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47 늑간신경통 (肋間神經痛)

Aktualisiert: 9. Apr. 2022


늑간신경통 (肋間神經痛) - 늑골통 (肋骨痛) - 늑막염 (肋膜炎)


늑간신경통 (肋間神經痛 Intercodtal neuralgia)

늑간신경통(Intercostal neuralgia)은 진성과 증후성으로 분류되며 원인이 불명인

것은 진성 또는 특발성이라고 하며 원인을 알고 있는 것을 증후성이라고 한다. 증

후성인 것은 胸部疾患(흉부질환), 胃腸疾患(위장질환), 肝臟疾患(간장질환) 등의

수반증상으로 일어나는 것을 위시하여 척추의 측망 후망 Karies 등의 정형외과질

환에서 오는 것이 있는가 하면 梅毒性(매독성), 脊髓炎(척수염). 肋骨骨絶(륵골골

절), 胸部打撲(흉부타박) 등에서도 온다.

일반적으로 단일신경이 침범되는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수개의 신경이 동시에 침

범될 때도 있다.

발현부위는 주로 좌측 젖가슴 밑이 많기 때문에 간혹 심장병이나 협심증으로 착각

하는 경우도 있다.

동통의 성질은 일반 신경통과 같지만 심호흡이나 하품(Yawn)이 불가능하며 기침

을 할 때 몹시 고통을 호소하고 또한 기동(특히 누운 상태에서 일어날 떄)이 부자

유 스럽다.

治療 : 주치경은 주로 膽經(담경) - 三焦經(삼초경)을 1대로 치료하며, 주치혈의 선혈은

壓痛点(압통점)을 위주로 選穴한다. 刺針(자침)의 技法(기법)은 가능한 斜刺(사자)

를 원칙으로 한다. 만일 深刺(심자)하여 肋膜을 刺傷하면 특발성 氣胸을 일으켜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대도 있으니 주의할 점이다.

1. 參照文(참조문)

1) 脇痛 (협통)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中府(중부,募), 尺澤(척택).

足陽明胃經 : 缺盆(결분), 氣戶(기호), 庫房(고방), 屋翳(옥예), 𥊹窗(응창), 不容(불용), 乳

根(유근), 下巨虛(하거허,小腸의 下合穴).

足太陰脾經 : 食竇(식두), 胸鄕(흉향), 周榮(주영), 大包(대포).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 少海(소해,合).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輸,八脈交會穴,通督脈), 天容(천용).

足太陽膀胱經 : 厥陰兪(궐음수), 心兪(심수,患門穴), 肝兪(간수), 神堂(신당), 譩譆(의희),

膈關(격관).

足少陰腎經 : 腹通谷(복통곡), 幽門(유문), 步廊(보랑), 神封(신봉), 靈墟(령허), 神藏(신

장).

手厥陰心包經 : 天池(천지),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陰兪脈), 大陵(대능,輸,

原).

手少陽三焦經 : (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支泃(지구,經).

足少陽膽經 : 淵腋(연액), 日月(일월), 京門(경문), 陽陵泉(양능천,合,筋會), 陽交(양교,陽

維의 郄), 足臨泣(족림읍,輸,八脈交會穴,通帶脈), 俠溪(협계,滎), 足竅陰(족

규음,井).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滎), 기문(期門,足太陰,陰兪脈과 交會, 肝의 募穴).

任脈 : 膻中(전중,足太陰,足少陰,手太陽,手少陽과 交會), 玉堂(옥당), 華盖(화개).

督脈 : 筋縮(근축), 至陽(지양), 神道(신도).

2) 臨床(임상)

證狀 : 바늘로 찌르는 뜻한 통증(刺痛)이 나거나, 불로 지지는 뜻한 통증(灼痛)이 나기

도 하고, 마치 칼로 베는 뜻한 동증(刀害樣痛)이 나는 경우가 있다.

☞ 肋間神經炎(늑간신경염)은 肋間神經痛(늑간신경통)과 다른 영역의 질병이다.

예로 肋膜炎(륵막염), 肺炎(폐염), 肋軟骨炎(늑연골염), 胸外傷(흉외상), 肋骨骨

折(肋骨骨折(늑골골절) 등

⑴ 風熱阻絡(풍열조락)

證狀 : 통증이 극에 달하고(極痛), 주로 겨드랑이 밑에서 나고(腋下爲主) 추웠다

더웠다하며(寒熱), 코가 막히다(鼻塞).

治則 : 풍열이 멈추지 않고 흐르게 해서 맑게 하다(淸熱疏風).

處方 : 風池(풍지), 曲池(곡지), 外關(외관).

⑵ 肝鬱氣滯(간울기체)

證狀 : 뚱뚱하게 부르며 아프고(脹痛), 아픈 곳이 고정되지 않고 옮겨 다니며, 가

슴이 답답하고 괴롭다(胸悶)

治則 : 기를 다스려 간기가 통하게 하다(疏肝理氣).

處方 : 行間(행간), 丘墟(구허), 蠡泃(려구).

⑶ 瘀血內停(어혈내정)

證狀 : 바늘로 찌르는 뜻한 통증(刺痛)이 있고, 가슴이 답답하며(胸悶), 가래가 많

다(痰多).

治則 : 혈을 활기 있게 하여 어혈을 제거(活血化瘀)한다.

處方 : 肝兪(간수), 腎兪(신수), 膈兪(격수).

⑷ 瘀飮留肋(어음유늑)

證狀 : 은은하게 아프며(隱痛), 가슴이 답답하고(胸悶), 가래가 많다(痰多)

治則 : 음을 내쫓고 가래를 제거하다(化痰逐飮)

處方 : 章門(장문), 陽陵泉(양능천), 豊隆(풍륭).

原則 : 소양경을 소설하고(疏泄少陽) 궐음경의 기화 기능을 돕는다(厥陰氣機) - 肝膽(간

담), 三焦經(삼초경)을 취한다.

主穴 : 期門(기문), 支溝(지구), 陽陵泉(양능천), 華盖(화개) + 太冲(태충), 足三里(족삼

리), 三陰交(삼음교).

灸 - 阿是穴(아시혈) : 璇璣(선기), 膻中(전중), 中庭(중정), 玉堂(옥당).

叩刺發罐(고자발관) : 先叩刺 后發罐 10-15 分間


3. 이침(耳針)

耳穴 : 胸(흉).


4.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厥陰肝經 : 期門(기문), 膈兪(격수), 肝兪(간수).

2) 處方 : ① 內關(내관), 俠溪(협계).

② 支溝(지구).

③ 期門(기문), 太冲(태충), 足三里(족삼리).

3) 治法 : ① 肺兪(폐수) : 양 엄지손가락으로 지그시 누르고 떼기를 반복하는 지압을 한

다.

② 陽陵泉(양능천) : 陽陵泉穴(양능천혈)은 膵經(췌경, 膽經)에 속한 경혈이기 때

문에 肋間(늑간)의 통증을 푸는데 특효가 있으며, 이외에도

膝痛(슬통), 坐骨神經痛(좌골신경통) 등에도 유효한 經穴(경

혈)이다. 즉 肝膵(간 췌, 膽)의 병변으로 인한 각종 筋肉痛(근

육통)에는 일정한 효과를 나타내는 要穴(요혈)이다.

③ 外關(외관) : 指壓(지압)을 하면서 이곳에 뜸을 뜨는 것도 좋다.


늑골통 (肋骨痛)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陽小腸經 : 陽谷(양곡,經)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胸脇肋骨疼痛 : 屋翳(옥예), 三陽絡(삼양락), 郄門(극문).

2) 遠道選穴 : 支泃(지구)를 取(취)하고

3. 이침(耳針)

耳穴 : 肝(간).


늑막염 (肋膜炎)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陰脾經 : 周榮(주영).

足少陰腎經 : 步廊(보랑), 神封(신봉).

手少陽三焦經 : 支泃(지구,經).

足少陽膽經 : 足竅陰(족규음,井).

39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