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 11 감질 (疳疾) - 갑항(甲亢)

Aktualisiert: 9. Apr. 2022



감질 (疳疾) : 감적(疳積)

1. 中醫針灸學

疳疾(감질)은 감적(疳積)이라고도 한다. 5 세 이하의 소아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병으로 제때

에 치료하지 않으면 소아의 生長(생장)과 發育(발육)에 영향을 준다.

본병은 얼굴색이 누렇고 몸이 여위며 머리카락에 윤기가 없고, 飮食(음식)이 불규칙하며 腹

部(복부)가 팽창하고 정신이 시들어 빠진 듯 萎靡(위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만성

질병이다.

病因病機(병인병기)

소아 乳食(유식)이 불규칙(不節) 하거나 혹은 기름지고 달고 차가운(肥甘生冷) 음식을 즐기

면 中焦(중초)가 막히게(壅滯) 되어 脾胃(비위)가 손상되며 소화기능(運化)이 失常(실상)되어

積滯(적체)를 형성하는데 적체의 시간이 오래되면 음식을 받아들이고 소화하는 기능을 분

별하지 못하게(納運无權)됨으로 우유를 먹고 소화하여 얻은 영양물질(유식정미)이 運化(운

화)되지 못하기 때문에 장부, 사지 및 몸(臟腑肢體) 전체가 營養缺乏(영양결핍)으로 점차 여

위며 기와 진액이 줄어들므로(氣液虧損) 감질이 발생된다. 혹은 비위생적인 불결한 음식(飮

食不潔)으로 虫疾(충질)에 感染(감염)되면 血氣(혈기)가 감소(耗損)되어 장부, 근육 및 혈관

(臟腑筋脈)에 영양을 주지 못하게 되는데 이런 상황이 오래되면 疳疾(감질)을 형성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脾胃虛弱(비위허약)

症狀 : 신체가 여위고(身體消瘦), 머리카락이 드물고 성기어 희소하고(毛髮稀少), 皮膚乾

燥(피부건조), 皮部甲錯(피부갑착), 泄瀉(설사), 소화 되지 않은 음식을 설사(完谷

不化)하며, 腹部(복부)가 푹 꺼져 배 같고, 팔다리가 차며(四肢不溫), 잠을 못 자고,

눈을 뜨고 자며, 심하면 發育障碍(발육장애), 입술과 혀의 색이 연하고(唇舌色軟),

脈細无力(맥세무력)하다.

治則 : 脾胃調理(비위조리) 培中化滯(배중화체)

兪募(수모), 足太陰(족태음), 陽明經穴(양명경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中脘(중완), 章門(장문), 脾兪(비수), 胃兪(위수), 足三里(족삼리), 公孫(공손), 四縫

(사봉).

加减 - 積滯(적체) : 加 建里(건리) - 培中化滯(배중화체)

腹脹(복창), 便溏(변당) :

加 下脘(하완), 天樞(천추), 氣海(기해).- 健脾(건비), 理氣(리기),

止泄(지설, 止瀉). 四肢不溫(사지불온) : 加 氣海(기해) - 補脾陽(보비양)

睡臥不寧(수와불영) : 加 間使(간사) - 鎭靜安神(진정안신)

治法 : 毫針淺刺(호침천자)하되 補法(보법)을 사용 하루에 한번 四縫穴(사봉혈)은 삼능침

으로 침자 黃水(황수)를 약간 빼면 된다.

2) 虫疾感染(충질감염)

症狀 : 신체가 여위고(身體消瘦), 精神疲勞(정신피로), 얼굴색이 누렇고(面黃) 머리카락

이 드물게 성기고(毛髮稀少), 皮膚乾燥(피부건조), 皮部甲錯(피부갑착), 과도하게

음식을 많이 먹거나(過度飽食) 혹은 배가 고픈지 부른지 모르며, 異物(이물, 흙)을

먹기 좋아 한다. 배가 공처럼 몹시 부르고(脘腹脹大), 배위로 정맥이 노출되고(靑

筋暴露), 경상적으로 배가 아프며(經常的腹痛), 잠잘 때 이를 각고(睡中開齒), 설질

은 싱겁게 담담하며(舌質淡), 맥은 세약(脈細弱)하다.

治則 : 위장에 척체된 벌레를 몰아내다(消積驅虫) - 任脈(임맥) 足陽明經(족양명경)을 위

주로 치료한다.

處方 : 巨闕(거궐), 中脘(중완), 天樞(천추), 足三里(족삼리).

百蟲窩(백충와) 脘腹脹大(완복창대) :

加 章門(장문), 氣海(기해).- 理氣消滯(리기소체)

治法 : 毫針(호침)을 사용, 先瀉后補(선사후보), 无留針(무유침),

하루에 한번, 6 번을 한 료정(一療程)으로 . . .

2. 피부침 (皮膚針)

處方 : 皮膚針(피부침) - 잔등 하부 및 꽁무니 부위(骶骨部位)를 위주로 합당히 사지(四肢)의

혈(穴)과 배합한다. -中醫-

3.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足三里(족삼리).

任脈 : 中脘(중완).


갑상선기능항진(甲狀腺機能亢進) : 갑항(甲亢)

1. 參照文(참조문)

1) 癭氣 참조

2) 甲狀腺腫大 참조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陰肺經 : 天府(천부).

手陽明大腸經 : 巨骨(거골), 天鼎(천정), 扶突(부돌).

足陽明胃經 : 人迎(인영).

手厥陰心包經 :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陰兪脈).

手少陽三焦經 : 臑會(노회).

足少陽膽經 : 天冲(천충), 浮白(부백).

任脈 : 天突(천돌).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陰肺經 : 天府(천부), 臑會(노회), 氣舍(기사).

手厥陰心包經 : 間使(간사), 氣癭(기영), 三陰交(삼음교).

4. 갑상선 내분비의 기능항진에 의하여 일어나는 병변으로 일명 안구돌출성 갑상선종 이라고

지칭한다. 연령적으로 16~30세에 많고 남자보다 여자에게 많으며 간혹 유전적 관계가 인

정되고 있기도 하다.

原因은 정신감동, 과로, 외상, 전염병, anemia, neursthenia, hysteria, 기타 자율신 경질환

이나 pregnancy, 부인과 질환 등을 들수 있다.

證狀은 palpitation, 갑상선종, 안구돌출 등을 주증으로 맥박이 빨라지며(100~160), 흥분하

기 쉽고, 피로하기 쉬우며, 수지, 안구의 경련(spasm), headache, insomnia, 식욕항진

(appetite), 구갈(口渴), 발한(發汗 sweating) 등을 나타내며, 체온도 5푼 정도 상승한다. 신진

대사의 항진 때문에 아무리 많이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다. 여자는 월경불순, 남자는 성욕감

퇴가 온다.

治療는 초기(初起)나 경증(輕證)은 침구료법(針灸療法)이 효과적이지만 중증인 경우에는 화

학료법이나 또는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다.

주치경(主治經)은 심폐경(心肺經) ~ 비경(脾經)을 기본으로 하고, 증상(證狀)에 상응하여 심

경(心經)~신경(腎經), 폐경(肺經)~신경(腎經)을 추가하고, 안구(眼球)를 목표로 담경(膽經)

~삼초경(三焦經), 방광경(膀胱經)~소장경(小腸經)을 사용한다.

操作 : 침(針)을 사용할 경우에는 피하지침 또는 보적침법을 시침(施針)하고, 뜸(灸)를 사용한

경우에는 미립대의 것을 3~5장 시구(施灸)한다. -現代針灸學-

5. 皮膚病中醫診療

1) 毫針法

⑴ 辨證取穴(변증취혈)

癭氣鬱結證(영기울결증) : 4~5 경추 사이에서 옆으로 7 分/mm,

間使(간사), 合谷穴(합곡혈).

心肝火旺證(삼간화왕증) : 天柱穴(천주혈) 위 5 分/mm, 風池(풍지), 間使(간사), 太冲

(태충), 三陰交穴(삼음교혈).

心腎陰虛證(심신음허증) : 間使(간사), 神門(신문), 復溜穴(복류혈).

胃强脾弱證(위강비약증) : 間使(간사), 內關(내관), 合谷(합곡), 足三里穴(족삼리혈)

⑵ 辨病取穴(변병취혈)

主穴 : 水突(수돌), 扶突(부돌), 天突(천돌), 內關(내관), 合谷(합곡).

配穴 - 失眠(실면) : 加 百會(백회), 神門(신문)

多汗(다한) : 加 陰郄(음극)

煩躁(번조) : 加 風池(풍지)

突眼(돌안) : 加 四白(사백) 攢竹(찬죽), 絲竹空(사죽공), 睛明(정명), 四框穴(사광

혈, 眼球邊緣 上下左右)

多飮多食(다음다식) : 加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胸悶(흉민),

心悸(심계) : 加 間使(간사), 膻中(전중)

高血壓(고혈압) : 加 太冲(태충), 曲池(곡지)

⑶ 循經取穴(순경취혈)

主穴 : 廉泉(렴천), 人迎(인영), 足三里(족삼리), 合谷(합곡), 間使(간사)

配穴 : 三陰交(삼음교), 曲池(곡지), 內關(내관), 陽陵泉(양능천), 外關(외관), 神門(신문),

風池(풍지), 百勞(백노), 太冲(태충)

⑷ 經驗取穴(경험취혈)

腺體穴(선체혈, 甲狀腺의 中心点), 平癭(평영) 上天柱穴(상천주혈).

針刺法 : 虛證(허증)은 補(보)하고 實證(실증)은 瀉(사)한다. 得氣(득기) 후 留針(유침)

30 분간 하루 한 번

2) 灸法(구법)

⑴ 主穴 : 大杼(대저), 風門(풍문), 肺兪(폐수), 風府(풍부), 大椎(대추), 身柱(신주), 風池穴

(풍지혈)

配穴 : 內關(내관), 間使(간사), 太溪(태계), 照海(조해), 復溜(복류), 三陰交(삼음교)

⑵ 主穴 : 天突(천돌), 通天(통천), 云門(운문), 臂臑(비노), 曲池(곡지), 中封(중 봉), 膻中(전

중), 風池(풍지), 大椎(대추), 氣舍(기사), 蘆會(노회), 天府(천부), 冲陽(충양)

方法 : 直接灸(직접구)를 하든가 혹은 쑥을 隔紙灸(격지구)로 하루에 한 번매번 지속시

간은(每次持續) 3~5 분간

3) 電針法

⑴ 太陽(태양)(双), 內關(내관), 神門(신문)

⑵ 四白(사백), 內關(내관), 風池(풍지)

方法: 針刺(침자)하여 得氣(득기)를 얻은 후 침병위에 전류를 통전하는데 환자가 인내할

수 있는 정도로 매일 한 번씩 30분간 한다.

4) 穴位注射

⑴ 肝兪(간수), 脾兪(비수)

⑵ 上天柱(상천주)

方法 : 維生素(유생소) B12 2mm, 針刺(침자)하여 得氣(득기)를 얻은 후 천천히 1 mg을

주사 한다. 2日에 한번

5) 耳針法

內分泌(내분비), 甲狀腺(갑상선) 病變相應區域(병변상응구역)

方法 : 침자 한 후 留針(유침) 30 분간 2日에 한번씩

6) 穴位激光法(혈위격광법)

主穴 : 扶突(부돌)

配穴 : 耳門(이문), 睛明(정명)

方法 : 主穴照射(주혈조사) 5~7분간, 配穴照射(배혈조사) 3~5분간 하루 한번


갑상선병 (甲狀腺病)

1.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陽小腸經 : 天窗(천창).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陽小腸經 : 天窗(천창), 臑會(노회).


갑상선암 (甲狀腺癌)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厥陰心包經 : 內關(내관,絡,交會,通陰維脈).


갑상선염 (甲狀腺炎) ⇒ 영기(癭氣)

갑상선종대 (甲狀腺腫大)

1. 參照文(참조문)

1) 영기 (癭氣) : 단순성갑상선종대(單純性甲狀腺腫大)

2) 甲狀腺機能亢進 참조

3) 大腸經病中 熱邪上擾 참조

2. 主治穴(주치혈) 및 배합혈(配合穴)

1) 手陽明大腸經 : 曲池(곡지, 合).

足陽明胃經 : 人迎(인영,足少陽의 交會), 水突(수돌), 氣舍(기사).

手太陽小腸經 : 天窗(천창).

足太陽膀胱經 : 絡却(락각), 崑崙(곤륜,經).

手少陽三焦經 : 臑會(노회), 角孫(각손,手太陽,陽明,手足少陽의 會).

足少陽膽經 : 天冲(천충), 頭竅陰(두규음), 足臨泣(족림읍,輸).

任脈 : 天突(천돌,陰兪脈과 交會).

3. 임상응용(臨床應用)

1) 甲狀腺腫瘤 : 水突(수돌), 天突(천돌).

2) 甲狀腺腫

足陽明胃經

① 人迎透天突(인영투천돌), 合谷(합곡), 足三里(족삼리), 澤前(택전), 太溪(태계), 內關(내

관), 三陰交(삼음교).

② 氣舍(기사), 扶突(부돌), 水突(수돌).

③ 單純性 甲狀腺腫 -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原).

④ 甲狀腺(갑상선)이 부은 경우 : 浮白穴(부백혈) - 百症賦

3) 處方 ① : 天突(천돌), 翳風(예풍), 合谷(합곡).

② : 極泉(극천), 尺澤(척택), 天突(천돌).

③ : 臑會(노회), 合谷(합곡), 天容(천용), 足三里(족삼리).

④ : 腺體局部對刺(선체 부위에 직접 침자), 合谷(합곡).

4. 이침(耳針)

1) 단순성(單純性) 갑상선종(甲狀腺腫)

耳穴 : 頸(경).

5. 注意点 : 침(針)으로 갑상선결절(甲狀腺結節)을 터뜨려서는 안 된다.

만약 침(針)으로 터뜨리면 독(毒)이 번진다.


갑상선종류(甲狀腺腫瘤) ⇒ 영기 (癭氣)

34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