔梗), 맥문동(麥門冬), 상백

피(桑白皮), 패모(貝母), 지모(知母), 과루인(瓜蔞仁), 귤홍(橘

紅), 복령(茯苓), 감초(甘草).

或用 : 사백산(瀉白散)《小兒藥證直訣》청열제(淸熱劑)

≒ 상백피(桑白皮), 지골피(地骨皮), 갱미(粳米), 감초(甘草).

合 대합산(黛蛤散)《위생홍보(衛生鴻寶)》청열제(淸熱劑)

≒ 청대(靑黛), 해합각(海蛤殼).

⑶ 신불납기(腎不納氣)

臨床 : 대부분 오랜 기침이 폐신(肺腎)에까지 미치게 된 경우가 많다. 폐는 호기

(呼氣)를 주관하고(肺主出氣), 신은 흡기를 주관하는데(腎主納氣), 신이 허

해서 흡기가 신에 이르지 못하게 되면(腎虛不納), 호기는 많고 흡기가 적

은(出多入少) 불순하게 기가 상역하게 되는(氣逆不順) 호흡이 촉박한(氣

促) 기침을(咳嗽) 하는 증상을 보이거나 혹은 움직이면 기침이 심해지거나

혹은 기침을 하게 되면 허리가 저리는(咳而腰痠), 오줌을 지린다(遺溺).

治宜 : 폐신동치(肺腎同治) 자수고금(滋水固金)

方用 :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醫方集解》치조제(治燥劑) 가감(加减)

≒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맥문동(麥門冬), 백합(百合),

당귀(當歸), 초작약(炒芍葯), 패모(貝母), 감초(甘草), 현삼(玄

參), 길경(桔梗).

2) 한담증(寒痰證)

한담증(寒痰證)이 출현하는 효(哮), 해수(咳嗽), 구토(嘔吐) 등의 질병중에는 모두

담(痰)과 한(寒)이 결합하고 있는 공통된 표현이 있으며 또 각자의 특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에 대한 치법을 구별하는 것이다. 한담증(寒痰證)에 의한 효(哮)와 해수

(咳嗽)의 병인(病因)과 병인위(病因位)는 동일하다.

臨床 : 해수가 출현하는 한담증은 한담(寒痰)이 폐(肺)를 요해(要害)하고(寒痰阻肺),

폐의 선발과 숙강기능을 상실케 하여(肺失肅降) 해수(咳嗽)가 오래가고 그

증세가 때로는 중하고 때로는 경하며(時輕時重), 잔등 뒤에 냉감(后背冷感)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治宜 : 온폐산한(溫肺散寒), 화담지해(化痰止咳)

方用 : 령감오미강신탕(苓甘五味姜辛湯)《금궤요략(金匱要略)》祛痰劑

合 이진탕(二陳湯)《太平惠民和劑局方》거담제(祛痰劑)

≒ 복령(茯苓), 감초(甘草), 오미자(五味子), 건강(乾姜), 세신(細辛).,

合 반하(半夏), 운령(云苓), 노귤홍(老橘紅), 감초(甘草).

3) 열담증(熱痰證)

열담증(熱痰證)에 나타나는 해수(咳嗽), 효(哮), 불매(不寐), 광(狂), 결흉(結胸) 등 질

병에는 모두 담(痰)과 열(熱)의 결합에 의한 동일한 계통의 공통된 증상표현을 하고

있으며 또 각기 다른 질병으로서 각자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열담증

(熱痰證)은 담열(痰熱)이 폐를 요해(痰熱阻肺)하여 해수(咳嗽), 효(哮)와 천(喘) 3병

(病)에 이르게 하고, 서로 다른 무리로서 동일한 병인(病因)과 병인위(病因位)를 가

지고 있고, 허다(許多)한 공통된 표현을 하고 있는데 마치 담(가래)의 색은 누렇고

빽빽하고 조밀하며(痰稠色黃), 가슴이 꽉 막혀서 답답하고(胸中窒悶), 구갈이 나며

괴롭게 열이 나는(煩熱口渴) 등이다. 각기 다른 3가지 질병으로서의 특징은 ;

해수(咳嗽)는 기가 상역하여 나오는 기침(咳嗽氣逆)의 특징이 있고, 효(哮)는 일종의

발작성 담명기천(痰鳴氣喘)의 질환으로서 왕왕 발작성 병을 생각할 수 있다. 호흡

이 급촉하고(呼吸急促), 목구멍에서 으르렁거리는 소리가 나는(喉間哮鳴) 특징이

있다. 천(喘)은 열담(熱痰)으로 말미암아 것으로 대부분 외감에 의하여 일어나고(外

感引起) 항상 오한발열(惡寒發熱) 등 외감증후가 있으며, 호흡이 급촉하고, 심지어

(甚至於) 어깨를 들먹이며 입을 벌리고(張口拾肩), 콧방울을 벌름거리며 콧바람을

일구는(鼻翼搧動) 특징이 있다.

臨床 : 열담해수 해수기역(咳嗽氣逆)의 특징

治宜 : 청열화담(淸熱化痰), 선폐지해(宣肺止咳)

方用 : 천금위경탕(千金葦莖湯)《비급천금요방(備急千金要方)》加味

≒ 위경(葦莖), 도인(桃仁), 이미(苡米), 과판(瓜瓣).

4) 습담증(濕痰證)

습담증(濕痰證)으로 출현할 수 있는 여러 질병중에 해수(咳嗽)와 천(喘)은 대다수가

습담이 폐를 요해함을(濕痰阻肺) 위주로 하는 습담증으로서 폐의 숙강기능을 상

실한(肺失肅降) 때문에 발생하는 질병이다.

臨床 : 가래가 많은 기침을 하고(咳嗽痰多), 가래는 기침과 함께 뱉기 쉬우며(痰易咯

出), 개래의 질은 묽고 흰색을(色白質稀)위주로 하는 특징이 있다.

治宜 : 건비조습(健脾燥濕), 화담지해(化痰止咳).

方用 : 이진탕(二陳湯)《화제국방(和劑局方)》거담제(祛痰劑) 加味

≒ 반하(半夏), 운령(云苓), 노귤홍(老橘紅), 감초(甘草).

5) 폐음허증(肺陰虛證)

臨床 : 해수병(咳嗽病) 중에 출현하는 폐음허증(肺陰虛證)은 대부분 가래가 적고 마

른기침(乾咳少痰)을 표현하며 혹은 가래에 피가 실같이 섞여 나오고(痰中帶

血), 목구멍이 마르며(咽乾), 몸에 열이 나는데 마치 조숫물이 밀려들듯 치밀

어 오르고 광대뼈 부위가 붉은(潮熱顴紅) 등 허해(虛咳)의 특징을 나타낸다.

이는 폐음이 줄어들고 부족해서(肺陰虧虛), 폐가 전신의 각 조직기관을 적셔

주지 못하게 되고(肺失濡潤), 허열이 안으로 생기고(虛熱內生), 폐기가 숙강

을 잃고 상역(肺氣上逆) 하기 때문인 것이다.

治宜 : 자양폐음(滋養肺陰), 숙폐지해(肅肺止咳)

方用 : 사삼맥동탕(沙蔘麥冬湯)《온병조변(溫病條辨)》치조제(治燥劑) 加减

≒ 사삼(沙蔘), 맥동(麥冬), 옥죽(玉竹), 천화분(天花粉), 백편두(白萹

豆), 상엽(桑葉), 감초(甘草).

6) 폐기허증(肺氣虛證)

臨床 : 해수병(咳嗽病) 중에 출현하는 폐기허증(肺氣虛證)은 항상 숨이 찬기침을 하

고(咳嗽氣短), 가래가 묽고 맑으며(痰液淸稀), 말소리가 낮고 작으며(語聲低

微), 지치고 무력하고(疲乏无力), 힘든 일을 하지 않았는데도 땀을 절로 흘리

며 얼굴색이 흰(面白自汗) 것이 특징이다. 이는 폐기가 허약(肺氣虛弱)하여

기(氣)가 주관을 잃게 되어 청숙(淸肅)의 경중을 가리지 못함으로 기침(咳嗽)

을 하게 된 것이다.

治宜 : 보익폐기(補益肺氣), 건비화담(健脾化痰).

方用 : 육군자탕(六君子湯)《婦人良方》보익제(補益劑) 가감(加减)

≒ 인삼(人蔘), 복령(茯苓), 백출(白朮), 감초(炙甘草), 진피(陣皮), 반하

(半夏)., 姜棗(강조).

7) 폐기음양허증(肺氣陰兩虛證)

臨床 : 해수병(咳嗽病) 중에 출현하는 폐기음양허증(肺氣陰兩虛證)의 임상표현은

대부분 숨이 찬 기침을 하며(咳嗽氣短), 가력이 없고 정신이 피로하며(神疲

乏力), 입과 목구멍이 건조하고(口燥咽乾), 손과 발바닥에 열이 나는(手足心

熱)등 “허해(虛咳)”의 특징을 나타낸다. 이는 오랜 동안 기침이 멈추지 않음

으로(久咳不止) 말미암아, 폐장(肺臟)의 기음이 부족해져서(氣陰不足), 청숙

기능을 이행하지 못하거나(淸肅失司) 혹은 외부로부터 사기를 감수하여(感

受外邪), 사기를 제거한 후에 정기가 허해져(邪去正虛), 기음을 소모하고 손

상한(氣陰耗損) 때문이다.

治宜 : 익기양음(益氣養陰), 청조윤폐(淸燥潤肺)

方用 : 청조구폐탕(淸燥救肺湯)《의문법율(醫門法律)》치조제(治燥劑)

≒ 석고(石膏), 상엽(桑葉), 인삼(人蔘), 호마인(胡麻仁), 아교(阿膠),

맥문동(麥門冬), 행인(杏仁), 비파엽(枇杷葉), 감초(甘草).

만약 사열이 남아 있어서(邪熱未盡), 기음을 모상한(氣陰耗傷) 환자는

治 : 치겸청열(治兼淸熱).

方 :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傷寒論》淸熱劑 - 청기분열(淸氣分熱)

≒ 죽엽(竹葉)15, 석고(石膏)30, 반하(半夏)9, 맥동(麥冬)15,

인삼(人蔘)5, 감초(甘草)3, 갱미(粳米)15.

8) 풍한범폐증(風寒犯肺證)

臨床 : 해수병(咳嗽病) 중에 출현하는 풍한범폐증(風寒犯肺證)의 임상특징은 기침

을 하며 맑은 가래(咳嗽痰稀)를 뱉고, 콧물을 흘리며 코가 막히고(鼻塞流涕),

혹은 두통을 겸하거나(或兼頭痛), 뼈마디가 저리고 아프며(骨節痠痛), 한증

과 열증에 땀이 나지 않는다(寒熱无汗). 이는 풍한의 사기가 폐를 침범(風寒

犯肺)함으로 폐기가 막히게 된(肺氣受遏) 때문이다.

治宜 : 소풍산한(疏風散寒), 선통폐기(宣通肺氣).

方用 : 행소산(杏蘇散)《온병조변(溫病條辨)》치조제(治燥劑)

≒ 행인(杏仁), 자소엽(紫蘇葉), 전호(前胡), 길경(桔梗), 진피(陣皮), 반하

(半夏), 복령(茯苓), 지각(枳殼),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9)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

臨床 : 해수병(咳嗽病)에 출현하는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의 임상특징은 기침을

상쾌하게 할 수 없고(咳嗽不爽), 누런 가래가 빽빽하며(痰稠而黃), 구갈이 나

고 목구멍이 아프며(口渴咽痛), 따라서 두통이 있고(伴有頭痛), 몸에 열이 나

며(身熱), 바람이 싫고(惡風), 땀이 난다(汗出)., 이는 풍열이 폐를 침범하여

(風熱犯肺), 폐가 선발과 숙강 기능을 잃었기(肺失宣降) 때문이다.

治宜 : 소풍청열(疏風淸熱), 선폐화담(宣肺化痰).

方用 : 상국음(桑菊飮)《온병조변(溫病條辨)》해표제(解表劑)

≒ 상엽(桑葉), 국화(菊花), 행인(杏仁), 길경(桔梗), 박하(薄荷), 감초(甘

草), 로근(蘆根), 연교(連翹).

10) 조사범폐증(燥邪犯肺證)

證狀 : 해수병(咳嗽病) 중에 조사범폐증(燥邪犯肺證)의 임상특징은 가래가 없는 마

른기침을 하거나(乾咳无痰), 혹은 가래가 적고 빽빽하고 끈끈하여(痰少粘

稠), 뱉기가 어려우며(難以咯出), 코와 목구멍이 건조하고(鼻燥咽乾), 기침을

심하게 하면 가슴이 아프거나(咳甚則胸痛), 혹은 기침을 하면 가래에 血絲

(혈사)가 묻어 나오고는 것을 보고(咳中帶血), 겸하여 열이 나고 바람을 싫어

하며(兼有惡風發熱), 혀끝은 붉고(舌尖紅), 태는 얇고 누런 것이 건조하며

(苔薄黃而乾), 맥은 실같이 가늘고 연하여 꾹 눌러야 짚이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며 빠르다(脈細弱數). 이는 조열이 폐를 살라(燥熱灼肺),

폐가 맑게 적셔주는 작용을 잃었기(肺失淸潤) 때문이다.

治宜 : 청폐(淸肺) 윤조(潤燥) 지해(止咳).

方用 : 청조구폐탕(淸燥救肺湯)《의문법율(醫門法律)》治燥劑(치조제)

≒ 석고(石膏), 상엽(桑葉), 인삼(人蔘), 호마인(胡麻仁), 아교(阿膠),

맥문동(麥門冬), 행인(杏仁), 비파엽(枇杷葉), 감초(甘草).


겸유(兼有) 풍열의 사기가 체표에 침입한 증상(風熱表證)

治 : 소풍윤폐(疏風潤肺)

方 : 상행탕(桑杏湯)《온병조변(溫病條辨)》治燥劑(치조제)

≒ 상엽(桑葉), 행인(杏仁), 사삼(沙蔘), 상패모(象貝母), 두시(豆豉),

치자피(梔子皮), 이피(梨皮).

11) 간화범폐증(肝火犯肺證)

臨床 : 간화범폐증(肝火犯肺證) 중에 해수병(咳嗽病)의 임상표현은 계속해서 기침

을 하며(咳嗽陳作), 항상 가슴으로부터 기가 상역해서 뿜어져 나오고(胸中

氣逆而嗆), 기침을 할 때는 가슴과 옆구리가 끌어당기듯이 아프며(咳時胸

脇引痛), 누렇고 빽빽한 가래를 뱉는데 량이 적다(咯痰黃稠且少), 얼굴색이

붉고 목구멍이 건조하며(面紅喉干), 구갈(口渴)이 나고, 괴롭고 조급해하며

화를 잘 내고(煩躁易怒), 혀는 붉고 설태는 누렇고 얇으며 진액이 적다(舌紅

苔薄黃少津), 맥상이 길고 가야금줄을 누르는 뜻한 것이 한번 호흡하는 동

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象弦數).

간기가 울체되고 오래 되어 화(火)로 변함으로써(由肝氣鬱滯, 日久化火) 화

기가 허약한 폐를 업신여겨 상역하고(火氣逆乘于肺), 진액을 살라 담을 이

루는(灼津成痰)것으로, 금(肺)이 허약해서 목(肝)을 견제할 능력이 없고(金

虛不能制木) 폐가 숙청기능을 잃게 되는(肺失淸肅) 때문이다.

治宜 : 설폐청금(泄肺淸金), 평목강화(平木降火).

方用 : 단청음(丹靑飮)《의순잉의(醫醇剩義)》

≒ 대자석(代赭石), 맥문동(麥門冬), 국화(菊花), 석곡(石斛), 사원(沙苑),

질려(蒺藜), 백질려(白疾藜), 사삼(沙蔘), 상엽(桑葉), 귤홍(橘紅), 패

모(貝母), 행인(杏仁), 선복화(旋復花).

12) 비폐기허증(脾肺氣虛證)

臨床 : 비폐기허증(脾肺氣虛證)자의 해수병(咳嗽病)은 필히 기침이 오래도록 낫지

않고(必咳嗽日久), 폐기가 손상을 받아(肺氣受傷), 청숙기능을 상실하며(失

于淸肅), 비습이 쉽게 모여 담을 위주로(脾濕聚易爲痰) 그 병이 먼저 폐(肺)

에서 일어나 점차 비(脾)에 미치며, 기침하고(咳嗽), 가래가 많고 색이 희며

(痰 多色白), 식소(食少), 배가 부르고(脘脹), 변이 묽으며(便溏), 팔다리가 권

태롭고(肢倦), 설태는 희며(苔白), 맥은 한번 호흡하는 사이에 4번 뛰고 느리

다(脈緩)., 심지어 기가 적고 숨이 차며(甚至少氣), 땀을 절로 흘리는(自汗),

비폐기허(脾肺氣虛)의 증상(症狀)을 보인다.

治宜 : 익기건비(益氣健脾), 화담지해(化痰止咳).

方用 : 백출탕(白朮湯)(-丸)《길고가진(洁古家珍)》

≒ 백출(白朮), 남성(南星), 반하(半夏).

육군자탕(六君子湯)《부인량방(婦人良方)》

≒ 인삼(人蔘), 복령(茯苓), 백출(白朮), 감초(炙甘草), 진피(陣皮), 반

하(半夏). 姜棗(강조).

13) 폐신음허증(肺腎陰虛證)

臨床 : 폐신음허증후(肺腎陰虛證候)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증후 중에 해수병(咳嗽

病)일 때는 열사상폐(熱邪傷肺)로 인한 폐락수손(肺絡受損)이 오래되어 필

히 신에 영향을 미쳐(久必及腎), 폐신음허증후(肺腎陰虛證候)를 이루게 된

(遂成) 것이다. 그 특징은 기침을 하며 가래가 적고(咳嗽少痰), 혹은 가래에

혈사가 석여 나오고(或痰中帶血), 손과 발바닥 얼굴에 번열이 나는데(五心

煩熱), 밤에 더욱 심하며(入夜尤甚), 인후가 건조(咽喉干燥)하고, 귀 울림이

있을 수 있으며(可有耳鳴), 아찔하고 캄캄해지면서 어지럽고(眩暈), 몸이 여

위며(形体消瘦), 설홍태소(舌紅苔少),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번 호

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細數).

治宜 : 자양신음(滋養腎陰), 윤폐지해(潤肺止咳).

方用 : 월화환(月華丸)《의학심오(醫學心悟)》 화재(化裁)

≒ 천동(天冬), 맥동(麥冬), 생지(生地), 숙지(熟地), 산약(山葯), 백부(百

部), 사삼(沙蔘), 천패모(川貝母), 복령(茯苓), 아교(阿膠), 삼칠(三七),

국화(菊花), 상엽(桑葉), 달간(獺肝).


해수흉통(咳嗽胸痛)

1) 痰滯經絡(담체경락)

應用葯(응용약) - 理氣(리기) : 橘絡(귤락),


해열(解熱) ⇒ 발열(發熱)

2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탐방139 22. 기타약물(其他葯物)

22. 기타약물(其他葯物) 葯種(약종) : 木槿皮(목근피), 木槿花(목근화), 茯苓皮(복령피), 茯神(복신), 絲瓜絡(사과락), 龍齒(용치), 楡根皮(유근피), 좀작살나무, 天葵子(천규자), 茺尉子(충위자),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탐방138 效能主治 21. 拔毒化腐生肌葯

21. 발독화부생기약(拔毒化腐生肌葯) 葯種(약종) : 輕粉(경분), 爐甘石(노감석), 硼砂(붕사), 砒石(비석), 升葯(승약), 鉛丹(연단)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경분(輕粉) : 外用(외용) : 攻毒殺虫(공독살충) - 疥瘡(개창),...

탐방137 20. 解毒殺虫燥濕止痒葯

20. 해독살충조습지양약(解毒殺虫燥濕止痒葯) - 외용약(外用葯) + 內服葯(내복약) 葯種(약종) : 大蒜(대산), 大楓子(대풍자). 明礬(명반), 白礬(백반), 蜂房(봉방), 蛇床子(사상 자), 雄黃(웅황), 硫黃(유황), 皂礬(조반),...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