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205 협통 (脇痛)

Aktualisiert: 9. Apr. 2022


협통 (脇痛) - 협통창만 (脇痛脹滿) - 협배통 (脇背痛) - 협창만 (脇脹滿)




협통 (脇痛)

脇痛은 한쪽 혹은 양측의 옆구리 동통을 주요증상으로 하는 병인데 임상에서 흔히 나타나

는 증상의 하나이다. 옆구리는 肝脈(간맥)이 순행하는 도로이며 간(肝)과 膽(담)은 상호 表

里(표리)이기 때문에 脇痛(협통)은 肝膽(간담)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현대의학

(現代醫學)의 肋間神經痛(늑간신경통) 및 肝臟(간장), 膽囊(담낭), 胸脈(흉맥)등의 急慢性疾

患(급만성질환)에서 나타나는 脇痛(협통)은 본절의 辨證論治(변증론치)를 참고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肝(간)은 右側(우측) 脇部(협부)에 치우쳐 위치하였고 그 脈(맥)은 兩脇(양협)에 분 포 되었

으며 膽(담)은 간에 붙어있고 그 맥은 협을 지나간다. 만약 情志不遂(정지 불수)로 肝氣(간

기)가 鬱結(울결)되면 肝失條達(간실조달)로 經脈(경맥)이 受阻(수 조)되거나 혹은 酒食(주

식)에 상하면 積濕生熱(적습생열)하여 肝膽(간담)에 이동되 거나 혹은 外感濕熱(외감습열)

로 少陽(소양)이 막혀서 不利(불이)하거나 혹은 외상 으로 脇部(옆구리) 맥락이 손상으로 氣

血(기혈)이 不暢(불창)하면 모두 肝膽(간담) 의 疏泄功能(소설공능)이 失常(실상)되어 경맥

의 氣(기)가 阻滯(조체)되고 血運不 暢(혈운불창)으로 脇痛(협통)이 발생한다. 만약 병이 오

래도록 완쾌되지 않으면 精血虧損(정혈휴손)으로 肝絡失養(간락실양) 하거나 혹은 濕熱久

羈(습열구기)하여 鬱火傷陰(울화상음), 脈絡失濡(맥락실유)하여 脇痛(협통)이 발생돤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肝蔚脇痛(간울협통) - 肝氣鬱結(간기울결)

症狀 : 脹痛(창통)을 위주로 痛處(통처)가 善行數變(선행수변)하고, 情緖變化(정서변화)로

통증이 발작하며 겸하여 胸悶(흉민), 易怒(이노), 消化不良(소화불량), 食欲不振(식

욕부진), 噯氣呑酸(애기탄산), 舌苔薄白(설태박백) 脈弦(맥현).

原則 : 疏肝理氣(소간리기), 解鬱止痛(해울지통).

- 足厥陰(족궐음) 少陽經穴(소양경혈)을 위주로 취하고 任脈(임맥), 背兪穴(배수혈)

과 배합한다.

處方 : 肝兪(간수), 期門(기문), 俠谿(협계), 中庭(중정).

方義 : ① 肝(간)의 募穴(모혈)인 期門穴(기문혈)과 肝兪(간수)와 배합하면 兪募配穴法(수

모배혈법)으로 疏肝理氣(소간리기)하고 解鬱止痛(해울지통)의 공능을 얻는다.

② 俠谿(협계)는 膽(담)의 滎穴(형혈)이며 中庭(중정)과 배합하면 少陽(소양)의 鬱

火(울화)를 解除(해제)하여 止痛(지통)한다.

만약 - ① 呑酸(탄산) : 加 胃兪(위수). - 健脾(건비), 消積(소적), 止酸(지산)하고

② 少眠(소면), 不寐(불매) : 加 神門(신문). - 寧心安神(녕심안신)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背兪穴(배수혈)은 방향과 심도를 조심해서 臟器(장기)의 손상을 주의한다.

2) 濕熱脇痛(습열협통) - 濕熱痰濁(습열담탁)

症狀 : 우측 脇下(협하)가 아픈데 마치 찌르는 듯 따가우며 급성으로 발작하고 惡寒(오

한), 發熱(발열), 口苦(구고), 心煩(심번), 惡心嘔吐(오심구토), 厭食油膩(염식유니)

혹은 눈(目)과 皮膚(피부)가 黃色(황색)이고 小便短黃(소변단황), 舌苔黃膩(설태황

니)하며 脈弦數(맥현삭)하다.

原則 : 淸熱化濕(청열화습), 疏肝利膽(소간이담).

- 足厥陰(족궐음), 手足少陽經穴(수족소양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期門(기문), 日月(일월), 支溝(지구), 陽陵泉(양능천), 太冲(태충).

方義 : ① 期門(기문), 日月(일월)은 肝膽(간담)의 經氣(경기)를 疏泄(소설)하고, 氣血(기혈)

을 暢通(창통)시키며, 理氣止痛(리기지통)한다.

② 支溝(지구), 陽陵泉(양능천), 太冲(태충)을 瀉(사)하면 和解少陽(화해소양)으로

淸熱化濕(청열화습)하는데 脇痛(협통)치료에 경상적으로 사용하는 혈이다.

만약 - ① 熱甚(열심) : 加 大椎(대추).- 淸熱(청열)시키고.

② 心煩(심번) : 加 郄門(극문).- 寧心安神(녕심안신)시키고

③ 惡心(오심), 腹脹(복창) : 加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健胃止嘔(건위지구)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며 胸部(흉부)의 穴(혈)은 斜刺(사자)해야 한

다.

3) 瘀血脇痛(어혈협통) - 瘀血停着(어혈정착)

症狀 : 痛處(통처)가 固定(고정)되며 持續(지속)되고 혹 慢性脇痛(만성협통)이나 外傷史

(외상사)가 있으며 脹痛拒按(창통거안)하거나 혹은 脇下(협하)에 塊(괴, 덩어리)가

있고, 舌質紫暗(설질자암)하고 혹은 간혹 瘀点瘀斑(어점어반)이 있으며 脈弦(맥현)

혹은 沉澁(침삽)하다.

原則 : 活血通絡(활혈통락), 行氣止痛(행기지통).

- 足厥陰(족궐음), 少陽經穴(소양경혈)을 위주로 취하며 足太陰(족태음), 背兪穴(배

수혈)과 배합한다.

處方 : 行間(행간), 大包(대포), 京門(경문), 膈兪(격수), 三陰交(삼음교).

方義 : ① 膈兪(격수)는 血會(혈회)이며 三陰交(삼음교)와 배합 - 活血消瘀(활혈소어)하고.

② 大包(대포)는 脾(비)의 大絡(대락)이며 京門(경문)과 배합하면 通絡止痛(통락지

통)한다.

③ 行間(행간)은 疏肝行氣(소간행기)하는데 氣行則血行(기행칙혈행)하고 血行則

通絡(혈행칙통락)하므로 止痛(지통)한다.

만약 : 外傷脇痛(외상협통)은 局部(국부)에 結合(결합)하여 取穴(취혈)한다.

治法 : 毫針瀉法(호침사법)을 사용한다.

4) 陰虛脇痛(음허협통) - 陰虛火旺(음허화왕)

症狀 : 脇痛(협통)이 隱隱(은은)하고, 疼痛(동통)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피로하 거나 体位

(체위)가 변동되면 통증은 중해지며 面色(면색)은 少華(소화) 이고 뺨은 붉으며 低

熱(저열), 自汗(자한)이 나며, 頭暈目眩(두운목현), 舌紅少苔(설홍소태), 맥은 현세

하며 數(삭)하다.

原則 : 滋陰養血(자음양혈), 和絡定痛(화락정통).

- 足太陰(족태음), 陽明(양명), 手少陰經(수소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血海(혈해), 三陰交(삼음교), 陰極(음극), 心兪(심수).

方義 : ① 陰極(음극) + 心兪(심구)는 斂汗養陰(렴한양음)하고.

② 血海(혈해) + 三陰交(삼음교)는 : 補陰養血(보음양혈) 陰血充沛(음혈충패), 絡脈

濡養(락맥유양)되여 脇痛(협통)이 解除(해제)된다.

治法 : 毫針補法(호침보법)을 사용하거나 혹은 平補平瀉(평보평사)를 사용한다. - 中醫


1. 참조문(參照文)

1) 늑간신경통 (肋間神經痛)

2) 협늑통 (脇肋骨痛)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 靑靈(청령), 神門(신문).

手太陽小腸經 : 腕骨(완골), 陽谷(양곡).

足太陽膀胱經 : 膽兪(담수).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 支泃(지구), 天井(천정).

足少陽膽經 : 淵腋(연액), 日月(일월), 陽陵泉(양능천), 懸鍾(현종).

足厥陰肝經 : 太冲(태충), 章門(장문).

四肢部 : 膽囊穴(담낭혈).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陽小腸經 : 支正(지정), 神門(신문).

手少陽三焦經 : 支泃(지구), 陽陵泉(양능천).

足太陽膀胱經 : 肝兪(간수), 脾兪(비유), 志室(지실).- 針灸資生經

足少陽膽經 : 陽陵泉(양능천), 支泃(지구), 章門(장문), 足臨泣(족림읍).

足厥陰肝經 : ① 章門(장문), 食竇(식두), 支泃(지구), 陽陵泉(양능천).

② 期門(기문), 膈兪(격수), 肝兪(간수), 中封(중봉).

2) 處方 : ① 魚際(어제), 委中(위중)

② 支溝(지구), 期門(기문), 日月(일월), 太冲(태충), 陽陵泉(양능천), 丘墟(구허),

章門(장문).

4. 辨證取穴(변증취혈)

1) 脇痛不得臥(협통불득와) : 足太陽膀胱經 - 膽兪(담수), 章門(장문).- 針灸資生經

2) 옆구리의 앞뒤 빈곳과 小腹이 땡기고 붓고 아픈데는 譩譆穴(의희혈)을 다스린다.

3) 脇痛日久 : 氣戶穴(기호혈), 華盖穴(화개혈).-百症賦 -

4) 脇部脹滿(협부창만) 全身色黃(전신색황) : 湧泉穴(용천혈).- 痛玄指要賦

5) 脇部(협부) 肋骨痛(륵골통) : 陽陵泉穴(양능천혈).- 痛玄指要賦

6) 脇痛(협통) 便秘(변비) : 支溝穴(지구혈).-玉龍歌 -

7) 下肢(하지)로부터 脇痛(협통) 腋窩痛(액와통) : 環跳(환도), 陽陵泉(양능천).-雜病穴法歌

8) 脇部(협부) 肋骨(륵골) 股關節痛(고관절통) : 后谿穴(후계혈).- 肘后歌

9) 脇痛(협통) : 手少陰心經 - 靑靈(청령).

10) 옆구리 갈비뼈 아래가 아프며(脇痛), 허리를 움직일 수 없을 때

處方 : 先針 - 公孫穴(공손혈),

后針 - 支溝(지구), 章門(장문), 陽陵泉穴(양능천혈).-西江月

11) 양 옆구리가 그득하게 붓고(兩脇腫脹), 콕콕 찌르듯이 아플 때(氣痛如刺).

處方 : 先針 - 公孫穴(공손혈),

后針 - 絶骨(절골, 懸鍾), 章門(장문), 陽陵泉穴(양능천혈)을 針刺한다.

12) 옆구리 아래가 아프고(脇下疼痛), 心臟과 胃腸(胃脘部)이 찌르는 뜻한 자통

處方 : 先針 - 內關穴(내관혈),

后針 - 氣海(기해), 行間(행간), 陽陵泉穴(양능천혈)을 치료한다.-西江月

13) 臟腑(장부)가 虛冷(허냉)하고, 양 옆구리 肋骨下痛(늑골하통).

處方 : 先針 - 內關穴(내관혈),

后針 - 支溝(지구), 通里(통리), 章門(장문), 陽陵泉穴(양능천혈).-西江月

14) 脇下(협하)에 肝積(간적)이 있고, 氣(기)가 있어서 刺痛(자통)이 있을 때

處方 : 先刺 -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 章門(장문), 支溝(지구), 中脘(중완), 大陵(대능), 陽陵泉穴(양 능천혈).

4. 辨證取穴(변증취혈)

1) 右脇痛(우협통) : 右側(우측) 엽구리가 아픈 症狀(증상)

處方 : 肺病 -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 少府(소부) 魚際(어제) 瀉.-五行針

※ 柳泰佑 - 脇肋속에는 肝이 있기 때문에 肝實(간실)이 많은 것이 事實이다. 따라서

肝勝格(간승격)이나 肺正格(폐정격)을 놓으면 된다.

2) 左脇痛(좌협통) : 左側(좌측) 엽구리가 아픈 症狀(증상)

處方 : 肝病 - 陰谷(음곡) 曲泉(곡천) 補, 中封(중봉) 經渠(경거) 瀉.-五行針

§ 柳泰佑 - 만약 肝正格(간정격)을 써서 낫지 않고 惡化(악화)되면 遲滯(지체)하지 말

고 肝勝格(간승격)이나 肺正格(폐정격)을 놓아야 한다.

3) 蔽骨痛(폐골통) : 心下牽(심하견) - 명치가 당기고 아픈 症狀(증상)

處方 : 心病 - 大敦(대돈) 少冲(소충) 補, 陰谷(음곡) 少海(소해) 瀉.

§ 柳泰佑 - 積痛(적통)이 있으면 心正格(심정격)을 積痛(적통)이 없으면 心勝格(심승

격)을 쓴다.

4) 左右挽痛(좌우만통) : 脾臟(비장)이 左右(좌우)로 당기고 아프며 消化不良(소화불량)이

되는 것

處方 : 脾病 - 少府(소부) 大都(대도) 補, 大敦(대돈) 隱白(은백) 瀉.

§ 柳泰佑 - 만약 膵腸(췌장)의 痛症(통증)이라면 胃正方(위정방)이나

脾勝方(비승방)을 놓아야 하겠고 十二指腸(십이지장) 附

近(부근)의 痛症(통증)이라면 大腸勝格(대장승격)이 좋으

나 脾正方(비정방)도 可(가)하다.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脇(협)은 挾(협)의 義(의)니 兩臂(양비)의 所挾(소협)을 指稱(지칭)한 것으로서 身軀

(신구)의 兩側(양측) 즉 腋下(액하)로부터 肋骨盡處(늑골진처)가 모두 그것인데 肝

(간)은 갈빗대 사이에 자리 잡고 있으므로 脇痛(협통)은 흔히 肝(간)에 속하였다. 大凡(대범)

七情(칠정), 六鬱(육울)의 犯(범)과 飮食(음식) 勞動(노동)의 傷(상)이 痰凝氣聚(담응기취)와

血蓄成積(혈축성적)을 招致(초치)해가지고 經筋(경근)의 行程(행정)을 따라 邪(사)를 挾(협)

하여 痛(통)이 되는 것인데 左(좌)에 在(재)하면 肝火(간화)와 다못 氣(기)이나 혹은 瘀血(어

혈)도 있으며 右(우)에 在(재)하면 脾火(비화)이나 痰(담)과 다못 食(식)도 있다.

그런데 舍岩(사암)은「脇痛者(협통자) 心肺三焦之位也(심폐삼초지위야)라하고」 「目慌慌而

不見(목황황이불견), 肝弱逢金(간약봉금), 耳矇矇而不聞(이몽몽이불문), 肺傷遇火(폐상우

화), 心由牽吸塞(심유견흡색), 寒冷蔽於心竅(한냉폐어심규), 脾土鬱而呼絶(비토울이호절),

濕熱觸於胃口(습열촉어위구)」라하여 上(상)의 四法(사법)을 立(입)하였다.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右脇痛(우협통)은 혹 痰涎證(담연증)과 같으나 그러나 만일 痰痛(담통)이라면 右脇(우협)이

다만 痛惡(통악)할 뿐이요 心下牽(심하견)은 때로 당기고 아프다는 것을 많이 경험한 것이

다.

1) 한 男子(남자)가 年三十(연삼십)에 恒常(항상) 心痛(심통)을 患(환)하고 몹시 瘦瘠(수척)한

지라 大敦(대돈), 少冲(소충) 補(보), 魚際(어제) 瀉(사)하기 二度(이도)에

見効(견효)하였다. 前(전)부터 心下牽引(심하견인)이 아래로 橫骨(횡골)까지 뻗어서 正立

(정입)하지 못하든 터이다.


5. 피부침 (皮膚針)

침 바늘이 5개인 매화침(梅花針) 7개인 칠성침(七星針) 18개인 라한침(羅漢針) 등

세 종류가 있다.

證狀 : 옆구리 통증은 흉통(胸痛) 때와 같이

處方 : 제 1~12흉추(胸椎)의 양측을 취하는데 격수(膈兪) 간수(肝兪) 혈(穴)을 중점

적으로 자극(刺戟)주고 또 동통부위(疼痛部位) 및 륵골(肋骨)의 내측부터 외

측으로 륵간극(肋間隙)을 두드리는 외에 지구(支泃) 태충(太冲) 등 혈(穴)과 배

합(配合)하여 두드린다.-中醫


협늑통 (脇肋骨痛)

1. 參照文(참조문)

1) 늑간신경통 (肋間神經痛)

2) 협통 (脇痛)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 少海(소해,合).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① 膽經病 : 日月(일월), 京門(경문), 淵腋(연액), 陽陵泉(양능천), 丘墟

(구허).

② 三焦病 : 外關(외관), 支泃(지구), 天鼎(천정).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 外關(외관), 陽陵泉(양능천).

手少陽三焦經 : 支泃(지구), 章門(장문), 外關(외관).- 針灸大成

足少陽膽經 : 足臨泣(족림읍,輸,八脈交會穴,通帶脈).


협통창만 (脇痛脹滿)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日月(일월).


협배통 (脇背痛)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脇背痛(협배통) : 魚際(어제), 委中(위중).


협창만 (脇脹滿)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陽陵泉(양능천), 足三里(족삼리), 上廉(상렴).- 針灸大成



3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