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120 수종(水腫) 부종 (浮腫)

Aktualisiert: 9. Apr. 2022



수병 (水病) - 부종 (浮腫) - 수종(水腫) - 습종 (濕腫)



수병 (水病) ⇒ 발배 (發背) → 부근발배(附筋發背)

1. 刺水熱穴論

水病治療穴(수병치료혈)

兪穴(수혈) 57穴中 腎兪穴(신유혈)이 要穴(요혈)이다.

督脈 1) 肛門脊部(항문척부) : 脊中(척중), 縣樞(현추), 命門(명문), 腰兪(요수), 長强(장강).

2) 脊椎兩側(척추양측) 1.5寸 : 大腸兪(대장수), 小腸兪(소장수), 膀胱兪(방광수), 中

膂兪(중려수), 白環兪(백환수).

3) 脊椎兩側(척추양측) 3寸 : 胃倉(위창), 肓門(황문), 志室(지실), 胞肓(포황), 秩邊(질

변).

4) 腎經 伏兎穴上(복토혈상) : 大赫(대혁), 氣穴(기혈), 四滿(사만), 中注(중주).

5) 胃經 : 氣冲(기충), 歸來(귀래), 水道(수도), 大巨(대거), 外陵(외능).

6) 足部 : 三陰交(삼음교) -(水病治療 必須要穴)

7) 內踝上 : 照海(조해), 交信(교신), 復溜(복류), 筑賓(축빈), 陰谷(음곡), 三陰交(삼음

교).


부종 (浮腫) ☞ 수종 (水腫)

1. 참고문(參考文)

1) 복수 (腹水)

2) 수종 (水腫)

3) 면부종 (面浮腫)

4) 각기 (脚氣)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關門(관문), 滑肉門(활육문), 陷谷(함곡,輸), 廬兌(려태,井).

足太陰脾經 : 대도(大都,滎) 太白(태백,輸,原), 公孫(공손,絡-陽明經,八脈交會穴,通冲脈),

商丘(상구,經), 三陰交(삼음교,會), 地機(지기,郄).

足太陽膀胱經 : 脾兪(비수).

任脈 : 石門(석문,三焦의 募穴), 陰交(음교).

督脈 : 前頂(전정).

3. 임상응용(臨床應用)

1) 足太陰脾經 : 府舍(부사), 內關(내관), 合谷(합곡), 天樞(천추), 足三里, 三陰交.

2) 處方 : ① 水分(수분), 章門(장문), 足三里(족삼리).

② 腎兪(신수), 陽陵泉(양능천), 復溜(복류).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면부종(面浮腫) : 水溝穴(수구혈), 前頂穴(전정혈), - 百症賦

2) 한습(寒濕) 혹 습열인기(濕熱引起) 지체부종(肢体浮腫) 혹 황달(黃疸), 설사(泄瀉), 뇨황

적(尿黃赤) : 下髎穴(하료혈) - 百症賦

3) 하지부종(下肢浮腫) : 復溜穴(복류혈) - 靈光賦

4) 복부부종(腹部浮腫), 팽만(膨滿)

處方 : 先 水分穴(수분혈), 后瀉 建里穴(건리혈) - 長桑君天皇秘訣歌

5) 학질인기(虐疾引起) 면부종(面浮腫)과 장명(腸鳴)

處方 : 先 合谷(합곡), 后 內庭(내정)-長桑君天皇秘訣

6) 사지부종(四肢浮腫) 先 - 大腸兪(대장유), 后 - 二間穴(이간혈) - 行針指要歌

7) 전신부종(全身浮腫)

處方 : 先刺 - 照海穴(조해혈),

后刺 - 氣海(기해), 三里(삼리), 曲池(곡지), 合谷(합곡),內庭(내정),行間(행간),三

陰交(삼음교).

8) 四肢, 面, 目이 모두 부종이 있으며, 大熱이 없어지지 않을 때

處方 : 先刺 - 照海穴(조해혈),

后刺 - 人中(인중), 合谷(합곡), 三里(삼리), 臨泣(임읍), 曲池(곡지), 三陰交穴(삼

음교혈).

9) 診脈 : § 지맥(止脈) 작탁맥(雀啄脈) 하유맥(鰕遊脈)은 모두 위험(危險)하다.- 經驗方

1) 만성부종(慢性浮腫, prolonged edema)

處方 : 膈兪穴(격유혈) 灸五壯(뜸 5장), 照海穴(조해혈) 灸三壯(뜸 3장), 中脘穴(중

완혈) 留針(유침) 10次 呼氣(호기).

2) 온 몸이 갑자기 붓고, 얼굴이 부어 커지는 증상 “滿身卒腫 面浮洪大”

處方 : 內踝下 赤白肉際 (안쪽 복사뼈 아래 발바닥 흰살과 발등 붉은살 경계부위)에

灸三壯.

3) 부종(浮腫)과 복부팽만(腹部膨滿-fullness of abdomen)

處方 : 水分(수분), 三陰交(삼음교), 陰交穴(음교혈)에 各灸百壯(각각 뜸 100장), 겸

하여 五臟兪穴(오장유혈)을 응용한다. 中脘穴(중완혈)은 針을 뽑은 후에 침

구멍을 막아서 물이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水分穴等 腹部의 모든 혈처(穴

處)는 有關하다.) 陰交穴(음교혈)에 는 灸七壯(뜸 7장)한다.

4) 팔다리와 얼굴이 붓는 증 “四肢面目浮腫”

處方 : 照海(조해), 人中(인중), 合谷(합곡), 足三里(족삼리), 折骨(절골, 懸鍾) 曲池(곡

지), 腕骨(완골), 脾兪(비수), 胃兪(위수), 三陰交(삼음교), 中脘穴(중완혈)에

針刺(침자)

5) 부종(浮腫) : 소아부종 處方 : 수분(水分)에 3장 삼음교(三陰交)에 30장 비수(脾兪)

에 3장의 뜸을 뜬다.

5. 이침(耳針)

耳穴 : 三焦(삼초)


針灸經驗方

수종 (水腫) edema, hydrocele, hydrops

수종은 또 水氣(수기), 浮腫(부종)이라 부른다. 광범하게 頭面(두면), 眼瞼(안검), 四肢(사

지), 腹部(복부), 심지어 全身(전신)의 水腫(수종)을 가리킨다. 임상표현에 근거하여 陽水

(양수), 陰水(음수) 두 가지로 나누고 疾病(질병) 면에서는 心性水腫(심성수종), 腎性水腫

(신성수종), 營養性水腫(영양성수종)등 이 있다. 모두 本節의 辨證論治를 參考하라

病機 : 水液(수액)의 운행과 조절은 모두 肺氣(폐기)의 通調(통조), 脾氣(비기)의 輸布(수

포), 腎氣(신기)의 蒸化(증화), 三焦(삼초)의 決瀆(결독), 膀胱(방광)의 氣化(기화)로

써 水氣(수기)가 暢行(창행)하고 소변이 通利(통리)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만약 風邪外襲(풍사외습)하여 肺氣不宣(폐기불선)으로 水道(수도)를 通調(통조) 못하면

水濕流溢(수습이 류일) 되고 혹은 습지에 오래 거처하거나(久居濕地) 혹은 물을 건너가

거나 비를 맞으면 濕困脾土(습곤비토), 脾失輸布(비실수포), 水濕內停(수습내정), 泛溢肌

膚(범일기부)하여 病(병)은 偏陽(편양)된다. 만약 陽水(양수)가 오래도록 낫지 않거나 혹

은 飢飽失宜(기포실의)로 脾氣(비기)가 虛弱(허약)하거나 혹은 勞倦縱欲(노권종욕)하면

腎氣(신기)가 損傷(손상)된다.

脾腎陽虛(비신양허)하면 수액을 蒸化(증화)하지 못하므로 병은 偏陰(편음)된다. 陽水(양

수)는 대부분 實證(실증)에 속하고 陰水(음수)는 대부분 虛證(허증)에 속한다. 陽水(양수)

가 오래도록 치료되지 못하면 正氣(정기)가 손상 받아 陰水(음수)로 되고 陰水(음수)가 復

感外邪(복감외사)하게 되면 腫熱增極(종열증극)으로 역시 陽水(양수)의 症狀(증상)을 나

타낸다.

1) 陽水症狀(양수증상)

초기에는 양 눈이 먼저 붓고 계속하여 四肢(사지)및 全身(전신)이 모두 붓는데 그 形勢

(형세)는 비교적 급하다. 허리 윗부분이 더 심하게 붓고 皮膚(피부)에 光澤(광택)이 나

며 누르면 오목하게 들어갔다가 속히 회복되고 陰囊(음낭)은 부어서 반들거리며 胸悶

(흉민), 呼吸促迫(호흡촉박), 小便短(소변단) 겸하여 發熱(발열), 畏風(외풍), 畏冷(외냉),

咳嗽(해수), 咽喉腫痛(인후종통), 舌苔白滑(설태백활), 脈浮緊(맥부긴) 或浮數(혹부삭)

하다.

原則 : 疏風利水(소풍이수), 淸熱散寒(청열산한).

- 手足太陰(수족태음), 手陽明經穴(수양명경혈) 위주 背兪穴(배수혈) 배합

處方 : 陰陵泉(음능천), 偏歷(편력), 肺兪(폐수), 三焦兪(삼초수), 合谷(합곡).

方義 : ① 症狀(증상)은 陽水(양수)에 속하고 허리 위가 嚴重(엄중)하게 붓기 때문에 宣

肺發散(선폐발산)해야 한다.

② 肺兪(폐수), 偏歷(편력) : 宣肺散風寒(선폐산풍한),

③ 外關(외관), 合谷(합곡) : 發汗淸熱(발한청열)하여 근육표면의 風熱邪(풍열사)

를 땀으로 解除(해제)시킨다.

④ 三焦兪(삼초수) : 通調水道(통조수도)하고.

⑤ 陰陵泉(음능천) : 健脾利濕(건비이습)하여 內停(내정)된 水濕(수습)을 膀胱(방

광)으로 내려보낸다.

만약 : ① 咽喉腫痛(인후종통) : 少商穴(소상혈)을 點刺出血(점자출혈)하여 ← 淸熱解毒

(청열해독) 시킨다.

② 面部浮腫(면부부종) : 水溝(수구) ← 淸熱消腫(청열소종)

治法 : 침으로 瀉法(사법), 일반적으로 灸法(구법)을 禁(금)한다. 15-20분 留針(유침) 1

日 1次 10일간을 1療程(료정)으로 하고, 每療程(매료정)의 간격은 3-5일간으로

한다.

2) 陰水症狀(음수증상)

전신에 浮腫(부종)이 오는데 허리 이하가 더심하며 누르면 오목한 자리가 나며 천천히

회복되고 皮膚色(피부색)은 灰暗(회암)하며 얼굴색 도 회색(面色灰色)이 거나 혹은 蒼

白(창백)하다. 胃(위)와 腹部(복부)가 膨脹(팽창)하고, 腰痠痛(요산통)하며 무겁다. 몸은

疲勞(피로)하고 四肢(사지)는 冷(냉)하며 숨차고, 納呆(납매), 便溏(변당), 小便短(소변

단), 舌質淡胖(설질담반), 舌苔白滑(설태백활), 脈沉細弱(맥침세약)

原則 : 健脾溫腎(건비온신), 助陽利水(조양이수) 背兪(배수), 任脈(임맥), 足陽明(족양

명), 足少陰經穴(족소음경혈).

處方 : 脾兪(비수) 腎兪(신수) 水分(수분) 氣海(기해) 太溪(태계) 足三里(족삼리)

方義 : ① 증상은 陰水(음수)에 속하고 허리 이하에 浮腫(부종)이 심하므로 치료는 助陽

分利(조양분리)로 한다.

② 脾兪(비수), 足三里(족삼리) : 健脾化濕(건비화습),

③ 腎兪(신수), 太溪(태계) : 溫補腎陽(온보신양),

④ 氣海(기해) : 灸(뜸) ← 助陽化氣(조양화기),

⑤ 水分(수분) : 分利水濕(분리수습)

☞ 氣가 行하면 水가 行하고 水가 行하면 浮氣가 빠진다.

만약 : ① 胃가 먹먹하면 : 中脘(중완) ← 調中消痞(조중소비)

② 泄瀉(설사) : 天樞(천추) ← 理腸止瀉(리장지사),

※ ③ 水毒(수독)이 心肺(심폐)를 범하면 : 內關(내관), 神門(신문), 尺澤(척택),

十宣(십선), 人中(인중), 血海(혈해), 太冲(태충) 等 穴을 取하여 救急(구급)하

며 따라서 반드시 즉시로 綜合治療(종합치료)를 해야 한다.

治法 : 針으로 補法(보법), 兼灸(겸구), 其他(기타)는 陽水(양수)와 같다.

☞ 秘方 : ⑴ 三焦兪(삼초수), 大腸兪(대장수), 水分(수분), 氣海(기해), 足三里(족삼리), 陰

陵泉(음능천).

⑵ 胃倉(위창), 石門(석문), 水分(수분), 四滿(사만).

⑶ 筑賓(축빈), 復溜(복류), 三陰交(삼음교), 腎兪(신수).

♧ 方葯 : 越婢加朮湯(월비가출탕) - 水腫兼表證(수종겸표증)

3) 營養不良(영양불량) : 脾病中(비병중) 脾氣虛弱(비기허약) 참조

1. 參照文(참조문)

1) 浮腫 參照

2. 主治穴(주치혈)

1) “血管性水腫(혈관성수종)” : 太淵穴(태연혈).

2) 足陽明胃經 : 關門(관문), 天樞(천추).

足太陰脾經 : 地機(지기), 陰陵泉(음능천).

足太陽膀胱經 : 脾兪(비수), 三焦兪(삼초수), 腎兪(신수), 胃倉(위창), 志室(지실).

足少陰腎經 : 復溜(복류), 四滿(사만).

任脈 : 石門(석문), 氣海(기해), 신궐(神闕), 水分(수분), 建里(건리).

督脈 : 命門(명문).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 復溜(복류), 照海(조해), 太溪(태계), 然谷(연곡).

2) 足陽明胃經 ① 水道(수도), 腎兪(신수), 膀胱兪(방광수), 三陰交(삼음교).

② 大巨(대거), 水道(수도).

足太陽膀胱經 ① 三焦兪(삼초수), 大腸兪(대장수), 水分(수분), 氣海(기해), 足三里(족삼

리), 陰陵泉(음릉천).

② 腎兪(신수), 關元(관원), 中極(중극), 膀胱兪(방광수), 三陰交(삼음교).

③ 胃倉(위창), 石門(석문), 水分(수분), 四滿(사만).

足少陰腎經 ① 筑賓(축빈), 復溜(복류), 三陰交(삼음교), 腎兪(신수).

② 復溜(복류), 臍中(제중).- 水腫 氣脹滿症 - 針灸大成

任脈 : 建里(건리), 水分(수분).

3) 辨病取穴(변병취혈)

1) 水腫(수종) : 水分穴(수분혈), 陰陵泉穴(음능천혈) - 百症賦

2) 水腫(수종) : 水分穴(수분혈) - 靈光賦

3) 水腫(수종) : 水分穴(수분혈), 復溜穴(복류혈) - 雜病穴法歌

4) 水腫 : 先 - 水分穴(수분혈),

后 - 陰交穴(음교혈) - 行針指要歌

4. 血管性水腫(혈관성수종) 赤白游風(적백유풍)

1) 內治法(내치법)

⑴ 脾肺氣虛(비폐기허)

證狀 : 風寒相搏證(풍한상박증) ; 口脣(구순), 眼瞼(안검), 耳垂等處(이수등허), 突然

腫起(돌연종기), 局部(국부) 皮膚緊張(피부긴장), 發亮(발량), 呈正常(정정상),

膚色或淺白色(부색혹천백색), 壓之无凹陷色不變(압지무료함색불변), 往往

持續數日不消退(왕왕지속수일불소퇴), 伴微惡風寒(반미오풍한), 无汗(무한),

少氣乏力(소기핍력), 飮食欠佳(음식흠가) 舌質淡(설질담), 苔薄白(태박백),

脈濡細或緩(맥유세혹완).

治法 : 補肺益脾(보폐익비), 疏風散寒(소풍산한).

方葯 :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補肺湯(보폐탕) 合裁(합재)

≒ 黃芪(황기), 黨參(당삼), 熟地黃(숙지황), 炒白朮(초백출), 當歸

(당귀) 各10, 升麻(승마), 柴胡(시호), 五味子(오미자), 生甘草(생

감초), 陳皮(진피), 蟬衣(선의) 各6.

⑵ 脾肺燥熱(비폐조열)

證狀 : 風熱壅滯證(풍열옹체증), 發病部位以口唇(발열부위이구순), 眼瞼爲主(안검

위주), 甚則累及整个顔面(심칙 루급정개안면), 腫起如雲片(종기여운편), 邊

界不淸(변계불청), 色淺紅(색천홍), 壓之无凹陷而色變淺(압지무요함 이색변

천), 皮膚炘熱(피부흔열), 發病急速(발열급속), 消退較快(소퇴교쾌). 伴口乾

渴飮(반구건갈음), 身熱(신열), 溲黃(수황), 舌質紅(설질홍), 苔薄黃(태박황),

脈數或滑數(맥삭혹활삭).

治法 : 淸潤脾肺(청윤비폐), 疏散風熱(소산풍열)..

方葯 : 四物消風散(사물소풍산) 加减(가감)

≒ 當歸(당귀), 炒白芍(초백작), 生地黃(생지황) 各10, 荊芥(형개), 柴

胡(시호), 蟬衣(선의), 黃芩(황금) 各6, 浮萍(부평), 生石膏(생석고)

各12, 白茅根(백모근)30.

2) 針灸治療(침구치료)

⑴ 辨病取穴(변병취혈)

眼瞼區(안검구) : 四白(사백), 陽白(양백), 太陽(태양).

口脣區(구순구) : 地倉(지창), 人中(인중), 承漿(승장), 曲池(곡지) 合谷(합곡).

外陰區(외음구) : 中極(중극), 長强(장강), 水分(수분).

方法 : 施瀉法(시사법), 針刺(침자) 得氣后留針(득기후유침) 30분간, 其間行針(기간

행침) 3~5次, 1日 1次, 5次 1 療程(료정).

⑵ 隣近取穴(린근취혈) : 膻中(전중), 合谷(합곡).

方法 : 針刺得氣后(침자득기후) 對膻中穴(대전중혈) 針尖指向天突穴處(참첨지향

천돌혈처), 輕巧行針(경교행침) 3~5 分鍾后發出(분종후발출), 合谷施瀉法

(합곡 시사법), 留針(유침) 30 분간, 1日 1次, 3次爲 1 療程(료정).

☆☆☆ 適用于(적용우) 喉頭水腫(후두수종), 對消除窒息很有幇助(대소제 질식 흔유

방조)

⑶ 耳針法(이침법) : 肺(폐), 心(심), 皮質下(피질하), 蕁麻疹區(담마진구).

方法 : 針后留針(침후유침) 30 分鍾(분종). 其間行針(기간행침) 3~5次, 1

日 1次, 5次 爲 1 療程(료정).

⑷ 刺血法(자혈법) : 阿是穴(아시혈) (脣紅腫脹區(순홍종창구))

方法 : 常規消毒后(상규소독후), 持短毫針(지단호침) 3~5 根(근), 刺阿是

穴(자아시혈), 使之可見少許滲液(사지 가견소허삼액), 或滲血爲度

(혹 삼혈위도), 2日 1次, 3次爲 1療程.


습종 (濕腫) : 浮腫 參照

1) 見症 : 전신이 붓되(全身浮腫) 특히 腰(요)로부터 足(족)에 이르기까지 尤甚(우심)하고, 氣

(기)가 혹 急(급)하며, 혹은 不急(불급)하고, 대변이 혹 묽고, 혹은 묽지 않기도 하다.

處方 : 大敦(대돈) 隱白(은백) 補, 經渠(경거) 商陽(상양) 瀉. - 舍岩 -


중습 (中濕)

1. 參照文(참조문)

1) 고창 (鼓脹)

2) 부종 (浮腫)

2. 舍岩道人針灸要訣

1) 中濕 - 內傷 : 生冷(생냉)한 飮食(음식)으로 인하여 誘致(유치)된 內鬱性證(내울성증)은

흔히 鼓脹(고창), 浮腫(부종) 등 증을 訴(소)한다.

處方 : 少府(소부) 大都(대도) 補, 大敦(대돈) 隱白(은백) 瀉.

2) 中濕 - 外傷 : 陰雨霧露(음우무로)로 인하여 誘致(유치)된 外傷性濕證(외상성습증)은

흔히 重腿脚氣(중퇴각기) 等證(등증)을 訴(소)한다.

處方 : 丹田(단전) 陰谷(음곡) 補, 臨泣(림읍) 陷谷(함곡) 瀉.

※ 註 : 본서에 인용된 丹田(단전)의 명은 14條(조)가 있으나 모두 正經穴名

(정경혈명)이 아니오

① 十七椎下(십칠추하)에 在(재)한 족태양방광경의 關元兪(관원수).

② 臍下二寸(제하이촌)에 在(재)한 任脈經(임맥경), 石門(석문) 兩穴(양

혈)의 별명이 모두 丹田(단전)으로 되어 있다.

이(此)에 丹田(단전)은 果然何穴(과연하혈)을 지칭함인지 未詳(미

상)하나 아직 後者(후자)에 依(의)하여 解明 (해명)해 둔다.

3) 濕腫(습종) : 全身(전신)이 모두 헐되 腰(요)로부터 足(족)에 至(지)하기까지 尤甚(우심)

하며 氣(기)가 혹은 急(급), 혹은 不急(불급)하고 大便(대변)이 혹은 묽고

혹은 묽지 않기도 하다.

處方 : 大敦(대돈) 隱白(은백) 補, 經渠(경거) 商陽(상양) 瀉.

4) 黃疸(황달) : 濕(습)과 熱(열)의 交結(교결) 때문에 分泌(분비)되는 膽(담)의 熱汁(열즙)

이 胃(위)의 濁氣(탁기)와 相倂(상병)되는 까닭에 皮膚(피부)와 眼目(안목)

이 모두 黃色(황색,(胃의 本色))을 發(발)하는 證.

處方 : 三里(삼리) 腕骨(완골) 內庭(내정) 臨泣(임읍) 陷谷(함곡) 瀉.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濕(습)은 重濁有質(중탁유질)의 邪(사)로서 外感(외감), 內傷(내상)등 傳入(전

입)의 經路(경로)는 다르다 하겠으나 外感(외감)의 濕(습)은 臟腑(장부)에 漸

入(점입)하고,內傷(내상)의 濕(습)은 經絡(경락)에 漸傳(점전)할 뿐으로 그 증상에 있어

① 上에 在하면 頭痛(두통), 目黃(목황), 鼻塞聲重(비색성중)하고,

② 中에 在하면 痞憫不舒(비민불서)하며,

③ 下에 在하면 足脛腑腫(족경부종)하고,

④ 經絡(경락)에 在하면 日晡發熱(일포발열), 筋骨疼痛(근골동통), 腰痛不能轉側(요통

불능전측), 四肢痿弱痠痛(사지위약산통)하고,

⑤ 腐肉(부육)에 在하면 腫滿(종만), 按肉如泥(안육여니)하며,

⑥ 肢節(지절)에 在하면 屈伸强硬(굴신강경)하고,

⑦ 隧道(수도)에 在하면 重着不移(중착불이)하며,

⑧ 皮膚(피부)에 在하면 頑麻(완마)하고,

⑨ 氣血(기혈)에 在하면 倦怠(권태)하며,

⑩ 肺(폐)에 在하면 喘滿咳嗽(천만해수)하고,

⑪ 脾(비)에 在하면 痰涎腫脹(담연종창)하며,

⑫ 肝(간)에 在하면 脇滿癮疝(협만은산)하고,

⑬ 腎(신)에 在하면 腰痛陰汗(요통음한)한다.

⑭ 腑(부)에 入하면 腸鳴(장명), 嘔吐(구토), 淋濁(임탁), 大便泄瀉(대변설사), 後重(후

중), 小便秘澁(소변비삽), 黃赤(황적)하고,

⑮ 臟(장)에 入하면 昏迷不省(혼미불성), 直視無聲(직시무성) 等證(등증)을 訴(소)하기

는 一般(일반)이다.

舍岩(사암)의 治驗(치험)을 考察(고찰)하건데 內傷性濕證(내상성습증)에는 그 치료

법칙을 주로 脾經(비경)에 두어서 嘈囃(조잡)과 같이 취급해 왔으며 伏兎穴(복토혈) 근

처 및 內股腹相下(내고복상하)에 結核(결핵) 또는 成膿氣(성농기)가 있는 것은 모두 濕

熱(습열)에 의해 뭉친 것이라 하여 脾經正格(비경정격)의 治法(치법)으로 萬無一失(만

무일실)을 壯談(장담)하였다.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1) 一男子(한 남자)가 年五十(연오십)에 兩脚(양각) 曲泉(곡천) 上으로부터 陰莖(음경)

에 이르기까지 左右(좌우)에 貫珠狀(관주상)의 結核(결핵)이 있고

風寒(풍한)을 싫어하여 出門(출문)하지 않은지 임의 屢日(루일)이며 때는 정히 夏末

(하말)을 當(당)한지라 濕氣(습기)가 方盛(방성)한 節氣(절기)이며 또한 右邊(우변)이

甚(심)하므로 少府(소부) 大都(대도) 補, 隱白(은백) 大敦(대돈) 瀉. 하기 一次(일차)에

痛證(통증)이 그치고 痢疾(이질)이 作(작)하더니 제 3일 만에 두 가지 증세가 모두

掃然(소연)하더라 그러면 兩脚流注(양각류주)의 濕氣(습기)가 白痢(백리)로 변하

여 없어진 것일까. . . . .

2) 一女子(한 여자)가 年十餘歲(연십여세)에 잘못 南草田(남초전)에 蔓菁(만청)을 먹

고 菜毒(채독, 十二指腸虫)이 되어 痿黃幾死之境(위황기사지경)에

도달하였더니 脾經正格(비경정격)으로써 見効(견효)하였다.


41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