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125 신장질환(腎臟疾患)

Aktualisiert: 9. Apr. 2022




신경병 (足少陰腎經病辨證處方) - 신결석증 (腎結石症) - 신교통 (腎交通) - 신병변증취혈 (腎病辨證取穴) - 신염 (腎炎) - 신우염 (腎盂炎) - 신장의 세뇨관질환 - 신하수 (腎下垂) - 부신 (副腎 Adrenal)



신경병 (足少陰腎經病辨證處方)

風寒濕痹(풍한습비), 腎經蘊熱(신경온열).

1. 風寒濕痹(풍한습비)

病因病理 : 外邪浸入腎經(외사침입신경), 經脈不通(경맥불통).

證候 : 腰脊疼痛(요척동통), 下肢內側(하지내측), 后面疼痛(후면동통), 厥冷痠痛(궐

냉산통), 痲痹(마비), 筋肉萎縮(근육위축).

治法 : 溫經疏通(온경소통).

處方 : 1) 腰眼(요안), 腎兪(신수), 陰谷(음곡), 然谷(연곡).

針法 : 平補平瀉(평보평사)

2) 陰谷(음곡), 腎兪(신수), 太溪(태계), 飛揚(비양).

針法 : 瀉法(사법). 結合針灸法(결합침구법).

2. 腎經蘊熱(신경온열)

病因病理 : 熱邪壅滯腎經(열사옹체신경)

證候 : 口熱舌乾(구열설건), 咽喉乾痛(인후건통), 足心熱(족심열).

治法 : 疏痛經絡(소통경락), 消瀉蘊熱(소사온열)

處方 : 湧泉(용천), 復溜(복류), 京骨(경골), 大鍾(대종).

針法 : 瀉法(사법).


신결석증 (腎結石症 Renal carculus)

신장결석(腎臟結石) :

신우(腎盂 calix) 또는 신배(腎盃 calix of kichney)에 있는 뇨석(尿石)을 지칭하는 것

으로 사립상(모래알)의 것을 신사(腎砂 renal gravel)라 부르고 있다. 수는 보통 한 개

로 크시와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신석의 기계적 자극으로 calix의 점막에 염증,

비후, 출혈 괴사 등을 가져와서 때로는 수신증(hydronephrosis)을 일으켜서 전염을

일으킬 우려도 잇으며 그것이 심해지면 腎潰瘍(신궤양)을 일으킨다. 작은돌이 뇨관

(尿管)을 이동하면 신석 산통 발작을 일으킨다. 본증의 진단은 지속적 鈍痛(둔통)을

위시하여 반복성 血尿(혈뇨)와 酸痛(산통) 발작으로 쉽게 짐작할 수가 있다.

腎石酸痛(신석산통)은 신체의 격동에 따라서 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동통은 처음에

는 腎臟部(신장부)에서 갑자기 일어나서 뇨관을 따라 下腹(하복), 膀胱(방광), 陰部(음

부), 上大腿內側(상대퇴내측)으로 파급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지만 때로는 측복

부(少腹)에서 背部(배부)로 放散(방산)할 때도 있다. 동통에는 강약이 있으며 심한 경

우에는 nausea, vomitting, 냉한(冷汗 coldsweat), 실신(失神 fainting) 등의 증을 수

반한다. 배뇨(排尿)는 빈삭(頻數)으로 뇨량(尿量)이 적어지거나 또는 무뇨(无尿)상태

가 되는 경우도 있다. 결석이 작을 경우에는 산통발작에 따라서 결석(結石)이 尿管

(뇨관) 을 하행하여 방광(膀胱)을 경유하여 체외로 배설되는 경우도 있다.

발작이 멎으면 무증상이 된다. 본증은 만성적으로 경과는 일진일퇴하고 완전히 치유

되는 것이 있는가 하면 Pyelitis(腎盂炎)을 속발시킬 때도 있으며 뇨관(尿管)이 폐색

(閉塞)되어 돌이 이동하지 않을 때는 뇨관 절개수술이 필요하며, 큰신석이 calix에 박

혀 있을 경우에서 신우 절개수술 또는 신장 절개수술이 불가결하다.

治療 : 침구료법(針灸療法)은 대증료법으로서 저효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며, 때로

는 뇨석은 뇨관으로부터 방광으로 이동시키는데 상당한 효과를 나타낼 때가

있으니 일차 추시하기 바란다. 치법은 병태반응경과 반응혈을 선정하여 수십

분간 유침(留針)한후 그자리에 뜸을 뜬다. 요둔부에 나타나는 반응점에 깊숙

한 자침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現代針灸學

1. 參考文(참고문)

1) 뇨도결석 (尿道結石)

2) 腎與輸尿管結石(신여수뇨관결석) - 本節(본절)은 痛證(통증, 極痛證) 의 5. 腎交痛

(신교통)을 참조

2. 臨床應用(임상응용)

處方 ① 腎兪(신수), 膀胱兪(방광수), 三陰交(삼음교)

② 腎兪(신수), 志室(지실), 三焦兪(삼초수), 水道(수도).

③ 章門(장문), 期門(기문), 中封(중봉), 蠡泃(려구), 三陰交(삼음교).

1) 濕熱下注(습열하주)

證狀 : 絞痛(교통), 尿急(뇨급), 尿痛(뇨통), 惡心(오심), 嘔吐(구토), 苔黃(태황), 脈弦

滑(맥현활).

主穴 : 陰陵泉(음능천), 三陰交(삼음교), 太冲(태충).

2) 冷積血瘀(냉적혈어)

證狀 : 隱痛(은통), 鈍痛(둔통), 血尿(혈뇨), 或尿流突然中斷(혹 뇨류돌연중단), 劇

痛(극통), 舌紫暗(설자암), 脈弦緊(맥현긴).

主穴 : 氣海(기해), 血海(혈해), 足三里(족삼리).

3) 脾胃氣虛(비위기허)

證狀 : 反復腰痛(반복요통), 精神不振(정신불진), 四肢不溫(사지불온), 尿頻 (뇨

빈), 苔白(태백), 脈沉細(맥침세)

主穴 : 脾兪(비수), 腎兪(신수), 灸關元(구관원).

原則 : 發作時(발작시) 淸利濕熱(청리습열), 通淋行氣爲(통림행기위), 平素則益腎

(평소칙익신), 通調膀胱(통조방광), 氣機爲主(기기위주).

取穴 : 腎兪(신수), 京門(경문), 膀胱兪(방광수), 中極(중극).

① 上端結石(상단결석) : 腎兪(신수), 京門(경문), 氣海(기해), 天樞(천추),

三焦兪(삼초수)를 위주로 한다.

② 下端結石(하단결석) : 膀胱兪(방광수), 中極(중극), 水道(수도)를 爲主(위

주)로 한다.


신교통 (腎交通) - 신극통 (腎劇痛)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腎兪(신수).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志室(지실), 腎兪(신수), 三陰交(삼음교).

2) 處方 ① 腎兪(신수), 陽陵泉(양능천).

② 腎兪(신수), 阿是穴(아시혈).

③ 志室(지실), 太溪(태계).

3) 腎劇痛(신극통)

證狀 : 허리에 극열한 통증이 생기는데 아랫배까지 미치고, 소변이 갑자기 중단되며,

경상적으로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고 소변이 渾赤(혼적)하며 小便時(소변시)

에 澁痛(삽통)이 생기고 暢通(창통)하지 못한다. 설태는 엷고 희며 黃膩(황니)

하며, 맥은 弦緊(현긴) 혹은 弦數(현삭)하다.

治則 : 益腎祛邪(익신거사), 調氣止痛(조기지통). - 足少陰(족소음), 太陽經(태양경)

任脈穴(임맥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照海(조해), 腎兪(신수), 委陽(위양), 中極(중극).

方義 : 본증은 주로 邪氣阻腎(사기조신)하고, 氣機不利(기기불이)하거나, 혹은 下 焦

(하초)에 濕熱(습열)이 蘊結(온결)되어 발생된다.

① 照海(조해), 腎兪(신수) : 益腎祛邪(익신거사)하고,

② 委陽(위양) : 三焦氣機(삼초기기)를 疏理(소리)하며,

③ 中極(중극) : 膀胱氣化(방광기화)를 調理(조리)하고 下焦(하초)의 濕熱(습

열)을 淸利(청리)한다.

만약 : ① 尿血(뇨혈)을 보면 加 血海(혈해) - 止血(지혈) 시키고

② 소변에 結石(결석)이 보이면 加 然谷(연곡) - 利腎排石(이신배석)한다.

針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며, 灸法(구법)도 합당하게 겸한다.

4) 이침(耳針)

耳穴 : 輸尿管(수뇨관).


신병변증취혈 (腎病辨證取穴)

腎陽不足(신양부족), 腎不納氣(신불납기), 陽虛水泛(양허수범), 腎陰虛證(신음

허증).

1) 腎陽不足(신양부족)

病因病機 : 素体虛弱(소체허약), 或久病(혹구병), 疲勞過度(피로과도), 혹 不調身體(불조신

체) 年老腎陽不足(연노신양부족), 腎陽虛(신양허) 陰寒內盛(음한내성), 精與津

液固攝无權(정여진액고삽무권)

證候 : 陽痿早泄(양위조설), 尿多自遺(뇨다자유), 腰脊痠痛(요척산통), 足膝无力(족슬

무력), 久立不能(구립불능), 面色蒼白(면색창백), 易寒(이한) 四肢冷(사지냉),

舌淡(설담) 脈沉細弱(맥침세약).

西醫 : 性機能不全(성기능부전), 尿崩症(뇨붕증), 心機能不全(심기능부전), 糖

尿病(당뇨병).

治法 : 溫補腎陽(온보신양), 固攝精氣(고섭정기), 强壯腰膝(강장요슬).

處方 : 太溪(태계), 中極(중극), 心兪(심수), 關元(관원), 復溜(복류), 命門(명문).

針法 : 補法(보법) 兼灸(겸구).

2) 腎不納氣(신불납기)

病因病機 : ⑴ 腎陽虛(신양허), 陰寒內盛(음한내성), 固攝无權(고섭무권).

⑵ 腎陽虛(신양허), 腎不納氣(신불납기).

證候 : 氣短(기단), 動則尤甚(동칙우심), 呼氣短吸氣長(호기단흡기장), 消瘦(소수), 精

神疲勞(정신피로), 汗出(한출), 말하기싫어함(懶言(나언)), 四肢冷(사지냉), 面色

靑(면색청), 舌淡(설담), 脈沉无力(맥침무력) 或浮大无力(혹부대무력).

西醫 : 心機能不全(심기능부전), 肺心病(폐심병),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

治法 : 溫補腎陽(온보신양), 納氣歸氣(납기귀기).

處方 : 太溪(태계), 氣海(기해), 復溜(복류), 膻中(전중), 腎兪(신수).

針法 : 補法(보법).

3) 陽虛水泛(양허수범)

病因病機 : ⑴ 腎陽虛(신양허), 陰寒內盛(음한내성), 固攝无權(고섭무권).

⑵ 腎陽虛(신양허), 腎不納氣(신불납기).

⑶ 腎陽虛(신양허), 不能水調(불능수조), 水液泛濫(수액범람).

證候 : 心悸氣短(심계기단), 面部下肢浮腫(면부하지부종). 下肢尤甚(하지우심), 按之

陷凹(안지함요) 復舊遲緩(복구지완), 腹脹滿(복창만), 泄瀉(설사), 舌苔潤滑(설

태윤활).

西醫 : 心機能不全(심기능부전), 만성신사구성신염, 腎上腺皮質機能減退(신상

선피질기능감퇴)

治法 : 溫補腎陽(온보신양), 化氣行水(화기행수).

處方 : ⑴ 水道(수도), 復溜(복류), 腎兪(신유), 太溪(태계), 關元(관원).

針法 : 平補平瀉(평보평사), 針灸結合(침구결합).

⑵ 腎兪(신유), 命門(명문), 關元(관원), 腰陽關(요양관), 三陰交(삼음교), 足三里

(족삼리).

針法 : 補法(보법) - 針灸結合(침구결합) 혹 隔附子灸(격부자구)

4) 腎陰虛證(신음허증)

病因病機 : 房事過度(방사과도), 失血(실혈), 혹 熱病傷津(열병상진), 腎陰不足(신음부족)

證候 : ⑴ 腎陰不足(신음부족) : 腰酸遺精(요산유정), 咽喉乾痛(인후건통), 兩觀紅(양관

홍), 筋萎縮(두근위축), 无力(무력), 耳聾(이농), 혹 耳鳴

(이명), 舌紅乾(설홍건), 脈沉細(맥침세).

⑵ 陰虛陽浮(음허양부) : 身体消瘦(신체소수), 頭暈(두운), 眩暈(현훈), 耳鳴(이

명), 耳聾(이농), 失眠健忘(실면건망), 陰痿多夢遺精(음

위다몽유정), 口乾咽喉痛(구건인후통), 定時潮熱(정시

조열), 盜汗(도한), 嘶啞(시아), 口渴(구갈), 多飮(다음),

痰中帶血(담중대혈), 舌紅苔薄(설홍태박), 脈細數(맥세

삭) 혹 浮大空虛(부대공허)

西醫 : 神經官能症(신경관능증), 糖尿(당뇨), 乳糜尿(유미뇨), 尿崩症(뇨붕증),

不姙症(불임증), 肺結核(폐결핵), 腎結核(신결핵), 骨結核(골결핵).

治法 : ⑴ 滋補腎陰(자보신음)

⑵ 滋陰降火(자음강화).

處方 : ⑴ 復溜(복류), 腎兪(신유), 太溪(태계), 志室(지실), 曲骨(곡골), 命門(명문),

針法 : 補法(보법)

⑵ 三陰交(삼음교), 太冲(태충), 太白(태백), 腎兪(신수), 脾兪(비수).

治法 : 補法(보법)


신염 (腎炎)

급성신염(急性腎炎 Acute nephritis)

신장의 사구체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일명 급성사구체신염이라고 지칭 한다 본병

의 발병에는 한냉(寒冷)이나 습윤(濕潤)이 중요한 유인이 되고 있으나, 원인은 세균의 감

염으로 가장 많은 것은 연쇄상구균이며, 이밖에 드물기는 하지만 폐렴균 Influenza균, 임

균, 뇌척수염균 등이 원인이 될 때도 있다.

세균의 침입문호, 증 원병소(原病巢)는 편도선염(扁桃腺炎)에 의한 인두부의 감염을 위

시하여 성홍열,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 페염, 화농성감염(습진, 개선화상의 화농), 급성

관절 rheumatism, influenza 및 기타 여러 가지의 감염증으로 이 가 운데서도 Tonsillitis

에 의한 발병이 90%를 차지하고 있다.

비록 본증의 발병 원인이 세균의 감염이기는 하지만 세균이 직접 Kidney를 침범하는 것

이 아니고 Bacterium의 독소가 혈행에 의하여 Kidney에 작용하여 상해를 주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병의 발병은 서서히 완만하게 오는 것도 있으나 대부분 감염후 1~2주일에 급성으로

시작하여 두통, 고민감 신장부위의 둔통 등을 자각하며 증상은 다기다양하다. 비교적 경

증의 경우는 혈뇨 또는 부종만이 나타나지만 폭발형의 중증인 경우에는 전신의 edema,

시력장해, 심한 혈압항진, dyspnea, 의식불명, 전신경련 등을 나타내면서 나중에는 혼수

상태에 빠져서 사망한다.

성홍열 산염에서는 발병 3주일 후부터 혈뇨, 안면부종, 두통, 뇨량감소가 특징이다.

본병의 주요 증상은 부종(浮腫) 고혈압(高血壓) 뇨(尿)의 변화 등 3가지 이다.

Edema : 일반적으로 발병 초기부터 나타나며 최초에는 안검주위에 나타나서 이것이 점

차로 전신으로 확산된다. 그러나 Nephrose와 같이 완고하지 않다.

혈압항진 : 대부분 160에서 180에 이르고 있으나 때로는 200mm까지 올라가는 것도 있

다. 신기능의 회복과 더불어 혈압은 안정되고 정상으로 돌아오지만 혈압항진

이 장기간 계속되거나, 일단 하강하였다가 다시 상승하는 것은 만성으로 이

행하기 쉽다. 이같은 이유에서 혈압의 경과를 추적하는 것은 병세 판단상 중

요하다.

뇨변화 : 뇨량이 갑자기 감소(중증인 경우 20cc)하면서 혼탁, 혈성을 나타낸다. 육안적 혈

뇨는 일과성이지만 현미경적 혈뇨는 장기간 게속되며, 여러 가지의 뇨원주, 다

수의 적혈구, 백혈구를 확인할 수 있다. Albuminuria(蛋白尿)는 필발릐 증상으

로 병변의경코와 더불어 감소하지만 최후까지 남는 증상이다.

治療 : 급성기의 초기에는 절대 안정을 지키게 하고 특히 신체의 보온에 유의하고 적당한

식이료법이 가장 필요하다. 또한 protein의 제한을 엄격히 지키고, 식염을 위시한

자극성 음식물을 피한다.

針灸 : 심포경(心胞經)-비경(脾經), 심경(心經)-신경(腎經)을 기본 주치경으로 하고,

병태반응에 따라서 방광경(膀胱經)-소장경(小腸經), 위경(胃經)-대장경(大腸

經), 삼초경(三焦經)-담경(膽經) 등을 추가 한다. 주치혈의 선혈은 병태반응

에 따라 가감하고 시술은 본증이 수독성질환인 점을 감안하여 뜸(灸)료법을

주로 하고 침(針)은 보조적으로 사용한다. 자침에 의한 현운증에는 즉시 자

침부위에 뜸을 든다. 본증에 대한 시술은 처음에는 가능한 혈수를 적게 하

고 자극량도 가볍게 한다. 現代針灸學

1. 參照文(참조문)

1) 慢性腎炎 : 脾病中(비병중) 寒濕困脾(한습곤비) 參照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滑肉門(활육문), 水道(수도), 解溪(해계).

足太陰脾經 : 陰陵泉(음능천,合).

足太陽膀胱經 : 脾兪(비수), 三焦兪(삼초수), 腎兪(신수), 委陽(위양,別絡,三焦의 下合

穴), 飛揚(비양,絡-足少陰).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輸,原), 復溜(복류,經), 筑賓(축빈,陰兪脈의 郄穴).

手少陽三焦經 : 四瀆(사독).

足少陽膽經 : 京門(경문).

足厥陰肝經 : 曲泉(곡천,合).

任脈 : 中樞(중추,足三陰,任脈의 會), 水分(수분), 關元(관원,足三陰經과 交會,小腸의 募

穴), 中極(중극,足三陰經과 交會, 膀胱의 募穴).

督脈 : 命門(명문).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急慢性(급만성)

足陽明胃經 : ① 水道(수도), 腎兪(신수), 膀胱兪(방광수), 三陰交(삼음교).

: ② 解溪(해계), 腎兪(신수), 復溜(복류), 陰陵泉(음능천).

足太陽膀胱經 : ① 三焦兪(삼초수), 氣海兪(기해수), 大腸兪(대장수), 足三里.

② 腎兪(신수), 中極(중극), 三陰交(삼음교), 復溜(복류), 飛揚(비양), 子

宮(자궁).

③ 關元兪(관원수), 天樞(천추), 腎兪(신유), 三陰交(삼음교).

足少陰腎經 : 筑賓(축빈), 腎兪(신수), 復溜(복류), 三陰交(삼음교).


신우염 (腎盂炎 pyelitis)

Bacterium의 감염으로 인한 신우(腎盂)의 염증으로 병원체는 대장균이 양 60% 이상

차지하므로 대부분이다. 포도구균 연쇄구균이 그 다음으로 많고, 드물기는 하지만 폐

염균 typhus균 임균 등에 의하는 경우도 있다. 감염경로는 뇨로에서 상행성인 것, 혈

행성, lympha성 등이 있다. 증상에 따라서 급성(急性)과 만성(慢性)으로 분유한다.

急性 : 주요증상은 pyrexia(發熱), pain-pyuria(膿尿) 등으로 발병은 갑자기 일어나며

오한(惡寒 chill) 전율(戰慄 schudder)과 더불어 이장형의 고열이 나타난다. 열

은 39~40℃에 이르며, 국소증상으로서는 요부에 둔통이 있으며 때로는 수뇨관

(輸尿管)에 따라서 방산되는 산통(散痛 colic)이 있다. 방광(膀胱)에 염증을 수반

하는 겅우에는 뇨빈삭(尿頻數)이 일어나며 특유한 pyuria(膿尿)가 있으며 그 膿

尿 속에서 병원균울 발견랄 수가 있다. 뇨(尿)는 혼탁하여 다소의 albuminuria

(蛋白尿)와 다수의 백혈구(白血球 leukocytes)와 소수의 적혈구(赤血球

erythrocytes)를 함유하고 있다.

慢性 : 통상 양측성으로 남자보다 여자가 많으며, 남자의 경우는 전립선 비대에 의한

뇨폐(尿閉 ischuria)가 있을 때 일어난다. 본증은 대부분은 acute pyelitis에서

이행하고 있으며, 급성에 비하여 증상이 가볍지만 오랜 간격을 가지고 때때로

pyuria와 더불어 발열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제발이 쉽고, headache,

lumbago, 신장부(腎臟部)에 압통을 나타내기도 한다.

治療 : Chill-Shudder를 수반하는 급성증은 태양병(太陽病)이나 소양병(少陽病)을 병

발할 것으로, 방광경(膀胱經)-소장경(小腸經), 담경(膽經)-삼초경(三焦經)으로 하

는 경우가 많다. 음경(陰經)에서는 신경(腎經)-폐경(肺經), 비경(脾經)-심폐경(心

肺經)이 주가 된다. 주치혈(主治穴)의 선정은 병태반응에 따라서 적절하게 가감

하되 기법은 가벼운 침 자극 후에 뜸 료법을 추가한다. 針灸療法과 병행하여 병

원체에 상응하는 화학료법이나 약물료법(湯藥)이 바람직하다. 現代針灸學

1. 參照文(참조문)

1) 신염 (腎炎)

2. 主治穴(주치혈)

1) 腎盂腎炎 : 胸腹部奇穴 - 子宮(자궁).

3. 이침(耳針) 耳穴 : 腎炎点(신염점).


신장 (腎臟)

신장의 세뇨관질환(Nephrose) Nephrose는 부종(浮腫) 단백뇨(蛋白尿) 혈청단백감소

(血淸蛋白減少)를 주증상으로 하는 신세뇨관의 퇴행변성을 가져오는 질환으로 대부분

사구체 신염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사구체 기저막의 손상이 원인으로 사구체의 투과성이

고조되어 혈증의 작은 분자인 Albumin이 뇨중에 ekfif 배출되어 뇨단백(尿蛋白)이 많아

지면서 혈액 albumin이 감소되어 저단백증을 가져온다. 한편으로는 세뇨관의 제흡수의

항진에 의하여 Natrium이 체액중에 고여서 부종이 나타난다. 본병은 주로 젊은 사람에

게 많이 발병하며, 경과는 만성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證狀은 고도의 단백뇨, 뇨원주, 고

도의 부종을 수반한다. 식염과 수분의 배설장애는 심하지만 질소 배설은 불변으로 혈액

의 잔여 질소량도 정상이다. 따라서 혈압상승이나 심장비대 또는 안저의 소견도 없다.

治療 : 신염(腎炎) 침구료법(針灸療法)에 준한다. 現代針灸學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腎臟熱病(신장열병) : 然谷穴(연곡혈) - 痛玄指要賦

2) 寒濕腎病(한습신병) : 足三里穴(족삼리혈) - 痛玄指要賦

3) 腎虛腰弱(신허요약), 小便頻數(소변빈삭) : 命門穴(명문혈) 針刺(침자), 腎兪穴(신수혈)

灸法(구법).- 玉龍歌

신하수 (腎下垂)

1. 主治穴(주치혈) 1

1) 足太陽膀胱經 : 腎兪(신수).

項背腰部 : 腰眼(요안).

胸腹部奇穴 : 提托(제탁).

項背腰部奇穴 : 腰眼(요안).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項背腰部奇穴 : 腰眼(요안), 脾脊(비척), 腎脊(신척).

2) 신허 (腎虛)

臨床應用(임상응용) 1) 近部選穴 : 腎兪(신수), 志室(지실).


부신 (副腎 Adrenal)

에디슨씨병(Addison`s disease)

부신(副腎 Adrenal)의 기능장애에 의하여 일어나는 병변(病変)으로 1885년 영국의

Addison씨에 의하여 처음으로 발견된 병이다. 비교적 희소한 병으로 남자보다 여자에게

많으며 연령적으로 중년자에게 많다.

원인(原因)은 주로 adrenal의 결핵성 변화이지만 이밖에도 매독(梅毒)이나 종양(腫瘍) 등

부신(副腎)의 변화이외에도 발병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자들은 부신(副腎)

을 출입하는 교감신경(交感神經 Sympathetic nerve)의 질병이 아닌가 생각되고 있다.

증후(證候)는 완만하게 발병하여 처음에는 피로(疲勞) 권태감(倦怠感)을 느끼면서 일에

대한 무기력을 나타내며 건망(健忘 amnesia), 취면(取眠)을 호소하며, 이어서 식욕감퇴

(食欲減退 anorexia), 오심(惡心 nausea), 복통(腹痛 stomach- ache), 변비(便秘 consti-

pation), 설사(泄瀉 diarrhea) 등의 소화기장해를 나타내면서 드디어 피부나 점막에 갈색

의 색소가 침착하고 혈압이 떨어지면서 성욕이 감퇴한다. 경과는 8~10년의 만성형으로

예후가 좋지 않다.

치료(治療)

한방이론상에서 보면 음허증(陰虛證)이므로 뜸(灸)을 주로 하고 침(針)은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主治經과 主治穴의 선정은 빈혈(貧血 Anemia), 당뇨병(糖尿病 Diabetes mellitus)

에 준한다. 現代針灸學


33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