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구32 궐증 (厥證) - 厥脫(궐탈)

Aktualisiert: 9. Apr. 2022



궐증 (厥證)

厥證은 갑자기 혼도되어 인사불성이고 사지가 궐냉한 것이 주요 증상인 일종의 병증이

다. 일반적으로 혼궐시간이 비교적 짧으며 깨어난 후에는 후유증이 없다. 그러나 특별히

엄중한자는 혼궐한 후에 다시 일어나지 못하고 사망한다. 昏厥(혼궐), 暴厥(폭궐), 低血糖

昏迷(저혈당혼미), 히스태리성 昏迷(혼미), 쇼크, 虛脫(허탈) 등은 모두 본절의 변증론치

를 참고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厥證(궐증)은 氣厥(기궐), 血厥(혈궐), 寒厥(한궐), 熱厥(열궐), 痰厥(담궐)로 분류하는데 주

요로 陰陽失調(음양실조), 氣機逆亂(기기역란)으로 발생한다.

1) 氣厥 : 몹시 성을 내거나(暴怒), 놀라면(驚厥) 기기(氣機)가 역란(逆亂)되어 청규가 막히

게(淸竅壅阻)되므로 정신을 잃고 쓰러지게(昏倒)된다. 혹은 평소에 원기가 약한

(元氣素弱) 사람이 피로가 과도하거나 슬프고 노여움워(悲恐)하면 기가 부족해

서 밑으로 처지고(氣虛下陷) 맑은 양기가 올라오지 못하게(淸陽不升) 되므로 갑

자기 昏厥(혼궐) 된다.

2) 血厥 : 평소에 肝(간)에 양기가 왕성한(肝陽素旺)데다 또 몹시 화가 나게 되면(暴怒) 氣

血(기혈)이 상행하여 淸竅(청규)를 막게(閉阻) 됨으로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

지게(昏到) 된다. 혹 과다한 출혈(失血)이 발생하게 되면 혈을 따라 기를 잃게 되

는(氣隨血脫) 수가 있다. 이렇게 되면 역시 暈厥(훈궐)이 발생하게 된다.

3) 寒厥 : 원양이 손상을 입어 줄게 되면(元陽虧損) 경락의 따뜻한 소통(溫行經絡)이 불가

능해(不能) 지고 寒邪(한사)가 직접 안으로 들어오게(入里) 됨으로 寒厥(한궐)이

발생한다.

4) 熱厥 : 열사가 지나치게 왕성함(邪熱過盛)으로 陽(양)이 안에 몰려 밖으로 나가지 못하

고 쌓이므로 熱厥(열궐)이 발생한다.

5) 痰厥 : 평소에 체질이 뚱뚱하며 肥甘(비감)한 음식을 즐기어서 소화기능을 상실(運化失

常)하게 되어서 습이 모이고 담이 생기게(聚濕生痰)된데다 또 뇌성같이 화를 내

어 노기가 역란(雷怒氣逆)하므로 痰(담)이 氣(기)를 따라上升(상승)하게 되어 淸

竅(청규)를 덮어 씌워서 不時(불시)에 정신을 잃고 쓰러지게(昏到)되고 팔 다리

가 아래로부터 차가워져 오르게(厥冷) 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實證(실증)

⑴ 氣厥 : 환자는 평소에 체질이 건장하며 우연히 사납운 화(雷怒)를 내고 갑자기 정신

을 잃고 쓰러졌는데(昏到) 입을 꼭 다물고 주먹을 쥐고 呼吸(호흡)이 거칠며

사지가 차가워져 오르고(四肢厥冷) 설태는 희고 얇으며(舌苔薄白) 맥은 침현

(脈沈弦)하다.

處方 : 太冲穴(태충혈) ← 疏肝理氣(소간리기), 調理氣機(조리기기)

⑵ 血厥 : 폭노(暴怒)한 뒤에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며(昏到) 인사불성(人事不省)되

고 어금니를 꽉 물고 입을 다물고(牙關緊閉), 얼굴색이 붉으며(面紅) 입술색이

자주색이고(唇色紫) 혀는 붉으며(舌紅) 맥은 침현(脈沈弦)하다.

處方 : 行間(행간) ← 간화를 누르고, 湧泉(용천) ← 血(혈)을 下行(하행)

⑶ 熱厥 : 초기에는 몸에 열이 나며 두통(初期身熱 頭痛)이 있고, 흉복부에 열이 나고 입

이 마르고 물을 마시려하며(胸腹部熱 口渴欲飮) 변비가 있고 오줌색이 붉으

며(便秘 尿紅) 마음이 괴롭고 초초하며 불안하다(煩躁不安). 점차 정신이 혼미

해지고(漸次 精神昏迷) 팔다리가 차가워져 오르며(手足厥冷) 맥은 침복(脈沈

伏)한데 누르면 빠르다.(數脈)

處方 : 十二井穴 ← 調節陰陽(조절음양), 泄熱開閉(설열개폐)

⑷ 痰厥 : 巨闕(거궐), 豊隆(풍륭) ← 開竅滑痰(개규활담)

治療原則(치료원칙) : 蘇厥開竅(소궐개규)하여 救急(구급)한다.

- 督脈(독맥), 厥陰經穴(궐음경혈)을 위주

主穴(주혈) : 水溝(수구), 內關穴(내관혈).

方義(방의) - ① 水泃(督脈 井穴) : 醒腦開竅(성뇌개규), 泄熱開閉(설열개폐)

② 內關(絡穴) : 醒神寧心(성신영심).

두 혈을 配合하면 蘇厥開竅(소궐개규)한다.

萬若(만약) - ① 牙關緊閉(아관긴폐) : 頰車(협거) 合谷(합곡). ← 止抽開噤(지추개금)

② 추축 : 合谷(합곡), 俠溪(협계) ← 止抽(지추)

③ 喉中痰鳴(후중담명) : 天突(천돌) ← 祛痰(거담)

④ 身熱(신열) : 大椎(대추), 曲池(곡지) ← 淸熱(청열)

治法(치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쓰되 유침을 금한다(禁留針).


2) 虛證

⑴ 氣厥 : 평서에 체질이 허약하며 피로(疲勞)하거나 놀라면 어지럽고 눈앞이 캄캄해지

며 정신을 잃고 쓰러지게(眩暈昏到)된다. 얼굴색은 창백(面 色蒼白)하고, 호

흡이 미약하며(呼吸微弱) 땀을 흘리고 사지가 차다(汗出四肢冷). 설질은 연하

고(舌質軟) 맥은 침미(脈沈微)하다.

處方 : 足三里(족삼리) ← 益氣升陽(익기승양)

⑵ 血厥 : 과다한 出血(출혈)로 정신을 잃게 되고(昏厥), 얼굴색이 창백하며(面色蒼白)

입술색이 윤택하지 못하고(脣色无潤) 팔다리를 떨며 눈은 움푹이 들어가고

입을 벌리고 땀을 절로 흘리며(自汗) 皮膚(피부)는 冷(냉)하고 호흡이 미약하

다(呼吸微弱). 설질은 연하고(舌質軟) 맥은 세삭하고 무력하다(脈細數无力).

處方 : 關元(관원) ← 益陰固脫(익음고탈)

⑶ 寒厥 : 얼굴색이 푸르고 몸이 차며(面色靑身體冷), 쪼그리고 누워있고 입은 마르지

않고 갈증도 없으며(无口乾无渴), 소화되지 않은 변을 보고(淸谷泄瀉), 팔다

리가 차가워져 오르고 의식이 몽롱해 지며(四肢厥冷意識朦朧) 설태는 희고

적으며(舌苔薄白) 맥은 침세(脈沈細)하다.

處方 : 神闕(신궐) ← 溫陽散寒(온양한산)

治療原則(치료원칙) : 回陽救逆 - 督脈 任脈을 爲主

主穴(주혈) : 百會(백회), 氣海穴(기해혈).

方義(방의) : ① 百會(백회)은 督脈의 穴(혈)로서 일신의 陽(양)을 주관하고,

② 氣海(기해)은 任脈의 穴(혈)로서 일신의 陰(음)을 주관한다.

③ 두 穴(혈)의 배합은 陰陽(음양)을 조절 한다.

④ 百會(백회) : 양기를 끌어올려 정신을 깨게 한다(醒神升陽).

⑤ 氣海(기해) : 양기를 회복시키고 탈증을 막는다(回陽固脫).

⑥ 두혈을 配合 : 回陽救逆(회양구역)의 목적을 달성한다.

萬若(만약) - ① 泄瀉(설사) : 加 天樞(천추) ← 대장의 기화기능을 조절하여 설사를 멈

추게 한다.

② 多汗(다한) : 加 復溜(복류) ← 止汗(지한)한다.

治法 : 침과 뜸을 兼用(겸용)하거나 灸法(구법)만 사용한다.

2. 임상응용

1) 게거품을 토하고 갑자기 실신하여 마치 죽은 사람과 같은 것 “吐沫尸厥”

處方 : 거궐(巨闕)에 7장, 중완(中脘)에 50장.

2) 神闕穴(신궐혈)

辨證選穴 : 水泃(수구) - 蘇厥(소궐)



厥脫(궐탈)

厥脫是指(궐탈시지) 邪毒內陷(사독내함), 或內傷臟氣(혹내상장기), 或亡血失津(혹망혈실진) 등 所致的(소치적) 氣血逆亂(기혈역란), 正氣耗脫的(정기모탈적) 一類病證 (일류병 증). 臨床以神志淡漠(임상이신지담막), 惑煩躁(혹번조), 或神志不淸(신지불 청), 面色蒼白(면색창백) 或潮紅(혹조홍), 或發紺(혹발감), 四肢厥冷(사지궐냉), 氣息 微弱(기식미약) 或氣促(혹기촉), 汗出不止(한출불지), 尿量减少(뇨량감소), 脈微細欲 絶(맥미세욕절) 或細數无力(혹세삭무력) 爲主要表現(위주요표현). 本病的發生多由于(본병적발생다유우) 外感邪毒(외감사독), 深陷于里(심함우리), 或亡 津失血(혹망진실혈), 或劇痛創傷(혹극통창상), 或久病內傷臟氣(혹구병내상장기), 導致 氣血運行失常(기혈운행실상), 氣血逆亂(기혈역란), 邪氣閉阻(사기폐조), 正氣耗脫所致 (정기모탈소치); 病理基礎(병리기초) 爲虛實夾雜(위허실협잡), 陰陽耗脫爲主(음양모 탈위주). 治療當以(치료당이) 救陰(구음), 回陽(회양), 固脫爲先(고탈위선), 隨后再行 (수후재행) 審因論治(심인론치).

1) 辨證要點(변증요점)

⑴ 辨輕重(변경중)

① 輕度厥脫(경도궐탈) 可見神志淸(가견신지청) 或煩躁不安(혹번조불안), 手足溫(수족

온) 或欠溫(혹흠온) 或肢端冷(혹지단냉), 汗出過多(한출과다), 脈沉細數无力(맥침세삭

무력);

② 中度厥脫(중도궐탈) 可見神志淡漠(가견신지담막), 手足冷至腕踝(수족냉지 완과), 大汗

淋漓(대한임리), 脈微弱或虛大(맥미약혹허대);

③ 重度厥脫(중도궐탈) 可見意識朦朧(가견의식몽롱) 或神志不淸(혹신지불청), 肢冷超過

腕踝(지냉초과완과) 6 厘米以上(6 리미이상), 或全身皮膚冷(혹전신피부냉), 冷汗如珠

(냉한여주), 脈微欲絶(맥미욕절) 或不能觸及(혹불능촉급).

⑵ 辨病因(변병인) 審明病因對厥脫的治療(심명병인대궐탈적치료) 甚爲重要(심위중요). 邪

毒深陷者(사독심함자), 多有發熱(다유발열), 甚至壯熱口渴(심지장열구갈), 煩躁等症(본

조등증); 亡津失血者(망진실혈자), 則見面色蒼白(칙겨면색창백), 脣甲色淡(순갑색담), 或

面色潮紅(혹면색조홍), 口渴欲飮(구갈욕음) 等症(등증), 以及失血(이급실혈), 過汗(과한),

暴吐暴瀉(폭토폭사) 等病史(등병사); 劇痛所致者(극통소치자), 多有創傷史(다유창상사)

或氣滯血瘀疾病(혹기체혈어질병) 可詢(가순).

⑶ 注意幷病徵兆(주의병병징조) 厥脫過程中(궐탈과정중), 每有幷發喘逆(매유병발천역), 心

悸(심계), 水腫(수종), 癃閉(융폐), 瘀斑(어반), 出血(출혈) 等病證(등병증), 以致病情加劇

(이치병정가 극), 危重難救(위중난구), 及早采取措施(급조채취조시), 可防止幷病的出現

(가방 지병병적출현), 利于厥脫的恢復(이우궐탈적회복).

2) 類證鑒別(류증감별)

⑴ 厥證(궐증) 厥證以突然昏倒(궐증이돌연혼도), 不省人事(불성인사), 移時蘇醒(이시소성),

或 伴四肢厥冷爲主要特徵(혹반사지궐냉위주요특징), 實者居多(실자거다); 厥脫證 可无

昏仆見症(궐탈증가무혼부견증), 若見神志不淸(약견신지불청), 亦不能自行 復蘇(역불능

자행복소), 且有氣息(차유기식), 水液(수액), 面色(면색), 脈象等方 面的改変可見(맥상등

방면적개변가견).

⑵ 中風(중풍) 中風可有突然昏仆(중풍가유돌연혼부), 四肢不溫(사지불온) 或逆冷(혹역냉),

或 汗出(혹한출), 遺尿(유뇨), 或面白脣黯(혹면백순암), 或脈象微細(혹맥상미세) 等徵象

參見(등징상참견), 但中風多見于老年患者(단중풍다견우노년환자), 其發 作前(기발작전)

多有肝陽上亢的病史(다유간양상항적병사), 發作后有口眼喎斜 (발작후유구안괘사), 半身

不遂等主症(반신불수등주증), 有昏仆(유혼부), 肢冷 (지냉), 汗出者(한출자), 亦以昏仆在

先(역이혼부재선), 肢冷(지냉), 汗出繼見(한 출계견); 厥脫則諸症同見(궐탈칙제증동견),

神志不淸(신지불청) 每屬繼見(매속 계견), 故不難鑒別(고불난감별).

⑶ 昏迷(혼미) 昏迷是以(혼미시이) 神志不淸(신지불청), 短時不易復蘇(단시불이복소) 爲主

要 表現(위주요표현), 病位主要在心腦(병위주요재심뇌); 厥脫證(궐탈증) 雖然可 有(수연

가유) 神志不淸(신지불청), 但非必見症(단비필견증), 神志不淸(신지불 청) 一般只見于中

(일반지견우중) 中度患者(중도환자), 而且必伴有(이차필반유) 厥脫之主症(궐탈지주증),

手足厥冷(수족궐냉), 血壓下降(혈압하강), 汗多尿少 (한다뇨소), 脈微欲絶(맥미욕절) 等症

(등증).

3) 針灸(침구)

⑴ 体針(체침)

取穴 : 水溝(수구), 素髎(소료), 內關(내관), 涌泉(용천), 足三里(족삼리), 關元(관원), 氣海

(기해).

方解 : ① 水溝穴(수구혈), 素髎穴(소료혈) : 振奮陽氣(진분양기), 泄熱開竅(설열개규), 蘇

厥淸神(소궐청신).

② 內關穴(내관혈) : 醒神開竅(성신개규), 行氣活血(행기활혈), 强心複脈(강심복맥)

③ 涌泉穴(용천혈) : 通關開竅(통관개규), 蘇厥回逆(소궐회역)

④ 足三里穴(족삼리혈) : 補益中氣(보익중기)

⑤ 關元穴(관원혈), 氣海穴(기해혈) : 培補元氣(배보원기), 回陽救逆(회양구역).

⑵ 耳針(이침)

取穴 ① 主穴 : 下屛尖(하병첨), 升壓点(승압점), 腦(뇌), 屛間(병간), 心(심).

② 配穴 : 甲狀腺(갑상선), 神門(신문), 肺(폐), 肝(간), 腎(신), 下脚端(하각단)

治法 : 先取(선취) : 主穴(주혈),

后取(후취) : 配穴(배혈),

每次取(매차취) 2∼3 穴(혈), 留針(류침) 1∼2 小時(소시), 間歇運針(간헐운침).

⑶ 電針(전침)

主穴 : 涌泉(용천), 足三里(족삼리), 水溝(수구).

配穴 : 內關(내관), 素髎(소료), 太溪(태계).

治法 : 選用(선용) 疏密波(소밀파) 或連續波(혹연속파), 四肢穴(사지혈) 給予 强刺激(급여

강자격), 血壓升至正常(혈압승지정상), 全身情況改善爲度(전신정황개선위도).

⑷ 血位注射(혈위주사) 適用于各型(적용우각형) 厥脫(궐탈).

取穴 : 復溜(복류), 太溪(태계), 0.5% 普魯卡因(보로잡인), 每穴注射(매혈주사) 2∼4 毫升

(호승), 總量(총량) 8∼10 毫升(호승).

4) 針劑(침제)

⑴ 參麥注射液(삼맥주사액)

內含 : 紅參(홍삼), 麥冬(맥동), 每次(매차) 40∼100毫升(호승), 用(용) 10% 葡萄糖液稀釋

(포도당액희석), 靜脈注射(정맥주사), 每(매) 15∼20分鍾(분종) 復一次(복일차), 直

至(직지) 血壓回升(혈압회승), 改用本品(개용본품) 100毫升加入(호승가입) 5% 葡

萄糖(포도당) 1000 毫升中(호승중), 靜脈滴注(정맥적주).

功能 : 益氣固脫(익기고탈).

主治 : 厥脫(궐탈) - 氣陰耗傷者(기음모상자)

⑵ 參附注射液(삼부주사액)

內含 : 人參總皂苷(인삼총조감), 烏頭醎(오두함), 每次(매차) 20 毫升(호승), 加(가) 25%

葡萄糖液(포도당액) 20 毫升(호승), 靜脈緩推(정맥완추), 每(매) 15∼30 分鍾(분종)

1次(차), 連續(연속) 3∼5 次(차)

功能 : 回陽救逆(회양구역)

主治 : 厥脫(궐탈) - 陽氣暴脫者(양기폭탈자)

⑶ 增液針(증액침)

內含 : 生地(생지), 麥冬(맥동), 玄參(현삼), 以本品(이본품) 500∼1000 毫升(호승),靜脈点

滴(정맥점적).

功能 : 養陰增液(양음증액)

主治 : 眞陰衰竭之(진음쇠갈지) 厥脫(궐탈).

⑷ 淸開靈注射液(청개령주사액)

內含 : 牛羊猪膽酸(우양저담산), 黃芩(황금), 水牛角(수우각). 銀花(은화), 山梔(산치), 板藍

根(판람근),.

組成(조성). - 每次(매차) 10 毫升(호승), 加(가) 25% 葡萄糖液(포도당액) 20 毫升

(호승), 靜脈注射(정맥주사), 每隔(매격) 1∼2 小時可重複(소시가중복)

1次(차), 連續(연속) 3∼5 次(차); 或用本品(혹용본품) 40∼60毫升(호승), 加入(가입)

500毫升(호승) 葡萄糖液中(포도당액중), 靜脈滴注(정맥적주), 每日(매일) 2次(차).

功能 : 淸熱解毒(청열해독), 開竅醒神(개규성신)

主治 : 邪熱毒熾導致的厥脫(사열독치 도치적궐탈)

9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1 부록 오행침법

附錄(부록) 行針法(오행침법) 오행침(五行針)은 사암선생(舍岩先生)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황제내경 (黃帝內經)과 난경(難經)에서 완성하지 못한 오행침술(五行針術)을 완성하고 그 비방(秘方)을 사암도인침구요결(舍岩道人針灸要訣)에 담아...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