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 202 현운 (眩暈 Dizziness)

Aktualisiert: 9. Apr. 2022


현운 (眩暈 Dizziness) 두운 (頭暈) ☞ 현운 (眩暈)

眩暈(현운)은 어지러운 것으로써 眩(현)은 눈이 아찔하고 暈(운)은 머리가 어지러운 것인

데 양자는 일반적으로 동시에 나타나므로 眩暈(현운)이라 통칭한다. 輕(경)한 자는 반듯

하게 누워 있거나 눈을 꼭 감고 잠시 동안 지나면 정지되지만 重(중)한 자는 머리가 어지

럽고 눈이 아찔하면서 事物(사물)이 뒤집어지는 뜻 혹은 돌아가는 뜻하여 서있지 못하겠

고 겸하여 오심(惡心), 구토(嘔吐), 한출(汗出)이 나고 심지어는 혼도(昏倒)하기까지 한다.

본증은 高血壓(고혈압), 動脈硬化(동맥경화), 內耳性眩暈(내이성현운), 貧血(빈혈), 神經

衰弱(신경쇠약)등 질병에서 나타난다.

病機(병기)

虛證 : 平素(평소)에 체질이 虛弱(허약)하거나 혹은 오랜 病(병)으로, 또는 심한 出血(출

혈)로 虛弱(허약)해진 몸이 쉽게 回復(회복)되지 않으면 心脾虛弱(심비허약)으로

氣血(기혈)이 不足(부족)해져서 頭目(두목)에 營養(영양)을 주지 못하거나 혹은 先天不足

(선천부족), 房室不節(방실불절)로 腎陰(신음)이 지나치게 消耗(소모)되면 자연 腦髓(뇌

수)를 補益(보익)시키지 못하므로 모두 眩暈(현훈)을 發生(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實證 : 平素(평소)에 陽(양)이 盛(성)한 탓으로 肝陽(간양)이 上亢(상항)하게 되면 淸竅(청

규, 頭面部의 7竅)가 不利(불리)해 지기 때문에 眩暈(현훈)이 생기고 憂鬱(우울),

懊惱(오뇌), 忿怒(분노) 등 肝鬱化火(간울화화)로 陽亢風動(양항풍동)하고 혹은 体質(체

질)이 뚱뚱하거나 기름지고, 단(甘, 맛좋은) 음식을 즐기면 脾胃(비위)를 傷(상)하여 健運

(건운)하지 못하고 濕(습)이 모여 痰(담)이 생기게 되는데 이렇게 발전하게 되면 風陽(풍

양)이 混濁(혼탁)한 痰(담)을 끼고 위로 淸竅(청규, 頭面部 7竅)를 擾亂(요란) 시키므로 眩

暈(현훈)이 發生(발생)한다.

辨證(변증)

虛證 : 허증의 경우는 頭暈目眩(두운목현)하는데 疲勞(피로)하면 용이하게 발작되거나

症狀(증상)이 嚴重(엄중)해지고 面色(면색)은 潤氣(윤기)가 없으며 四肢(사지)는

无力(무력)하고 精神(정신)이 피로하며 心臟(심장)이 몹시 뛰고 잠이 적으며 허리

가 시큼하고 귀에서 소리난다. 舌質(설질)은 淡(담)이고 脈細(맥세)하다.

原則 : 補益氣血(보익기혈).

- 背兪穴(배수혈), 督脈(독맥) 및 足少陽(족소양) 陽明經穴(양명경혈)을 取한다.

處方 : 百會(백회), 風池(풍지), 膈兪(격수), 腎兪(신수), 足三里(족삼리).

方義 : ① 百會(백회)에 뜸을 뜨면 氣血(기혈)을 올려 당겨서 腦(뇌)를 맑게 하고

② 風池(풍지)는 內風(내풍)을 가라앉히고

③ 膈兪(격수), 腎兪(신수)는 補血生精(보혈생정)하며,

④ 脾兪(비수), 足三里(족삼리)는 補中益氣(보중익기)하는데 氣(기)와 精血(정혈)

이 充盛(충성)하면 髓海(수해)에 營養(영양)을 주어 眩暈(현훈)이 停止(정지)된

다.

만약 - ① 心悸(심계) : 加 內關(내관). - 寧心安神(녕심안신)시키고.

② 睡眠不足(수면부족) : 加 神門(신문). - 安神鎭靜(안신진정)시키며

③ 耳鳴(이명) : 加 聽宮(청궁). - 通絡開竅(통락개규)시킨다.

治法 : 針으로 補法을 使用, 兼灸, 30分 留針 1일 1番, 10番 1療程

實證 : 眩暈(현훈)이 가끔씩 발작하는데 事物(사물)을 보면 빙빙 돌아가고 뒤집어지며 머

리가 膨脹(팽창)하는 痛證(통증)이 생기고 頭暈頭重(두운두중)하고 마치 졸여 맨

듯싶다. 心煩易怒(심번이노), 胸脇脹悶(흉협창민), 惡心(오심), 嘔吐(구토), 不思飮

食(불사음식), 舌質紅(설질홍), 舌苔厚膩(설태후니) 혹 兼有色黃(겸유색황)하고 脈

弦勁(맥은 현경)하거나 혹 滑數(활삭)하다.

原則 : 平肝潛陽(평간잠양), 和胃化痰(화위화담).

- 任脈(임맥), 督脈(독맥), 足三陰經穴(족삼음경혈)을 취한다.

處方 : 中脘(중완), 陰陵泉(음능천), 行間(행간), 水泉(수천), 印堂(인당).

方義 : ① 行間(행간)은 平肝降逆(평간강역)하고,

② 水泉(수천)은 滋陰潛陽(자음잠양)하며

③ 印堂(인당)은 頭目(두목)을 맑게하여 眩暈(현훈)을 停止(정지)시킨다.

④ 中脘(중완) : 和中止嘔(화중지구)하고,

⑤ 陰陵泉(脾經合穴)은 健脾化濕(건비화습) 하는데 濕(습)이 解除(해제)되면 痰

(담)이 自然(자연)히 없어지고 祛痰(거담)되면 眩暈(현훈)이 생기지 않는다.

만약 : ① 脇脹滿(협창만) : 加 陽陵泉(양능천). - 淸肝通絡(청간통락)하고

② 頭重壓痛(두중압통) : 加 頭維(두유). - 祛風泄火(거풍설화).

治法 : 針(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며 灸法(구법)은 不用(불용)한다.-中醫-

1. 參照文(참조문)

1) 내이성현운 (內耳性眩暈)

2) 두운 (頭暈)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下廉(하렴).

足陽明胃經 : 四白(사백), 豊隆(풍륭, 絡-太陰經), 解溪(해계).

手少陰心經 : 神門(신문).

足太陽膀胱經 : 眉冲(미충), 曲差(곡차), 五處(오처), 承光(승광), 通天(통천), 락각(絡

却), 玉枕(옥침), 肝兪(간수), 飛揚(비양).

手厥陰心包經 :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陰兪脈).

手少陽三焦經 : 四瀆(사독).

足少陽膽經 : 率谷(솔곡), 頷厭(함염), 頭竅陰(두규음), 完骨(완골), 頭臨泣(두림읍), 正

營(정영), 腦空(뇌공), 風池(풍지), 俠溪(협계), 足臨泣(족림읍).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滎), 太冲(태충,輸,原), 中封(중봉,絡-少陽經).

督脈 : 腦戶(뇌호,太陽經과 交會), 后頂(후정), 百會(백회,手足三陽經과 交會), 前頂(전

정), 神庭(신정).

頭頸部奇穴 : 四神聰(사신총), 印堂(인당), 內迎香(내영향), 翳明(예명), 安眠(안면).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足三里(족삼리), 百會(백회), 水泃(수구), 太冲(태충).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 風池(풍지), 百會(백회), 太陽(태양).

足太陽膀胱經 : 絡却(락각), 百會(백회), 風池(풍지), 耳門(이문), 后溪(후계).

手厥陰心包經 : 內關(내관), 風池(풍지).

足少陽膽經 : ① 正營(정영), 風池(풍지), 太陽(태양), 印堂(인당).

② 風池(풍지), 豊隆(풍륭).

足厥陰肝經 : ① 太冲(태충), 風池(풍지),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② 中封(중봉), 陽輔(양보).

督脈 : 筋縮(근축), 太冲(태충), 百會(백회).

頭頸部奇穴 : 安眠(안면), 曲池(곡지), 豊隆(풍륭).

2) 處方 : ① 太冲(태충), 風池(풍지),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② 中封(중봉), 陽輔(양보).

3) 내이성현훈증 (內耳性眩暈症)

⑴ 主治穴(주치혈)

足太陽膀胱經 : ① 肝兪(간수).

② 崑崙(곤륜), 申脈(신맥,陽交脈의 起始部,八脈交會穴,通陽交脈).

頭頸部奇穴 : 翳明(예명), 加 四瀆(사독), 風池(풍지), 啞門(아문), 內關(내관), 太冲

(태충).

⑵ 臨床應用(임상응용)

足太陽膀胱經 : ① 申脈(신맥), 風池(풍지), 翳風(예풍), 中渚(중저), 太冲(태충).

② 申脈(신맥), 翳風(예풍), 安眠(안면), 太冲(태충).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 安眠(안면), 太冲(태충).

⑶ 處方 : ① 百會(백회), 內關(내관), 太冲(태충).

② 風池(풍지), 翳風(예풍), 太冲(태충).

4) 피부침 (皮膚針)

處方 : 두부(頭部) 간수(肝兪) 신수(腎兪) 및 태양혈(太陽穴)을 중점으로 먼곳의 태충

(太冲), 행간(行間), 수천(水泉), 태계(太溪) 등 혈(穴)과 배합한다.

5) 이침(耳針)

耳穴 : 肝(간), 腎(신).

4. 辨證取穴(변증취혈) 舍岩道人針灸要訣

1) 眩暈(현운) : 頭目(두목)이 昏眩(혼현)하고 暈厥(운궐)한 것 눈이 아물아물하여 視物

(시물)이 模糊(모호)하고 精神(정신)이 빙빙 돌면서 아찔하고 어지러운 證

(증). - 淸暈化痰湯(청운화담탕), 滋陰健脾湯(자음건비탕) 증

處方 : 三里(삼리) 迎, 氣海(기해) 瀉, 血會(혈회, 膈兪) 補, 風池(풍지) 瀉.

2) 風眩(풍현) : 眩暈(현운)이 風熱(풍열)로 因(인)한 것으로서 胸中(흉중)이 不利 (불이)하

고 어지러워서 넘어잘것 같으며 바람이 싫고 땀이 저절로 나는 證(증)

- 川芎散(천궁산) 증

處方 : 肝實(간실) - 經渠(경거) 中封(중봉) 補, 少府(소부) 行間(행간) 瀉.

3) 濕暈(습운) : 冒雨傷濕(모우상습)으로 因(인)하여 眩暈(현훈)의 증상을 俱發(구발)하며

鼻塞(비색), 聲重(성중)한 증상 - 芎朮湯(궁출탕) 증

處方 : 脾實(비실) - 中脘(중완) 正, 大敦(대돈) 補, 少府(소부) 瀉.

4) 痰暈(담운) : 상기 眩暈(현훈)을 悉具(실구)하고 痰盛嘔吐(담성구토)를 겸하며 머리가

무거워서 잘 들지 못하는 證(증).

- 半夏伏苓湯(반하복령탕) 證

處方 : 肺實(폐실) - 少府(소부) 魚際(어제) 補, 太白(태백) 太淵(태연) 瀉.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眩暈(현운)이라 함은 頭目(두목)이 昏眩(혼현)하고 暈厥(운궐)한 것 즉 눈이 아

물거리고 精神(정신)이 앗질 한 증을 말한 것으로서 此證(이증)은 虛(허)에 속한

것이 십에 팔구요 痰火(담화)에 속한 것이 십에 하나둘이 되나 모두 痰火(담화)에 속했다

는 일설도 있다.

그 원인을 溯究(소구, 거슬려 상세히 연구)하면 勞倦過度(노권과도)로 해서 된 것, 飢飽

失時(기포실시)로 해서 된 것, 嘔吐傷上(구토상상)으로 해서 된 것, 泄瀉傷下(설사상하)

로 해서 된 것, 大汗亡陽(대한망양)으로 해서 된 것, 焦思不釋(초사불석)으로 해서 된 것,

被毆被辱(피구피욕) 때문에 氣脫(기탈)로 해서 된 것, 悲哀(비애), 痛楚(통초), 大叫(대규),

大呼(대호)로 해서 된 것이 있나니 이것들은 모두 陽中(양중)의 陽(양)을 傷(상)한 것이오

吐血(토혈), 衄血(뉵혈) 便血(변혈)로 해서 된 것도 癰疽大潰(옹저대궤)로 해서 된 것도,

金石(금석)의 被傷(피상) 때문에 失血痛極(실혈통극)으로 해서 된 것, 男子(남자)는 縱慾

(종욕) 때문에 氣(기)가 精(정)을 따라 去(거)하므로 해서 된 것, 婦女(부녀)는 崩淋(붕림),

産後去血多(산후거혈다)로 해서 된 것도 있나니 이것 들은 모두 陰中(음중)에 陽(양)을

傷(상)한 것이다.

至於(지어) 大醉(대취)한 후에 濕熱(습열)이 相乘(상승)된 것은 陰(음)을 傷(상)한 것이오

大怒之後(대노지후)에 肝木(간목)의 肆强(사강)으로 해서 된 것은 그 氣(기)를 傷(상)한

것이다.

그리고 痰飮留中(담음류중)으로 治節(치절)이 不行(불행)해서 된 것도 있나니 이것은 有

餘中(유여중)의 不足(부족)이오 年老精衰(연노정쇠)로 勞倦不已(노권불이)하여 된 것도

있나니 이것은 營衛(영위)가 兩虛(양허)한 것이므로 모두 分別(분별)해서 施治(시치)해야

한다.

左手脈(좌수맥)이 數(삭)한 것은 熱多(열다), 澁(삽)한 것은 死血(사혈), 浮(부) 弦(현)한 것

은 肝風(간풍)이며 右手脈(우수맥)이 大(대)한 것은 氣虛(기허), 滑(활), 實(실)한 것은 痰

積(담적)이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風氣流行(풍기류행), 必入於脾土(필입어비토), 濕冷欲去(습냉욕

거) 可到於腎水(가도어신수)」라 하고 또는 「木賊破土(목적파토) 土官殺水(토관살수)」이

하여 上(상)의 諸法(제법)을 立(입)하였다.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1) 한 男子(남자)가 右脇(우협)이 恒時(항시) 아파서 運身(운신)이 不便(불편)하므로 右脇

痛(우협통)이라 하여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보), 少府(소부) 魚際(어제) 瀉

(사)하였더니 數日後(수일후)에 忽然(홀연) 右脇(우협)이 당겨서 호흡이 不能(불능)하

여 漸漸奄奄(점점엄엄)한지라 다시 宿崇(숙숭)을 물었더니 혹 한달 내지 두 달을 간격

으로 眩暈(현운)하기가 癎疾(간질)과 같다 하므로 비로써 痰眩(담현)인줄 알고 少府

(소부) 魚際(어제) 補(보), 太白(태백) 太淵(태연) 瀉(사)하였더니 수일 후에 有効(유효)

하더라.

2) 한 男子(남자)가 年十五六(연십오육)에 右手(우수)가 鉤而無力(구이무력)하고 面色

(면색)이 蒼白(창백)하며 兼(겸)하여 癎疾(간질)이 있는 지라 痰眩方

(담현방)을 썼더니 右手(우수)의 鉤(구)가 펴지고 眩暈(현운)이 또한 낫더라

3) 한 男子(남자)가 恒常(항상) 眩暈(현운)을 患(환)하여 三四次式(삼사차식) 俗所謂(속소

위) 癎疾(간질)을 呈(정, 보이고)하고 方痛之時(방통지시)에는 昏倒

(혼도)하여 右手臂(우수비)를 卷掣(권체, 힘차게 당기고)하는데 挽(만, 말려도) 不得

(불득)한 지라 痰眩方(담현방) 四五度(사오도)를 썼더니 快差(쾌차)하더라

4) 한 男子(남자)가 年三十餘(연삼십여)에 眩氣(현기)가 異常(이상)하여 한 달에 한두 차

례씩 發(발)하며 所發時(소발시)에는 십 여일씩 죽었다 살아나고 吐

沫(토말)과 함께 癱瘓(탄탄)을 訴(소)하기 벌써 近二十年(근이십년)이라 風眩方(풍현

방)을 써도 처음에 三四朔(삼사삭)은 効驗(효험)이 없더니 用針(용침) 六七朔(육칠삭)

차차 나서 復作(제발)하지 않은 지가 이미 周年(주년)이니 이것이 快己(쾌기)의 漸(점)

으로서 혹 更作(갱작)하더라도 加治(가치)하면 근심이 없을 줄로 생각된다.

5. 眩氣症(현기증)을 일으키는 질병은 高血壓症(hyperpiesia)을 위시하여 低血壓症(hypo-

piesia) 腦貧血(cerebral anemia) 腦充血(cerebral hypermia) 更年期障害(climacteric

hindrance) 女性의 生理障害, 神經證(neurose), 뇌연화전구증, 貧血症(anemia), 胃无力

證(atny of the stomach), 胃下垂(gastroptosis), 中耳(middle ear) 또는 內耳(inerna

ear)질환. 肝機能障害, 견근류마치스, 肩動脈機能亢進證, 선취(ship sickness), 차취(car

sickness), 메니엘 증후군(Meniere`s symptom complex) 등등 극히 많다. 그 중에서

차,배멀미와 메니엘 증후군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차, 배멀미(car and ship sick-

ness) 自動車, 汽車, 船舶, 飛行機 등의 동요로 인하여 內耳의 평형신경인 전전신경

(Vestibule nerve)이나 또는 그밖의 신경이 과도하게 자극되고 식물신경의 중추가 이상

항진을 가져옴으로써 일어나는 현운증상으로 惡心(nausea) 嘔吐(vomit- ting) 血壓降下

腦貧血 등 증을 수반한다. 聾啞者(deaf and dumb)나 4세 이하의 소아에게는 거의 볼 수

가 없으며 같은 사람이라도 건강상태(주로 胃腸과 疲勞狀態)에 다라서 Vertigo(眩氣症)

가 있을 때도 있고 없을 때도 있다. 2) 메니엘 증후군(Meniere`s symptom complex) 여

러 가지의 원인에 의하여 청신경의 내이지(internal ear branch)가 침범되엇을 때 일어

나는 증후군(symptoms complex)으로 심한 경우에는 졸도 하는 일이 있다. 이밖에도

嘔吐(vomitting), 頭痛, 冷汗(cold sweat)등 증을 수반하기도 하며 환자는 머리를 움직이

는 것과 밝은 빛을 보기를 혐오한다.

임상에서 일상 볼 수 있는 것은 內耳炎(otitis interna)와 神經性(hysteria) 이다.

治療 : 침구의학의 經絡 臟腑系의 임상에서 고찰하면 實症과 虛症이 있다. 實症에는 다

시 陽實症과 陰實症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빈발하는 것은 虛症이 대부분인

데 그 또한 특히 腎系와 肝系가 더욱 많다. 심한 陰虛證에서는 脾系의 虛도 포함되고 있

기 때문에 치료상에 있어서는 腎, 肝, 脾를 補하여야 할 경우가 많다. 眩暈과 관계가 깊은

平衡神經은 소양부의 영역으로 이곳은 膽經과 三焦經이 지배하고 있다. 따라서 膽 - 三

焦에 의하여 치료되는 경우가 많다.


49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