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8 간경질환(肝經疾患)

Aktualisiert: 9. Apr. 2022

간경화 (肝硬化) - 간담병 (肝膽病) - 간병 (肝病) - 간비종대 (肝脾腫大) - 간허열 (肝虛熱) - 소간이담 (疏肝利膽) - 소간 (疏肝) - 지방간 (脂肪肝).


간경화 (肝硬化)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肝兪(간수), 脾兪(비수), 期門(기문), 督兪(독수), 血海(혈해), 三陰交

(삼음교), 陽陵泉(양능천).

足少陰腎經 : 復溜(복류), 水分(수분), 腎兪(신수), 筑賓(축빈), 足三里(족삼리), 翳明

(예명).

2)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과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

① 陽陵泉(양능천), 陰陵泉(음능천)

陵泉穴(양능천혈)은 肝疾患(간질환)의 치료 穴(혈)로 응용되며, 또 간질환에 의

한 근육통이 있을 때 효과 있는 經穴(경혈)이다.

② 陰陵泉穴(음능천혈)과 배합해서 쓰면 간질환에 의한 消化障碍(소화장애)도 개

선할 수 있다.

3) 厥陰肝經(족궐음간경) - 期門(기문), 日月穴(일월혈)

肝疾患(간질환)에 의한 통증 또는 膽石症(담석증), 黃疸(황

달) 등을 개선하는데 응용하는 經穴(경혈)이다.

4) 任脈(임맥) : 中脘穴(중완혈)

消化障碍(소화장애)에 쓰이는 頸血(경혈)로서 간질환에 의한 소화장애

나 黃疸(황달), 腹膜炎(복막염) 등에 응용할 수 있다.

5) 手厥陰心包經(수궐음심포경) : 內關穴(내관혈)

內傷(내상)에 의한 모든 질환을 개선해 주는 요혈이

다.

6) 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 : 肓門穴(황문혈)

嘔吐(구토)나 惡心(오심)을 개선해주는 經穴(경혈)이다.

7) 陽明胃經(족양명위경) : 內庭(내정),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 : 太冲穴(태충혈)

① 배가 팽팽하게 부어오를 때는 內庭穴(내정혈)이,

② 가슴과 옆구리가 부어오르면서 아픈(腫痛) 때는 太冲穴(태충혈)이 효과가 있다.

8) 任맥脈(임맥) : 水分(수분),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 : 足三里穴(족삼리혈)

肝硬化(간경화)로 복부가 膨滿(팽만)해 있을 때

9) 任맥脈(임맥) : 關元(관원)과 氣海穴(기해혈)

肝硬化症(간경화증)에 의해 소변이 시원치 않거나 腹水(복수)가 찰 때

10)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 : 三陰交(삼음교)과 陰陵泉穴(음능천혈)

肝硬化症(간경화증)에 효과가 있다.


간담병 (肝膽病)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陽綱(양강), 魂門(혼문).

2) 利肝膽 : 足少陽膽經 - 陽陵泉(양능천,合,筋會).


간병 (肝病)

1. 主治穴(주치혈)

1) 足厥陰肝經 : 中封(중봉), 章門(장문). 足太陽膀胱經 : 魂門(혼문)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厥陰肝經

① 中封(중봉), 合谷(합곡), 曲池(곡지), 肝兪(간수), 膽兪(膵兪(췌수)).

② 中封(중봉), 腎兪(신수), 膽兪(膵兪(췌수)) 合谷(합곡), 曲池(곡지)

2) 肝肥大 : 足太陽膀胱經 : 胃兪(위수).

3. 中醫針灸學

1) 肝氣鬱結(간기울결)

病因病理(병인병리)

정신자극으로 인하여(情志刺戟引起) 간의 조달과 소설기능을 잃게 되고(肝的調達

疏泄失常) 간기가 막히고 통하지 못하게 되어(肝氣鬱滯) 기와 혈이 펴지지 못한다

(氣血不暢).

主要證候(주요증후)

가슴과 옆구리가 붓고 그득하며 아프고(胸脇脹滿疼痛) 식욕이 감퇴되며, 가슴이 붓

고 그득하여 답답한 번민이 일고(胸悶脹滿) 한숨을 자주 쉬고 화를 잘 내며(太息頻

煩 易怒), 토할 듯이 윀윀 거리고(乾嘔) 신트림을 하고 목구멍에 마치 가시가 걸려있

는 감이 들기도 하며(呑酸喉中如梗) 복통과 설사(腹痛泄瀉)를 한다. 부녀자는 월경

이 불순하고(婦女月經不順) 통경을 하고(月經痛) 월경전에 유방이 붓는 감이 있다

(經前乳房脹感) 설태는 희고 미끈미끈(舌苔白膩)하고 맥은 현(脈弦)하다.

- ♧ 소간산(疏肝散)

西醫學(서의학) : 類慢性膽囊炎(만성담낭염) 肝炎(간염) 神經官能症(신경관능증)

月經病(월경병), 乳房腫塊(유방종괴) 등과 유사하다.

治法 : 간기를 소통시켜서 막힌 것을 해제한다(疏肝解鬱).

處方 : ⑴ 太冲(태충), 陽陵泉(양능천), 豊隆(풍륭), 內關(내관), 肝兪(간수),期門(기문).

⑵ 支溝(지구), 行間(행간), 肝兪(간수), 期門(기문), 足三里(족삼리), 陽陵泉(양

능천).

治法 : ⑴ 導氣法(도기법) - 氣(기)를 이끌어주는 방법

⑵ 瀉法(사법) 혹은 平補平瀉(평보평사)

2) 肝火上炎(간화상염)

病因病機(병인병기)

氣(기)가 막히어 火(화)로 변하면 그 열화는 위로 올라가거나(氣鬱化火上炎) 혹은 기

혈이 핍박으로(或氣血逼迫) 출혈하여 음혈을 손상(陰血損傷 出血)하다.

主要證候(주요증후)

머리와 눈이 붓고 아프거나(頭目脹痛) 혹은 정수리가 아프고(或巓頂部頭痛) 눈이

아찔하고 캄캄해지며(目眩) 붉게 붓고 아프며(紅腫疼痛) 마음이 괴로워 잠을 이루

지 못하고(心煩不寐) 화를 잘 낸다(易怒). 혀는 붉으며(舌紅) 태는 누렇고(苔黃) 맥은

현삭(脈弦數)하다. 심하면 각혈, 토혈하거나 혹은 코피를 흘린다(甚則咯血吐血 或

衄血).

西醫學(서의학) : 急慢性眼病(급만선안통), 高血壓(고혈압), 神經官能症(신경관능

증), 上消化道出血(상소화도출혈)

治法 : 淸肝瀉火(청간사화)

處方 : ⑴ 中封(중봉), 陽輔(양보), 太冲(태충), 肝兪(간수), 光明(광명).

⑵ 行間(행간), 俠溪(협계), 合谷(합곡), 曲池(곡지), 豊隆(풍륭), 三陰交(삼음

교), 肝兪(간수), 太冲(태충), 丘墟穴(구허혈).

治法 : 瀉法(사법)

3) 肝陽上亢(간양상항)

病因病機(병인병기)

간과 신이 음이 부족한 탓으로 인하여(肝腎陰虛引起) 간의 양기가 위로 亢盛(항성)

하게 된(肝陽上亢) 것이다.

主要證候(주요증후)

머리가 아프며 갑자기 아찔하면서 앞이 캄캄해지고(頭痛眩暈) 눈동자가 건조하며

껄끄럽고(目乾澁) 밤눈이 어둡고(夜盲症) 귀울림(耳鳴)이 나며, 팔다리가 뻣뻣하게

마비되고 근육이 부들부들 떨리며(四肢麻痹瞤筋) 목구멍이 점차로 마르고(咽喉漸

燥) 열감을 느끼고(熱感) 밤잠을 잃고 잠이 들면 꿈이 많으며(失眠多夢), 혀는 붉은

데 말라있고(舌紅无潤) 맥은 현세삭(脈弦細數)하다.

西醫學(서의학) : 高血壓(고혈압), 神經官能症(신경관능증), 更年期症候群(更年期症

候群(갱년기증후군), 眼病(안병) 등과 유사하다.

治法 : 음을 자양하여 양기를 잠잠하게 안정시킨다(滋陰潛陽)

處方 : 丘墟(구허), 蠡泃(려구), 曲泉(곡천), 陽陵泉(양능천), 肝兪(간수), 太冲(태충혈).

針法 : 補法(보법) 혹은 平補平瀉(평보평사)

4) 肝風內動(간풍내동)

病因病機(병인병기)

간과 신이 음이 부족하여(肝腎陰虛), 간의 양기가 항성하게 되여(肝陽上亢) 간풍이

안에서 난동을 치거나(肝風內動) 혹은 극심한 열이 안에서 열풍을 일으키거나(或熱

極內風) 혹은 간에 혈이 부족하여 근육과 맥을 자양하던 것을 잃게되면(或肝血不足

筋脈失養), 열이 극심해져서 풍을 일으키게 된다(熱極生風).

主要證候(주요증후)

⑴ 閉證(폐증) :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져서(突然昏倒) 人事不省(인사불성)이되어,

입을 굳게 다물고(牙關緊閉), 양손에 주먹을 불끈 쥐며(兩手握擧) 몸

을 뒤로 활처럼 젖치고(后弓反張), 입을 옆으로 비틀고 신체의 한쪽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며(口斜 半身不遂) 말하기가 어렵고(言語蹇澁) 얼굴색이 붉고(面紅) 호흡

이 거칠고 어려우며(呼吸難澁) 대소변이 불통하고(二便不通) 혀의 색은 검붉은

자색이고(舌紫) 태는 때가 낀 것 같으며(苔垢) 맥은 현활하고 유력(脈弦滑有力)하

다.

⑵ 脫證(탈증) : 갑자기 쓰러져 인사불성이 되고(突然卒倒人事不省) 눈을 감고 또는

반쯤 감고 입을 벌리고(目暝口開) 소변을 가누지 못하며 (小便不禁)

코를 골고, 기름과 같은 땀을 흘리고(汗出如脂) 맥은 끊어질듯 미약하거나(脈微

弱欲絶) 혹은 부대하며 공허한 맥이 뿌리가 없다(或浮大空虛無根).

⑶ 熱極生風(열극생풍) : 체온이 38℃이상 되는 장열(壯熱)에 정신이 혼미(精神昏

迷)하고, 경련으로 근육 땅기어 빳빳하며(痙攣抽畜項强) 혀

는 자색이고(舌紫) 맥은 현삭(脈弦數)하다.

西醫學(서의학) : 腦出血(뇌출혈), 腦梗塞(뇌경색), 腦血栓(뇌혈전), 熱極生風 證

(열극생풍증)과 유사하며, 流行性腦膜炎(유행성뇌막염), 腦炎性

虐疾(뇌염성학질) 및 가타 고열로 인한(其他 高熱引起) 痙攣(경련) 근육이 당기는

추축증과 유사하다.

治法 : ⑴ 閉證(폐증) - 鎭肝熄風(진간식풍) 開竅醒腦(개규성뇌)

⑵ 脫證(탈증) - 回陽救逆(회양구역)

⑶ 熱極生風(열극생풍) - 鎭肝熄風(진간식풍) 解痙(해경)

處方 : ⑴ 閉證(폐증) : 陽陵泉(양능천), 十宣(십선), 十二井穴(십이정혈), 行間(행간),

肝兪(간수), 大椎(대추), 百會穴(백회혈)

針法 : 十宣(십선), 十二井穴(십이정혈)은 瀉血(사혈)하고, 其他穴(기

타혈)은 瀉法(사법).

⑵ 脫證(탈증) :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陽陵泉(양능천), 大椎(대추),

陶道(도도), 百會(백회), 合谷(합곡), 太冲(태충), 內關(내관), 曲

池穴(곡지혈).

針法 : 補法(보법) - 關元(관원), 氣海(기해), 神闕(신궐), 足三里(족삼

리) 등은 灸法(구법)

⑶ 熱極生風(열극생풍) : 太冲(태충), 合谷(합곡), 百會(백회), 大椎(대추), 外關

(외관), 曲池(곡지), 人中(인중), 后谿(후계), 豊隆穴

(풍륭혈).

針法 : 瀉法(사법)

5) 肝血不足(간혈부족)

病因病機(병인병기)

간에 음과 혈이 부족하게 되면(肝的陰血不足) 근육과 맥을 자양하는 기능을 상실하

게 되고(失常筋脈滋養) 눈을 자양하는 것도 잃게 되며(目失滋養) 충맥이 비어 부족

하다(空虛冲脈) 主要證候(주요증후)

잡자기 아찔하며 캄캄해지고 어지럽고(眩暈) 눈이 마르고 껄끄럽고(目乾澁), 쉽게

피로하며(易疲勞), 물체를 청명하게 보지 못하고(視物不淸), 팔다리가 저리고(四肢

痿痹) 월경이 지연되며(月經遲延) 얼굴색이 밝기 못하고(面色无華) 손톱과 발톱의

색이 윤택하지 못하며(爪甲无潤澤), 마음이 괴롭고 잠이 들면 꿈이 많다(心煩多夢).

설질은 싱겁게 담담하고(舌質淡) 태는 적으며(苔薄) 맥은 현세(脈弦細)하다.

西醫學(서의학) : 貧血(빈혈), 月經不足(월경부족), 末梢神經炎(말초신경염), 夜盲症

(야맹증)

治法 : 음을 키워주고 간을 부드럽게(養陰柔肝)한다.

處方 : 肝兪(간수), 膈兪(격수), 三陰交(삼음교), 太冲(태충), 足三里(족삼리).

針法 : 平補平瀉(평보평사)

6) 肝脈寒滯(간맥한체)

病因病機(병인병기)

한사가 간맥을 침습(寒邪侵襲肝脈)하여 기를 막으므로(氣滯) 경맥이 소통되지 못한

다(經脈不暢)

主要證候(주요증후)

아랫배 腹股泃(복고구)가 붓고 그득하며 아프고(少腹脹滿疼痛) 고환이 뚱뚱하게 붓

고 아래로 축 늘어지고(睾丸下墜脹滿) 춘운 것이 두려우며(畏寒) 추우면 증상이 더

욱 심해진다(寒則甚)

西醫學(서의학) : 睾丸炎(고환염), 副睾丸炎(부고환염), 헤레니아(鼠蹊部(서혜부 즉

腹股部(복고부))의 狐疝(호산) 불알.

治法 : 간경의 맥을 따뜻하게 하고(溫經肝脈) 한기를 몰아내어 사기를 제거한다(逐

寒邪氣).

處方 : ⑴ 大敦(대돈), 三陰交(삼음교), 谷泉(곡천), 氣海穴(기해혈). - 三角灸(삼각구)

⑵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大敦(대돈), 太冲穴(태충혈).

針灸法 : 針(침) - 補法(보법), 灸(구) - 隔姜區(격강구)


간비종대 (肝脾腫大)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脾兪(비수).

足厥陰肝經 : 章門(장문,足少陽과 交會, 脾의 募穴,臟會).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住血吸虫에 의한 肝脾腫大

足厥陰肝經 : 章門(장문), 期門(기문), 痞根(비근), 胃兪(위수).


간허열 (肝虛熱)

1. 梁門(양문), 陽輔穴(양보혈)

간혼미 (肝昏迷)

1. 이침(耳針) 耳穴 : 耳尖点(이첨점).


소간이담 (疏肝利膽)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四白(사백).

足少陽膽經 : 丘墟(구허,原), 足臨泣(족림읍,輸,八脈交會穴,通帶脈).


소간 (疏肝)

1. 主治穴(주치혈)

1) 소간리기(疏肝利氣)

足厥陰肝經 - 中封(중봉,經), 蠡泃(려구,絡-少陽經), 章門(장문,足少陽 과 交會, 脾의 募

穴,臟會), 기문(期門,足太陰,陰兪脈과 交會, 肝의 募穴).

2) 소간익신(疏肝益腎)

足太陰脾經 - 三陰交(삼음교,會).

3) 평간(平肝) : 足厥陰肝經 - 太冲(태충,輸,原).


지방간 (脂肪肝)

1. 指壓療法(지압료법)

⑴ 肝兪(간수), 膽兪(담수).

膽汁分泌(담즙분비)가 촉진되고 지방간에 의한 疲勞(피로)나 消化障碍(소화장애)

및 오른쪽 옆구리 쪽의 鈍痛感(둔통감)을 없애준다.

⑵ 期門(기문), 日月(일월).

脂肪肝(지방간)에 의해 腹部(복부) 不快感(불쾌감)이 있거나 오른쪽 옆구리 밑으로

痛證(통증)이 있을 때 이를 완화시키고, 특히 소화기계 전반의 기능을 높이는데 효

과가 있다.

⑶ 神門(신문).

神經安定(신경안정) 효과가 있으며 肝疾患(간질환)에 의해 神經衰弱證(신경쇠약증)

이 나타나거나 혹은 胃酸(위산)이 결핍될 때 쓸 수 있다.

⑷ 中脘(중완), 大巨(대거).

脂肪肝(지방간)에 의해 消化機能(소화기능)이 떨어졌을 때 소화기능을 강화하며,

지방간의 증상 중에 흔히 나타나는 腹部(복부)가 볼록하게 부풀며 가스가 차서 膨

滿(팽만)한 경우에 좋고, 또 대변이 가늘어지거나, 끊어지거나 흩어지는 등 大便의

이상이 있을 때 효과가 있다.

⑸ 脾兪(비수), 大腸兪(대장수).

脂肪肝(지방간)에 의한 消化障碍(소화장애), 便秘(변비), 腹部膨滿(복부팽만), 腹部

不快感(복부불쾌감) 등을 改善(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

⑹ 申脈(신맥), 照海(조해).

脂肪肝(지방간)에 의해 눈의 疲勞(피로)가 심할 때 效果(효과)가 있는 穴(혈)이다.

⑺ 丘墟(구허).

脂肪肝(지방간)에 의해 옆구리와 가슴이 아플 때 효과가 있다.


2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