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구208 효천 (哮喘)

Aktualisiert: 9. Apr. 2022



효천 (哮喘)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

哮(효)는 목구멍(喉間)에서 가래가 끓는 소리(痰鳴音)를 말하고, 喘(천)은 呼吸困難(호흡

곤란)을 말한다. 哮(효)와 喘(천)은 임상에서 동시에 발작되며 병인 경기도 대체로 같기

때문에 함께 부른다. 또 哮喘(효천)은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으로서 반복적으로 발작되는

질병이다. 일년 사계에 모두 발작될 수 있으며 더욱이 寒冷(한냉)한 계절 혹은 기후가 갑

자기 변할 때 제일 많이 발생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1) 風寒(풍한) 혹은 風熱(풍열)의 邪氣(사기)가 肺(폐)에 침습되어 肺氣(폐기)를 거칠게

가로막거나(阻遏) 혹은 체질의, 차이로 꽃가루(花粉), 연기(煙氣), 먼지, 옻칠(漆氣)의

괴상(怪狀)한 냄새 등을 맡으면 肺氣(폐기)가 損傷(손상)되어 선발과 숙강 기능을 상

실(肺失宣降)하게 되고 이것이 발전해서 인체에 진액을 고르게 펴지 못하게(津液不

布)되면 진액이 凝結(응결)되여 痰(담)으로 되며 氣道(기도)를 가로 막아 不利(불리)하

게 됨으로 哮喘(효천)으로 된다.

2) 비와 위가 조화롭지 못함(脾胃不化)으로 짠 음식을 편식하거나, 기름지고 맛있는(肥

甘厚味) 음식으로 혹 새우, 계, 물고기 등을 먹었을 때 脾臟(비장)을 상하게 되고 소화

기능을 상실(脾失健運)하게 되면 탁한 담이 생기고(痰濁內生) 이로인하여 위로 폐가

건조해지면(上乾于肺) 폐기를 가로막게 되어(壅遏肺氣) 호흡도가 잘 소통되지 못함

으로(氣道不暢) 효천(哮喘)이 생긴다. 3) 이외에 오랜 병으로 몸이 허약하고(久病體

弱) 정서적으로 안정을 못하거나(情緖激動), 과도한 피로(疲勞過度) 역시 哮喘(효천)

을 발생한다.

효천의 초기 : 대부분 實證(실증)에 속하고 만약 반복적으로 발작하면 虛證(허증)으로

轉變(전변) 된다.

肺氣(폐기)가 虛(허)하면

① 호흡이 짧고(呼吸少氣) 땀을 절로 흘리며 몸이 차갑고(自汗形寒)

② 비위가 허하고(中氣不足) 가슴이 결리고 답답하며(胸痞便溏)

③ 식사 시간, 식량, 음식 등이 불규칙하며(攝納无權), 운동을 하면 천식

이 심해진다(動則喘甚).

만약 心臟(심장)에 미치면 心陽不振(심양불진)으로 虛脫(허탈)이 생기

는데 이는 哮喘(효천)의 위험한 현상이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實證(실증)

⑴ 寒飮伏肺(한음복폐) : 차가운 한음이 폐에 잠복한 경우

證狀 : 숨쉬기가 힘이 들고(呼吸困難), 숨을 쉴 때 목구멍에서 쌕쌕거리는 소리가

나며(喉間哮鳴), 가슴이 답답한 것이 마치 막힌 것 같고(胸悶如阻), 기침을

하고(咳嗽) 가래는 묽고 색이 희며 거품이 있는데 잘뱉어지지 않는다.(痰稀

白 多沫 咳吐不利) 형색이 추워 보이고 땀은 나지 않으며 머리가 아프다(形

寒无汗頭痛) 입은 마르지 않고(口不渴) 설태는 희고 얇으며(舌苔薄白) 맥은

부긴(脈浮緊)하다.

原則 : 한사를 흩어 놓고 폐기를 선발시켜서 기침을 평온하게 한다(散寒宣肺平喘)

- 手太陰(수태음) 足太陽經穴(족태양경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列缺穴(열결혈), 尺澤穴(척택혈), 肺兪穴(폐수혈), 風門穴(풍문혈).

方義 - ① 列列缺穴(열결혈) 尺澤穴(척택혈) : 手太陰經氣(수태음경기)를 설발 숙

강(宣肅)한다. - 宣肺解表(선폐해표)하고 肅肺化痰(숙폐화담)해서 平喘

(평천)한다.

② 肺兪(폐유) 風門(풍문) : 足太陽經氣(족태양경기)를 宣發(선발)하여 풍한

의 邪氣(사기)를 흩어서 제거하고(祛風散寒), 폐기를 선발시켜서 기침을

평온하게(宣肺平喘) 하는 작용을한다

加减 - ① 頭痛(두통), 어깨와 등줄기가 저리고 아르면(肩背痠痛)

加 : 溫溜穴(온유혈) - 근육을 풀고 통증을 멈추게 한다(舒筋止痛).

治法 : 毫針 瀉法 背穴은 灸法 或은 부항을 붙일수 있다.

⑵ 痰熱遏肺(담열알폐)

證狀 : 열담이 폐를 가로막은 경우 證狀 : 기침하며 거칠게 숨을 헐떡거리고(咳喘

氣粗) 얼굴색이 붉고(面赤), 열이 나며 땀을 흘리고(發熱有汗), 가래가 끈끈

하며 색이 누렇고(痰粘色黃) 기침할 때 가래가 상쾌하게 뱉어지지 않으며

(咳痰不爽), 괴롭고 답답하여 번민하며 구갈이 있고(煩悶口渴) 대변이 단단

하고(大便秘結) 설질이 붉다(舌質紅). 설태는 누렇고 찐득찐득하고(舌苔黃

膩) 맥은 활삭(脈滑數)하다.

原則 : 폐기를 선발시켜서 열을 제거하고(宣肺淸熱), 가래를 제거시켜서 기침을

평정한다(化痰平喘) - 手太陰(수태음)과 陽明經穴(양명경혈)을 위주로 치료

한다.

處方 : 中腑穴(중부혈), 孔最穴(공최혈), 合谷穴(합곡혈), 大椎穴(대추혈), 豊隆穴

(풍륭혈), 膻中穴(전중혈).

方義 - ① 中府(중부), 孔最(공최) : 폐기를 선발하고 表邪(표사)를 해제시키며(宣肺

解表), 가래를 제거하여 기침을 평정한다(化痰平喘),

② 合谷(합곡) 大椎(대추) : 체표에 邪熱(사열)을 흩어서 통하게 함으로 폐를

맑게 한다(疏表散熱淸肺).

③ 豊隆(풍륭) : 비위를 상호간에 조리 있게 하여(脾胃調理), 水濕(수습) 운

화를 이롭게 하여 가래를 제거한다(運濕化痰).

④ 膻中(전중) : 흉부를 넓혀 기를 아래로 하강시킴으로 기침을 평정한다

(寬胸降氣平喘).

加减 - ① 천식이 심하면(喘息甚) : 肺兪穴(폐유혈), 云門穴(운문혈)에 부황을 부쳐

寬胸定喘(관흉정천)케 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中腑穴(중부혈)은 斜刺(사자)하고,

膻中穴(전중혈)은 沿皮刺(연피자)한다.

2) 虛證(허증)

證狀 : 오랫동안 병고(病苦)를 격께 되어 폐기(肺氣)가 부족(不足)하게 되면 얼굴색이

창백해지고(面色蒼白), 호흡의 기가 적고 짧이자며(呼吸氣短) 말소리가 힘이

없으며(言語无力), 기침소리가 약하고, 땀이 저절로 나오며, 바람을 쏘이는 것

을 싫어한다(自汗惡風). 설질이 싱겁게 담담한 것이 붉고(舌質淡紅) 맥은 약(脈

弱)하다.

⑴ 肺陰虛(폐음허) : 해천(咳喘) 이외에 입과 코가 건조하고(口乾鼻燥), 목구멍이 불리

하다(咽喉不利). 얼굴색이 붉고(面紅) 혹은 광대뼈 부위가 빨갛다

(或觀赤). 혀는 빨갛고(舌紅赤) 맥은 세삭(脈細數)하다.

⑵ 脾虛(비허) : 얼굴색이 환하게 피지못하고(面色不華) 음식을 먹으면 곧 토하고(納

呆), 위완부가 답답하며(脘悶) 매사에 의욕이 없고 게으르고(倦怠), 팔

다리가 차고(四肢不溫), 대변은 묽고 량이 적다(大便溏薄). 혀는 두툼

하고 연하며(舌厚軟) 설태는 두텁고 미끈미끈하며(舌苔厚膩), 맥은 유

약(脈濡弱)하다.

⑶ 哮喘 一年不愈(효천일년불유) : 천식이 1년이 되어도 낫지 않으면 - 腎(신)의 納氣

(납기, 흡기)가 여의치 못하여 신이 허해 짐으로(腎

虛不納) 面色(면색)은 검고, 호기는 많고 흡기는 적으며(呼多吸少)

운동을 하면 숨이 차고(動則氣短), 심하면 피로해 지고(甚疲勞) 힘

이 없으며(无力) 땀이 나고(汗出) 수족이 차며 (四肢冷) 설질은 싱겁

게 담담하고(舌質淡) 맥은 침세(脈沈 細)하다.

⑷ 心氣虛弱 : 심장의 양기가 부진(心陽不振) 함으로 가슴이 두근거리며 불안하고(心

悸)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며(多汗), 정신이 어둡고(神昏), 입술과 손톱 발

툽의 색이 푸르고(脣爪色靑), 수족이 따뜻하지 않고(四肢不溫), 혀에는

자주색 반점이 있고(舌紫斑), 맥은 미세(脈微細)하거나 혹 맥이 없이 멈

추어 있다(歇止).

原則 : 허약한 정기를 扶追(부추)겨서 병을 유발시킨 臟器(장기)를 배양(扶正培本)토

록 하고, 가래를 제거시켜서 기침을 평정(化痰平喘)한다. - 手太陰經穴(수태음

경혈) 및 背兪穴(배수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定喘穴(정천혈), 太淵穴(태연혈), 膏肓穴(고황혈), 肺兪穴(폐수혈).

方義 - ① 定喘穴(정천혈) : 천식을 멈추는 경험혈(止喘 經驗穴)이고,

② 膏肓穴(고황혈) : 허로로 인한 해수, 기천(虛勞咳嗽氣喘)을 치료하는 만성 천

식에 많이 사용된다.

③ 太淵穴(태연혈)(土) + 肺兪穴(폐유혈) : 補土生金法(보토생금법)을 응용한 본

처방은 慢性哮喘(만성효천)이 반복 발작되는 환자에게 사용된다.

만약 : ① 폐와 비장이 모두 부족한(肺脾兩虛) 경우 肺兪穴(폐수혈)와 足三里穴(족삼

리혈)을 다스려서 비와 위가 조화롭고 튼튼하게(健脾和胃)하여 後天(후천)

의 本(본)을 돕도록 한다.

② 폐와 신이 모두 부족한(肺腎兩虛) 경우 腎兪穴(신수혈)과 太溪穴(태계혈)을

다스려서 신을 보해서 납기를 돕게(補腎納氣)하여 先天(선천)의 本(본)을 북

돋게 한다.

③ 폐기와 심양(肺氣心陽)이 부족(虛)하면 허탈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內關穴

(내관혈)과 神門穴(신문혈)에 침자하여 强心(강심) 시키고, 氣海穴(기해혈),

關元穴(관원혈)과 命門穴(명문혈)에 뜸을(灸法)떠서 虛脫(허탈)을 방지해야

한다.

④ 허증 천식(虛喘)에 겸하여 풍사를 감수(兼外感)하였을 경우 이런 때에는 實

喘證(실천증) 치료를 참고하라.

治法 : 毫針(호침)으로 補法(보법)을 사용하거나 혹은 灸法(구법)을 使用(사용)한다.

1. 參照文(참조문)

1) 천식 (喘息)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陰肺經 : 孔最(공최,郄), 列缺(열결,絡-陽明經,八脈交會穴,通任脈), 太淵(태연,輸,

原,脈會), 魚際(어제,滎).

足陽明胃經 : 人迎(인영,足少陽의 交會), 足三里(족삼리,合,胃의 下合穴).

手太陽小腸經 : 天容(천용).

足太陽膀胱經 : 肺兪(폐수), 膏肓(고황).

手厥陰心包經 :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陰兪脈).

督脈 : 靈臺(령대), 身柱(신주), 大椎(대추,手足三陽經의 交會).

項背腰部奇穴 : 定喘(정천).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膏肓(고황), 天突(천돌), 定喘(정천).

2) 處方 : ① 內關(내관), 定喘(정천), 天突(천돌).

② 內關(내관), 孔最(공최).

③ 風門(풍문), 肺兪(폐수). 列缺(열결).

④ 脾兪(비수), 腎兪(신수). 足三里(족삼리). -中醫-

4. 辨證取穴(변증취혈)

1) 哮喘(효천) :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

見症 : 가래로 천식이 심하고(痰喘甚), 목구멍에서 담이 끓는데 마치 닭의 울음소리 같

은(咽喉水鷄聲) 경우는 肺實(폐실)이나 三焦(삼초) 및 小腸實(소장실)로 인한 병

으로 진단. - 千金湯證(천금탕증)

處方 : 天突(천돌) 瀉(사), 丹田(단전) 迎(영), 液門(액문) 解溪(해계) 補 (보), 中渚(중저),

陷谷(함곡) 瀉(사)한다.

또한 다른 방에서는 大敦(대돈) 太白(태백)을 瀉(사) 한다.

2)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喉中有聲(후중유성)을 哮(효)라 하고, 呼吸急促(호흡급촉)을 喘(천)이라 하는

데 대개는 痰火內鬱(담화내울)과 風寒外束(풍한외속)의 所致(소치)로서 其證

(기증)이 實虛(실허), 寒熱(한열)의 殊(수)가 있나니 實者(실자)는 氣壯胸滿(기장흉만),

身熱便硬(신열변경)을, 虛者(허자)는 氣乏身凉(기핍신량), 冷痰如冰(냉담여빙) 등증을

訴(소)하며 기타 氣衰息微(기쇠식미)한 것은 寒(한)의 證(증)이오 氣盛息粗(기성식조)

한 것은 熱(열)의 證(증)이다. 그런데 舍岩(사암)의 哮喘治法(효천치법)은 熱在三焦(열

재삼초), 濕在胃中(습재위중)으로 總括(총괄)하고 말았다.

3) 舍岩經驗例(사암경험예)

한 사람이 暑濕吐瀉(서습토사) 후에 哮喘(효천)을 訴(소)하여 소리가 四隣(사린,이웃

사방에) 震動(진동)하는지라 듣는 사람들이 위험을 느끼거늘 液門(액문) 解

谿(해계) 補(보), 中渚(중저) 陷谷(함곡) 瀉(사)하였더니 一次(일차)에 見効(견효)하였다

斷章取義(단장취의)에서 如神(여신)에 効(효)를 본 것이다.-舍岩-

10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1 부록 오행침법

附錄(부록) 行針法(오행침법) 오행침(五行針)은 사암선생(舍岩先生)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황제내경 (黃帝內經)과 난경(難經)에서 완성하지 못한 오행침술(五行針術)을 완성하고 그 비방(秘方)을 사암도인침구요결(舍岩道人針灸要訣)에 담아...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Kommentarer


Kommentarsfunktionen har stängts av.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