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탐방 7 감기(感氣) - 感冒(감모)

Aktualisiert: 23. Sept. 2019


감기(感氣) - 感冒(감모)

1. 參照文(참조문) : 외감병(外感病)

2. 相須配合(상수배합)과 證治(증치)

1) 麻黃(마황)6 + 桂枝(계지)10. 治 風寒表實證(풍한표실증)

2) 葱白(총백)10 + 淡豆豉(담두시)12. 治 外感病初起(외감병초기), 邪在衛分(사재위분), 惡

寒發熱(오한발열), 頭痛(두통), 四肢酸痛(사지산통), 苔薄白(태

박백), 脈浮數(맥부삭) 혹 鼻塞(비색), 咳嗽(해수) 등

3) 桑葉(상엽)10 + 桑枝(상지)30. 治 外感初起(외감초기) - 身熱不甚(신열불심) 頭痛(두통),

周身不適(주신부적), 疼痛(동통) 등

4) 桑葉(상엽)10 + 菊花(국화)10. 治 風熱感冒(풍열감모) - 身熱不甚(신열불심) 有汗表不解

(유한표불해), 咳嗽(해수), 口微渴(구미갈).

5) 金銀花(금은화)15 + 連翹(연교)15. 治 四時感冒(사시감모) 風熱者(풍열자), 頭痛(두통),

目痛(목통), 牙痛(아통), 鼻淵(비연), 咽喉腫痛(인후종통).

6) 江天(강천)10 + 荊芥穗(형개수)10. 治 風寒感冒(풍한감모), 鼻塞流涕(비색류체), 无汗頭

痛(무한두통) 등증

7) 白茅根(백모근)15 + 蘆根(로근)15. 治 感冒發燒(감모발소), 感冒之初(감모지초), 只用蘆

根(지용로근) 2~3일 不解(불해), 加 白茅根(백모근).

8) 杏仁(행인)10 + 豆豉(두시)10. 治 外感表證(외감표증), 无論寒熱(무론한열), 凡見咽痒者

宜選用(범견 인양자 의선용)

9) 黃芪(황기)15 + 防風(방풍)10. 治 虛人易患的感冒(허인 이환적 감모) 諸症(제증).

10) 蒼耳子(창이자)10 + 辛夷(신이)6. 治 風寒感冒(풍한감모) 頭痛鼻塞(두통비색) 鼻流靑涕

(비류청체) 等症 (등증)

11) 白前(백전)10 + 百部(백부)10. 治 感冒日久(감모일구), 咽已不痒(인이불양), 但肺 氣肅

降失常(단폐기숙강실상), 氣仍上逆(기잉상역), 久咳

不已(구해불이), 胸悶(흉민), 氣喘(기천) 等症(등증)

12) 杏仁(행인)10 + 川貝母(천패모)10. 治 外感風邪(외감풍사) 痰熱鬱肺(담열울폐), 咳嗽不

已(해수불이), 咯吐黃痰(각토황담) 등

13) 五味子(오미자)10 + 細辛(세신)3, 治 ⑴ 風寒感冒(풍한감모) 咳吐白痰(해토백담), 或寒

飮咳喘諸症(혹한음해천 제증)

⑵ 肺腎兩虛(폐신양허) 久咳虛喘(구해허천) 等症(등증).

14) 五味子(오미자)10 + 乾姜(건강)10. 治 肺寒咳嗽(폐한해수) 痰稀而多(담희이다), 狀如白

沫(상여백말), 或 寒痰爲患(혹한담위환),陰滯氣

機(음체기기),咳逆上氣(해역상기) 등

15) 蘇子(소자)10 + 紫菀(자원)10. 治 咳嗽氣喘(해수기천) 咯痰不爽(각담불상) 胸膈滿悶(흉

격만민) 등증, 慢性氣管支炎(만성기관지염), 支氣管

哮喘(지기관효천)등 病兼見上述諸症(병겸견상술제증)

16) 荊芥(형개)10 + 防風(방풍)10. 治 四時感冒(사시감모) - 發熱惡寒(발열오한) 无汗(무한),

鼻塞(비색), 聲重(성중), 頭身疼痛(두신동통).

17) 鉤藤(구등)15 + 薄荷(박하)10. 治 風熱感冒(풍열감모) - 發熱微惡風(발열미오풍), 无汗

(무한), 頭痛(두통), 身痛者(신통자).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風寒(풍한)

應用葯(응용약) : 辛溫解表(신온해표)

羌活(강활), 桂枝(계지), 藁本(고본), 麻黃(마황), 防風(방풍), 白芷(백지),

生姜(생강), 細辛(세신), 辛夷(신이), 紫蘇葉(자소엽), 檉柳(정유), 蒼耳

子(창이자), 葱白(총백), 荊芥(형개).

其他葯(기타약) : 狗脊貫衆(구척관중), 冷草(냉초), 大蒜(대산), 四季靑(사계청), 천궁(川

芎), 零陵香(영능향), 牛蒡子(우방자), 紫萁貫衆(자기관중), 芒莖(망경,

억새), 穿心蓮(천심연),

- 預防(예방) : 莢果蕨貫衆(협과궐관중),

- 辛凉解表(신양해표) : 蔓荊子(만형자) - 疏散風熱(소산풍열), 淸利頭目

(청리두목).

⑴ 表虛證(표허증) : 發熱頭通(발열두통), 汗出惡風(한출오풍), 脈浮緩(맥부완) 혹 浮弱

(부약)

① 生姜(생강) 加 桂枝(계지) - 風寒解表(풍한해표) ≒ 桂枝湯(계지탕)

⑵ 散寒解表(산한해표)

① 紫蘇葉(자소엽) 加 杏仁(행인), 生姜(생강), 前胡(전호). . . ≒ 杏蘇散(행소산)

⑶ 外感風寒(외감풍한)

應用葯(응용약) : 羌活(강활), 桂枝(계지) 등 辛溫解表葯(신온해표약)

① 荊芥(형개) 加 防風(방풍), 羌活(강활). . . ≒ 荊防敗毒散(형방패독산)

2) 風熱(풍열)

常用葯(상용약) : 辛凉解表(신양해표)

葛根(갈근), 菊花(국화)(菊花), 淡豆豉(담두시), 蔓荊子(만형자), 木賊(목

적), 薄荷(박하), 浮萍(부평), 桑葉(상엽), 蟬退(선퇴), 升麻(승마), 柴胡

(시호), 牛蒡子(우방자).

其他葯(기타약) : 苦地丁(고지정), 前胡(전호), 板蘭根(판란근),

① 風熱感冒(풍열감모) : 金銀花(금은화),

② 發熱(발열) : 蒲公英(포공영),

③ 夏日麻黃(하일마황) : ☆ 香薷(향유)

⑴ 溫病初起(온병초기) ① 蟬退(선퇴) 加 菊花(국화)

⑵ 外感風熱(외감풍열) ① 荊芥(형개) 加 連翹(연교), 薄荷(박하), 桔梗(길경). . .≒ 銀翹散

(은교산)

3) 暑濕感冒(서습감모)

應用葯(응용약). ① 祛暑解表(거서해표) : 藿香(곽향),

② 暑熱感冒(서열감모) : 大豆(대두),

4) 流行性感氣(유행성감기)

應用葯(응용약) : 板蘭根(판란근),

5) 胃腸型感冒(위장형감모)

⑴ 夏季感冒(하계감모)

① 香油(향유) 加 扁豆(편두), 厚朴(후박) ≒ 三物香薷飮(삼물향유음)

4. 辨證施治(변증시치)

1) 辨證各科(변증각과)와 處方(처방)

⑴ 風寒感冒(풍한감모)는 辛溫解表劑(신온해표제)로 發汗解肌(발한해기)하고

方 : 麻黃湯(마황탕), 桂枝湯(계지탕), 小靑龍湯(소청용탕), 九味羌活湯(구미강활

탕),

⑵ 風熱感冒(풍열감모)는 辛凉解表劑(신양해표제)로 發汗解肌(발한해기)하며

方 : 상국음(桑菊飮), 銀翹散(은교산),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

⑶ 体虛感冒(체허감모)는 扶正解表劑(부정해표제)로 微汗解肌(미한해기)한다

方 : 敗毒散(패독산), 造散(재조산), 葱白七味飮(총백칠미음),

加减葳蕤湯(가감위유탕)

2) 施治各論(시치각론)

⑴ 풍한범폐증(風寒犯肺證) - 감모(感冒)

臨床 : 감모병(感冒病)에 나타나는 풍한범폐증(風寒犯肺證)의 임상특징은 코가 막

히고 목소리가 무거우며(鼻塞聲重), 재채기와 기침을 하고(噴嚔咳嗽), 가래

가 엷고 묽으며(痰質稀薄), 머리와 몸이 아프고(頭痛身痛), 목구멍이 헐고 땀

을 많이 흘리며(喉痒汗多), 열이 나고 바람을 싫어하며(惡風發熱), 맑은 콧물

을 흘리는(流淸涕) 등 이는 풍한의 사기가 체표에 침습하여(風寒束表), 폐기

가 순통하는 기능을 잃고(肺氣失宣), 코가 막힌 것이다(上竅不利).

治宜 : 신온해표(辛溫解表), 선폐산한(宣肺散寒).

方用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외과리예(外科理例)》

≒ 형개(荊芥), 방풍(防風), 강활(羌活), 독활(獨活), 시호(柴胡), 전호

(前胡), 천궁(川芎), 지실(枳實), 인삼(人蔘), 복령(茯苓), 길경(桔\

梗), 감초(甘草).

⑵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

臨床 : 감모병(感冒病)에 나타나는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의 임상특징은 열이 나

고(發熱), 바람과 추위를 싫어하며(微惡風寒), 탁한 콧물을 흘리고 코가 막히

며(鼻塞涕濁), 목이 마르고 갈증이 나며(口乾而渴), 목구멍이 붉게 붓고 욱신

거리며 아프다(咽喉紅腫疼痛)., 기침을 하고(咳嗽), 누고 가래가 빽빽한 것이

끈끈하며(痰黃粘稠), 태는 누렇고 얇으며(苔薄黃),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고

한 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浮數)., 이는 상초가 풍

열을 받아(風熱上受), 폐가 깨끗하게 숙강을(肺失淸肅) 하지 못하기 때문이

다. 엽천사(葉天士)가《외감온열편(外感溫熱篇)》 에서 “溫邪上受(온사상수),

首先犯肺(수선범폐).” 라 하였다.

治宜 : 신량해표(辛凉解表), 청폐투열(淸肺透熱).

方用 : 은교산(銀翹散)《온병조변(溫病條辨)》해표제(解表劑)

≒ 은화(銀花),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길경(桔梗), 박하(薄荷), 죽엽

(竹葉), 형개수(荊芥穗), 두시(豆豉), 감초(甘草), 노근(蘆根).

- 수전복(水煎服)

⑶ 비폐기허증(脾肺氣虛證)

臨床 : 비폐기허증(脾肺氣虛證)인 사람이 감모(感冒)에 걸린 것을 보게되는 경우는

늙고 몸이 약하며(年高体弱), 큰 병을 앓고 난 직후(大病初愈)거나 이런 저런

병으로 오래 동안 앓고 지내거나(久病纏綿), 부녀자(婦女子)가 산후에 정기

가 아직 회복되지 못한 사람(正氣未復者)에게서 대부분 보게 된다. 비기가

부족(脾氣不足)한 것은 기가 생화하는 원천이 핍패(氣乏生化之源)한 때문이

고, 폐기가 부족(肺氣不足)하여 호흡이 짧고 숨이 차며(少氣短氣), 체표의 위

기가 견고하지 못한(表衛不固) 때문에 외사에 극히 쉽게 감수되어(極易外感)

풍한(風寒)에 의한 감모(感冒)에 걸리게 되면 발열(發熱), 오한(惡寒), 두신동

통(頭身疼痛), 설태박백(舌苔薄白), 맥부(脈浮) 등 풍한에 의해 체표가 묵인

(風寒束表) 증상(症狀)이 일어나는 이외에 땀을 절로 흘리고(自汗), 호흡이

짧고(短氣), 권태(倦怠)로우며, 맥은 힘을 주어 눌러야 짚이는 삼부 맥이 무력

(脈虛无力)한 등 폐비기허(肺脾氣虛, 주로 肺氣不足)의 표현을 한다. 만약 담

음(痰飮)을 겸하여 해수담백(咳嗽痰白)하면

治宜 : 익기해표(益氣解表), 선폐화담(宣肺化痰).

方用 : 삼소음(參蘇飮)《화제국방(和劑局方)》

≒ 인삼(人蔘), 자소엽(紫蘇葉), 갈근(葛根), 전호(前胡), 길경(桔梗), 지각

(枳殼), 반하(半夏), 진피(陣皮), 복령(茯苓), 목향(木香), 감초(甘草), 생

강(生姜), 대조(大棗).


만약 위기불고(衛氣不固)하여 자한(自汗)을 많이하고, 항상 감모(感冒)에 잘 걸리면

治宜 : 익기고표(益氣固表), 탁사외출(托邪外出), 거풍지한(祛風止汗)

方用 : 옥병풍산(玉屛風散)《단계심법(丹溪心法)》

≒ 방풍(防風), 황기(黃芪), 백출(白朮).

氣(기)가 심하게 부족한 사람은(氣虛甚者)

方用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비위론(脾胃論)》

≒ 황기(黃芪), 인삼(人蔘), 백출(白朮), 당귀신(當歸身), 승마(升麻),

시호(柴胡), 진피(陣皮), 자감초(炙甘草).

⑷ 온사침습폐위증(溫邪侵襲肺衛證)

臨床 : 본증에서 볼 수 있는 감모(感冒)는 갑자기 나타나는 유행성 감기로써 발병이

더욱 빠르고(其發病快), 또 전염성이 있으며(且有傳染性), 남녀노소가 모두

걸릴 수 있는 병이다(皆可罹病). 전신증상은 비교적 밝게 드러난다(較爲明

顯)., 발열(發熱), 오풍한(惡風寒), 두통(頭痛), 비색류체(鼻塞流涕), 해수인통

(咳嗽咽痛) 등 증상을 보이고, 설태는 누렇고 얇으며(苔薄黃), 맥은 가볍게 눌

러도 짚이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맥이다(脈浮數). 이는 풍

열(風熱) 객사(客邪)가 폐위(肺衛)를 침습함으로 말미암아 정기와 사기가 서

로 다툼으로(正邪相爭), 폐가 설발과 숙강 기능을 잃었기(肺失宣肅) 때문이

다.

治宜 : 청열해독(淸熱解毒), 거풍해표(祛風解表).

方用 : 은교산(銀翹散)《온병조변(溫病條辨)》

≒ 은화(銀花),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길경(桔梗), 박하(薄荷), 죽엽

(竹葉), 형개수(荊芥穗), 두시(豆豉), 감초(甘草), 노근(蘆根).

或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외과리예(外科理例)》가감(加减)

≒ 형개(荊芥), 방풍(防風), 강활(羌活), 독활(獨活), 시호(柴胡), 전호

(前胡), 천궁(川芎), 지실(枳實), 인삼(人蔘), 복령(茯苓), 길경(桔

梗), 감초(甘草).

51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탐방139 22. 기타약물(其他葯物)

22. 기타약물(其他葯物) 葯種(약종) : 木槿皮(목근피), 木槿花(목근화), 茯苓皮(복령피), 茯神(복신), 絲瓜絡(사과락), 龍齒(용치), 楡根皮(유근피), 좀작살나무, 天葵子(천규자), 茺尉子(충위자),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목근피(木槿皮) : 淸熱殺虫止痒(청열살충지양) - 皮膚疥癬(피부개선), 목근화(木槿花) : 淸熱利濕(청열이습), 凉血(량

탐방138 效能主治 21. 拔毒化腐生肌葯

21. 발독화부생기약(拔毒化腐生肌葯) 葯種(약종) : 輕粉(경분), 爐甘石(노감석), 硼砂(붕사), 砒石(비석), 升葯(승약), 鉛丹(연단) 效能(효능) 및 主治(주치) 경분(輕粉) : 外用(외용) : 攻毒殺虫(공독살충) - 疥瘡(개창), 頑癬(완선), 臁瘡(렴창), 梅毒(매 독), 瘡瘍(창양), 濕疹(습진), 黃水瘡(황수창), 瘡瘍潰爛(창양궤란) 內服(내

탐방137 20. 解毒殺虫燥濕止痒葯

20. 해독살충조습지양약(解毒殺虫燥濕止痒葯) - 외용약(外用葯) + 內服葯(내복약) 葯種(약종) : 大蒜(대산), 大楓子(대풍자). 明礬(명반), 白礬(백반), 蜂房(봉방), 蛇床子(사상 자), 雄黃(웅황), 硫黃(유황), 皂礬(조반), 土荊皮(토형피), 󰜋麻子(피마자), 血竭 (혈갈). 効能(효능) 및 主治(주치) 대산(大蒜) : 行氣消積(행기소적),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