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혈(咯血) 기침 없이 목안으로부터 핏방울 혹은 핏덩어리를 뱉거나 혹은 가래에 피가 섞인 것을 뱉
는 것을 말한다. 뱉으면 신속히 나오기 때문에 각혈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갑자기 각혈하
거나 약간 기침을 하면서 각혈하는 것은 폐에 조열(燥熱)이 있는 것이다. 만일 각혈이 빈번
하고 얼굴색이 붉으며 마음이 초조하고, 목안이 마르며, 설질이 붉고, 맥(脈)이 세삭(細數)
한 것은 음허화왕(陰虛火旺)으로서 대부분 폐신음휴(肺腎陰虧), 심간화왕(心肝火旺)에 의
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이런 각혈은 흔히 폐결핵(肺結核), 기관지확장(氣管支擴張), 기관지
암(氣管支癌) 등과 같은 병에서 나타난다. 타혈(唾血) : 침을 뱉을 때 나오는 피를 타혈이라고 한다. 1. 應用葯(응용약) : 卷柏(권백), 仙鶴草(선학초), 委陵菜(위능채), 地骨皮(지골피), 天門冬(천
문동), 蒲黃(포황), 旱蓮草(한련초), 血余炭(혈여탄), 黃葯子(황약자), ① 痰中帶血(담중대혈) : 橘絡(귤락), 馬兜鈴(마두령), 百合(백합) 2. 常用葯(상용약) ① 卷柏(권백) : 活血止血(활혈지혈) ② 仙鶴草(선학초) : 收斂止血(수렴지혈), 解毒殺虫(해독살충), 益氣强心(익기강심), 補虛
(보허), 消積(소적), 止痢(지리). ③ 委陵菜(위능채) : 淸熱解毒(청열해독), 凉血止血(량혈지혈), 祛風濕(거풍습). ④ 地骨皮(지골피) : 凉血除蒸(량혈제증), 淸肺降火(청폐강화) ⑤ 天門冬(천문동) : 養陰潤燥(양음윤조), 淸肺生津(청폐생진) ⑥ 蒲黃(포황) : 化瘀止血(화어지혈), 通淋的功能(통림적공능) ⑦ 旱蓮草(한련초) : 補益肝腎(보익간신), 凉血止血(량혈지혈) ⑧ 血余炭(혈여탄) : 止血(지혈), 化痰(화담) ⑨ 黃葯子(황약자) : 淸熱凉血解毒(청열량혈해독),消癭(소영),消痰軟堅散結(소담연견산결) 3.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各種內外諸出血症(각종내외제출혈증) - 收斂止血的要葯(수렴지혈적요약) : 白及(백급) 4. 相須配合(상수배합)과 治療領域(치료영역) 1) 天冬(천동)15 + 麥冬(맥동)15. 治 熱傷肺絡(열상폐락) 血不循經(혈불순경) 而致咳血諸
症(이치 해혈제증) 2) 馬勃(마발)6 + 黛蛤散(대합산)10. 治 咯血(각혈) 痰中帶血(담중대혈), 熱傷肺絡(열상폐
락), 肝火犯肺(간화범폐). 3) 阿膠(아교)10 + 紫菀(자원)10. 治 支氣管支擴張(지기관지확장), 引起 咯血諸症(인기각
혈제증) 4) 花蕊石(화예석)10 + 鐘乳石(종유석)15. 治 氣管支擴張(기관지확장), 肺結核(폐결핵), 肺
膿瘍(폐농양) 등 引起的咯血(인기적각혈). 5) 三七(삼칠)10 + 白及(백급)10. 治 肺組織損傷(폐조직손상, 氣管支擴張 肺結核), 引起的
咯血(인기적각혈) 6) 女貞子(여정자)10 + 旱蓮草(한련초)10. 治 陰虛火旺(음허화왕), 迫血妄行而致(박혈망
행이치). 7) 龍骨(용골)30 + 牡蠣(모려)30 (打先煎(타선전)) = 治 咯血(각혈) 久不愈(구불유) - 陰虛
陽亢(음허양항) 8) 白茅根(백모근)30 + 白茅花(백모화)10 = 治 咯血(각혈) - 血熱妄行(혈열망행). 9) 女貞子(여정자)10 + 旱蓮草(한련초)10 = 陰虛火旺(음허화왕), 迫血妄行(박혈망행) - 鼻
衄(비뉵), 齒衄(치뉵), 咯血(각혈), 吐血(토혈), 尿血(뇨혈), 便血(변혈), 崩漏下血(붕루하
혈) 等症 5.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血分有熱(혈분유열) 應用葯(응용약) : 苧麻根(저마근), ⑴ 凉血止血(양혈지혈) 應用葯(응용약) ⑴ 收斂止血(수렴지혈) : 側柏葉(측백엽), ① 大薊(대계) 單種(단종) 或加 小薊(소계), 側柏葉(측백엽). § 用炭(용탄) ② 白毛夏枯草(백모하고초) 單種(단종) 內服(내복) ③ 苧麻根(저마근) 單用(단용), 或配(혹배) 其他止血葯(기타지혈약) 2) 肺陰虛(폐음허) ⑴ 收斂止血(수렴지혈) ① 白及(백급) 加 枇杷葉(비파엽), 藕節(우절), 阿膠珠(아교주), 鮮生地汁(선생지즙) ≒ 白及枇杷丸(백급비파환) ⑵ 止血(지혈) 兼能化痰(겸능화담) ① 藕節(우절) 鮮品(선품)- 化瘀止血(화어지혈), 炭用(탄용) - 收斂止血(수렴지혈) 3) 肺氣虛(폐기허) ⑴ 收斂止血(수렴지혈) ① 白及(백급) 加 人參(인삼), 黃芪(황기) ② 藕節(우절) 鮮品(선품,생) - 化瘀止血(화어지혈), 炭用(탄용) - 收斂止血(수렴지혈) 4) 肺熱(폐열) ⑴ 熱痰(열담) ① 海浮石(해부석) 常配 瓜蔞(과루), 貝母(패모) ⑵ 痰火內鬱(담화내울), 灼傷肺絡(작상폐락), 咯吐痰血(각토담혈) ① 海蛤殼(해합각) 加 靑黛(청대) ≒ 黛蛤散(대합산) ⑶ 咳血(해혈) 應用葯(응용약).
① 淸虛熱(청허열) - 淸熱凉血(청열양혈), 益陰除熱(익음제열) : 白薇(백미), ⑷ 勞嗽(노수) - 肺熱久咳(폐열구해) 痰中帶血(담중대혈) ① 百合(백합) 配 款冬花(관동화), 生地(생지). . . ≒ 白花膏(백화고) ⑸ 勞熱咳嗽(노열해수), 咽痛咯血(인통각혈) ① 百合(백합) 配 生地黃(생지황), 玄參(현삼), 川貝母(천패모). . .
≒ 百合固金湯(백합고금탕) 5) 肺破嗽血(폐파수혈) ⑴ 胸滿喘急(흉만천급) - 喘咳(천해) ① 阿膠(아교) 配 人參(인삼), 天冬(천동), 北五味子(북오미자), 白及(백급). .≒ 阿膠散
(아교산) ⑵ 痰中帶血(담중대혈) 應用葯(응용약) : 蛤殼(합각), ① 痰中帶血(담중대혈) : 馬兜鈴(마두령), ⑶ 咳吐膿血(해토농혈) 應用葯(응용약). ① 淸熱化痰(청열화담) 消癰排膿(소옹배농) : 冬瓜子(동과자) 6) 肺結核(폐결핵) 應用葯(응용약). ① 咯血(각혈) : 竹節參(죽절삼), ⑴ 痰中帶血(담중대혈) ① 百合(백합) 配 二地(이지, 生地, 熟地). . . ≒ 百合固金丸(백합고금환) 7) 軟化肝脾(연화간비) - 咳血(해혈) ⑴ 回復肝功(회복간공) ① 산자고(山慈菇) 加 蟅虫(자충), 穿山甲(천산갑), 螻蛄(루고) 8) 其他(기타) ① 血余炭(혈여탄) 常配 藕汁(우즙) ⑴ 痰中帶血(담중대혈) 應用葯(응용약) : 橘絡(귤락),
4. 辨證論治(변증론치) 1) 咯血(각혈) ⑴ 脾陰虛證(비음허증) 臨床 : 혈증(血證)으로 비음허자(脾陰虛者)의 타혈(唾血) 혹은 각혈(咯血)의 경우 변증
할 때 비음허(脾陰虛)를 위주로 표현 하는가, 혹은 음허화왕(陰虛火旺)을 위주
로 하는가를 분별하여 시치(施治)해야 한다. 《血證論 ․ 唾血》說 “비(脾)는 능히 혈(血)을 통솔한다, 때문에 혈은 경맥을 순행
하며 망동(妄動)하지 않는 것이다. 그런 혈이 위(胃) 안에서 출혈하게 되어 침
(唾)과 함께 나오는 것은 비(脾)의 음분(陰分)이 병이 들어서 통혈(統血)을 상실
하게 된 것이다”. 라 하였다. 또 말하기를 ① 비경이 음허하고(脾經陰虛), 맥이 실같이 가늘고 똑똑한데 한번 호흡 하는
동안에 5번 이 상 뛰며(脈細數), 진액이 마르는(津液枯), 혈병이 있는 환자(血
不寧者)
맥동양영탕(麥冬養榮湯)《혈증론(血證論)》加 포황(蒲黃), 아교(阿膠) ≒ 인삼(人蔘),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백작(白芍),
생지황(生地黃), 지모(知母), 진피(陣皮), 황기(黃芪), 감초(甘草). ② 비경이 화가 중하고(脾經火重), 입과 입술이 건조하며(脣口乾燥), 대변은 단
단하게 뭉치고(大便秘結), 맥은 순조롭고 원활하며 촌, 관, 척 3부맥이 모두
유력하다(脈滑實). 사심탕(瀉心湯)《금궤요략(金匱要略)》청열제(淸熱劑). 加 당귀(當歸), 생지(生地), 백작(白芍), 화분(花粉), 촌동(寸冬), 지각
(枳殼), 포황(蒲黃), 감초(甘草). ≒ 대황(大黃), 황련(黃連), 황금(黃芩). ③ 비음(脾陰)이 허(虛)해서 섭혈(攝血)하지 못하는 것은 언제나 사려(思慮)가
과도함으로 인해서 비음을 상한 때문이다. 누워서 잠을 자는 것이 불편하고
(睡臥不寧), 일하지 않고 앉아서 편하게 지내며(勞倦), 심장이 몹시 뛰어 두려
워 근심하며(怔忡勞倦), 음식을 먹는데도 몸은 건강하지 않다(飮食不健). 귀비탕(歸脾湯)《제생방(濟生方)》보익제(補益劑) ≒ 인삼(人蔘), 백출(白朮), 황기(黃芪), 복령(茯苓), 용안육(龍眼肉), 산조
인(酸棗仁), 목향(木香), 당귀(當歸), 원지(遠志), 감초(甘草), 생강(生
姜), 대조(大棗). ⑵ 燥邪犯肺證(조사범폐증) 臨床 : 각혈병(咯血病) 중에 조사범폐증(燥邪犯肺證)의 임상특징은 기침을 해서 목구
멍이 헐고(咳嗽咽痒), 가래에 혈사(血絲)가 묻어나오며(痰中帶血), 입과 코가 건
조하고(口鼻乾燥), 혹은 몸에 열이 있으며(或有身熱), 혀는 붉고 태는 누렇고 얇
다(舌紅苔薄黃).,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浮數).이는 조열이 폐의 락맥을 소상한(燥熱損傷肺絡) 때문이다. 治宜 : 청폐윤조(淸肺潤燥), 생진지혈(生津止血). 方用 : 사백산(瀉白散)《소아약증직결(小兒葯證直訣)》청열제(淸熱劑) 加味 ≒ 상백피(桑白皮), 지골피(地骨皮), 갱미(粳米), 감초(甘草). ⑶ 肝火犯肺證(간화범폐증) 臨床 : 간화범폐증(肝火犯肺證) 중에 각혈(咯血)의 표현은 기침을 하며 가래에 피가 실
같이 섞여 나오는(咳嗽痰中帶血) 것을 위주로 하거나 혹은 기침과 함께 맑은 피
를 토하며(咳吐鮮血), 가슴과 옆구리가 끌어당기듯이 아프고(胸脇牽痛), 괴롭고
조급해하며 화를 잘 내고(煩躁易怒), 대변이 건조하여 뭉치며(大便干結),소변이
황적색이고(小便黃赤), 설질이 붉으며(舌質紅), 설태는 누렇고 얇다(苔薄黃)., 맥
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한 것이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 번 이상 뛰는 빠
른 맥이다(脈弦數).이는 간화가 편파적으로 항진하므로(乃肝火偏亢), 화사가 폐
를 핍박(火邪迫肺)하여 폐가 숙청기능을 상실하고(肺失淸肅), 양락이 손상을 받
아(陽絡受 損), 혈액이 경맥을 이탈하기(血液離經) 때문이다. 治宜 : 청열숙폐(淸熱肅肺), 평간영락(平肝寧絡),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사백산(瀉白散)《소아약증직결(小兒葯證直訣)》 ≒ 상백피(桑白皮), 지골피(地骨皮), 갱미(粳米), 감초(甘草). 대합산(黛蛤散)《험방(驗方)》 ≒ 청대(靑黛), 해합각(海蛤殼). 合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의종금감(醫宗金鑑)》가감(加减) ≒ 용담초(龍膽草), 택사(澤瀉),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당귀(當
歸), 생지(生地), 시호(柴胡), 황금(黃芩), 치자(梔子), 감초(甘草). 2) 咳血(해혈) 기침을 하면서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말한다. 혈액은 폐와 기관에서 나오는데 대
체로 선홍색이고 가래와 피가 섞여 있거나 혹은 가래에 혈사(血絲)가 섞여 있기 때문에 담
혈(痰血)이 라고 한다. ㉮ 침을 뱉을 때 나오는 피를 타혈(唾血)이라고 한다. 대부분 기침
에 의해 폐락(肺絡)이 손상됨으로 생긴다. ㉯ 풍열조사(風熱燥邪)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
은 후두(喉頭)가 가려우면서 기침이 나고 입안이 마르고 코가 마르는 등이다. ㉰ 간화(肝
火)가 폐를 침범하여 일어나는 것은 가슴과 옆구리가 켕기고 번조하며 성을 잘 낸다. ㉱
음허내열(陰虛內熱)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은 뼈가 쏘는 듯이 아프고, 조열(潮熱)이 나며
기침이 나고 숨이 차는 등 증상이 나타난다. ⑴ 혈분증(血分證) - 혈증(血證)
臨床 : 혈열증에 속하는 토혈(吐血), 뉵혈(衄血), 각혈(咯血), 변혈(便血), 뇨혈(尿血)을
막론하고 출혈성 질병으로 혈색이 선홍색이며, 혀가 붉고(舌紅), 맥이 한 번 호
흡 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脈數) 공통된 증상은 대부분 외감풍열에 의한 조
사(外感風熱燥邪)로 폐경의 락맥이 열사에 상한(熱傷肺絡) 경우로서 ; 혹 매운
음식을 선호하여(嗜食辛辣), 위장이 온열하거나(溫熱于胃腸), 혹은 사무(事務)가
마음먹은 대로 뜻과 같이 성취되지 않음으로 해서(情志不遂), 희, 노, 사, 우, 공
(喜,怒,思,憂,恐)의 정서가 화(火)로 화하거나(五志化火), 혹은 힘들 고 괴로운 일
을 과도하게 함으로(煩勞過度), 심화가 항성 하여(心火亢盛), 열이 소장으로 전
이되거나(移熱于小腸), 혹은 오랜 병으로 간신의 음이 줄어(久病肝腎陰虧), 명문
의 상화가 망령되이 날뛰게 되는(相火妄動) 상황을 가리켜서 한편 “혈득열칙비
(血得熱則沸)”라 하였다. 즉 혈이 열을 얻으면 끓는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혈맥
이 열에 상하고(熱傷血脈), 양경의 락맥을 상하게 되면 혈이 밖으로 넘쳐 나오고
(陽絡傷則血外溢), 음경의 락맥을 상하게 되면 혈이 안으로 넘치게 되는 (陰絡
傷則血內溢) 것이라 했고 《장경악(張景岳)》說 “동자다유화(動者多由火), 화성칙
핍혈망행(火盛則逼血妄行)”이라 하였다. 이 역시 활동하는 자는 열(火)이 많음
으로 말미암아 열화가 가득하면 혈을 핍박하여 망동케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치료는 양혈지혈(凉血止血)을 위주로 함을 치료원칙의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무릇 병인으로 인하여 병위(病位)가 부동(不同)함으로 구체적인 치료 역시 서로
다르다. 疾病 : 해혈자(咳血者) 治宜 : 자음윤폐(滋陰潤肺),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醫方集解》조즙암(趙蕺庵) 치조제(治燥劑) ≒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맥문동(麥門冬), 백합(百合), 당귀
(當歸), 초작약(炒芍葯), 패모(貝母), 감초(甘草), 현삼(玄參), 길경(桔
梗). ⑵ 폐음허증(肺陰虛證) 臨床 : 해혈병(咳血病) 중에 출현하는 폐음허증(肺陰虛證)의 임상표현은 언제나 가래가
적고 기침을 하며(咳嗽少痰), 가래에 피가 실같이 섞여 나오고(痰中帶血), 그 색
은 선홍색이며(其色鮮紅), 가슴이 아프고(胸痛), 몸에 열이 나는데 마치 조숫물이
밀려들듯 치밀어 오르고, 잠이 들면 땀을 흘리며(潮熱盜汗), 양쪽 볼이 붉고(顴
紅), 입과 목구멍이 건조한(口乾咽燥) 등 증징이 있다. 이는 폐음부족(肺陰不足)
으로 숙강을 이행하지 못하고(淸肅不行), 음허화왕(陰虛火旺)하여, 화기가 폐의
락맥을 사르기(火灼肺絡) 때문이다. 治宜 : 자음윤폐(滋陰潤肺),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의방집해(醫方集解)》 ≒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맥문동(麥門冬), 백합(百合) 당귀(當
歸), 작약(炒芍葯), 패모(貝母), 감초(生甘草), 현삼(玄參), 길경(桔梗). 合 사생환(四生丸)《부인량방(婦人良方)》리혈제(理血劑) ≒ 하엽(荷葉), 생지황(生地黃), 측백엽(側柏葉), 애엽(艾葉). ⑶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 臨床 : 해혈병(咳血病)에 출현하는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의 임상특징은 기침으로 목
구멍이 헐고(喉痒咳嗽), 가래에 실 같은 혈사(痰中帶血)가 섞여 나오며, 입과 코
가 건조하고(口乾鼻燥), 혀는 붉다(舌紅)., 이는 풍열을 감수하여(外感風熱), 열에
의하여 폐의 락맥을 상한(熱傷肺絡) 때문이다. 治宜 : 청열윤폐(淸熱潤肺), 영해지해(寧咳止咳). 方用 : 상행탕(桑杏湯)《온병조변(溫病條辨)》치조제(治燥劑) ≒ 상엽(桑葉), 행인(杏仁), 사삼(沙蔘), 상패모(象貝母), 두시(豆豉), 치자피
(梔子皮), 이피(梨皮).뱉는 것을 말한다.
침을 뱉으면 신속히 입밖으로 나오기 때문에 각혈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갑자기 각혈하
거나 약간 기침을 하면서 각혈하는 것은 폐에 조열(燥熱)이 있는 것이다. 만일 각혈이 빈
번하고 얼굴색이 붉으며 마음이 초조하고, 목안이 마르며, 설질이 붉고, 맥(脈)이 세삭(細
數)한 것은 음허화왕(陰虛火旺)으로서 대부분 폐신음휴(肺腎陰虧), 심간화왕(心肝火旺)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이런 각혈은 흔히 폐결핵(肺結核), 기관지확장(氣管支擴張), 기관
지암(氣管支癌) 등과 같은 병에서 나타난다.
타혈(唾血) : 침을 뱉을 때 나오는 피를 타혈이라고 한다.
1. 應用葯(응용약) : 卷柏(권백), 仙鶴草(선학초), 委陵菜(위능채), 地骨皮(지골피), 天門冬
(천문동), 蒲黃(포황), 旱蓮草(한련초), 血余炭(혈여탄), 黃葯子(황약
자),
① 痰中帶血(담중대혈) : 橘絡(귤락), 馬兜鈴(마두령), 百合(백합)
2. 常用葯(상용약)
① 卷柏(권백) : 活血止血(활혈지혈)
② 仙鶴草(선학초) : 收斂止血(수렴지혈), 解毒殺虫(해독살충), 益氣强心(익기강심), 補
虛(보허), 消積(소적), 止痢(지리).
③ 委陵菜(위능채) : 淸熱解毒(청열해독), 凉血止血(량혈지혈), 祛風濕(거풍습).
④ 地骨皮(지골피) : 凉血除蒸(량혈제증), 淸肺降火(청폐강화)
⑤ 天門冬(천문동) : 養陰潤燥(양음윤조), 淸肺生津(청폐생진)
⑥ 蒲黃(포황) : 化瘀止血(화어지혈), 通淋的功能(통림적공능)
⑦ 旱蓮草(한련초) : 補益肝腎(보익간신), 凉血止血(량혈지혈)
⑧ 血余炭(혈여탄) : 止血(지혈), 化痰(화담)
⑨ 黃葯子(황약자) : 淸熱凉血解毒(청열량혈해독), 消癭(소영), 消痰軟堅散結(소담연견
산결)
3.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各種內外諸出血症(각종내외제출혈증) -
收斂止血的要葯(수렴지혈적요약) : 白及(백급)
4. 相須配合(상수배합)과 治療領域(치료영역)
1) 天冬(천동)15 + 麥冬(맥동)15. 治 熱傷肺絡(열상폐락) 血不循經(혈불순경) 而致咳血
諸症(이치 해혈제증)
2) 馬勃(마발)6 + 黛蛤散(대합산)10. 治 咯血(각혈) 痰中帶血(담중대혈), 熱傷肺絡(열상
폐락), 肝火犯肺(간화범폐).
3) 阿膠(아교)10 + 紫菀(자원)10. 治 支氣管支擴張(지기관지확장), 引起 咯血諸症(인기
각혈제증)
4) 花蕊石(화예석)10 + 鐘乳石(종유석)15. 治 氣管支擴張(기관지확장),肺結核(폐결핵),
肺膿瘍(폐농양)등 引起的咯血(인기적각혈).
5) 三七(삼칠)10 + 白及(백급)10. 治 肺組織損傷(폐조직손상, 氣管支擴張 肺結核), 引
起的咯血(인기적각혈)
6) 女貞子(여정자)10 + 旱蓮草(한련초)10. 治 陰虛火旺(음허화왕), 迫血妄行而致(박혈
망행 이치).
7) 龍骨(용골)30 + 牡蠣(모려)30 (打先煎(타선전)) = 治 咯血(각혈) 久不愈(구불유) - 陰
虛陽亢(음허양항)
8) 白茅根(백모근)30 + 白茅花(백모화)10 = 治 咯血(각혈) - 血熱妄行(혈열망행).
9) 女貞子(여정자)10 + 旱蓮草(한련초)10 = 陰虛火旺(음허화왕), 迫血妄行(박혈망행) -
鼻衄(비뉵), 齒衄(치뉵), 咯血(각혈), 吐血(토혈), 尿血(뇨
혈), 便血(변혈), 崩漏下血(붕루하혈) 等症
5.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血分有熱(혈분유열) 應用葯(응용약) : 苧麻根(저마근),
⑴ 凉血止血(양혈지혈)
應用葯(응용약)
1) 收斂止血(수렴지혈) : 側柏葉(측백엽),
① 大薊(대계) 單種(단종) 或加 小薊(소계), 側柏葉(측백엽). § 用炭(용탄)
② 白毛夏枯草(백모하고초) 單種(단종) 內服(내복)
③ 苧麻根(저마근) 單用(단용), 或配(혹배) 其他止血葯(기타지혈약)
2) 肺陰虛(폐음허)
⑴ 收斂止血(수렴지혈)
① 白及(백급) 加 枇杷葉(비파엽), 藕節(우절), 阿膠珠(아교주), 鮮生地汁(선생지
즙) ≒ 白及枇杷丸(백급비파환)
⑵ 止血(지혈) 兼能化痰(겸능화담)
① 藕節(우절) 鮮品(선품, 생용) - 化瘀止血(화어지혈), 炭用(탄용) - 收斂止血(수
렴지혈)
3) 肺氣虛(폐기허)
⑴ 收斂止血(수렴지혈)
① 白及(백급) 加 人參(인삼), 黃芪(황기)
② 藕節(우절) 鮮品(선품, 생용) - 化瘀止血(화어지혈), 炭用(탄용) - 收斂止血(수
렴지혈)
4) 肺熱(폐열)
⑴ 熱痰(열담) ① 海浮石(해부석) 常配 瓜蔞(과루), 貝母(패모)
⑵ 痰火內鬱(담화내울), 灼傷肺絡(작상폐락), 咯吐痰血(각토담혈)
① 海蛤殼(해합각) 加 靑黛(청대) ≒ 黛蛤散(대합산)
⑶ 咳血(해혈) 應用葯(응용약).
① 淸虛熱(청허열) - 淸熱凉血(청열양혈), 益陰除熱(익음제열) : 白薇(백미),
⑷ 勞嗽(노수) - 肺熱久咳(폐열구해) 痰中帶血(담중대혈)
① 百合(백합) 配 款冬花(관동화), 生地(생지). . . ≒ 白花膏(백화고)
⑸ 勞熱咳嗽(노열해수), 咽痛咯血(인통각혈)
① 百合(백합) 配 生地黃(생지황), 玄參(현삼), 川貝母(천패모). . . ≒ 百合固金湯
(백합고금탕)
5) 肺破嗽血(폐파수혈)
⑴ 胸滿喘急(흉만천급) - 喘咳(천해)
① 阿膠(아교) 配 人參(인삼), 天冬(천동), 北五味子(북오미자), 白及(백급). .≒ 阿
膠散(아교산)
⑵ 痰中帶血(담중대혈)
應用葯(응용약) : 蛤殼(합각),
① 痰中帶血(담중대혈) : 馬兜鈴(마두령),
⑶ 咳吐膿血(해토농혈)
應用葯(응용약). ① 淸熱化痰(청열화담) 消癰排膿(소옹배농) : 冬瓜子(동과자)
6) 肺結核(폐결핵) 應用葯(응용약). ① 咯血(각혈) : 竹節參(죽절삼),
⑴ 痰中帶血(담중대혈)
① 百合(백합) 配 二地(이지, 生地, 熟地). . . ≒ 百合固金丸(백합고금환)
7) 軟化肝脾(연화간비) - 咳血(해혈)
⑴ 回復肝功(회복간공)
① 산자고(山慈菇) 加 蟅虫(자충), 穿山甲(천산갑), 螻蛄(루고)
8) 其他(기타) ① 血余炭(혈여탄) 常配 藕汁(우즙)
⑴ 痰中帶血(담중대혈) 應用葯(응용약) : 橘絡(귤락),
4. 辨證論治(변증론치)
1) 咯血(각혈)
⑴ 脾陰虛證(비음허증)
臨床 : 혈증(血證)으로 비음허자(脾陰虛者)의 타혈(唾血) 혹은 각혈(咯血)의 경
우 변증할 때 비음허(脾陰虛)를 위주로 표현 하는가, 혹은 음허화왕(陰虛
火旺)을 위주로 하는가를 분별하여 시치(施治)해야 한다. 《血證論 ․ 唾
血》說 “비(脾)는 능히 혈(血)을 통솔한다, 때문에 혈은 경맥을 순행하며
망동(妄動)하지 않는 것이다. 그런 혈이 위(胃) 안에서 출혈하게 되어 침
(唾)과 함께 나오는 것은 비(脾)의 음분(陰分)이 병이 들어서 통혈(統血)을
상실하게 된 것이다”. 라 하였다. 또 말하기를
① 비경이 음허하고(脾經陰虛), 맥이 실같이 가늘고 똑똑한데 한번 호흡 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며(脈細數), 진액이 마르는(津液枯), 혈병이 있는 환자(血
不寧者)는
맥동양영탕(麥冬養榮湯)《혈증론(血證論)》 加 포황(蒲黃), 아교(阿膠)
≒ 인삼(人蔘),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백작(白芍),
생지황(生地黃), 지모(知母), 진피(陣皮), 황기(黃芪), 감초(甘草).
② 비경이 화가 중하고(脾經火重), 입과 입술이 건조하며(脣口乾燥), 대변은 단
단하게 뭉치고(大便秘結), 맥은 순조롭고 원활하며 촌, 관, 척 3부맥이 모두
유력하다(脈滑實).
사심탕(瀉心湯)《금궤요략(金匱要略)》청열제(淸熱劑).
加 당귀(當歸), 생지(生地), 백작(白芍), 화분(花粉), 촌동(寸冬), 지각
(枳殼), 포황(蒲黃), 감초(甘草).
≒ 대황(大黃), 황련(黃連), 황금(黃芩).
③ 비음(脾陰)이 허(虛)해서 섭혈(攝血)하지 못하는 것은 언제나 사려(思慮)가
과도함으로 인해서 비음을 상한 때문이다. 누워서 잠을 자는 것이 불편하고
(睡臥不寧), 일하지 않고 앉아서 편하게 지내며(勞倦), 심장이 몹시 뛰어 두려
워 근심하며(怔忡勞倦), 음식을 먹는데도 몸은 건강하지 않다(飮食不健).
귀비탕(歸脾湯)《제생방(濟生方)》보익제(補益劑)
≒ 인삼(人蔘), 백출(白朮), 황기(黃芪), 복령(茯苓), 용안육(龍眼肉), 산조
인(酸棗仁), 목향(木香), 당귀(當歸), 원지(遠志), 감초(甘草), 생강(生
姜), 대조(大棗).
⑵ 燥邪犯肺證(조사범폐증)
臨床 : 각혈병(咯血病) 중에 조사범폐증(燥邪犯肺證)의 임상특징은 기침을 해서
목구멍이 헐고(咳嗽咽痒), 가래에 혈사(血絲)가 묻어나오며(痰中帶血),
입과 코가 건조하고(口鼻乾燥), 혹은 몸에 열이 있으며(或有身熱), 혀는
붉고 태는 누렇고 얇다(舌紅苔薄黃).,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며 한번 호흡
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浮數). 이는 조열이 폐의 락맥
을 소상한(燥熱損傷肺絡) 때문이다.
治宜 : 청폐윤조(淸肺潤燥), 생진지혈(生津止血).
方用 : 사백산(瀉白散)《소아약증직결(小兒葯證直訣)》청열제(淸熱劑) 加味
≒ 상백피(桑白皮), 지골피(地骨皮), 갱미(粳米), 감초(甘草).
⑶ 肝火犯肺證(간화범폐증)
臨床 : 간화범폐증(肝火犯肺證) 중에 각혈(咯血)의 표현은 기침을 하며 가래에
피가 실같이 섞여 나 오는(咳嗽痰中帶血) 것을 위주로 하거나 혹은 기침
과 함께 맑은 피를 토하며(咳吐鮮血), 가슴과 옆구리가 끌어당기듯이 아
프고(胸脇牽痛), 괴롭고 조급해하며 화를 잘 내고(煩躁易怒), 대변이 건
조하여 뭉치며(大便干結), 소변이 황적색이고(小便黃赤), 설질이 붉으며
(舌質紅), 설태는 누렇고 얇다(苔薄黃).,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
한 것이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 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弦數). 이는
간화가 편파적으로 항진하므로(乃肝火偏亢), 화사가 폐를 핍박(火邪迫
肺)하여 폐가 숙청기능을 상실하고(肺失淸肅), 양락이 손상을 받아(陽絡
受損), 혈액이 경맥을 이탈하기(血液離經) 때문이다.
治宜 : 청열숙폐(淸熱肅肺), 평간영락(平肝寧絡),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사백산(瀉白散)《소아약증직결(小兒葯證直訣)》
≒ 상백피(桑白皮), 지골피(地骨皮), 갱미(粳米), 감초(甘草).
대합산(黛蛤散)《험방(驗方)》
≒ 청대(靑黛), 해합각(海蛤殼).
合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의종금감(醫宗金鑑)》가감(加减)
≒ 용담초(龍膽草), 택사(澤瀉),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당귀(當歸), 생지(生地), 시호(柴胡), 황금(黃芩), 치자(梔
子), 감초(甘草).
2) 咳血(해혈)
기침을 하면서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말한다. 혈액은 폐와 기관에서 나오
는데 대체로 선홍색이고 가래와 피가 섞여 있거나 혹은 가래에 혈사(血絲)가 섞여
있기 때문에 담혈(痰血)이 라고 한다.
㉮ 침을 뱉을 때 나오는 피를 타혈(唾血)이라고 한다. 대부분 기침에 의해 폐락(肺
絡)이 손상됨으로 생긴다.
㉯ 풍열조사(風熱燥邪)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은 후두(喉頭)가 가려우면서 기침이
나고 입안이 마르고 코가 마르는 등이다.
㉰ 간화(肝火)가 폐를 침범하여 일어나는 것은 가슴과 옆구리가 켕기고 번조하며
성을 잘 낸다.
㉱ 음허내열(陰虛內熱)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은 뼈가 쏘는 듯이 아프고, 조열(潮
熱)이 나며 기침이 나고 숨이 차는 등 증상이 나타난다.
⑴ 혈분증(血分證) - 혈증(血證)
臨床 : 혈열증에 속하는 토혈(吐血), 뉵혈(衄血), 각혈(咯血), 변혈(便血), 뇨혈(尿
血)을 막론하고 출혈성 질병으로 혈색이 선홍색이며, 혀가 붉고(舌紅), 맥
이 한 번 호흡 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脈數) 공통된 증상은 대부분 외
감풍열에 의한 조사(外感風熱燥邪)로 폐경의 락맥이 열사로 상한(熱傷肺
絡) 경우로서 ; 혹 매운 음식을 선호하여(嗜食辛辣), 위장이 온열하거나
(溫熱于胃腸), 혹은 사무(事務)가 마음먹은 대로 뜻과 같이 성취되지 않
음으로 해서(情志不遂), 희, 노, 사, 우, 공(喜,怒,思,憂,恐)의 정서가 화(火)
로 화하거나(五志化火), 혹은 힘들 고 괴로운 일을 과도하게 함으로(煩勞
過度), 심화가 항성 하여(心火亢盛), 열이 소장으로 전이되거나(移熱于小
腸), 혹은 오랜 병으로 간신의 음이 줄어(久病肝腎陰虧), 명문의 상화가
망령되이 날뛰게 되는(相火妄動) 상황을 가리켜서 한편 “혈득열칙비(血
得熱則沸)”라 하였다. 즉 혈이 열을 얻으면 끓는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혈맥이 열에 상하고(熱傷血脈), 양경의 락맥을 상하게 되면 혈이 밖으로
넘쳐 나오고(陽絡傷則血外溢), 음경의 락맥을 상하게 되면 혈이 안으로
넘치게 되는 (陰絡傷則血內溢) 것이라 했고 《장경악(張景岳)》說 “동자다
유화(動者多由火), 화성칙핍혈망행(火盛則逼血妄行)”이라 하였다. 이 역
시 활동하는 자는 열(火)이 많음으로 말미암아 열화가 가득하면 혈을 핍
박하여 망동케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치료는 양혈지혈(凉血止血)을 위
주로 함을 치료원칙의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무릇 병인으로 인하여 병
위(病位)가 부동(不同)함으로 구체적인 치료 역시 서로 다르다.
疾病 : 해혈자(咳血者)
治宜 : 자음윤폐(滋陰潤肺),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醫方集解》조즙암(趙蕺庵) 치조제(治燥劑)
≒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맥문동(麥門冬), 백합(百
合), 당귀(當歸), 초작약(炒芍葯), 패모(貝母), 감초(甘草), 현
삼(玄參), 길경(桔梗).
⑵ 폐음허증(肺陰虛證)
臨床 : 해혈병(咳血病) 중에 출현하는 폐음허증(肺陰虛證)의 임상표현은 언제나
가래가 적고 기침을 하며(咳嗽少痰), 가래에 피가 실같이 섞여 나오고(痰
中帶血), 그 색은 선홍색이며(其色鮮紅), 가슴이 아프고(胸痛), 몸에 열이
나는데 마치 조숫물이 밀려들듯 치밀어 오르고, 잠이 들면 땀을 흘리며
(潮熱盜汗), 양쪽 볼이 붉고(顴紅), 입과 목구멍이 건조한(口乾咽燥) 등 증
징이 있다. 이는 폐음부족(肺陰不足)으로 숙강을 이행하지 못하고(淸肅
不行), 음허화왕(陰虛火旺)하여, 화기가 폐의 락맥을 사르기(火灼肺絡)
때문이다.
治宜 : 자음윤폐(滋陰潤肺),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의방집해(醫方集解)》
≒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맥문동(麥門冬), 백합(百合)
당귀(當歸), 작약(炒芍 葯), 패모(貝母), 감초(生甘草), 현삼(玄
參), 길경(桔梗).
合 사생환(四生丸)《부인량방(婦人良方)》리혈제(理血劑)
≒ 하엽(荷葉), 생지황(生地黃), 측백엽(側柏葉), 애엽(艾葉).
⑶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
臨床 : 해혈병(咳血病)에 출현하는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의 임상특징은 기침
으로 목구멍이 헐고(喉痒咳嗽), 가래에 실 같은 혈사(痰中帶血)가 섞여
나오며, 입과 코가 건조하고(口乾鼻燥), 혀는 붉다(舌紅)., 이는 풍열을 감
수하여(外感風熱), 열에 의하여 폐의 락맥을 상한(熱傷肺絡) 때문이다.
治宜 : 청열윤폐(淸熱潤肺), 영해지해(寧咳止咳).
方用 : 상행탕(桑杏湯)《온병조변(溫病條辨)》치조제(治燥劑)
≒ 상엽(桑葉), 행인(杏仁), 사삼(沙蔘), 상패모(象貝母), 두시(豆豉),
치자피(梔子皮), 이피(梨皮).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