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적(疳積)
疳(감) 또는 疳積(감적)은 小兒疳症(소아감증)을 말하는 것으로써 연약한 어린이에게서
잘 발생하는 병이다. 증상은 얼굴색이 누렇고, 여위며, 배가 창만하고, 영양장애가 있는
만성 소화불량이 동반하여 나타나는 특징이 있는 질병으로 일반적인 임상표현은 머리카
락이 누렇고 드물며, 성을 잘 내고, 손가락을 빨며, 嗜好證(기호증)이 생기고, 설사를 하는
데 시큼한 냄새가 아는 등이다. 발병원인은 대부분 젖을 너무 일찍이 때었거나, 음식물을
조절하지 않거나, 병을 앓고 난 후 조리를 소홀히 하였거나 虫積(충적)등 이 요인이 되는
수가 있으며, 脾胃(비위)가 손상을 받아 영양흡수장애가 생김으로써 발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병이 속히 낫지 않고 오래 지속되면 기타 臟腑(장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 이렇게 발전한 장부병변에 따른 질환을 五疳(오감)이라 하는데 이를 태면 心疳(심감),
肝疳(간감), 脾疳(비감), 肺疳(폐감), 腎疳(신감)인 것이다.
1. 參照文(참조문) : 충적복통(虫積腹痛)
2. 特秀效能(특수효능) 및 要葯(요약)
1) 淸疳熱的要葯(청감열적요약) : 銀柴胡(은시호) - 淸虛熱(청허열), 除疳熱(제감열)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小兒脾虛疳積(소아비허감적)
⑴ 益氣健脾(익기건비) : 鷄內金(계내금) 配 白朮(백출), 山葯(산약), 使君子(사군자).
2) 小兒疳積(소아감적)
應用葯(응용약) : 鷄內金(계내금), 鷄矢藤(계시등),
⑴ 小兒疳積(소아감적)
① 鷄矢藤根(계시등근) 配 猪小肚(저소두) 燉服(돈복)
3) 肝疳證(간감증)
⑴ 小兒虫積發熱(소아충적발열), 腹大(복대), 消瘦(소수), 口渴(구갈), 眼紅(안홍) 등
① 銀柴胡(은시호) 加 梔子(치자), 黨參(당삼), 黃芩(황금)
4) 殺虫解毒(살충해독)
應用葯(응용약) : 望月砂(망월사),
4. 辨證施治(변증시치)
1) 감적(疳積) : 형체명현소수(形體明顯消瘦) 두복고창(肚腹臌脹) 청근폭로(靑筋暴露)
면색위황(面色萎黃) 무화(无華), 모발희황(毛髮稀黃) 여수결(如穗結), 정
신불진(精神不振) 혹이(或易) 번조격동(煩躁激動) 수면불령(睡眠不寧)
혹 유미알비(揉眉挖鼻) 교지마아(咬指磨牙) 동작이상(動作異常) 식욕감
퇴(食欲减退).
方 : 감적산(疳積散)《中醫兒科學》영아제(嬰兒劑)
≒ 향부(香附), 창출(蒼朮), 육두구(肉豆寇), 신곡(神曲), 맥아(麥芽),
빈낭(檳榔), 호황연(胡黃連), 오곡충(五谷虫), 계내금(鷄內金).
- 구미조성(九味組成)
2) 비감(脾疳) : 비위허열(脾胃虛熱),면황기수(面黃肌瘦) 신열(身熱) 곤권기와(困倦嗜
臥) 심하비경(心下痞硬)희식이물(喜食異物) 두복견경동통(肚腹堅硬疼
痛) 두 대경세(頭大頸細).
方 : 비아환(肥兒丸)《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황련(黃連), 호황련(胡黃連),
사군자인(使君子仁), 신곡(神曲), 맥아(麥芽), 산사(山楂), 감초
(甘草), 로회(蘆薈).
3) 감적울열(疳積鬱熱) : 면색황암무화(面色黃暗无華), 수약(瘦弱),모발고고(毛髮枯槁),
권태무신(倦怠无神), 완복창실거안(脘腹脹實拒按) 납매혹구토
(納呆或嘔吐) 오후미열(午后微熱) 혹 오심번열(五心煩熱) 이노
이고(易怒易苦) 번조구갈(煩躁口渴) 야와불영(夜臥不寧).
方 : 소감리비탕(消疳理脾湯)《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 무이(蕪荑), 삼능(三棱), 아출(莪朮), 청피(靑皮), 진
피(陣皮), 로회(蘆薈), 빈낭(檳榔), 사군자(使君子),
감초(甘草), 천황련(川黃連), 호황련(胡黃連), 맥아
(麥芽), 신곡(神曲).- 십삼미조성(十三味組成).
등심(燈芯) 위인(爲引).
4) 감질(疳疾) : 면황형수(面黃形瘦) 두복창대(肚腹脹大) 신피납소(神疲納少).
方 : 소감금섬환(消疳金蟾丸)《中醫方劑學》영아제(嬰兒劑)
≒ 섬여(蟾蜍)10只, 사인(砂仁), 전만기복(塡滿其腹), 음건자위
말(陰乾炙爲末), 加 광피(廣皮), 지실(枳實), 뢰환(蕾芄), 당
삼(黨參), 백출(白朮), 산사(山楂), 사군육(使君肉), 빈낭(檳
榔), 맥아(麥芽), 호황연(胡黃連).- 십이미조성(十二味組成)
분감초(粉甘草) 위의(爲衣).
5) 감질(疳疾) : 식소형리(食少形羸) 두 대면황(肚大面黃) 두대경세(頭大頸細).
方 : 계비산(啓脾散)《成方便讀》영아제(嬰兒劑)
≒ 산사(山楂), 오곡충탄(五谷虫炭), 진피(陣皮), 사인(砂仁), 백출
(白朮), 당삼(黨參), 연육(蓮肉). - 칠미약(七味葯)
6) 안감(眼疳) : 감적후기(疳積后期) 이목건삽(二目乾澁) 외광수명(畏光羞明) 심칙(甚
則) 안구혼탁(眼球混濁) 백막차청(白膜遮晴) 시력감퇴(視力減退).
方 : 양간환(羊肝丸)《類苑方》영아제(嬰兒劑)
≒ 양간(羊肝), 선의(蟬衣), 당귀(當歸), 목적(木賊), 야명사(夜明砂,
淘凈).
7) 심감(心疳) : 감적일구(疳積日久) 신열(身熱) 면적순홍(面赤唇紅) 구설생창(口舌生
瘡) 심칙(甚則) 미부퇴적(靡腐堆積) 예취난문(穢臭難聞) 오심번열(五心
煩熱) 구갈인음(口渴引飮).
方 : 청열감로음(淸熱甘露飮)《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 지모(知母), 맥동(麥冬), 단석고(煅石膏), 생지황(生地黃), 석
곡(石斛), 황금(黃芩), 감초(甘草), 비파엽(枇杷葉), 인진호
(茵陣蒿). 등심(燈芯), 위인(爲引).
8) 위강비약증(胃强脾弱證)
臨床 : 만약 위강비약증(胃强脾弱證) 출현으로 소아감증(小兒疳症)에 걸리면 대부분
살이 여위고(肌肉消瘦), 머리털이 듬성듬성 성기고(毛發焦稀), 양 눈이 어두
우며(兩目昏黯), 배가 붓고 정맥이 꿈틀거리듯 솟아오르며(腹大靑筋), 구미에
당기는 음식만 먹으려 하고(口饞嗜食), 대변에서 비린내가 나며(大便腥臭), 오
줌이 어지럽게 혼탁하고(尿液混濁), 열이 나서 답답해하고 괴롭고 불안해 하
며(煩熱不安), 코를 주무르거나 옷을 입에 물고 씹으며(揉鼻齩衣), 흙 또는 유
리와 같은 이상한 것들을 편식하는(偏食異物) 등 증상(症狀)을 보이는데 이는
생후에 음식 조리를 잘못하여(后天失調), 맛있고 기름진 음식을 과식하여(過
食肥甘), 오래 적체되거나(積滯日久), 혹 기생충(寄生虫), 혹 강력한 약물(克伐
葯物)을 적량이상(太過) 사용함으로써 비가 운화 기능을 상실하고(脾虛失運),
위열이 진액을 소모(胃熱耗津)한 때문이다. 《小兒葯證直訣》曰 “疳皆脾胃病
(감개비위병), 亡津液所作也(망진액소작야)” 라 했다.
治宜 : 소도(消導) 혹 소보겸시(消補兼施) 혹 보위주(補爲主) 등 삼법(三法)
方用 : 동씨감적방(董氏疳積方)《幼科芻言》加减
① 소도(消導) - 갑방(董氏疳積 甲方)
≒ 삼능(三棱), 아출(莪朮), 건섬복(乾蟾腹), 청피(靑皮), 진피(陣皮),
목향(木香), 오곡충(五谷虫), 호황련(胡黃連), 불수(佛手), 산사(山
楂), 래복자(萊菔子).
② 소보겸시(消補兼施) - 을방(董氏疳積 乙方)
≒ 당삼(黨參),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진피(陣皮), 청피
(靑皮), 오곡충(五谷虫), 신곡(神曲), 삼능(三棱), 아출(莪朮).
③ 보위주(補爲主) - 병방(董氏疳積丙方)
≒ 당삼(黨參),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진피(陣皮), 산약
(山葯), 편두(扁豆), 오곡충(五谷虫), 신곡(神曲).
갑상선(甲狀腺)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甲狀腺瘤(갑상선류)
① 산자고(山慈菇) 加 蚤休(조휴), 丹參(단삼), 炒梔子(초치자), 浙貝母(절패모), 柴胡
(시호), 夏枯草(하고초). - 取得了較好效果(취득료교호효과)
2) 甲狀腺腫(갑상선종) 應用葯(응용약) : 黃葯子(황약자),
⑴ 淸熱解毒(청열해독)
① 黃葯子(황약자) 常與 海藻(해조),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山慈菇(산자고) 等
抗腫瘤葯(항종류약)
辨證施治(변증시치)
1) 氣鬱痰阻(기울담조)
證狀 : 목 앞 정가운대가 붓는데(頸前正中腫大), 질은 연하고 아프지 않다(質軟不痛),
목이 팽창하는 감이 있고(頸部覺脹), 가슴이 답답하며(胸悶), 한숨을 쉬며(喜
太息), 혹은 가슴과 옆구리에 약간 은은한 통증 같은 것을(胸脇竄痛) 겸하는데
病情(병정)의 波動(파동)은 언제나 情志(정지) 변화와 관계된다. 苔薄白(태박
백)하고 脈弦(맥현)하다.
治法 : 理氣舒鬱(리기서울), 化痰消癭(화담소영).
方葯 : 四海舒鬱丸(사해서울환) 加减(가감)
≒ 柴胡(시호)12, 香附(향부), 枳殼(지각), 陣皮(진피), 半夏(반하), 茯
苓(복령), 黃葯子(황약자), 浙貝母(절패모) 各10, 海藻(해조), 海蛤
殼(해합각) 各15, 生牡蠣(생모려)25.
方解 - ① 靑木香(청목향), 陳皮(진피) : 疏肝理氣(소간리기).
② 昆布(곤포), 海帶(해대), 海藻(해조), 海螵蛸(해표소), 海蛤殼(해합각) : 化痰
軟堅(화담연견) 消癭散結(소영산결)
加减 - ① 胸悶(흉민), 脇痛者(협통자) :
加 柴胡(시호), 鬱金(울금), 香附(향부) - 理氣解鬱(리기해울)
② 咽頸不適(인경부적) : 加 桔梗(길경), 牛蒡子(우방자), 木蝴蝶(목호접), 射干
(사간) - 利咽消腫(이인소종).
2) 痰結瘀血(담결어혈)
證狀 : 頸前(경전)에 腫塊(종괴)가 나타나는데 비교적 단단하고(按之較硬) 혹은 마디
가 져 있고(有結節), 종괴는 오래 경과해도 빠지지 않으며(腫塊經久未消) 가슴
이 답답하고(胸悶), 식욕부진, 오심, 구토 등 위의 수납기능이 감퇴되고(納差),
苔薄白(태박백), 혹 白膩(백니), 脈弦或澁(맥현혹삽)
治法 : 理氣活血(리기활혈), 化痰消癭(화담소영).
方葯 : 海藻玉壺湯(해조옥호탕) 加减(가감)
≒ 해조(海藻), 패모(貝母), 진피(陣皮), 곤포(昆布), 청피(靑皮), 천궁
(川芎), 당귀(當歸), 반하(半夏), 연교(連翹), 감초(甘草), 독활(獨活),
해대(海帶). - 수전(水煎) 반전후복지(飯前后服之)
方解 ① 海藻(해조), 昆布(곤포), 海帶(해대) :化痰軟堅(화담연견),消癭散結(소영산결)
② 靑皮(청피), 陳皮(진피), 半夏(반하), 貝母(패모), 連翹(연교), 甘草(감초) - 理
氣化痰散結(리기화담산결)
③ 當歸(당귀), 川芎(천궁) : 養血活血(양혈활혈) - 共同起到(공동기도) 理氣活血
(리기활혈), 化痰消癭(화담소영).
加减 : ① 結塊較硬(결괴교경), 有結節者(유결절자) : 可酌加 黃葯子(황약자), 三稜(삼
릉), 莪朮(아출), 露蜂房(로봉방), 山甲片(산갑편), 丹參(단삼) - 增强活血軟
堅(증강활혈연견), 消癭散結(소영산결)
② 胸悶不舒(흉민불서) : 加 鬱金(울금), 香附(향부).- 理氣開鬱(리기개울)
③ 鬱久化火(울구화화), 煩熱(번열), 舌紅苔黃(설홍태황), 脈數(맥삭) : 加 夏枯
草(하고초), 丹皮(단피), 玄參(현삼),- 淸熱瀉火(청열사화).
④ 納差(납차), 便溏(변당) : 加 白朮(백출), 茯苓(복령), 淮山葯(회산약) - 健脾
益氣(건비익기).
3) 肝火旺盛(간화왕성)
證狀 : 목 앞이(頸前), 輕度(경도) 혹은 中度(중도)로 腫大(종대)되는데 일반적으로 柔
軟(유연)하고, 光滑(광활)하다. 煩熱(번열)이 나고 용이하게 땀을 흘리며(容易
汗出) 성정이 조급하고(性情急躁) 잘 노여워하며(易怒), 눈망울이 돌출하고
(眼球突出), 손가락을 떨며(手指顫抖) 얼굴이 불을 쬔 것처럼 열이 나고(面部
烘熱), 입은 쓰며(口苦) 설장은 붉고(舌質紅) 태는 얇고 누르며(苔薄黃) 맥은
현삭(脈弦數)하다.
治法 : 淸泄肝火(청설간화)
方葯 : 梔子淸肝湯(치자청간탕) 合 藻葯散(조약산) 加減
≒ 치자(梔子), 모단피(牡丹皮), 당귀(當歸), 백작(白芍), 천궁(川芎),
시호(北柴胡), 복령(茯苓), 감초(甘草), 대력자(大力子, 牛蒡子).
≒ 주세해조(酒洗海藻), 황약자(黃葯子).
方解 : 梔子豉湯(치자시탕)
① 柴胡(시호), 芍葯(작약) - 疏肝解鬱(소간해울), 淸熱(청열)
② 茯苓(복령), 甘草(감초), 當歸(당귀), 川芎(천궁) : 益脾養血活血(익비량혈활
혈) 梔子(치자), 丹皮(단피) : 淸泄肝火(청설간화).
藻葯散(조약산)
≒ 海藻(해조), 黃葯子(황약자)는 消癭散結(소영산결)하고 또 黃葯子(황
약자)는 凉血降火(양혈강화)한다.
4) 心肝陰虛(심간음허)
證狀 : 癭腫(영종)이 혹 크거나 혹 적은 것이 질은 연하고(質軟), 발병이 비교적 완만
(病起較緩)하고 심동계가 빠르고 불안하며(心悸不寧) 마음이 괴로워 잠을 이
루지 못하며(心煩少寐), 땀을 잘 흘리고(易出汗), 손과 손가락을 떨고(手指顫
動), 눈망울이 마르고 눈이 아찔하며 캄캄해지고(眼乾目眩), 권태롭고 힘이
없으며(倦怠乏力) 舌質紅(설질홍)하고, 혀가 떨리며(舌体顫動) 脈弦細數(맥
현세삭)하다.
治法 : 滋養陰精(자양음정), 寧心柔肝(녕심유간).
方葯 : 天王補心丹(천왕보심단) 加减(가감)
≒ 당귀(當歸)60, 지황(地黃)120, 천동(天冬)60, 맥동(麥冬)60, 산조
인(酸棗仁)60, 백자인(炒柏子仁)60, 원지(遠志)15, 인삼(人蔘)15,
현삼(玄參, 元參)15, 단삼(丹參)15, 운령(云苓)15, 길경(桔梗)15,
오미자(五味子)15, 진사(辰砂).
方解 - ① 生地(생지), 玄參(현삼), 麥冬(맥동), 天冬(천동) : 養陰淸熱(양음청열)
② 人參(인삼), 茯苓(복령), 五味子(오미자), 當歸(당귀) : 益氣生血(익기생혈)
③ 丹參(단삼), 酸棗仁(산조인), 柏子仁(백자인), 遠志(원지) : 養心安神(양심안
신)
加减 - ① 간음이 휴허(肝陰虧虛)하고 간경의 불화(肝經不和)로 은은한 협통(脇痛隱
隱)이 있으면 일관전(一貫煎)에 구기자(枸杞子)와 천련자(川楝子)를 가미
(加味)하여 양간소간(養肝疏肝)토록할 수 있다.
② 허풍내동(虛風內動)으로 수지 및 설체가 떨리면(手指及舌体顫抖) :
加 구등(鉤藤), 백질려(白蒺藜), 백작(白芍)하여 - 평간식풍(平肝熄風)한다.
③ 비위가 운화를 실조(脾胃運化失調)하여 대변이 묽고 가볍게 되고(致大便
稀薄), 대변차수가 늘어나면(便次增加) : 加 백출(白朮), 이인(苡仁), 회산약
(淮山葯), 맥아(麥芽) - 건운비위(健運脾胃)
④ 신음이 휴허(腎陰虧虛)함으로 이명(耳鳴), 요산슬연(腰痠膝軟)하면 : 酌加
구판(龜板), 상기생(桑寄生), 우슬(牛膝), 토사자(菟絲子), - 자보신음(滋補
腎陰)한다.
⑤ 구병(久病)으로 정기를 소모, 손상(正氣傷耗)하고 정혈이 부족(精血不足)
하면 몸이 파리하게 여위고 힘이 없게 된다(消瘦乏力). 부녀(婦女)는 월경
량소(月經量少) 혹은 경폐(經閉)이 되고, 남자(男子)는 양위(陽萎)가 생기
게 되면 : 加 황기(黃芪), 산수유(山茱萸), 숙지(熟地), 구기자(枸杞子), 제수
오(制首烏) - 보익정기(補益精氣), 자양정혈(滋養精血)할 수 있다. -中醫 -
Comentá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