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 61 두통 (頭痛)

Aktualisiert: 9. Apr. 2022


두통 (頭痛)

두통환자는 크게 둘로 나눈다. 하나는 외감두통(外感頭痛)이고 또 하나는 내상두통(內傷

頭痛)이다.

외감(外感)이라는 것은 인체(人體)를 중심으로 보아서 인체의 밖으로부터 침범한 병이고,

내상(內傷)이란 말 그대로 인체의 내장(內臟) 즉 오장육부(五臟六腑)로부터 발병한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외감두통(外感頭痛)

자연계(自然界)에는 풍, 화, 서, 습, 조, 한(風火暑濕燥寒)의 여섯 가지 기(氣)가 있는데 이

것을 우린 기후(氣候)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 기후(氣候)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인체(人體)

의 허약(虛弱)한 틈을 타고 체표(體表(腠理, 汗孔, 毛孔))의 경락(經絡)을 통해 침습(侵襲)

하게 되면 이것을 사기(邪氣)라고 부른다. 다른 말로는 육기(六氣)가 사기(邪氣)로 변(變)

했다고 해서 육음(六淫)이라고도 하며, 외부로부터 감수되었다고 해서 외감육음(外感六

淫)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육음(六淫) 중에서 단독(單獨) 혹은 두 개 또는 세 개

의 기(氣)가 합동으로 인체(人體)를 침범하여 육음병(六淫病)을 일으키는데 이를 감기(感

氣)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감기(感氣)로부터 시작되는 두통(頭痛)을 외감두통(外感頭痛)

이라고 지칭(指稱)하는 것이다.

인체(人體)가 감기(感氣)에 걸리면 공통된 전신증상(全身證狀)을 나타내는데 이를 살펴보

면 대체로 오한(惡寒), 발열(發熱), 두통(頭痛), 신통(身痛), 한출(汗出), 맥부(脈浮) 등으로

표현(表現)한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전신증상(全身證狀)이 있을 때는 사기(邪氣)가 체표

(體表)에 있으므로 표증(表證)이라고 하고, 또한 증상(證狀)에도 경중(輕重)의 차이를 갖고

나타나게 된다. 그 중에서 두통(頭痛)을 독립시켜 세분(細分)한 것으로서 이는 오랜 경험

과 전통을 바탕으로 그 이론(理論)을 정립시킨 것이다.

외감두통(外感頭痛)은 대체로 셋으로 구분한다.

1) 풍(風)과 한(寒)이 합작한 풍한두통(風寒頭痛),

2) 풍(風)과 열(熱)이 합작한 풍열두통(風熱頭痛),

3) 풍(風)과 습(濕)이 합작한 풍습두통(風濕頭痛)으로 분리하고 있다.


내상두통(內傷頭痛)

내상두통은 외감두통과는 달리 병인(病因)이 복잡하고 병기(病機)가 내장(內臟)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므로 비교적 중(重)하다 할 수 있다. 생활(生活)에 변조(變調)가 일어남으로 해

서 신체(身体)의 리듬이 깨지고, 정서(情緖)에 날이 서는 등 사물(事物)에 대한 판단이 흐려

지게 되면 자연히 몸 속 깊이 병사(病邪)가 자리를 잡게 마련이다. 예로부터 병사(病邪)가

내장(內臟)에 있으면 반생반사(半生半死)라 했다. 그러니 비록 두통(頭痛)이라 할지라도

그 병의 뿌리가 내장에 있는 만큼 환자의 고통은 심(甚)하다 할 것이다. 내상두통(內傷頭

痛)은 대체로 4 가지로 분류(分類)한다. 1) 간양두통(肝陽頭痛), 2) 담탁두통(痰濁頭痛), 3)

혈허두통(血虛頭痛), 4) 어혈두통(瘀血頭痛) 등이다. 이외에 신허두통(腎虛頭痛)으로 양허

(陽虛)와 음허(陰虛)로 분류되는 두통(頭痛)은 침구치료(針灸治療)보다는 약물치료(葯物治

療)로 신장(腎臟)을 보(補)하는 것이 보다 진보(進步)된 치료방법인 것 같다. 따라서 이 장

에서는 신허두통(腎虛頭痛)을 다루지 않었다.


변증시치(辨證施治)

1. 외감두통(外感頭痛)

1) 풍한두통(風寒頭痛)

증상(症狀) : 풍한의 사기(邪氣)가 경맥(經脈)에 침습(侵襲)하여 경맥의 기(氣)가 잘 운행(運

行)하지 못하게 되어 발병하게 되는 것으로 병정(病情)이 급(急)한 급성두통이

발작하고, 오한(惡寒)이 나며, 목과 등이 뻣뻣하게 당기고 아픈 항배강통(項背

强痛)이 있고, 기침(咳嗽)하고, 코가 막히며(鼻塞), 설태가 희고 맥이 부긴(浮

緊)하다. - 천궁차조산(川芎茶調散) 증(證)

치칙(治則) : 경맥(經脈)에 들어앉은 풍한(風寒)의 사기(邪氣)를 발산(發散)시켜서 사라지

게 하는 발산풍한(發散風寒)의 사법(瀉法)으로 치료한다.

처방(處方) : 태충(太冲), 합곡(合谷), 풍지(風池), 풍문(風門), 풍부(風府), 외관(外關).

방의(方義) - ① 합곡혈(合谷穴) : 두면부 동통의 주치혈(經驗穴),

② 태충혈(太冲穴) : 평간잠양(平肝潛陽) 진통(鎭痛)의 요혈(要穴).

☆ 합곡(合谷)과 태충(太冲)을 배합하면 사관(四關)을 열어주고, 훌륭한 진

정(鎭靜)과 진통(鎭痛) 작용을 한다.

③ 風池, 風府, 風門, 外關 : 체표의 근육(肌表)을 풀어주고, 풍사(風邪)를 몰아

낸다.

2) 풍열두통(風熱頭痛)

증상(症狀) : 풍열(風熱)의 사기(邪氣)가 경맥(經脈)을 침입하여 위(衛)를 교란하므로 기혈

운행(氣血運行)이 문란(紊亂)해져서 발병하게 되는 것으로서 병정(病情)이 급

(急)하며, 머리가 쪼개지는 듯한 두통여열(頭痛如裂)이 있고, 열(熱)이 나며 바

람 쏘이는 것을 두려워하는 발열오풍(發熱惡風)에 인후가 붓고 아푼 인후종

통(咽喉腫痛)이 있을 수 있으며 안색이 붉고, 대변이 간조하고 단단한 대변건

결(大便乾結)이 있을 수 있겠으며 설태가 누렇고(苔黃), 맥(脈)은 부삭(浮數)하

다. - 궁지석고탕(芎芷石膏湯) 가감증(加减證)

치칙(治則) : 풍사(風邪)를 흩어지게 소산(疏散)시키고 열(熱)을 내리게 하는 소풍청열疏風

淸熱)하는 사법(瀉法)으로 치료한다.

처방(處方) : 합곡(合谷), 태충(太冲), 풍지(風池), 풍문(風門), 곡지(曲池), 열결(列缺).

방의(方義) - ① 合谷, 太冲, 風池, 風門 :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② 曲池, 列缺 : 풍사(風邪)를 헤치고 열(熱)을 제거(除祛)시킨다.

3) 풍습두통(風濕頭痛)

증상(症狀) : 풍습두통의 통증은 풍한두통(風寒頭痛)이나 편두통(偏頭痛 - 혹은 좌우교체

(左右交替))과 머리 전체가 아픈 전두통(全頭痛)과 같이 대체로 머리가 터질

듯이 아픈 창통(脹痛), 수 많은 바늘로 찌르는 듯이 아픈 자통(刺痛) 이거나 혹

은 맥박이 뛰는 것 같이 아픈 박동성통증(搏動性痛證)이 있고, 때로는 통증부

위의 두피(頭皮)에 부은 멍울이 나타나고, 코가 막히는 비색(鼻塞),과 콧물을

흘리며, 설태는 희고, 맥은 현긴(弦緊)하다.

-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證

치칙(治則) : 풍한의 사기를 소산(疏散)시켜고, 습사(濕邪)를 제거(除祛)하여 경락(經絡)을

소통(所通)시키는 거풍산한(祛風散寒)과 화습통락(化濕通絡)하는 사법(瀉法)

으로 치료한다.

처방(處方) : 풍지(風池), 두유(頭維), 통천(通天), 합곡(合谷), 삼양락(三陽絡).

방의(方義) : 환부(患部)와 가까운 근혈(近穴)을 위주(爲主)로하고, 먼 곳에 있는 원혈(遠穴)

을 배합(配合)한다.

① 통천혈(通天穴) : 태양경(太陽經)에 있는 사기(邪氣)를 소산(疏散)시키고

② 풍지혈(風池穴) : 소양경(少陽經)을 화해(和解)시키며,

③ 두유혈(頭維穴), 합곡혈(合谷穴) : 양명경(陽明經)을 청설(淸泄)한다.

이상의 혈(穴)을 합용(合用)하면 소풍산한(疏風散寒)하고 습사(濕邪)를 소거

(消去)시키는 화습(化濕)하는 작용을 얻게 된다.

대증처방(對證處方)

① 앞머리가 아픈 전두통(前頭痛) : 상성혈(上星穴), 양백혈(陽白穴)을 가(加)하고

② 정수리가 아픈 전정두통(巓頂頭痛) : 백회혈(百會穴), 전정혈(前頂 穴)을 가(加)하며,

③ 뒷머리가 아픈 후두통(后頭痛) : 천주혈(天柱穴), 후정혈(后頂穴)을 가(加)하며,

④ 옆머리가 아픈 편두통(偏頭痛) : 솔곡혈(率谷穴), 태양혈(太陽穴)을 가(加)한다.


2. 내상두통(內傷頭痛)

1) 간양두통(肝陽頭痛)

증상(症狀) : 간양두통은 간(肝)의 양기(陽氣)가 위로 치솟는 간양상항(肝陽上亢)으로 두통

(頭痛)이 일어나는데 대부분 풍열(風熱)을 동반해서 소양경(少陽經)을 따라

위로 올라오기 때문에 두통은 이마의 양각(兩角)중에서 대체로 한쪽에 나타

난다. 정서변화(情緖變化), 정신긴장(精神緊張) 즉 스트레스에 예민(銳敏)하

고, 엄중(嚴重)해지는 경향이 높다. 두통(頭痛)은 잡아 뽑는 듯, 당기는 듯한

추통(抽痛)이 일고, 머리가 앗찔하고 어지러운 현운(眩暈)과 초조해 하고 버럭

화를 내는 심번역노(心煩逆怒)와 눈동자가 불고 입 안이 쓴 목적구고(目赤口

苦), 안면이 붉고 열감이 있는 면부홍열(面部紅熱) 설질이 붉고, 맥은 현(弦)하

다.

- 천마구등음(天麻鉤藤飮) 증(證)

치칙(治則) : 간(肝)을 편안하게 하여 치솟는 기(氣)를 안정시키는 평간강역(平肝降逆)과 양

기(陽氣) 간을 잠재워 떠도는 풍사(風邪)를 제거(除祛)하는 식풍잠양(熄風潛

陽)의 사법(瀉法)으로 치료한다.

처방(處方) : 현로(懸顱), 함염(頷厭), 태충(太冲), 태계(太溪).

방의(方義) - ① 현로혈(懸顱穴) 함염혈(頷厭穴) : 청열식풍(淸熱熄風), 진통(鎭痛)

② 태충(太冲) : 평간(平肝)하고

③ 태계(太溪) : 신장을 보하여(補腎) 부족한 음기(陰氣)를 키워서 홀로 상승하

는 양기(陽氣)를 잠재우는 육음잠양(育陰潛陽)의 작용을 구한

다.

대증치료(對症治療)

① 눈동자가 붉운 목적(目赤) : 관충혈(關冲穴)에서 방혈(放血)하여 설열(泄熱)시키고,

② 면부열증(面部熱證) : 내정혈(內庭穴)을 加하여 양명열(陽明熱)을 제거(除祛) 한다.

2) 담탁두통(痰濁頭痛)

증상(症狀) : 양미간(兩眉間)의 앞머리가 아픈 전두통(前頭痛)은 무었으로 잡아맨 듯이 아

프며, 가슴과 위가 답답하고, 속이 울렁거리는 오심(惡心)과 구토(嘔吐)하고,

침을 흘리는 류연(流涎)과 설사(泄瀉)를 하고 설상는 희고 진득한 태가 끼었으

며 맥은 활(滑)하다.

-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증(證)

치칙(治則) : 탁기(濁氣)를 아래로 내려보내고 담을 삭히는 화담강탁(化痰降濁)과 경락(經

絡)을 소통(所通)시켜서 통증(痛證)을 멈추게 하는 통락지통(通絡止痛)법으로

임맥(任脈), 독맥(督脈), 족양명경혈(足陽明經穴)을 위주로 하는 사법(瀉法)으

로 치료(治療)한다.

처방(處方) : 중완(中脘), 풍륭(豊隆), 백회(百會), 인당(印堂).

방의(方義) - ① 中脘穴 배합(配合) 豊隆穴 : 비위의 운화기능을 건전하게 하는 건운비위(健

運脾胃)와 탁기(濁氣)를 아래로 내려보내며 담(痰)을 감소(减消)하는 강탁

화담(降濁化痰)을 하고,

② 百會穴 배합(配合) 印堂穴 : 맑은 양기(陽氣)를 발산 시키게 하는 선발청양

(宣發淸陽)과 경락(經絡)을 소통(所通)시켜서 통증을 멈추게 하는 통락지

통(通絡止痛)을 시킨다.

대증처방(對證處方)

① 구토(嘔吐)를 하는 경우에는 : 내관혈(內關穴) 가(加)하여 화위지구(和胃止嘔)하고,

② 설사(泄瀉)에는 : 천추혈(天樞穴)을 가(加)하여 장을 조절하여 설사를 멈추게 하는 조장

지사(調腸止瀉)케 한다.

3) 혈허두통(血虛頭痛)

증상(症狀) : 혈(血)이 부족해서 오는 현기증을 동반한 두통(頭痛)이다. 주로 오랜 병을 앓

고 난 후이거나 산후(産后)에 출혈(出血)이 있은 후에 또는 부녀(婦女)의 붕루

(崩漏)와 같이 출혈량(出血量)이 많은 출혈을 한 후에 발생하는 두통(頭痛)이

다. 따라서 휴식을 취하지 않으면 통증이 멈추지 않는다. 휴식(休息)을 취하면

통증이 감소(痛减) 되고 피로(疲勞)하면 두통이 심(甚)하고 가슴이 두근거리

는 심계(心悸)가 잃고, 면색(面色)은 윤기가 없으며 설질(舌質)은 담(淡)하고

맥(脈)은 세(細)하다.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증(證)

치칙(治則) : 보기(補氣)하고 양혈(養血)하며, 행기(行氣)하고 활혈(活血)해서 경락(經絡)을

조화(調和)롭게 잘 소통(所通) 시킴으로 통증(痛證)을 멈추게 하는 화락지통

(和絡止痛)의 보법(補法)으로 치료(治療)한다.

처방(處方) : 상성(上星), 혈해(血海),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방의(方義) - ① 상성혈(上星穴) : 독맥(督脈)을 소통시키고, 경락을 조화롭게 하여 통증을

멈추게 하는 독맥소 도(督脈疏道) 화락지통(和絡止痛) 작

용 을 한다.

② 족삼리(足三里), 혈해(血海) : 비위(脾胃)를 건전하게 보(補)하여, 익기(益氣)

하고 양혈(養血)을 도모하여 기혈(氣血)을 충

족(充足)시키게 하며, 혈은 골수(骨髓)를 산생(産生)시키고, 뇌(腦)는 수해

(髓海)이 므로, 보기보혈(補氣補血)은 자연 뇌(腦)를 보양(補養)하게 되고 따

라서 두통(頭痛)이 정지(停止) 된다.

4) 어혈두통(瘀血頭痛)

증상(症狀) : 두부(頭部)의 혈관(血管)에 혈이 엉킴으로 해서 혈(血)의 소통(所通)이 어려워

저 발생하는 두통으로 바늘로 찌르는 듯한 자통(刺痛)이 있으며, 쉽게 낫지 않

고, 통처(痛處)가 고정(固定)된 것이 특징이다. 시물(視物)이 모호(模糊)하거나

혹은 눈앞이 캄캄한 목현(目眩)이 발생하고, 기억력(記憶力)이 감퇴(减退)된

다. 설질(舌質)은 자암(紫暗)하고 맥은 세삽(細澁)하다. - 통규활혈탕(通竅活血

湯) 증(證)

치칙(治則) : 혈관(血管)안에 혈이 잘 소통(所通)되도록 해서 엉킨 피 를 풀어주는 활혈화어

(活血化瘀)와 혈(血)을 따라 기(氣)를 소통(所通)시켜서 통증을 멈추게 하는 행

기정통(行氣定痛)의 평보평사법(平補平瀉法)으로 치료(治療)한다.

처방(處方) : 아시혈(阿是穴), 합곡(合谷), 삼음교(三陰交).

방의(方義) : 어혈두통(瘀血頭痛)은 대부분 외상(外傷) 혹은 오랜 통증(痛證)으로 락맥(絡

脈)에 축혈(蓄血)되어 발생되기 때문에

① 아시혈(阿是穴)을 취(取)하여 경락(經絡)을 소통(所通)시키며, 활혈화어(活

血化瘀)하여 지통(止痛)시킨다.

② 합곡(合谷) 삼음교(三陰交) : 두 혈(穴)을 배합(配合)하여 행기(行氣)하고 활

혈(活血)케하여 화어(化瘀)시키면 자연히 지통(止痛)된다.

대증처방(對證處方)

① 미능골통(眉陵骨痛) 즉 전두통(前頭痛) : 찬죽혈(攢竹穴)을 加하고

② 편두통(偏頭痛) : 태양혈(太陽穴)을 가(加)하며,

③ 후두통(后頭痛) : 계맥혈(瘈脈穴)을 가(加)하고,

④ 정수리의 전정두통(巓頂頭痛) : 사신총혈(四神聰穴)을 가(加)한다.

침법(針法) : 보법(補法)과 사법(瀉法)을 겸용(兼用)하는 평보평사법(平補平瀉法)으로 한

다.

아시혈(阿是穴) : 출침시(出針時)에 침구멍을 막지 않으며 출혈을 시킨다.

합곡(合谷) : 보법(補法)을 사용하여 행기(行氣)케 한다.

삼음교(三陰交) : 사법(瀉法)을 사용해서 활혈(活血)케 하여 화어지통(化瘀止痛)의 목적을

달성(達成)시킨다


3 主治穴(주치혈) 臨床應用(임상응용)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前頭痛 : 眉陵骨痛(미능골통)

方葯 : 白芷(백지), 葛根(갈근), 知母(지모).

足陽明胃經 : ① 頭維(두유,足少陽의 會).

②上下配穴法 : 上病下取(상병하취) - 解溪(해계).

③④⑤⑤

足太陽膀胱經 : ① 眉冲(미충), 上星(상성).

攢竹(찬죽) 眉冲(미충), 曲差(곡차), 五處(오처) 飛揚(비양絡).

③ 攢竹透魚腰(찬죽투어요), 風池(풍지), 合谷(합곡).

④ 通天(통천), 太陽(태양), 風池(풍지), 合谷(합곡).

⑥⑦⑧⑨⑩

足少陽膽經 : ① 本神(본신), 陽白(양백). 督脈 : 印堂(인당), 上星(상성), 神庭(신정).

② 左側 頭角痛 - 右側(우측) 陽陵泉(양능천), 俠溪(협계).

③ 右側 頭角痛 - 左側(좌측) 陽陵泉(양능천), 俠溪(협계).

④ 陽白(양백), 內庭(내정).

足少陰腎經 : ① 上下配穴法 : 上病下取(상병하취) - 湧泉(용천)

督脈 : ① 百會(백회), 太陽(태양).

② 上星(상성), 頭維(두유), 攢竹(찬죽).

頭頸部奇穴 : ① 印堂(인당), 太陽(태양), 風池(풍지).

② 印堂(인당), 太陽(태양), 列缺(열결).

③ 或 : 印堂(인당), 上星(상성), 頭維(두유), 太陽(태양) - 合谷(합곡), 列缺(열

결), 阿是穴(아시혈), 率谷(솔곡), 頭維(두유), 太陽(태양), 風池(풍지),

風府(풍부), 風池(풍지), 天柱(천주).

2) 頭頂痛(두정통) - 頂頭痛(정두통)

♧ 方葯 : 藁本(고본), 白芷(백지), 川芎(천궁).

足太陽膀胱經 : ① 承光(승광), 通天(통천).

足少陰腎經 : ① 湧泉(용천,井).

② 湧泉(용천), 太冲(태충).

③ 承靈(승령), 百會(백회), 太冲(태충).

督脈 : ① 百會(백회,手足三陽經과 交會), 前頂(전정), 후정(后頂), 顖會(신회).

② 百會(백회), 印堂(인당), 太陽(태양), 合谷(합곡).

③ 百會(백회), 太冲(태충), 通天(통천).

④ 百會(백회), 至陰(지음).

⑤ 或 : 百會(백회), 前頂(전정), 上星(상성), 四神聰(사신총).

頭面部 : ① 四神聰(사신총).

上下配穴法 : 上病下取 - ① 湧泉(용천).


3) 后頭痛 (후두통)

♧ 方葯 : 川芎(천궁), 羌活(강활), 蔓荊子(만형자). . . .

足陽明胃經 : ① 樞(천추), 后溪(후계), 崑崙(곤륜).

足太陽膀胱經 : ① 玉枕(옥침), 天柱(천주), 殷門(은문), 崑崙(곤륜,經).

足少陽膽經 : ① 完骨(완골), 腦空(뇌공), 風池(풍지,手足少陽,陽兪脈의 交會).

② 腦空(뇌공), 腦戶(뇌호), 風池(풍지), 崑崙(곤륜).

③ 足竅陰(족규음), 后溪(후계).

④ 風池(풍지), 后溪(후계)

督脈 : ① 大椎(대추,手足三陽經의 交會), 風府(풍부,太陽經,陽兪脈과의 交會), 啞門(아문,陽

兪,脈과 交會), 腦戶(뇌호,太陽經과 交會),

4) 側頭痛 : 偏頭痛(편두통)

♧ 方葯 : 柴胡(시호), 川芎(천궁), 黃芩(황금). . . .

足陽明胃經 : ① 頭維(두유,足少陽의 會).

頭維(두유), 列缺(열결).

③ 頭維(두유), 陽輔(양보).

足太陽膀胱經 : ① 至陰(지음), 太陽(태양), 列缺(열결).

手厥陰心包經 : ①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陰兪脈).

手少陽三焦經 : ①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天井(천정,合), 瘈脈(계맥),

顱息(로식), 耳和髎(이화료), 耳門(이문), 絲竹空(사죽공).

② 外關(외관), 足臨泣(족림읍).

③ 瘈脈(계맥), 頭維(두유).

④ 耳和髎(이화료), 風池(풍지), 太陽(태양).

⑤ 絲竹空(사죽공), 中渚(중저), 風池(풍지).

足少陽膽經 : ① 瞳子髎(동자료), 攢竹(찬죽), 風池(풍지), 陽輔(양보).

② 頷厭(함염), 太陽(태양), 風池(풍지), 列缺(열결).

③ 懸顱(현로), 風池(풍지), 太陽(태양), 外關(외관).

④ 懸厘(현리), 風池(풍지), 太陽(태양), 外關(외관).

⑤ 率谷(솔곡), 合谷(합곡), 通谷(통곡), 太陽(태양).

⑥ 天冲(천충), 風池(풍지), 太陽(태양).

⑦ 浮白(부백), 風池(풍지), 太陽(태양), 外關(외관).

⑧ 正營(정영), 外關(외관), 風池(풍지), 頭維(두유).

⑨ 陽輔(양보), 風池(풍지), 太陽(태양), 外關(외관).

⑩ 懸鍾(현종), 俠溪(협계), 風池(풍지).

⑪ 足臨泣(족림읍), 中渚(중저), 風池(풍지), 太陽(태양).

⑫ 足竅陰(족규음), 心輸(심수), 內關(내관), 神門(신문).

⑬ 瞳子髎(동자료,交會-手太陽經), 上關(상관), 頷厭(함염), 懸顱(현로), 懸厘

(현리), 曲鬢(곡빈), 率谷(솔곡), 完骨(완골), 目窗(목창), 正營(정영), 光明(광

명,絡-厥陰經), 陽輔(양보), 懸鍾(현종,足三陽經과 ,連絡,髓會), 足臨泣(족림

읍,輸), 俠溪(협계,滎).

督脈 : ① 后頂(후정).

頭頸部奇穴 : ① 四神聰(사신총), 太陽(태양), 安眠(안면).

② 太陽(태양), 率谷(솔곡), 風池(풍지).

上肢部奇穴 : ① 落枕(낙침,項强).

上下配穴法 : ① 上病下取(상병하취) - 俠溪(협계).

5) 全頭痛(전두통)

手太陰肺經 : ① 列缺(열결,絡-陽明經,八脈交會穴,通任脈).

② 列缺(열결), 后溪(후계).

手陽明大腸經 : ① 合谷,原), 陽溪(양계,經), 溫溜(온유,郄), 下廉(하렴), 上廉(상렴),, 迎香(영

향,會).

② 二間(이간), 三里(삼리), 合谷(합곡).

③ 巨骨(거골), 風池(풍지), 絶骨(절골).

足陽明胃經 : ① 頭維(두유), 豊隆(풍륭,絡-太陰經), 冲陽(충양), 解溪(해계).

② 頭維(두유), 大陵(대능).

③ 解溪(해계), 합곡(合谷).

足太陰脾經 : ① 大都(대도,滎), 太白(태백,輸,原).

手少陰心經 : ① 靑靈(청령), 神門(신문).

手太陽小腸經 : ① 少澤(소택,井), 腕骨(완골,原), 后溪(후계,輸).

② 后溪(후계), 風池(풍지), 百會(백회), 太陽(태양).

足太陽膀胱經 : 攢竹(찬죽), 眉冲(미충), 曲差(곡차), 五處(오처), 承光(승광), 通天(통천),

天柱(천주), 大杼(대저), 飛揚(비양), 跗陽(부양), 崑崙(곤륜), 申脈(신맥,

陽交脈의 起始部, 八脈交會穴, 通陽交脈), 京骨(경골,原), 束骨(속골,輸),

足通谷(족통곡,滎), 至陰(지음,井).

① 攢竹(찬죽), 頭維(두유).

② 五處(오처), 合谷(합곡), 百會(백회).

③ 承光(승광), 解溪(해계),

④ 天柱(천주), 風池(풍지), 百會(백회), 太陽(태양), 合谷(합곡).

⑤ 腎輸(신수), 肝輸(간수), 心輸(심수), 神門(신문), 風池(풍지).

⑥ 申脈(신맥), 金門(금문).

⑦ 束骨(속골), 天柱(천주).

⑧ 足通谷(족통곡), 合谷(합곡), 率谷(솔곡).

手少陽三焦經 : 關冲(관충,井), 液門(액문,滎), 中渚(중저,輸), 外關(외관,絡-厥陰經, 八脈

交會穴,通陽兪脈), 四瀆(사독), 淸冷淵(청냉연), 消濼(소락), 天牖(천유),

瘈脈(계맥), 顱息(로식), 角孫(각손), 絲竹空(사죽공).

① 顱息(로식), 太陽(태양).

② 三陽絡(삼양락), 風池(풍지).

③ 四瀆(사독), 風池透風池(풍지투풍지), 太陽透率谷(태양투솔곡).

足少陽膽經 : 瞳子髎(동자료), 聽會(청회), 天冲(천충), 浮白(부백), 完骨(완골), 本神(본

신), 頭臨泣(두림읍), 目窗(목창), 承靈(승령), 腦空(뇌공), 風池(풍지), 陽交

(양교), 足臨泣(족림읍,輸,八脈交會穴,通 帶脈), 地五會(지오회), 俠溪(협

계,滎), 足竅陰(족규음,井)과 交會), 大椎(대추), 啞門(아문, 頭重), 風府(풍

부), 腦戶(뇌호), 后頂(후정), 囟會(신회), 上星(상성), 上星(상성, 目眩), 神

庭(신정).

① 上關(상관), 風池(풍지), 太陽(태양), 合谷(합곡).

② 天冲(천충), 百會(백회), 頭維(두유).

③ 目窗(목창), 天冲(천충), 風池(풍지).

④ 足臨泣(족림읍), 風池(풍지), 豊隆(풍륭).

⑤ 外丘(외구,郄).

任脈 : 承漿(승장), 風府(풍부).

督脈 : ① 大椎(대추), 曲池(곡지), 外關(외관), 合谷(합곡), 風池(풍지).

② 風府(풍부), 百會(백회), 太陽(태양).

③ 후정(后頂), 백회(百會), 합곡(合谷).

④ 前頂(전정), 后頂(후정), 頷厭(함염).

⑤ 神庭(신정), 上星(상성), 睛明(정명), 前頂(전정), 太陽(태양).

頭頸部奇穴 : ① 四神聰(사신총), 印堂(인당), 太陽(태양), 安眠(안면), 翳明(예명).

② 太陽(태양), 風池(풍지), 印堂(인당), 列缺(열결), 頭維(두유), 攢竹(찬죽).

③ 太陽(태양), 頭維(두유), 風池(풍지), 率谷(솔곡).

④ 太陽(태양), 列缺(열결).

下肢部奇穴 : ① 八邪(팔사), 八風(팔풍), 上八風(상팔풍).

4. 辨證取穴(변증취혈)

1) 頭脹痛(주창통) :

1) 手厥陰心包經 - ① 中冲(중충), 命門(명문).

2) 寒熱頭痛 : 手少陽三焦經 - ① 陽池(양지), 風門(풍문), 大椎(대추), 天柱(천주).

3) 感明 因起 頭痛 : 頭頸部 - ① 太陽(태양), 印堂(인당), 合谷(합곡).

4) 心性頭痛 - 手太陽小腸經 : ① 少澤(소택,井).

5) 神經性頭痛(신경성두통)

足太陽膀胱經 : ① 곤륜(崑崙,經), 申脈(신맥,陽交脈의 起始部, 八脈交會穴, 通陽交脈).

足少陰腎經 : ① 湧泉(용천,井). 手少陽三焦經 : 絲竹空(사죽공).

足少陽膽經 : ① 竅陰(규음,井).

督脈 : ① 百會(백회,手足三陽, 督脈의 會), 啞門(아문,督脈,陽維의 會).

經外寄穴 : ① 太陽(태양).


5. 感冒頭痛(감모두통)

① 感冒頭痛(감모두통) : 外關穴(외관혈) - 蘭江賦

② 바람을 쏘여서 얼굴이 빨간 같고 열이 나며 두통이 있다.- 西江月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通里(통리), 曲池(곡지), 絶骨(절골), 合谷穴(합곡혈)에 針刺한다.

③ 바람을 쏘여서 四肢가 답답하게 熱이 나며, 頭痛이 있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經渠(경거), 曲池(곡지), 合谷(합곡), 委中穴(위중혈)에 針刺한다.

④ 頭痛 - 極甚(극심) 不可忍耐(불가인내) : 絲竹空穴(사죽공혈) - 痛玄指要賦

⑤ 頭痛 - 眩暈(현운) : 百會(백회) - 勝玉歌

⑥ 머리가 아파서 숙일 수가 없을 때

處方 : 先刺 - 申脈穴(신맥혈),

后刺 - 申脈(신맥), 金門(금문), 承漿(승장)- 西江月

⑦ 腎虛頭痛(신허두통) - 머리가 무거워서 들 수가 없을 때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腎兪(신수), 百會(백회), 太谿(태계), 列缺穴(열결혈)에 針刺한다.

⑧ 寒痰頭痛(한담두통) - 머리와 눈이 어지럽다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大敦(대돈), 肝兪(간수), 百會穴(백회혈)에 針刺한다.


6. 前頭痛(전두통)

① 兩眉間痛症 : 攢竹穴(찬죽혈), 皮膚淺刺(피부천자) - 玉龍歌

② 양쪽 눈썹 뼈가 아픈 것이 낫지 않으면

處方 : 先刺 - 后溪穴(후계혈),

后刺 - 攢竹(찬죽), 陽白(양백), 印堂(인당), 合谷(합곡), 頭維穴(두유혈) - 西江月


7. 頂頭痛(정두통) : 머리 꼭데기가 아픈 頭痛

① 瀉 列缺穴(열결혈) - 靈光賦

② 申脈穴(신맥혈) - 蘭江賦

③ 金針用 絲竹空穴(사죽공혈) 透 率谷穴(솔곡혈) - 玉龍歌

④ 머리 꼭대기가 아픈 頂頭痛(정두통)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上星(상성), 百會(백회), 腦空(뇌공), 湧泉(용천), 合谷穴(합곡혈)에 針刺한다.

⑤ 頭痛(두통) - 정수리통(頂頭痛(정두통), 心痛(심통), 目暝(목명) : 湧泉穴(용천혈) - 肘后歌


8. 偏頭痛(편두통)

① 申脈穴(신맥혈) - 蘭江賦

② 瀉 列缺穴(열결혈) - 靈光賦 111面

③ 金針用 絲竹空穴(사죽공혈) 透 率谷穴(솔곡혈) - 玉龍歌 131面

7. 偏頭痛(편두통)과 頂頭痛(정두통)으로 양쪽 이마가 아프면

處方 : 先刺 - 后溪穴(후계혈),

后刺 - 列缺(열결), 合谷(합곡), 太陽穴(태양혈)의 붉은 血脈(혈맥)을 찌르고, 頭臨泣(두

림읍), 絲竹空穴(사죽공혈)을 治療한다. - 西江月


☞ 偏頭痛(편두통)과 頂頭痛(정두통) 에는 두 種類가 있다.

1) 有痰飮(유담음) : 風池穴(풍지혈) - 風池(풍지) 透 風府穴(풍부혈)

2) 无痰飮(무담음) : 合谷穴(합곡혈) - 合谷(합곡) 透 勞宮穴(노궁혈)

3) 左病右取(좌병우취) 右病左取(우병좌취) : 瀉 列缺穴(열결혈) 太淵穴(태연혈) - 雜病穴法


① 偏頭痛(편두통) : 懸顱穴(현로혈) 頷厭穴(함염혈) 中間에 있다. - 百症賦

② 偏頭痛(편두통) : 金針으로 絲竹空(사죽공) 透 率谷穴(솔곡혈) - 玉龍


8. 五行針(오행침) - 舍巖道人鍼灸要訣

1) 沐后頭痛(목후두통)

見症 : 머리를 감고 나면 頭痛이 생기는 症

處方 : 肺冷(폐냉)-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 少府(소부) 魚際(어제) 瀉.

2) 頭項痛(두항통)

見症 : 頭痛(두통)과 項痛(항통)이 同時에 나는 症

處方 : 肝弱(간약) - 陰谷(음곡) 曲泉(곡천) 補, 中封(중봉) 經渠(경거) 瀉.

3) 眉陵骨痛(미능골통)

見症 : 눈섭노리(前頭痛)가 몹시 아픈症

處方 : 三焦實(삼초실) - 通谷(통곡) 液門(액문) 補, 臨泣(림읍) 中渚(중저) 陽池양지) 瀉.

4) 偏頭痛(편두통)

見症 : 左側(좌측) 혹 右側(우측)중에 一側頭痛(일측두통)

處方 : 風池(풍지) 絶骨(절골) 瀉. (左痛則右(좌통칙우), 右痛則左(우통칙좌).

5) 眞頭痛(진두통) 腦膜炎(뇌막염)

見症 : 腦(뇌)는 髓(수)의 海(해)로서 眞氣(진기)의 所聚處(소취처)인지라 卒然(졸연)이 邪

(사)를 受(수)치 않게 되는데 만일 邪(사)를 受(수)하면 不治(불치)가 됨으로 朝發

(조발)하면 夕死(석사)하고 夕發(석발)하면 朝死(조사)하게 되는 證(증)으로서 洋

醫所謂(양의소위) 腦膜炎(뇌막염)이 그것이다.

腦膜炎(뇌막염) - 아침에 病發(병발)하면 저녁에 죽고, 저녁에 病發(병발)하면 아

침에 죽게 된다.

處方 : 中脘(중완) 補, 氣海(기해) 瀉.

9. 피부침 (皮膚針) :

피부침(皮膚針)에는 침 바늘이 5개인 매화침(梅花針), 7개인 칠성침(七星針) 18개가 있는 라

한침(羅漢針) 등 3종류가 있다. 조작방법 및 기타에 관해선 필자의 침구사전(針灸辭典)을 참

고 하시오! -

處方 : 각종 두통(頭痛)에 사용되며 유관된 경맥(經脈)에서 거리가 먼 경맥순행선(經脈循行

線) 및 민감(敏感)한 부위를 두드린다.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頭(두)는 天(천)의 象(상)이요 陽(양)의 分(분)으로서 六腑淸陽(육부청양)의 氣(기)

와 五臟精化(오장정화)의 血(혈)이 모두 高巓(고전)에 朝會(조회)하게 된다. 天氣

(천기)에서 發(발)하는 六淫(육음)의 邪(사)와 人氣(인기)에서 變(변)하는 五賊(오적)의 運

(운)이 모두 能(능)히 犯上(범상)하여 災害(재해)가 돼서혹은 그의 淸明(청명)을 가리고 혹은

그의 經隧(경수)를 막아서 精氣(정기)로 더불어 相搏(상박)하게 되므로 鬱而成熱(울이성열)

하면 脈滿而痛(맥만이통)하게 되는데 만일 邪氣(사기)가 稽留(계류)해도 또한 脈滿而痛(맥

만이통)하게 되나니 이것은 모두 實(실)이오 만일 寒濕(한습)의 侵襲(침습)을 받았다면 비록

正氣(정기)가 衰微(쇠미)하여 相搏成熱(상박성열)이 안 되었다 하더라도 邪(사)가 外(외)에

襲(습)하면 血凝脈縮(혈응맥축)이 되어가지고 所絡(소락)이 收引而痛(수인이통)하게 되므

로 溫(온)하게 하면 痛勢(통세)가 减(감)해지나니 이것은 虛(허)이다. 風(풍)으로 인하여 痛

(통)한 자는 風(풍)을 싫어하나 혹은 땀이 저절로 나기도 하고, 暑(서)로 인하여 痛(통)한 자

는 혹은 땀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나 모두 熱(열)을 싫어하며 耳(이)와 額(액)이 脹痛(창통)

하고 濕(습)으로 인하여 痛(통)한 자는 머리가 반드시 무거우나 陰雨(음우)를 만나면 더욱

심하며 痰飮(담음)으로 인하여 痛(통)한 자는 또한 昏重(혼중)하고 아프며 속이 매식매식(憒

憒, 惡心)하여 토할 것 같으며 寒(한)을 싫어하고 氣虛(기허)로 인하여 痛(통)한 자는 勞苦(노

고)를 만나면 더하고 血虛(혈허)로 인하여 痛(통)한 자는 痛勢(통세)가 魚尾(어미, 項後髮際

兩房角處(항후발제양방각처))까지 連(연)하며 놀래기를 잘하고(易驚), 그 맥이 芤(규) 혹은

沉(침), 數(삭)한 것이 通例(통예)이다. 그런데 頭痛(두통)의 원인이 참으로 많거늘 古方(고

방)에서 항상 風藥(풍약)을 쓴 것은 頭(두)는 高巓之上(고전지상)인지라 오직 風藥(풍약)이

래야만 到達(도달)하게 되나니 味(미)가 薄(박)한 것은 陰中(음중)의 陽(양)으로서 地(지)로

부터 天(천)에 昇(승)하여 風, 寒, 濕(풍,한,습)의 患者(환자)에게는 꼭 써야 되는 것인데 虛

(허)와 熱(열)한 자도 또한 假用(가용)하여 引經(인경)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夏熱耳鳴(하열이명), 病在心而痰厥(병재심이담궐), 秋寒骨痛(추한골통), 冷在肺而腎傷(냉

재폐이신상), 氣痛如頗(기통여파), 心痛似狂(심통사광)」이니 하여 上(상)의 六法(육법)을 제

시하였다.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1) 한 男子(남자)가 年四十餘(연사십여)에 頭面(두면)이 盡痛(진통)라되 頸項(경항)이 尤甚

(우심)함으로 陰谷(음곡) 曲泉(곡천) 補(보), 經渠(경거) 中封(중봉) 瀉(사)한지 數日(수일)

에 半減(반감)하고, 又數日(또 우수일)에 快祛(쾌거)하였다. 偏頭痛(편두통)이라 하는 것

은 한쪽만 아픈 것으로서 아프지 않은 쪽 絶骨(절골)만 單瀉(단사)하여도 병이 낫더라.

2) 한 사람이 한쪽 눈에 眼疾(안질)이 大作(대작)하고 그 쪽 골치가 또한 아픈지라 大敦(대

돈) 少衝(소충) 補(보), 太白(태백) 太淵(태연) 瀉(사) 하였더니 兩病(양병)이 全快(전쾌)하

다.

3) 한 婦人(부인)이 年四十餘(연사십여)에 오른쪽 偏頭痛(편두통)이 심한지가 이미 十餘年

(십여년)이라니 左邊(좌변) 絶骨(절골)을 瀉(사)한지 數日(수일)에 병이 낫더라.

4) 한 女子(여자)가 恒時(항시) 頭(두), 혹은 頸項(경항)에 痛感(통감)이 심하고 發作時(발작

시)에는 혹은 깜작깜작 놀래며 擧眼視物(거안시물)이 不能(불능)한데 듣건대 十歲前後

(십세전후)에 頸項痛(경항통)이 있었다 한다. 비록 肝候(간후)와 비슷하나 大膓證(대장

증)이 있으므로 正格(정격)을 썼더니 効驗(효험)이 있더라. 頭痛(두통)은 원래 大膓證(대

장증)이 없는 것인데 頸項痛(경항통)은 治病(치병)하는 자가 반듯이 肝經(간경)인가 의

심함으로 風門(풍문)에「體氣虛弱(체기허약), 風必傷腑(풍필상부)」의 證(증)을 引用(인

용)하여 解明(해명)해둔다.


6. 辨證取穴(변증취혈)

1) 偏頭痛(편두통, migraine)

⑴ 風池(풍지), 頭維(두유), 本神穴(본신혈)에 침을 놓되 左側頭痛(좌측두통)은 右側穴(우측

혈)에 針刺(침자)하고, 右側頭痛(우측두통)은 左側穴(좌측혈)에 針刺(침자)한다. 모두

10차 呼氣(호기)하는 동안 留針(류침)한다. 氣(기)를 끌어당기면 곧 나으니 神効(신효)

하다.

⑵ 양쪽 눈초리에서 곧게 올라가 살쩍 부위의 動脈(동맥)이 만져지는 곳에 각각 뜸을 3장

씩 뜨면 곧 効驗(효험)이 나타난다.

2) “腎厥頭痛, 筋攣, 驚恐, 不嗜臥” (신궐두통, 근련, 경공, 불기와) 신기(腎氣)가 치밀고 올라

와서 생기는 두통, 연조직(軟組織)이 손상(損傷)되거나 풍한사(風寒瀉)를 받아서 생기는

간대성 경련(clonic convulsion), 무서워하고 잘 놀라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증

處方 : 관원(關元), 신수(腎兪), 절골(絶骨), 내관(內關), 담수혈(膽兪穴) 등에 뜸 - 許任 -




33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