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강 (頸强) - 경추병 (頸椎病) - 경항강통 (頸項部疼痛) - 두항강통 (頭項强痛) - 낙침 (落枕)
경강 (頸强) : 뒷목이 뻣뻣한 증상, 後頭部 筋肉痙攣.
1. 參照文(참조문)
1) 두항강통 (頭項强痛)
2) 경추병 (頸椎病)
3) 경항강통 (頸項强痛)
4) 낙침 (落枕)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목이 당김
手陽明大腸經 - 臂臑(비노), 肩髃(견우,手陽明,陽交脈의 會).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 秉風(병풍), 肩外兪(견외수 天窗(천창), 天容.
足太陽膀胱經 : 天柱(천주), 大杼(대저), 風門(풍문), 附分(부분), 魄戶(백호),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① 天柱(천주), 風池(풍지), 百會(백회), 太陽(태양), 合谷(합곡).
② 大杼(대저), 京骨(경골).
4. 辨證取穴(변증취혈)
1) 項强痛(항강통)과 頭痛(두통) : 列缺(열결), 后溪(후계).
2) 項强 頭痛 : 巨骨(거골), 風池(풍지), 絶骨(절골).
경추병 (頸椎病) : 頸痛(경통)
1. 參照文(참조문)
1) 경강 (頸强)
2) 경항강통 (頸項强痛)
3) 낙침 (落枕)
4) 항강 (項强)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
3. 疾病診治大典
針法 1) 体針(체침) : 風池(풍지), 曲池(곡지), 夾脊(협척), 合谷(합곡), 手三里(수삼리), -
留針(유침) 15 - 30분간 매일 1차 베개를 잘못 베고 잠잔 탓으로
경추를 손상 받은 落枕型(락침형) 頸椎病(경추병) 환자에게도 활
용할 수 있다.
2) 耳針(이침) : 腦(뇌), 下屛尖(하병첨), 下脚端(하각단), 神門(신문).
毫針(호침)으로 강하게 자극한다. 매일 1차 혹은 실을 묻거나(埋
線) 혹은 王不留行(왕불유행)의 씨앗을 눌러 붙인다(籽貼壓).
眩暈型(현운형) 頸椎病(경추병)에도 활용한다.
3) 穴位主射(혈위주사)
⑴ 紅花當歸川芎注射液(홍화당귀천궁주사액) 5㎖(毫升)에 2% 포도당(普魯卡
因)을 가한 것 2㎖(毫升)을 아픈 부위(作痛点)거나, 혹은 단단하게 뭉친 부위
(或硬結部)에 3~4일 간격으로 한 번씩 주사한다.
☆ 眩暈型(현운형) 경추병은 상술한 주사액을 3㎖(毫升) 加 2% 포도당(普
魯卡因)을 가한 것 1㎖(毫升)을 양쪽 風池穴(풍지혈)에 주한다. 치료효과
가 비교적 좋다.
⑵ 復方丹參注射液(복방단삼주사액) 2 ㎖(毫升) 10% 葡萄糖(포도당)을 가한
것 5~10㎖(毫升)을 아픈 쪽 大椎穴(대추혈)에 0.5촌 進針(진침)하고 비스듬
하게 45° 각도로 大椎穴(대추혈)을 향해서 주사한다. 주사는 매번 10㎖(毫
升)씩 격일제로 1차씩 치료하는데 7차례를 1 療程(료정)으로 하고, 1 료정
격간은 7일이다.
4) 隔姜灸法(격강구법) : 夾脊穴(협척혈), 阿是穴(아시혈)에 配合 ; 大椎(대추), 肩
井(견정), 曲池(곡지), 肩貞(견정), 合谷(합곡), 足三里穴(족
삼리혈)을 배합한다.
매차 3~6개 穴位(혈위)로 하고, 每穴(매혈)에 3~6 장의
뜸을, 매일 1차, 10차/일이 1 료정이다.
5) 方葯(방약) : 伸筋草(신근초), 五加皮(오가피), 乳香(유향), 沒葯(몰약) 各12g, 秦
艽(진구), 當歸(당귀), 紅花(홍화), 土鱉虫(토별충), 路路通(로로통),
桑葉(상엽), 桂枝(계지), 骨碎補(골쇄보), 川烏(천오), 草烏(초오) 各
9g.
이상의 약제를 20분간 달여서 여과한 따뜻한 약물로 환처를 씻는
다(過濾取葯溫洗患處). 매일 1차, 매차 20 분간, 7차 1 療程(료정).
경항강통 (頸項部疼痛)
1. 參照文(참조문)
1) 경강 (頸强) 2) 항강 (項强) 3) 경추병 (頸椎病) 4) 낙침 (落枕)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列缺(열결,絡-陽明經,八脈交會穴,通任脈).
手陽明大腸經 : 臂臑(비노,手陽明絡의 會, 手足太陽, 陽維의 會) - 頸項部痙攣
手太陽小腸經 : 天窗(천창), 天容(천용).
手少陽三焦經 : 天髎(천료), 耳門(이문).
足少陽膽經 : 本神(본신).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項部 主治經 : 膀胱經(방광경) - 小腸經(소장경)
取穴 : 天柱(천주), 風池(풍지), 大椎穴(대추혈) 아래 肩胛部(견갑부)의 督脈
穴(독맥혈), 大杼(대저), 風門(풍문), 肺兪(폐수), 心兪(심수), 厥陰兪(궐
음수), 肩外兪(견외수), 天髎(천료), 肩中兪(견중수), 肩井(견정), 魄戶
(백호), 膏肓(고황) 등의 穴(혈)을 切經(절경)하여 症(증)에 상응한 經
穴(경혈)을 선택하여 5~10분간 留針(유침, 遲針)한다.
治法 ⑴ 僧帽筋(승모근)에 壓痛(압통), 단단하게 맺히거나(硬結), 緊張(긴장)
이 있을 경우에는 어깨와 목 부근의 피부를 왼손으로 집어 올려서
오른손으로 皮膚針(피부침)을 瀉法(사법)으로 시술하거나 또는 유
도자침이나 산침을 시행한다.
⑵ 上冲(상충), 充血(충혈), 硬結(경결), 壓痛(압통)이 현저한 경우에는
天柱(천주), 風池(풍지), 肩中兪(견중수), 肩外兪(견외수) 등의 穴에
서 瀉血(사혈)한다.
⑶ 어깨나 목 부근에 血絡(혈락)이 발현하고 있을 때는 刺絡(자락)하거
나 皮內針(피내침)을 시술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⑷ 疼痛(동통)이 한쪽(偏側)에 치우쳐 있을 경우에는 건강한 쪽(健側)
에 거자요법을 시술한다.
여기서 주의할 사항은 水毒(수독) 또는 瘀滯體質(어체체질)이나 衰弱
者(쇠약자), 貧血(빈혈), 低血壓(저혈압), 心臟病(심장병) 환자 등에는
針(침)이나 瀉血療法(사혈료법)보다는 灸療法(구료법)이 이상적이라
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2) 側頸部(측경부)
主治經(주치경) : 大腸經(대장경) - 胃經(위경), 小腸經(소장경) - 膀胱經(방광경),
三焦經(삼초경) - 膽(膵)經(담(췌)경) 중에서 선택한다.
取穴 : 翳風(예풍), 天容(천용), 天窗(천창), 扶突(부돌), 人迎(인영), 氣
舍(기사), 水府(수부), 氣戶(기호) 중에서 切經(절경, 손으로 짚
어보아)하여 病態反應(병태반응)이 가장 심하게 발현하는 經穴
을 선택하고 5~10분 정도 留針(유침)한다.
治法 ⑴ 疼痛(동통)이 偏側(편측)에 있을 경우에는 健側(건측)에 거자를 병용한
다.
⑵ 胸鎖乳突筋(흉쇄유돌근)에 壓痛(압통), 硬結(경결), 緊張(긴장)이 있으면
皮膚針(피부침), 散針(산침) 유도자 등의 방법으로 근육을 완화할 필요
가 있으며 水毒(수독) 및 瘀血體質(어혈체질)이나 질환, 쇠약자 및 빈혈,
저혈압, 심장병이 있을 경우에는 사상구 2~3 장의 가벼운 灸療法(구료
법)이 바람직하다. 現代針灸學
3) 頸項部(경항부) 疼痛(동통) - 手太陽小腸經 : 臑兪(노유,手太陽,陽交의 會).
4) 頸項部(경항부) 筋肉痙攣(근육경련) - 足少陽膽經 : 肩井(견정,手足少陽,足陽明,
陽維의 會).
5. 이침(耳針)
1) 경항강직(頸項强直) : 枕(침).
경항부염증 (頸項部炎症)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少陽三焦經 : 臑會(노회,手少陽,陽維의 會)
두항강통 (頭項强痛)
1. 參照文(참조문)
1) 항강증 (項强症)
2. 主治穴(주치혈)
1) 列缺(열결), 后溪(후계).
2) 手太陽小腸經 : 前谷(전곡), 腕骨(완골), 支正(지정).
足太陽膀胱經 : 玉枕(옥침), 束骨(속골,輸).
足少陽膽經 : 頭竅陰(두규음), 正營(정영).
督脈 : 陶道(도도), 大椎(대추), 風府(풍부,太陽經,陽兪脈과의 交會), 强間(강간).
上肢部奇穴 : 八邪(팔사), 上八邪(상팔사).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遠道選穴 : 列缺(열결)을 찿으라(尋(심).
2) 上下配穴法 : 上病下取(상병하취) - 崑崙(곤륜).
3) 足太陽膀胱經 ① 玉枕(옥침), 風池(풍지), 百會(백회), 合谷(합곡).
② 至陰(지음), 風池(풍지), 天柱(천주), 太陽(태양).
③ 至陰(지음), 風池(풍지), 太陽(태양).
足少陽膽經 : 頭竅陰(두규음), 長强(장강).
督脈 ① 陶道(도도), 風門(풍문), 身柱(신주), 至陽(지양), 后溪(후계).
② 腦戶(뇌호), 風池(풍지), 后溪(후계), 腦空(뇌공).
上肢部奇穴 : 落枕(낙침,項强), 新識(신식).
4. 辨證取穴(변증취혈)
1) 頭項强直(두항강직) : 마리와 목덜미가 뻣뻣한 것
① 承漿穴(승장혈)
② 處方 : 先刺 - 后溪穴(후계혈),
后刺 - 承漿(승장), 風府(풍부), 風池(풍지), 合谷穴(합곡혈). - 西江月
2) 頭項强痛(두항강통) : 머리와 목덜미가 뻣뻣하고 아픈 것
① 后溪穴(후계혈) - 痛玄指要賦
② 轉側不利(전측불이) 牙痛(아통) : 數先 瀉 承漿穴(승장혈), 風府穴(풍부혈) 針刺-
玉龍歌
③ 頭項强痛(두항강통) : 承漿穴(승장혈) 針刺 - 勝玉歌
3) 頭, 項, 手病(머리, 목, 손병)
① 陰陵泉(음능천), 陽陵泉(양능천), 申脈(신맥), 照海(조해), 三陰交(삼음교), 陰交
穴(음교혈) - 雜病穴法歌 4) 머리와 목이 당기며(頭項抽), 어깨와 등줄기가 아플
(肩背痛) 때
處方 : 先刺 - 后溪穴(후계혈),
后刺 - 承漿(승장), 百會(백회), 肩井(견정), 中渚穴(중저혈)을 治療한다. -
西江月
두항부경련 (頭項部痙攣) 1. 主治穴(주치혈) 1) 督脈 : 陶道(도도,太陽經과 交會).
낙침 (落枕)
1. 참조문
1) 경강 (頸强)
2) 경항강통 (頸項强痛)
3) 경추병 (頸椎病)
4) 항강증 (項强症)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輸,八脈交會穴,通督脈).
手太陽小腸經 : 養老(양노,郄), 肩中兪(견중수).
足太陽膀胱經 : 天柱(천주), 后溪(후계), 懸鍾(현종).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絡-厥陰經, 八脈交會穴,通陽兪脈).
足少陽膽經 : 懸鍾(현종,足三陽經과 連絡, 髓會).
項背腰部奇穴 : 定喘(정천), 百勞(백로).
上肢部奇穴 : 落枕(낙침,項强).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少陽膽經 : ① 完骨(완골), 天柱(천주), 后溪(후계), 折骨(절골).
② 風池(풍지), 折骨(절골).
③ 懸鍾(현종), 天柱(천주), 后溪(후계), 風池(풍지).
2) 處方 : ① 大椎 后溪 懸鍾
② 阿是穴 落枕 3) 잠을 자다가 베개에서 목이 떨어져(落枕) 목이 뻣뻣하고 아
픈 때는 巨骨穴(거골혈)에 침자 한다.
4. 落枕(락침)은 단순하게 목이 뻣뻣한 통증으로 활동에 제한을 받는 일종의 급성 병증이
다. 頸部傷筋(경부상근)으로서 아동에게는 극히 적고, 성인에게 많은 편이며, 노년은
頸椎病(경추병)에서 나타나는데 반복적으로 발작하는 경향이 높다. 頸肌勞損(경기노
손), 頸項纖維織炎(경항섬유직염), 頸肌風濕(경기풍습), 枕后神經痛(침후신경통), 頸椎
肥大(경추비대)로 생긴 斜頸(사경)등은 모두 본절의 변증론치를 참고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본병은 대부분 수면할 때 자세가 적당하지 못했거나 베개를 잘못 베어 목 부위에 골절
근육(骨節筋肉)이 오랜 시간 과분하게 당기고 있었던 관계로 경련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는 목 부위의 손상 혹은 풍한(風寒)의 사기(邪氣)를 감수하여 국부의 경맥(經脈)에 기
혈(氣血)이 막힘(阻滯)으로 목에 강직한 통증이 생기게 되는 것일 수도 있다.
辨證論治(변증론치)
일반적으로 아침에 일어나면 갑자기 목 한쪽이 뻣뻣해(强直) 지며 전후좌우로 돌리지
못하고 국부에 시큼한 통증이 생기는데 어깨와 팔 등어리까지 퍼진다. 혹은 두통(頭痛)
과 추위를 타는(惡寒) 증상을 겸하기도 한다. 국부의 근육이 경련되며 압통이 있으나
벌겋게 붓거나 열은 나지 않고 뜨거운 찜질을 하면 시원해진다.
治則(치칙) : 調氣活血(조기활혈), 舒筋散寒(서근산한). 近部(근부)의 阿是穴(아시혈),
手足太陽(수족태양), 少陽經穴(소양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처방) : 落枕穴(낙침혈), 壓痛点(압통점), 后谿(후계), 懸鍾(현종).
方義(방의) - 본 처방은 모두 患側(환측)에 針刺(침자)한다.
落枕穴(낙침혈) : 낙침을 치료하는 경험혈이고
壓痛点(압통점) : 近部(근부) 취혈이며
后谿(후계), 懸鍾(현종) : 循經(순경) 취혈인데 이들은 調氣活血(조기활혈)
하고, 舒筋散寒(서근산한) 작용
萬若(만약) - ① 惡寒(오한), 頭痛(두통) : 加 合谷(합곡), 外關(외관).-散寒止痛(산한지통)
② 어깨에 통증 : 加 曲垣(곡원), 肩髃(견우). - 氣血疏通(기혈소통)
③ 등어리 통증 : 加 大杼(대저), 肩外兪(견외수). - 氣血疏通(기혈소통)
治法(치법) : 針(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먼저 落枕穴(낙침혈) 혹은 懸鍾穴(현종
혈)에 침자하여, 捻轉(염전)하면 환자에게 목을 돌리게 하여 통증을 완해
하고, 다음에 근부의 혈위에 침자한다. 어깨와 등어리 부위에는 溫針灸(온
침구) 혹은 附缸(부항)을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얻는다. - 中醫 -
5. 이침(耳針) 耳穴 : 肩(견), 頸(경).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