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구79 변비 (便秘)

Aktualisiert: 9. Apr. 2022



변비 (便秘)

便秘(변비)는 大便(대변)이 秘結不通(비결불통)하는 것을 말한다. 환자의 糞質(분질)이 乾

燥(건조)하여 단단하게 堅硬(견경)하게 됨으로 排便(배변)이 곤난한 상태로 되어 秘結不

通(비결불통)함으로써 배변시간이 연장되는 나머지 수일에 한번 심지어 설사약이나 관

장을 함으로써 대변을 배출시킨다.

본 절에서는 주요로 熱秘(열비), 氣秘(기비), 虛秘(허비), 冷秘(냉비) 및 단순성의 習慣性便

秘(습관성변비)를 다룬다.

病因病機(병인병기)

熱秘(열비) : 평소 체질이 陽盛(양성)하거나 맵고 뜨겁고 厚味(후미)한 음식을 즐기면 胃

腸積熱(위장적열)되고 혹은 열병불유, 邪熱內燔(사열내번), 津液受灼(진액수

작), 腑氣不通(부기불통)하여 腸燥便結(장조변결)된다.

氣秘(기비) : 情志不暢(정지불창)으로 肝膽(간담)의 氣機(기기)가 鬱滯(울체)되며 疏泄失

職(소설실직)하여 장부의 전도가 상실된다.

虛秘(허비) : 대부분 병후나 산후에 氣血(기혈)이 회복되지 않았거나 혹은 年老体弱(연노

체약)으로 기혈이 虧虛(휴허)할 때 氣虛(기허)이면 運轉无力(운전무력)되고

血虛(혈허)이면 腸失潤下(장실윤하)된다.

冷秘(냉비) : 하초의 양기가 虛憊(허비)되어 溫煦(온후)하지 못하기 때문에 陰寒(음한)이

응결되어 化氣布津(화기포진) 못하기 때문에 배변이 곤난(困難)하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熱秘 症狀 : 대변건조(大便乾燥), 소변단적(小便短赤), 면홍신열(面紅身熱) 혹겸 복창

(腹脹), 구건(口乾), 심번(心煩), 설태황조(舌苔黃燥), 맥활실(脈滑實).

原則 : 청열보진(淸熱補津) - 陽明經穴 爲主

處方 : 합곡(合谷), 곡지(曲池), 복결(腹結), 상거허(上巨虛).

方義 : ① 합곡(合谷), 곡지(曲池) - 양명열사(陽明熱瀉) 보진(補津).

② 상거허(上巨虛, 大腸-合穴)과 복결(腹結)을 배합(配合) - 진액(津液)이

행(行)하여 대장부기를 소통(大腸腑氣疏通)한다. 이는 증수행주법(增

水行舟法)이라 한다.

加穴 : ① 번열구갈(煩熱口渴) 加 소부(少府), 렴천(廉泉)→제번지갈(除煩止渴),

② 두통(頭痛) 加 인당(印堂) → 지통(止痛),

③ 구취(口臭) 加 승장(承漿) → 청열해독(淸熱解毒).

治法 : 호침사법(毫針瀉法)

2) 氣秘 症狀 : 대변건(大便乾), 흉협창만(胸脇脹滿), 애기빈번(噯氣頻繁), 복부창통

(腹部脹痛), 구고(口苦), 오심(惡心)하면 변비(便秘)가 심해진다. 설태

박니(舌苔薄膩), 맥현(脈弦).

原則 : 소간리기(疏肝理氣) - 任脈 足厥陰經穴 爲主

處方 : 중완(中脘), 기해(氣海), 행간(行間), 양능천(陽陵泉).

方義 : ① 중완(中脘)과 기해(氣海)를 配合 → 소통부기(疏通腑氣)

② 행간(行間)과 양능천(陽陵泉)을 配合(足厥陰과 足少陽은 表裏) →

소간리기(疏肝理氣), 해울이담(解鬱利膽)하여 소설(疏泄)되면 부

기통강(腑氣通降)하여 소통변비(疏通便秘)된다.

加穴 : ① 협통(脇痛) 심(甚) : 기문(期門), 일월(日月) → 소간지통(疏肝止痛)

② 복창심(腹脹甚) : 대횡(大橫)을 加하여 리장소창(理腸消脹)한다.

治法 : 침(針)으로 사법(瀉法)

3) 虛秘 症狀 : 대변비결(大便秘結), 변후피로(便后疲勞), 심자한출(甚者汗出), 기단

(氣短), 면색불화(面色不華), 두혼심계(頭昏心悸), 설질담(舌質淡), 맥

세무력(脈細无力).

原則 : 보기양혈(補氣養血) - 족양명(足陽明) 태음경혈(太陰經穴)을 爲主

임맥(任脈)및 배수혈(背兪穴)을 배합(配合)

處方 : 비수(脾兪), 위수(胃兪), 대장수(大腸兪), 삼음교(三陰交), 족삼리(足三

里), 관원(關元).

方義 : ① 비수(脾兪), 삼음교(三陰交)와 위수(胃兪), 족삼리(足三里)의 配合

은 장부경락(臟腑經絡) 표리배합법(表里配合法)이며 목적은 중기

(中氣)를 고무(鼓舞)시켜 생화지원(生化之源)을 증가(增加)시키고

중초(中焦)를 왕성하고 건강하게 하면 자연히 생기화혈(生氣化

血)한다.

② 또 관원(關元)을 취하여 하초(下焦)의 기를 보하고 대장유(大腸兪)

와 배합하면 배변(排便)에 도움이 된다.

加穴 : 다한(多汗) 加 음극혈(陰郄穴) → 양음고표(養陰固表)

심계(心悸) 加 내관혈(內關穴) → 녕심안신(寧心安神)

治法 : 針으로 補法 加灸

4) 冷秘 症狀 : 대변간삽(大便艱澁)하여 배출곤난(排出困難), 소변청장(小便淸長),

면색창백(面色蒼白) 或 복부냉통(腹部冷痛), 사지불온(四肢不溫), 희

난외한(喜暖畏寒) 맥침지(脈沉遲).

原則 : 보신조양(補腎助陽) - 任脈 足少陰經穴 爲主 背兪穴과 配合

處方 : 기해(氣海), 조해(照海), 석관(石關), 신수(腎兪), 관원수(關元兪).

方義 : ①기해(氣海), 관원유(關元兪) : 조양축냉(助陽逐冷), 온후하초(溫厚

下焦)하여 응결산결(凝結散結)하고.

② 조해(照海), 석관(石關), 신수(腎兪) : 보익신기(補益腎氣) → 대소

변관리(大小便管理) - 빈뇨(頻尿), 변비(便秘)를 치료(治療)

加穴 : ① 탈항(脫肛) : 장강(長强), 백회(百會) → 승제하함(升提下陷)하고

② 요통(腰痛) : 위중(委中) → 서근지통(舒筋止痛)한다.

治法 : 針으로 補法을 使用한다.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足陽明胃經 : 관문(關門), 天樞(천추,大腸經의 募), 足三里(족삼리), 豊隆(풍륭), 解溪(해

계).

足太陰脾經 : 大都(대도,滎), 太白(태백,輸,原), 公孫(공손,絡-陽明經,八脈交會穴,通冲

脈), 商丘(상구,經), 大橫(대횡), 腹哀(복애).

足太陽膀胱經 : 大腸兪(대장수), 小腸兪(소장수), 膀胱兪(방광수), 中髎(중료), 下髎(하

료), 承扶(승부), 浮郄(부극), 肓門(황문), 秩邊(질변), 承筋(승근), 承山(승

산).

足少陰腎經 : 大鍾(대종,絡), 交信(교신,陰交脈의 郄穴), 中注(중주), 肓兪(황수), 商曲(상

곡), 石關(석관), 陰都(음도).

手少陽三焦經 : 支溝(지구,經).

任脈 : 石門(석문,三焦의 募), 氣海(기해), 中脘(중완,手太陽,手少陽,足陽明經과 交會).

督脈 : 長强(장강), 腰兪(요수).

項背腰部 : 腰奇(요기).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通便穴(통변혈) : 天樞(천추), 大腸兪(대장수), 足三里(족삼리), 豊隆(풍륭), 支泃(지구),

陽陵泉(양릉천), 照海(조해), 大敦(대돈), 內庭(내정).

2) 足陽明胃經 : 豊隆(풍륭), 支泃(지구).

足太陽膀胱經 ① 大腸兪(대장수), 中脘(중완), 天樞(천추), 支泃(지구),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照海(조해).

② 小腸兪(소장수), 大腸兪(대장수), 關元(관원), 足三里, 三陰交.

③ 承筋(승근), 大腸兪(대장수), 支泃(지구), 足三里, 三陰交.

足少陰腎經 ① 大鍾(대종), 石關(석관).

② 中注(중주), 天樞(천추), 支泃(지구), 足三里(족삼리).

③ 商曲(상곡), 豊隆(풍륭). 足厥陰肝經 : 章門(장문), 太白(태백), 照海(조

해).- 針灸大成

3) 習慣性(습관성) ⑴足陽明胃經 : 豊隆(풍륭,絡-太陰經)

⑵ 手少陽三焦經 ① 支泃(지구,經).

② 支泃(지구,通便瀉熱), 足三里(족삼리), 大橫(대횡),

天樞(천추).

③ 支泃(지구), 照海(조해).- 玉龍歌

⑶ 足少陰腎經 : 肓兪(황수).

⑷ 足少陽膽經 : 維道(유도), 陽陵泉(양능천,合,筋會).

4) 針灸大成(침구대성)

1) 협통(脇痛) 겸 변비(便秘) : 지구혈(支溝穴) - 玉龍歌

2) 대변불통(大便不通) : 先刺 조해혈(照海穴), 瀉 지구혈(支溝穴) 效力神奇-玉龍歌

3) 복통변비(腹痛便秘) : 지구혈(支溝穴) - 勝玉歌

4) 허로변비(虛勞便秘) (惡性) : 補 지구혈(支溝穴), 瀉 족삼리(足三里)- 雜病穴法歌

5) 열비(熱秘) 기비(氣秘)(氣滯便秘) :

장강(長强), 대돈(大敦), 양능천(陽陵泉). - 雜病穴法歌

6) 西江月 ① 부녀자(婦女子) 변비(便秘) - 대변불통(大便不通)

處方 : 先刺 - 조해혈(照海穴),

后刺 - 신맥(申脈), 음능천(陰陵泉), 삼음교(三陰交), 태계혈(太溪穴)

에 침자(針刺)한다.

5) 이침 (耳針) 耳穴 : 직장하단(直腸下段), 대장(大腸), 병간(屛間, 內分泌), 삼초(三焦).

6) 處方 ① 지구(支溝), 조해(照海).

② 지구(支溝), 족삼리(足三里).

③ 지구(支溝), 천추(天樞), 삼간(三間).

7) 灌腸(관장)

【東醫寶鑑】에는 “導便法”이라고 해서 灌腸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⑴ 여러 가지 원인으로 대변이 나오지 않거나 老衰 또는 虛弱으로 葯을 쓸 수 없을 때

에 이용할 수 있다. 꿀을 졸인 다음 여기에 주염나무 열매(皂角) 가루를 조금 넣어

손으로 비벼 길쭉하게 정제를 만든 후 肛門에 꽂아 넣으면곧 대변이 나온다.

⑵ 꿀 7 홉을 약한 불에 졸여서 엿처럼 만든 후 손으로 비벼 대추씨 모양으로 만든다.

이것을 항문에 꽂아 넣고 손으로 누르고 있다가 대변이 나오려고 할 때 손을 뗀다.

이것을 “蜜導傳法(밀도전법)”이라고 한다.

⑶ 돼지 쓸개즙(猪膽汁)에 食醋를 조금 타서 肛門에 넣고 잠시 있으면 대변이 저절로

나온다.

⑷ 꿀 3 홉에 猪膽汁 2 개 분량을 넣고 엿처럼 엉기게 달인 후 손으로 비벼 새끼 손가락

끝만 한 크기로 만든다. 이것을 찬물에 담갔다가 항문에 넣으면 곧 대변이 나온다.

이것을 “밀태법”이라고 한다.

⑸ 조협(皂莢)을 사발에 담고 불을 붙여 나무통 속에 넣은 다음 肛門에 그 연기를 쏘이

면 저절로 대변이 나온다.

⑹ 꿀을 걸쭉하게 졸여 찬물에 떨군 후 재빨리 손으로 비벼 손가락만한 크기로 만든 다

음 조협분(皂莢粉)과 사향(麝香)을 묻힌다. 여기에 기름을 발라 항문에 넣으면 곧 대

변이 나온다.

⑺ 한 개의 쓸개에서 쓸개즙을 조금 버리고 대신 食醋를 넣는다. 그런 다음 참대 대롱

을 肛門에 꽂고 猪膽汁에 食醋를 탄 것을 대롱을 통해 항문으로 흘러 들어가게 하면

잠시 후 대변이 나온다.

⑻ 참대 대롱에 파즙(葱汁)을 묻혀 항문 속에 깊이 꽂는다. 그리고 참기름(香油)과 더운

물을 절반씩 섞어 돼지 오즘통 속에 넣은 것을 참대 대롱과 연결하여 항문으로 흘러

들어가게 한다. 그 다음 다리를 위로 향하고 누워 있으면 1 시간 후 대변이 나온다.

⑼ 온갖 방법을 다 써도 변이 나오지 않을 때는 작은 참대 대롱을 항문에 꽂은 후 다른

사람이 참기름을 대롱 속으로 뿜어 넣어 준다. 그러면 지렁이가 조금씩 위로 올라가

는 뜻한 느낌이 있다가 잠시 후 검은 대변이 나온다.

⑽ 民間에서는 간장과 참기름을 섞어 灌腸하기도 했다. 또는 생도라지(桔梗)을 참기름

이나 간장에 담갔다가 肛門에 꽂아 넣어도 효과를 볼 수 있다.

8) 엄제법(罨臍法)

【東醫寶鑑】에는 大小便이 잘 나오지 않을 때 “罨臍法”을 권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

음과 같다.

⑴ 白礬粉(백반분) 1 숟가락을 배꼽 위에 놓고 찬물을 1 방울씩 떨어뜨리면서 찬 기운

이 뱃속으로 들어가게 하면 곧 大小便이 나온다.

⑵ 葱白 1~2 대, 흙이 묻은 생강 1 개, 淡豆豉(메주가루) 21 알, 소금 1 숟가락을 함께

강아 떡을 만든 후 불에 뜨겁게 달구어 배꼽 위에 붙이고 천으로 싸맨다. 이렇게 하

면 잠시 후 氣가 통하는 느낌이 들면서 大小便이 자연스럽게 나온다. 그러나 大小便

이 잘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한 번 갈아 붙여야 한다.

⑶ 大便이 막혀 精神을 차리지 못할 때는 큰 논우렁이(전라(田螺)) 산 것 1~2마리를 쓰

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소금 1 숟가락과 함께 우렁이를 껍질째 넣고 짓찧어 배꼽에

서 아래로 1치 3분되는 곳에 올린 다음 천으로 싸매 두면 대변이 나온다. 또 우렁이

를 껍질째 짓찧은 다음 麝香을 조금 섞어 배꼽 위에 올려놓고 손으로 문질러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⑷ 파두육(巴豆肉), 행인(杏仁), 조협(皂莢)을 가루로 만든 후 떡을 만들어 배꼽위에 놓

고 뜸을 뜨면 大便이 저절로 나온다. ⑸ 와우고(蝸牛膏)는 大小便이 막힌 것을 치료

한다. 달팽이(蝸牛) 3 마리를 껍질째 짓찧은 다음 麝香을 조금 섞어 배꼽 위에 올려

놓고 손으로 문지르면 大小便이 나온다.


3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1 부록 오행침법

附錄(부록) 行針法(오행침법) 오행침(五行針)은 사암선생(舍岩先生)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황제내경 (黃帝內經)과 난경(難經)에서 완성하지 못한 오행침술(五行針術)을 완성하고 그 비방(秘方)을 사암도인침구요결(舍岩道人針灸要訣)에 담아...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