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구 103 불매 (不寐) : 不眠症(insomnia)

Aktualisiert: 9. Apr. 2022



불매 (不寐) : 不眠症(insomnia)

1. 參照文(참조문)

1) 실면(失眠)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大巨(대거).

手少陰心經 : 神門(신문,輸,原).

足太陽膀胱經 : 胃兪(위수).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井), 조해(照海).

手厥陰心包經 : 大陵(대능,輸,原).

足少陽膽經 : 完骨(완골).

足厥陰肝經 : 太冲(태충,輸,原).

督脈 : 腦戶(뇌호,太陽經과 交會), 强間(강간), 后頂(후정), 百會(백회,手足三陽經과 交

會).

任脈 : 陰交(음교,足少陰,冲脈,任脈의 會).

頭頸部奇穴 : 印堂(인당), 翳明(예명), 安眠(안면).

3. 不寐란 평시에 부르는 失眠(실면)이다. 불매는 경상적으로 잠들기 힘들고 자다깨다 하며

깨어나면 다시 잠들기 어려웁다. 엄중한자는 밤새도록 잠을 이루지 못한다. 경상적으로

頭暈(두운), 頭痛(두통), 疲勞(피로), 心悸(심계), 健忘症(건망증)등 증상과 兼(겸)하여 나타

난다. 西醫學(서의학)에서는 神經官能證(신경관능증)과 更年期綜合證(갱년기종합증)에

서 많이 나타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본병은 대부분 과도(過度)한 심려(心慮)와 과도한 피로로 심과 비(心脾)를 상하게 하여 기

혈이 부족하게(氣血不足)되어, 심신의 유양을 잃게 됨(心神失養)으로 불매(不寐)가 발생

된다. 혹은 놀래거나 과도한 성생활(房事過度)로 신(腎)을 상하여 신음(腎陰)이 소모(消

耗)되어 음허화왕(陰虛火旺)이 되고, 심신이 상교하지 못함으로(心腎不交) 정신과 의지

가 불편(神志不寧)하다. 혹은 음식불절(飮食不節)로 비위(脾胃)가 불화(不和)하여 습성생

담(濕盛生痰)되고 담울생열(痰鬱生熱)하여 담열(痰熱)이 위로 심신(心神)을 요란(擾亂)시

킨다. 혹은 情志抑鬱(정지억울)로 肝火(간화)가 위로 心(심)을 요란(擾亂)시켜 심신(心神)

을 불편(不寧)케 한다. 이모든 원인은 불매(不寐)를 발생시킨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심비양허(心脾兩虛)

症狀 : 잠들기 힘들고, 잠이 들면 꿈을 많이 꾸게 되고(多夢), 잠을 잘 깨며, 심동계가

빨라져 두근거리고, 때로는 두려우며(心悸), 건망증(健忘症)이 생기고, 아찔하

며 앞이 캄캄하고 머리가 어지러우며(頭目眩暈), 땀을 쉽게 잘 흘리고(易汗出),

얼굴색이 별로 밝지 못하며(面色少華), 정신이 피로(精神疲勞)하고, 위완부가

결리며(脘痞), 변이 묽고(便溏), 설질은 담담하고 태는 희며 얇으며(舌質痰苔薄

白), 맥은 실같이 가늘고 연하며 꾹 눌러야 짚인다(脈細弱).

原則 : 보기(補氣), 양혈(養血), 안신(安神). - 手少陰 足太陰 背兪穴 爲主

處方 : 신문(神門), 비수(脾兪), 심수(心兪), 삼음교(三陰交)

方義 : ① 비수(脾兪), 삼음교(三陰交) : 健脾 益氣 養血,

② 심수(心兪), 신문(神門) : 양심안신(養心安神)

加减 : ① 건망증(健忘症) : 지실(志室), 백회(百會) → 보신성뇌(補腎醒腦)

治法 : 침(針)으로 보법(補法) 겸구(兼灸). 1-2 시간(時間) 유침(留針) 수면전(睡眠前)에

침자(針刺)하면 효과가 더욱 좋다. 5-10日 1 료정(療程).

2) 음허화왕(陰虛火旺)

症狀 : 마음이 답답하고 괴로워 잠을 이루지 못하고(心煩不寐), 잠시 잠이 들면 곧 깨

게 되고, 손과 발바닥에 열이 나며(手足心熱), 놀라 가슴이 두근거리고(驚悸),

땀을 흘리고(汗出), 입과 목구멍이 건조하며(口乾咽燥), 귀울림이 나고 머리가

어지러우며(頭暈耳鳴), 건망(健忘), 유정(遺精)과 허리가 시큰거리고(腰酸), 설

질은 붉으며(舌質紅),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며 빠르다(脈細數).

原則 : 자음(滋陰), 강화(降火), 안신(安神). - 手足少陰 厥陰經穴

處方 : 대능(大陵), 태계(太溪), 신문(神門), 태충(太冲).

方義 : ① 대능(大陵) : 강심화(降心火),

② 태계(太溪) : 자신음(滋腎陰), 2혈을 배합하면 심신이 교통(心腎交通)하고

영심정지(寧心定志)한다.

③ 태충(太冲) : 평간잠양(平肝潛陽)하고,

④ 신문(神門) : 진심안신(鎭心安神)한다.

加减 : ① 현운(眩暈) : 加 풍지(風池) → 頭目을 밝게 하고,

② 이명(耳鳴) : 加 청궁(聽宮) → 익총개규(益聰開竅)하게하고,

③ 유정(遺精) : 加 지실(志室) → 보신장요(補腎壯腰)한다.

治法 : 침(針)으로 겸보사(兼補瀉)

3) 위부불화(胃腑不和)

症狀 : 깊은 잠을 못자고, 마음이 답답하며 괴롭고(心煩), 위가 먹먹하며, 트림을 하고

(噯氣), 심지어 구토(嘔吐)를 하며, 설태가 누렇고 미끈거리며(舌苔黃膩), 맥은

순조롭고 원활하거나(脈滑) 혹은 맥이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듯하다(弦).

原則 : 화위화담(和胃化痰), 안신(安神).

- 任脈 足陽明 足太陰經穴 爲主

處方 : 중완(中脘), 풍륭(豊隆), 려태(厲兌), 은백(隱白).

方義 : ① 중완(中脘 募穴)과 풍륭(豊隆 絡穴) : 화위(和胃), 화담(化痰), 안신(安神)

② 려태(厲兌)와 은백(隱白) : 다몽실면(多夢失眠)을 주치(主治).

加减 - ① 심번구오(心煩嘔惡) : 내관(內關) → 안신화위(安神和胃)

② 두운(頭暈) : 인당(印堂), 합곡(合谷). → 진정안신(鎭靜安神)

治法 : 침(針)으로 사법(瀉法)

4) 간화상요(肝火上搖)

症狀 :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頭暈頭痛), 마음이 답답하고 괴로우며(不眠心煩),

노여워 잘하고(易怒), 문이 붉으며(目赤), 귀 울림이 나고(耳鳴), 옆구리가 아프

며(脇痛), 겸하여 입맛이 쓴 증상이 있고(兼口苦症) 설태는 누렇고 얇으며(舌苔

薄黃), 맥은 길고 가여금 줄을 누르는 뜻한 것이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

상 뛰며 빠르다(脈弦數).

原則 : 평간(平肝), 강화(降火), 안신(安神). - 足少陽 足厥陰 手少陰經穴

處方 : 행간(行間), 족규음(足竅陰), 풍지(風池), 신문(神門).

方義 : ① 행간(行間) : 평간잠양(平肝潛陽) → 이노억제(易怒抑制),

② 족규음(足竅陰) : 간화청사(肝火淸瀉) → 심번해제(心煩解除),

③ 풍지(風池) : 두통(頭痛), 두운(頭暈)을 주치,

④ 신문(神門) : 녕심안신(寧心安神)

加减 - ① 이명(耳鳴) : 예풍(翳風), 중저(中渚) → 개규익총(開竅益聰),

② 목적(目赤) : 태양(太陽), 양계(陽溪) → 청열산풍(淸熱散風).

治法 : 호침(毫針)으로 사법(瀉法). 或은 : 인당(印堂), 태양(太陽), 풍지(風池), 백호(魄

戶), 지실(志室), 내관(內關), 신문(神門), 삼음교(三陰交), 합곡(合谷), 족삼리(足

三里), 신수(腎兪), 격수(膈兪). - 中醫 -

4. 許任

편안히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모두 心熱(심열) 때문이며, 昏睡狀態(혼수상태soporous

state)가 되고 몸이 몹시 고단해 지는 것은 腎臟(신장)과 脾臟(비장)의 虛熱(허열) 때문이

다. 手少陰心經(수소음심경)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 足少陰腎經(족소음신경)등의 穴로

치료한다.

1) 불면증(不眠症 sleepless)

處方 : 음교혈(陰交穴)에 뜸(灸) 백장(百壯) 뜨고, 의희혈(譩譆穴)에 14~100壯 뜸을 뜬

다. 이곳에 손으로 누르면 환자는 아야(譩譆)하고 소리를 지른다

5. 大腦(cerebrum)의 이상 興奮으로 인하여 잠을 잘 수 없는 상태가 만성화한 것을 splee-

plessness라 한다. 大腦가 이상 흥분하는 원인이 되는 병변은 神經衰弱(neurasthenia)

을 위시하여 神經證(neurosis) 腦充血, 高血壓(hypertension), 腦炎(encephlitis)등이 있

으며 이들에 의하여 일어나는 불면증은 1차성 불면증 이라고 지칭하며, 大腦의 興奮은

亢進하지 않지만 刺戟의 질량이 강하여 잠을 잘 수 없는 것을 2차성 불면증이라고 하며

자극의 종류로는 정신감동을 비롯하여 頻尿(pollakiuria), 이상 기후 등등이 바로 그것이

다. 후자 2차성 불면증은 전자보다 임상적 가치나 의의가 적다. 불면증을 형태별로 대별

하면 아래의 세 가지가 있다.

1) 잠들기가 어려운 取眠 곤란형

2) 잠들기는 쉽지만 熟眠을 할 수가 없고, 꿈이 많은 熟眠 곤란형

3) 새벽에 잠이 깨는 早醒型

治療 : 치료목표는 전체치료를 원칙으로 하지만 그중에서도 우선 유의 할 점

1) 胃腸의 機能을 調節한다.

2) 手足의 壓痛과 硬結을 除去한다.

3) 后頸部 肩背部의 壓痛 硬結을 除去한다.

4) 眉間 관자놀이 頭部 등의 硬結을 제거 한다.

- 일반적으로 針은 神經을 鎭靜시키는 작용이 있는가 하면 뜸(灸)은 이와 반대로 神

經을 興奮시키는 작용이 크기 때문에 Insomnia에는 針治療를 주로하고 최면상

태(催眠狀態 hypnotism)에는 뜸을 주로 한다. 그러나 虛症의 경우에는 뜸을 주

로 한다.

- 腎虛症으로 인한 不眠症의 경우 腰部와 臀部에 灸溫針이나 溫灸療法 만으로 곧

잘 치료가 되는 것이 바로 그 것이다.

- 상충증세가 심하고 어깨나 頸部에 鬱血이 있으면 三陵針으로 刺絡한다.

- 主治經의 선택과 主治穴의 先穴은 절진에 의거하여 결정한다. - 現代針灸學 -

6.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豊隆(풍륭), 安眠(안면), 神門(신문).

手厥陰心包經 : 大陵(대능), 百會(백회), 印堂(인당), 太溪(태계).

頭頸部奇穴 ① 印堂(인당), 神門(신문), 三陰交(삼음교).

② 翳明(예명), 印堂(인당), 內關(내관), 三陰交(삼음교).

③ 安眠(안면), 內關(내관), 三陰交(삼음교).

2) 指壓療法

⑴ 安眠穴 : 하루 종일 활동하고 나면 어깨근육이 가장 심하게 굳기 때문에 잠들기 전

에 어깨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어깨를 풀어준 다음에는 安眠穴을 指

壓해 주도록 한다.

⑵ 至陽穴, 膈兪穴 : 第七과 第八胸椎 사이의 督脈의 至陽穴과 그 양옆으로 3cm 되는

지점의 膀胱經의 膈兪穴을 지압해준다. 혹은 이들 穴에 뜸(灸)을

15 장씩 떠준다. 第九와 第十胸椎 사이에서 양옆으로 각각 3cm 되는 곳에 위치한

膀胱經의 肝兪穴도 지압해주거나 뜸을 떠준다.

⑶ 百會穴 : 正首里에서 0.5寸 后方에 자리 잡은 督脈의 百會穴을 指壓해준다.

⑷ 三陰交穴 : 兩足 三陰交穴에 각각 5 장씩 뜸을 떠주면 熟眠을 취하는데 도움이 된

다.

3) 大蒜療法 눈이 疲困하거나 頭痛이 있으면서 잠이 잘 오지 않을 때는 관자놀이에 있

는 太陽穴에 마늘을 붙이면 좋다. 얇게 저민 생마늘을 太陽穴에 붙이고 반창고로 고

정시키는 방법이다. 약 1 시간 정도 마늘을 붙이고 있으면 熟眠을 취할 수 있을뿐 아

니라 다음날 머리도 개운해지고 눈의 피로도 말끔히 해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잠들기 전에 마늘로 담근 술을 마시는 것도 좋다. 마늘술은 심한 피로로 인해 잠이

오지 않을 때 血液의 흐름을 圓滑하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 숙면을 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무엇보다 피로감을 없애주는 효능이 뛰어나다. 그러나 마늘은 자

극성이 强하므로 胃腸이 弱한 사람이 너무 많이 먹는 것은 좋이 못하다.

4) 양파료법 양파에는 血液을 淨化시키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高血壓, 心臟病, 動脈硬

化, 心筋梗塞, 糖尿病 등에 좋다. 또 神經을 安靜시키고 熟眠을 취하도록 해 주는 성분

도 있어서 不眠症에도 뛰어난 효험이 있다. 양파를 링 모양으로 썰어서 머리맡에 두

고 자기만 해도 양파의 향이 체내로 흡수돼 神經을 安靜시키고 熟眠을 取할 수 있다.

또 식사 때에 생 양파를 먹는 것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양파를 먹거나 머리맡에 두고

잘 때는 절대로 물에 씻지 말아야 한다. 不眠症을 치료하는 약효는 양파의 粘液性分

과 香氣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1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1 부록 오행침법

附錄(부록) 行針法(오행침법) 오행침(五行針)은 사암선생(舍岩先生)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황제내경 (黃帝內經)과 난경(難經)에서 완성하지 못한 오행침술(五行針術)을 완성하고 그 비방(秘方)을 사암도인침구요결(舍岩道人針灸要訣)에 담아...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