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39 농아(聾啞) - 불어증(不語症)

Aktualisiert: 9. Apr. 2022



농아 (聾啞) - 불어증 (不語症) - 실음 (失音) - 폭음 (暴噾) - 언어불리 (言語不利) : 설운동장애(舌運動障碍)



농아 (聾啞) : 벙어리

聾啞(농아)는 벙어리를 가리킨다. 聾(농)과 啞(아)는 각기 다른 증상으로써 聾(농)으로 인

하여 啞(아)가 발전되는 것을 聾啞(농아)라 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본병은 대부분 先天的(선천적)으로 稟賦(품부)가 부족하거나 혹은 后天(후천)에 濕邪熱

毒(습사열독)에 감수된 것을 제때에 치료하지 못하여 邪毒(사독)이 絡脈(락맥)의 소통을

막음(壅滯)으로서 淸竅(청규)가 닫히게(閉阻) 되므로 어려서부터 양쪽 귀가 들리지 않게

되고 나아가 언어를 배우지 못하게 됨으로 인해서 聾啞(농아)로 형성된다. 또 外傷(외상)

혹은 暴聲(폭성)으로 鼓膜(고막)이 파열되어 농아가 발생되는 현상도 있다.

辨證論治(변증론치)

症狀 : 청력을 상실하고(聽力喪失) 말할 줄 모르는(言語不能) 것이 주요 증상이다. 선천

성 농아는 원인이 불명확 하며, 후천성 농아는 대부분 원인을 찿을 수있다.

治則 : 通絡開竅(통락개규) - 手足少陽經穴(수족소양경혈) 위주로 취혈한다.

處方 - 聾(농) : 耳門(이문), 聽宮(청궁), 聽會(청회), 翳風(예풍), 中渚(중저), 外關(외관).

啞(아) : 啞門(아문), 廉泉(렴천), 通里(통리).

方義 : ① 翳風(예풍), 耳門(이문), 中渚(중저), 外關(외관), 聽會(청회). : 소양경의 기가 통

하도록 기도를 트다.

② 配合 聽宮(청궁) : 통락개규(通絡開竅)하는 작용으로 수족 소양경의 기를 통하

게 하다.

③ 啞門(아문) : 통규청신(通竅淸神)하는 작용으로 - 혀가 뻣뻣하게 굳어 말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④ 廉泉(렴천) : 혀를 영활하게 하여 - 音啞(음아, 瘖瘂)를 치료하다.

⑤ 通里(통리) : 手少陰絡穴(수소음경락혈) - 심기를 다스려(調心氣), 마음과 정신

을 편안하게 하고(寧神志) 혀뿌리가 통하게(利舌本)하다.

治法 : 호침(毫針)으로 사법(瀉法)을 사용한다.

먼저 농(聾)을 다스리고, 후에 아(啞)를 다스린다.

만약 농아(聾啞)를 함께 치료할 때는 치료와 언어훈련을 결합해서 시행하도록 한

다. 30 회를 1 료정(療程)으로 한다.

1. 參照文(참조문)

1) 언어불리 (言語不利)

2) 실어증 (失語症)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下關(하관, 足少陽의 交會).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輸,八脈交會穴,通督脈), 聽宮(청궁).

手少陽三焦經 : 中渚(중저,輸), 이문(耳門).

足少陽膵(膽)經 : 聽會(청회).

督脈 : 啞門(아문,陽兪脈과 交會). - 음아 (音啞)

頭頸部奇穴 : 醫聾(의농).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前后配穴法 : 啞門(아문), 廉泉(렴천).

2) 足陽明胃經 : 下關(하관), 耳門(이문), 翳風(예풍), 中渚(중저).

手少陽三焦經 : 耳門(이문), 醫聾(의농), 足益聽(족익청).

督脈 : 啞門(아문), 廉泉(렴천), 耳門(이문), 聽宮(청궁), 聽會(청회), 翳風(예풍), 合谷(합

곡).

頭頸部奇穴 : 醫聾(의농), 耳門透聽宮(이문투청궁), 耳門透聽會(이문투청회).

3) 暴啞(폭아) : 三陽絡(삼양락), 支泃(지구), 通谷(통곡).

불어증 (不語症) : 舌强(설강) 혹 舌弱不語(설약불어)

1. 參照文

1) 실음 (失音)

2) 폭음 (暴噾)

3) 농아 (聾啞)

4) 언어불리 (言語不利) : 舌運動障碍(설운동장애)

2. 主治穴(주치혈)

1) 舌强 : 手少陰心經 - 靈道(령도), 通里(통리,別絡)..

手厥陰心包經 - 中冲(중충).

手少陽三焦經 - 關冲(관충).

任脈 : 廉泉(렴천, 舌堅).

督脈 : 啞門(아문).

頭頸部奇穴 : 金津(금진) 玉液(옥액),

2) 舌弱 : 手少陽三焦經 - 關冲(관충), 啞門(아문).

3) 히스테리 失語(실어) : 督脈(독맥) - 啞門(아문).

4) 構音障碍 : 手太陰肺經 - 魚際(어제).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舌緩 : 督脈 - 啞門(아문), 關冲(관충).- 百症賦

2) 설강불어(舌强不語)

① 설약(舌弱) 혹 설강불어(舌强不語) : 아문(啞門), 관충혈(關冲穴) - 百症賦

② 태백(苔白) : 先刺 외관(外關), 后刺 관충(關冲), 중충(中冲), 승장(承漿),취천혈(聚

泉穴)을 治療한다. - 西江月

3) 언어불능자주(言語不能自主) 가서어(可徐語) : 천정(天鼎), 간사(間使)- 百症賦

4) 중풍불어(中風不語)

① 로회(顱會)에 灸, 백회(百會)에 선보후사(先補后瀉) 灸七壯 愈 - 玉龍歌

② 先刺 - 신맥(申脈),

后刺 - 전정(前頂), 인중(人中), 전중(膻中), 합곡(合谷),아문혈(啞門穴)-西江月

③ 중풍불어(中風不語)

處方 : 先刺 - 신맥혈(申脈穴),

后刺 - 전정(前頂), 인중(人中), 전중(膻中), 합곡(合谷), 아문혈(啞門穴)을

治療

④ 설강불어(舌强不語), 태백(苔白).

處方 : 先刺 - 외관혈(外關穴),

后刺 - 관충(關冲), 중충(中冲), 승장(承漿), 취천혈(聚泉穴)을 치료한다.

⑤ 이중설(二重舌)과 혀가 부은 것과 熱이 심하여 말하기 곤란 할 대

處方 : 先刺 - 외관혈(外關穴),

后刺 - 십선(十宣), 해천(海泉), 금진(金津), 옥액혈(玉液穴)을 치료한다.

⑥ 사오세불언(四五歲不言) : 4~5살이 되도록 말을 못하는 증

處方 : 심수(心兪)와 안쪽 복숭아뼈 끝(足內踝尖)에 뜸을 각각 3장씩 든다.- 針灸

經驗方

5) 五行針(오행침) 臨床應用(임상응용) 舍岩五行鍼解說

① 안대상불능어(眼戴上不能語) : 눈을 뒤집어쓰고 말을 못하는 症勢

足三里 - 瀉, 第二腰椎 第五腰椎 - 補.


실음 (失音) : 실어(失語)

1. 參考文

1) 폭음 (暴噾)

2) 언어불리 (言語不利) : 舌運動障碍(설운동장애)

2. 主治穴 (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孔最(공최,郄), 魚際(어제,滎).

手少陰心經 : 靈道(령도), 通里(통리,絡-太陽經), 陰郄(음극,郄), 神門(신문,輸,原).

手太陽小腸經 : 聽宮(청궁).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手三里(수삼리).

手少陽三焦經 : 三陽絡(삼양락).

足陽明胃經 : 豊隆(풍륭,絡-太陰經).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井).

任脈 : 廉泉(렴천).

頭頸部奇穴 : 金津(금진) 玉液(옥액), 上廉泉(상렴천, 히스테리).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少陽三焦經 ① 三陽絡(삼양락), 風池(풍지), 廉泉(렴천).

② 四瀆(사독), 廉泉(렴천).

足少陽膽經 : 風池(풍지), 廉泉(렴천), 通里(통리).

任脈 ① 天突(천돌), 廉泉(렴천), 內關(내관).

② 廉泉(렴천), 通里(통리), 心兪(심수).

2) 갑자기 말 못하는 증상 ① 足少陽膽經 : 光明(광명,絡-厥陰經).

3) B型 腦炎後遺症(뇌염후유증)의 失語症(실어증)

① 頭頸部奇穴 : 上廉泉(상렴천), 增音(증음), 啞門(아문).

4) 히스태리性 失語 ① 頭頸部奇穴 : 上廉泉(상렴천), 傍廉泉(방렴천), 合谷(합곡).

4. 臨床應用(임상응용)

1) 失音(실음) 言語不淸(언어불청) : 啞門穴(아문혈) 淺刺(천자) - 玉龍歌

2) 失語症(실어증, aphasia)

處方 : 肺兪(폐수), 合谷(합곡), 間使(간사), 太溪(태계), 靈道(령도), 風府(풍부), 太冲穴

(태충혈)

3) 失聲症(실성증, aphonia)

處方 : 魚際(어제), 合谷(합곡), 間使(간사), 神門(신문), 然谷(연곡), 肺兪(폐수), 腎兪穴

(신수혈).

5. 이침(耳針)

1) 신경성(神經性) 실어(失語) : 舌(설).


폭음 (暴噾)

1. 參照文(참조문)

1) 실어 (失語)

2) 언어불리 (言語不利)

3) 불어 (不語)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天鼎(천정), 扶突(부돌).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 靈道(령도), 通里(통리).

手太陽小腸經 : 天窗(천창).

手少陽三焦經 : 支泃(지구), 三陽絡(삼양락), 四瀆(사독).

足少陽膽經 : 曲鬢(곡빈).

任脈 : 天突(천돌), 承漿(승장).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 扶突(부돌), 廉泉(렴천).

手少陰心經 : 靈道(령도), 啞門(아문), 廉泉(렴천). - 暴噾失語(폭음실어)


언어불리 (言語不利) : 설운동장애(舌運動障碍)

언어장애(言語障碍 Aphasia : disorder of speech) 고전상에서는 Aphasia를 失音

(실음), 難語(난어), 暴音不能語(폭음불능어), 舌緩不語(설완불어), 舌急不語(설급불

어) 등이라 지칭하고 있다.

言語障碍(언어장애)란 運動性(운동성) 또는 感覺性(김각성)의 障碍(장애)에 의하여

發聲(발성)이 不可能(불기능)하거나 언어가 병적으로 느리거나 단편적으로 끊어지

거나 하는 현상을 뜻하는 것으로 그 원인에 따라서 다음 세 가지로 분류된다.

1) 언어근군(舌, 脣, 下顎, 咽喉)의 痲痹(마비) 또는 失調(실조)에 의한 것 이것은 延髓

(연수 medulia oblongata)에 있는 舌下神經(설하신경), 迷走神經(미주신경), 副

神經(부신경) 등의 핵장애 또는 大腦皮質(대뇌피질)에서 전술한 신경핵에 이르

는 중추선전도가 장애되어서 일어 난다.

2) 中樞性 神經系(증추성 신경계 centers nervous system)의 장애에 의한 것 이것

은 大腦皮質(대뇌피질 cerebral cortex)의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언어

의 표현이나 이해의 방법이 장애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精神過勞(정신과로)로

인하여 나타나는 言語障碍(언어장애)나 健忘性 失語症(건망성 실어증)이 여기에

속한다.

3) 耳聾(이농 deafness) 또는 難聽(난청)에 기인하는 것

治療 : 四診法(사진법)에 의거하여 主治經(주치경)과 主治穴(주치혈)을 선정한 연후

에 症(증)에 相應(상응, 虛實)한 治法(치법)을 시술한다. 現代針灸學

1. 參考文(참고문)

1) 불어증 (不語症)

2) 실음 (失音)

3) 성대질환 (聲帶疾患)

2. 主治穴(주치혈)

1) 頭頸部奇穴 : 上廉泉(상렴천).

足陽明胃經 : 地倉(지창,手足少陽,陰交의 會), 人迎(인영, 足少陽의 交會).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頭頸部奇穴 : 上廉泉(상렴천), 啞門(아문), 合谷(합곡).

2) 안대상불능어(眼戴上不能語)

證狀 : 눈을 뒤집어쓰고 말을 못하는 症勢(증세).

處方 : 足三里(족삼리) - 瀉,

第二腰椎(제이요추), 第五腰椎(제오요추) 灸法(구법) - 補. - 舍岩


29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