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구112 소변불이 (小便不利)

Aktualisiert: 9. Apr. 2022


소변불이 (小便不利) - 소변임력 (小便淋瀝) -

소변불이 (小便不利) : 排尿障碍(배뇨장애)

륭폐(癃閉)는 소변불통이라 부른다. 주요 증상은 배뇨곤난(排尿困難)이며 심한 자는

소변이 폐색불통(閉塞不通)이 된다. 륭(癃)은 소변불창(小便不暢)으로써 오줌(尿液)

이 물방울처럼 떨어지고, 뇨액(尿液)이 방광(膀胱)에 저류(瀦留)되어 아랫배가 불룩

한 것을 가리키고, 폐(閉)는 소변이 폐색(閉塞)되어 한 방울도 나오지 않는 것을 가리

킨다.

본절에서는 각종원인으로 생기는 뇨저류(尿瀦留)를 서술한다. 그러나 신 공능쇠갈

(腎功能衰竭) 등으로 생기는 무뇨증(无尿症)은 수액이 방광으로 내려오지 못하는 것

으로 수천이 고학(水泉枯涸)됨으로써 방광이 소변을 배출할 수 없는 륭폐(癃閉)와는

전연 다르다.

변증론치(辨證論治)

1) 허증(虛證) : 소변이 물방울처럼 떨어지고 상쾌하게 소변을 보지 못하다. 배출이

무력하며, 심지어 한 방울도 나오지 않는다. 아랫배가 팽창하고, 정신

이 피로하며, 무력하고, 얼굴색이 창백하며, 숨이 차고, 음성이 낮으

며 가늘고,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며 연약하고, 대변은 무르고 때로

는 항문이 처지는 감을 느낀다. 설질은 담백하고 태는 약간 미끈거리

며, 맥은 침세약(沉細弱)하다.

治則 : 온양익기(溫陽益氣), 계폐이뇨(啓閉利尿).

족소음(足少陰), 태양(太陽), 배수(背兪)와 임맥경혈(任脈經穴)

處方 : 음곡(陰谷), 신수(腎兪), 비수(脾兪), 삼초수(三焦兪), 위양(委陽), 기해(氣海).

方義 : ① 신양부족(腎陽不足), 명문화쇠(命門火衰), 비위허약(脾胃虛弱), 중기부족

(中氣不足) 등은 마땅히 온보비신(溫補脾腎), 익기조양(益氣助陽)을 위

주로 하기 때문에 신경(腎經)의 합혈(合穴)인 음곡혈(陰谷穴)을 신수(腎

兪), 비수(脾兪)와 배합하여 비신(脾腎)의 기(氣)를 보익(補益)시킴으로써

계폐이뇨(啓閉利尿)한다.

② 비신(脾腎)의 기허(氣虛)로 삼초가 결독무력(決瀆无力)하기 때문에 삼초

수(三焦兪)와 삼초경의 하합혈(下合穴)인 위양(委陽)을 취하여 삼초기기

(三焦氣機)를 소통조절(疏通調節)한다.

③ 임맥의 기해혈(氣海穴)에 뜸을 뜨면 하초의 원기를 온보(溫補)하며 방광

기화(膀胱氣化)를 돕기 때문에 소변이 통한다.

만약 : ① 항문이 처지는 감이 있으면 차료(次髎)를 가하여 하초를 보함으로 올라

가게 한다.

② 심번(心煩)은 내관(內關)을 가하여 영심안신(寧心安神) 시틴다.

治法 : 호침(毫針)으로 보법(補法)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먼저 사지(四肢)의 혈

을 취하고 후에 복부(腹部) 혹은 허리의 혈에 침자(針刺)한다. 20~30분

류침(留針)하고 5~10분에 한 번씩 념전(捻轉)하며, 하루에 1~2번 침자

(針刺)한다.

2) 실증(實證) : 소변이 한 방울도 나오지 못하고, 아무리 애를 써도 안 된다. 아랫배

가 터지는 뜻하며, 아프고, 번조구갈(煩躁口渴), 구고이점(口苦而粘),

면적기조(面赤氣粗), 설태황니(舌苔黃膩), 설질홍적(舌質紅赤), 맥현

삭(脈弦數)하다.

만약 어혈(瘀血)이 있는 사람은 설질이 검푸른 반점이 있으며 맥은 삽(脈

澁)하다.

만약 습독(濕毒)이 안으로 들어가거나 혹은 위로 청규(淸竅, 七竅)를 범하

면 숨이 가쁘며 마음이 번거롭고(心煩), 심지어 혼미(昏迷) 등 증상이

나타난다.

治則 : 청열이습(淸熱利濕), 행기활혈(行氣活血)이다.

족태음(足太陰), 태양(太陽), 임맥경혈(任脈經穴)을 위주로

處方 : 삼음교(三陰交), 음능천(陰陵泉), 방광수(膀胱兪), 중극(中極).

方義 : ① 본증은 대부분 습열(濕熱)이 방광에 내려오거나 혹은 외상으로 기혈이

응체(凝滯)되고 뇨도를 조폐(阻閉)하여 발생됨으로 삼음교(三陰交), 음

능천(陰陵泉)을 취하여 족삼음(足三陰)의 기혈(氣血)을 소통(疏通)시켜

서 어혈(瘀血)이 흩어지게 하고,

② 비경(脾經)의 습열(濕熱)을 청리(淸利)시킴으로써 방광의 기화(膀胱氣

化)를 일으켜서 소변을 통하게 한다.

③ 또 방광수(膀胱兪), 중극(中極)을 취하면 이는 유모배혈법(兪募配穴法)

이 되는데 방광기화(膀胱氣化)를 소통(疏通)함으로 소변이 통하게 된다.

만약 : ① 습독(濕毒)이 위로 범하여 숨이 가쁘면 척택혈(尺澤穴)을 가하고, 소상

(少商)에 점자출혈(點刺出血) 시켜서 청폐강기(淸肺降氣)하고

② 심번(心煩)은 내관(內關穴)을 가하여 녕심안신(寧心安神)시키고

③ 혼미(昏迷)한 사람은 인중혈(人中穴)을 가하고, 중충혈(中冲穴)에 침자

하여 출혈시키면 설열성뇌(泄熱醒腦)한다.

治法 : 호침(毫針)으로 사법(瀉法)을 사용하며, 구법(灸法)은 사용하지 않는다.中醫 -


1. 參照文(참조문)

1) 이변병(二便病)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偏歷(편력).

足陽明胃經 : 關門(관문), 大巨(대거), 水道(수도).

足太陰脾經 : 三陰交(삼음교), 漏谷(루곡), 地機(지기), 陰陵泉(음능천), 箕門(기문), 冲門

(충문).

手少陰心經 : 少府(소부,滎).

足太陽膀胱經 : 三焦輸(삼초수), 腎輸(신수), 關元輸(관원수), 白環兪(백환수), 次髎(차

료), 中髎(중료), 下髎(하료), 委陽(위양), 志室(지실), 秩邊(질변).

足少陰腎經 : 大鍾(대종), 水泉(수천), 陰谷(음곡), 氣穴(기혈).

足少陽膽經 : 京門(경문).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 中封(중봉), 蠡泃(려구), 曲泉(곡천), 陰包(음포), 足五里(족오

리).

任脈 : 曲骨(곡골), 中極(중극), 關元(관원), 石門(석문), 陰交(음교), 신궐(神闕), 水分(수

분).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① 曲池(곡지), 溫溜(온유),下廉(하렴), 合谷, 上巨虛(상거허)

② 少澤(소택), 后溪(후계), 小海(소해).

2) 足太陰脾經 ① 漏谷(루곡), 太冲(태충).

② 陰陵泉(음능천), 氣海(기해), 三陰交(삼음교).

手少陰心經 : 少府(소부),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足少陰腎經 : 陰谷(음곡), 腎兪(신수), 關元(관원), 陰陵泉(음능천), 三陰交(삼음교).

足厥陰肝經 : 陰包(음포), 中極(중극), 水道(수도), 陰陵泉(음능천).

任脈 ① 曲骨(곡골), 三陰交(삼음교), 中極(중극), 腎兪(신수).

② 수분(水分), 관원(關元).

3) 小便不通

⑴ 本經配穴法 : 膀胱兪(방광수), 腎兪(신수), 氣海兪(기해수), 關元兪.

⑵ 엄제법(罨臍法) 【東醫寶鑑】에는 大小便이 잘 나오지 않을 때 : “罨臍法”을 권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白礬粉 1 숟가락을 배꼽위에 놓고 찬물을 1 방울씩 떨어뜨리면서 찬 기운이 뱃

속으로 들어가게 하면 곧 大小便이 나온다.

② 葱白 1~2 대, 흙이 묻은 생강 1 개, 淡豆豉(메주가루) 21 알, 소금 1 숟가락을 함

께 갈아 떡을 만든 후 불에 뜨겁게 달구어 배꼽 위에 붙이고 천으로 싸맨다. 이

렇게 하면 잠시 후 氣가 통하는 느낌이 들면서 大小便이 자연스럽게 나온다. 그

러나 大小便이 잘 나오지 않을 경에는 다시 한 번 갈아 붙여야 한다.

③ 蝸牛膏는 大小便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달팽이(蝸牛) 3 마리를 껍질째 짓찧은

다음 麝香을 조금 섞어 배꼽 위에 올려놓고 손으로 문지르면 大小便이 나온다.

4) 臨床(임상) : 針灸大成

⑴ 뇨황(尿黃), 뇨불창통(尿不暢通) : 태단혈(兌端穴), 소해혈(小海穴) - 百症賦

⑵ 소변불통(小便不通) : 소장수(小腸兪) - 靈光賦

⑶ 小便不通 : 瀉 음능천(陰陵泉), 족삼리(足三里) - 雜病穴法歌

♧ 方葯 : 유출환(薷出丸) - 향유(香薷), 백출(白朮).

☞ 服葯을 차게 하여 使用해야 한다. 萬若 溫中服用하면 吐한다.

⑷ 하복부통(下腹部痛)을 수반하는 배뇨곤란(排尿困難 dysuria) “轉胞小便難”

處方 : 관원혈(關元穴)에 뜸(灸) 14장을 뜬다.

⑸ 임력(淋瀝) -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

處方 : 조해(照海) 곡천(曲泉) 소장수(小腸兪).- 針灸經驗方


소변임력 (小便淋瀝)

1. 주치혈(主治穴) 및 배합혈(配合穴)

1) 足少陰腎經 : 水泉(수천,郄).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委陽(위양), 志室(지실), 中髎(중료).- 針灸資生經

23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1 부록 오행침법

附錄(부록) 行針法(오행침법) 오행침(五行針)은 사암선생(舍岩先生)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황제내경 (黃帝內經)과 난경(難經)에서 완성하지 못한 오행침술(五行針術)을 완성하고 그 비방(秘方)을 사암도인침구요결(舍岩道人針灸要訣)에 담아...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