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感冒) - 외감병 (外感病) - 傷寒(상한) - 감기열 (感冒高熱) - 감기두통 (感冒頭痛)
감기 (感冒)
1. 外感病(외감병) 感冒(감모)
槪述(개술) 感冒是指感受觸冒風邪(감모시지감수촉모풍사), 出現鼻塞(출현비색), 流涕(류체),
噴 嚔(분체), 咳嗽(해수), 頭痛(두통), 惡寒發熱(오한발열), 全身不適等症狀的一種常見外 感病
(전신부적등증상적일종상견외감병). 亦称(역칭) “傷風(상풍)”, 如見廣泛流行(여 견광범유행),
症狀較重(증상교중), 則又称爲(칙우칭위) “時行感冒(시행감모)”. 本病一 年四季節均可發生
(본병일년사계절균가발생), 但以冬春兩季(단이동춘양계) 最爲多見 (최위다견). 年齡(연령)
性別之間(성별지간) 發病无明顯差異(발병무명현차이), 有時 可呈一定范圍的流行(유시가정
일정범위적유행). 感冒的主要病因是感受外邪(감모적주 요병인시감수외사), 其中以風邪爲
主(기중이풍사위주), 多發生于氣候寒暖失常之時(다 발생우기후한난실상지시), 因季節不同
風邪(인계절부동풍사) 又往往挾時氣之邪入侵 (우와왕협시기지사입침), 其中以風寒(기중이
풍한), 風熱爲多見(풍열위다견), 其他如 (기타여) 暑,燥,濕邪(서,조,습사) 亦能致病(역능치병);
此外(차외), 感冒的發生(감모적 발생), 還與人体御邪能力的强弱密切相關(환여인체어사능력
적강약밀절상관), 人体正氣不足是感冒發生的內在原因(인체정기부족시감모발생적내재원
인). 感冒的病位在肺 衛(감모적병위제폐위), 治療上應因勢利導(치료상응인이도), 從表而解
(종표이해), 故 解表是(고해표시) 治療感冒的總原則(치료감모적총원칙), 但在具体應用時(단
재구체응 용시), 要正確掌握(요정확장악) 辛溫與辛凉(신온여신량), 祛邪與扶正的關系(거사
여부 정적관계).
2. 辨證要点(변증요점)
1) 辨寒熱(변한열) : 首辨風寒(수변풍한), 風熱對于治療感冒非常重要(풍열대우치료감모비
상중요). 風寒感冒以惡寒重(풍한감모이오한중), 頭身疼痛(두신동통), 鼻
塞流淸涕(비색류청체),舌苔薄白而潤(설태박백이윤), 脈浮緩或脈浮緊爲特徵(맥부완혹맥
부긴위특징); 風熱感冒(풍열감모)則(칙)以(이)惡寒輕(오한경), 口渴(구갈), 咽痛(인통), 舌
苔薄黃(설태박황), 舌邊尖紅(설변첨홍), 脈浮數爲特徵(맥부삭위특징). 其中(기중), 咽 喉疼
痛與否(인후동통여부), 常可作爲風熱(상가작위풍열), 風寒的重要辨別指徵(풍 한적변별지
징).
2) 辨時令(변시령) : 感冒病邪(감모병사), 除風寒(제풍한), 風熱之外(풍열지외), 亦有夏之暑邪
(역유하 지서사), 長夏之濕邪(장하지습사), 秋之燥邪染感爲患者(추지조
사염감위환자). 因此(인차), 應結合季節和節氣(응결합계절화절기), 詳審其證候表現(상심
기증후표현). 暑邪爲患者(서사위환자), 以身熱有汗(신열유한), 心煩口渴(심번구갈), 小便
短赤(소변단적), 舌苔黃爲表現(설태황위표현); 濕邪爲患者(습사위환자), 以身熱 不揚(이
신열불양), 頭重如裹(두중여과), 骨節疼痛重濁(골절동통중탁), 胸悶脘痞 (흉민완비), 舌苔
白膩(설태백니) 爲特徵(위특징); 燥邪爲患者(조사위환자), 以身 熱頭痛(이신열두통), 鼻干
咽燥(비간인조), 咳嗽无痰或少痰(해수무담혹소담), 舌上 少津爲見證(설상소진위견증). 就
臨床而言(취임상이언), 風寒(풍한), 風熱之候有來 濕(풍열지후유래습), 來燥者(래조자), 此
時舌苔變化常可提供重要指徵(차시설태변 화상가제공중요지징).
3) 辨虛實(변허실) : 感冒有表實(감모유표실), 表虛之分(표허지분). 若發熱(약발열), 无汗(무
한), 惡寒(오한), 身痛者(신통자), 證屬表實(증속표실); 若發熱汗出(약발
열한출), 惡風者(오풍자), 證屬表虛(증속표허). 不過表實(불과표실), 表虛只是相對而言(표
허지시상대이언), 二者皆屬實證(이자개속실증). 另外(령외), 有素体虛弱(유소체허약), 感
受外邪者(감수외사자), 称爲体 虛感冒(칭위체허감모). 其臨床表現可按(기임상표현가안)
氣虛(기허), 血虛(혈허), 陰虛(음허), 陽虛的(양 허적) 不同兼症來區別(부동겸증래구별), 其
中以氣虛感冒和陰虛感冒爲多見(기중 이기허감모화음허감모위다견).
4) 辨時毒(변시독) : 當四季六氣反常之時(당사계육기반상지시), 每有時行感冒(매유시행감
모), 其特点 是(기특점시) : 發病急(발병급), 症狀重(증상중), 甚至出現高
熱(심지출현고열), 譫妄(섬망), 有明顯的流行性(유명현적유행성), 可在同一地區(가재동일
지구), 多人 同時發病(다인동시발병), 有時可出現傳變(유시가출현전변), 應與一般感冒有
所區 別(응여일반감모유소구별).
3. 類證鑒別(류증감별)
1) 風溫(풍온) : 風溫初起症狀與感冒頗似(풍온초기증상여감모파사), 但風溫病勢(세)急驟(단
풍온 병세급취), 熱勢較重(열세교중), 多伴有咳嗽(다반유해수), 胸痛等肺經見
證(흉통등 폐경견증), 多可出現傳變(다가출현전변). 而感冒一般熱象不甚高(이감모일반
열상 불심고), 以鼻腔症狀較突出(이비강증상교돌출), 病情較輕(병정교경), 一般不傳變
(일반불전변), 病程短(병정단), 豫后良好(예후양호).
2) 鼻淵(비연) : 感冒與鼻淵均有鼻塞(감모여비연균유비색), 流涕(류체), 頭痛等症狀(두통등
증상). 但鼻淵多流濁涕且腥臭(단비연다류탁체차성취), 病程長(병정장), 反復
發作(반복발작), 无發熱惡寒等表證(무발열오한등표증); 感冒多流淸涕而无腥臭之味(감모
다류 청체이무성취지미), 病程短(병정단), 幷可伴見其他外感表證(병가반견기타외감표
증).
3) 乳蛾(유아) : 感冒與乳蛾均有發熱(감모여유아균유발열), 惡寒(오한), 咽痛等症(인통등증).
但乳蛾患者(단유아환자) 有兩側或一側乳蛾紅腫脹大(유양측혹일측유아홍종
창대), 常 有黃(상유황), 白色膿樣分泌物(백색농양분비물). 甚至可見(심지가견) 憎寒壯熱
(증한장열), 與一般感冒有別(여일반감모유별).
4) 痲疹(마진) : 麻疹初起(마진초기), 有發熱惡寒(유발열오한), 鼻塞流涕(비색류체), 咳嗽咯痰
等 (해수각담등), 與感冒相似(여감모상사), 但痲疹還有目赤畏光(단마진환유
목적외 광), 眼胞微腫(안포미종), 眼泪汪汪(안루왕왕), 口腔粘膜疹等(구강점막진등), 詳細
辨析(상세변석), 不難區分(불난구분).
5) 傷寒(상한) : 感冒與傷寒都是(감모여상한도시) 感受外邪而致病(감수외사이치병), 但感冒
受外 邪(단감모수외사), 發病輕(발병경), 雖邪犯肺衛(수사범폐위), 但很少有
辨證(단흔 소유변증); 而傷寒感受外邪發病重(이상한감수외사발병중), 內傳經絡(내전경
락), 甚則侵犯臟腑(심칙침범장부), 變證較多(변증교다). 臨床表現上(임상표현상), 感冒 之
惡風寒不甚(감모지오풍한불심), 發熱不高(발열불고); 而傷寒之惡風寒較重(이상 한지오
풍한교중), 多見頭痛(다견두통), 腰痛(요통), 骨節疼痛等(골절동통등), 且 發熱較甚(차발열
교심).
6) 熱痹(열비) : 熱痹初起有與感冒相似之處(열비초기유여감모상사지처), 如發熱(여발열), 肢
體關疼痛等(지체관절동통등), 但熱痹有局部關節紅腫疼痛(단열비유국부관
절홍종동통),病程較長(병정교장), 病勢較重(병세교중); 而感冒則多无關節紅腫(이감모칙
다무관절홍종), 以此爲辨(이차위변).
7) 外感(외감) 상한병 (傷寒病)
4. 針灸(침구)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手太陰肺經 : 太淵(태연,原,脈會), 少商(소상, 井).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原), 曲池(곡지, 合
足太陽膀胱經 : 承光(승광), 大杼(대저,手足太陽,少陽經과 會,督脈의 別絡,骨會), 風門(풍
문,督脈과 會).
手少陽三焦經 : 關冲(관충,井), 陽池(양지, 原),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足少陽膽經 : 腦空(뇌공), 風池(풍지,手足少陽,陽兪脈의 交會).
督脈 : 印堂(인당), 후정(后頂), 風府(풍부,太陽經,陽兪脈과의 交會), 靈臺(령대).
經外寄穴 : 太陽(태양).
頭頸部 : 印堂(인당), 太陽(태양).
項背腰部 : 崇骨(숭골).
流行性感氣 : 手太陰肺經 - 太淵(태연, 輸, 原, 脈會).
2) 体針(체침)
取穴 : 風池(풍지), 大椎(대추), 曲池(곡지), 合谷穴(합곡혈)
方解 : ① 風池(풍지) - 足少陽(족소양), 陽維之會(양유지회),- 有疏風解表之功(유소풀해표
지공)
② 大椎(대추) - 足少陽與督脈之會(족소양여독맥지회), 有疏解表邪之殊效 (유소해
표사지수효), 旣可散表寒(기가산표한), 又能解表熱(우능해표열).
③ 曲池(곡지) - 曲池乃手陽明之合穴和原穴(곡지내수양명지합혈화화원혈), 輔之以
宣肺利竅(보지이선폐이규), 透邪外出(투사외출), 解表淸熱(해표청
열)
症治
① 屬外感風寒者(속외감풍한자) 加 風門(풍문), 肺兪(폐수).- 宣肺解表(선폐해표), 祛風散
寒(거풍산한).
② 外感風熱者(외감풍열자) 加 魚際(어제), 外關(외관).- 淸肺泄熱(청폐설열), 疏散熱邪(소
산열사)
③ 暑濕外感者(서습외감자) 加 支溝穴(지구혈).- 通三焦氣機(통삼초기기), 淸暑化濕(청서
화습)
④ 氣虛感冒者(기허감모자) 加 氣海(기해), 足三里(족삼리).-培補元氣(배보원기),强身壯体
(강신장체)
⑤ 陽虛感冒者(양허감모자) 加 百會(백회), 關元(관원).-助陽解表(조양해표),補陽虛之本
(보양허지본)
⑥ 血虛感冒者(혈허감모자) 加 血海(혈해), 三陰交(삼음교).- 健脾養血(건비양혈)
⑦ 陰虛感冒者(음허감모자) 加 太谿(태계).- 滋陰生津(자음생진) 肺兪(폐수).- 養陰潤肺(양
음윤폐)
3) 耳針(이침)
取穴 : 肺(폐), 氣管(기관), 內鼻(내비), 脾(비), 三焦(삼초), 耳尖(이첨).- 諸穴 局部消毒后(국
부소독후), 耳尖穴点刺出血(이첨혈점자출혈), 余穴每次選(여혈매차선) 2∼3 个(개),
双側同時針刺(쌍측동시침자), 捻轉瀉法(염전사법), 留針(류침) 10∼20 分鍾(분종).
4) 電針(전침)
取穴 : 大椎(대추), 曲池(곡지), 合谷(합곡), 風池(풍지) 等穴(등혈).
每次選(매차선) 2∼3 个穴(개혈), 以毫針刺入(이호침자입), 産生針感后(산생침감
후), 用(용) G-6805 電療機(전료기), 加電刺激(가전자격), 選取適當的波型和頻率(선
취적당적파형화빈율), 以病人出現能耐受的麻脹感爲度(이병인출현능내수적마창
감위도), 每次通電時間(매차통전시간) 10∼20 分鍾(분종) .
5) 刺絡(자락)
取穴 : 尺澤(척택), 委中(위중), 少商(소상), 大椎(대추), 耳尖(이첨),耳垂(이수)等
① 大椎挑刺出血(대추도자출혈), 幷拔罐(병발관) 5∼10 分鍾(분종),
② 尺澤(척택), 委中(위중).- 三陵針(삼능침) 点刺出血(점자출혈), 令其血流 自止(령
기혈류자지)
③ 少商(소상), 耳尖(이첨), 耳垂(이수).- 点刺出血(점자출혈) 數滴卽可(수적즉가).
6) 皮膚針(피부침)
① 風寒感冒(풍한감모)
取 : 背柱兩側(배주양측), 肘窩(주와), 大小魚際(대소어제), 鼻部(비부).
② 風熱感冒(풍열감모)
取 : 胸背部(흉배부) 風池(풍지), 大椎(대추)., 合谷(합곡), 曲池(곡지)
手作 : 中度或重度刺激(중도혹중도자격), 每日治療(매일치료) 2∼3 次(차).
7) 頭針(두침)
取穴 : 感覺區(감각구), 胸腔區(흉강구).
手作 : 每次捻轉(매차념전) 1∼3 分鍾(분종), 留針(류침) 15 分鍾(분종).
8) 光針(광침)
取穴 : 大椎(대추), 風池(풍지), 風門(풍문), 膈兪(격수), 合谷(합곡), 曲池(곡지), 魚際(어제),
外關(외관).
治法 : 每次選取穴位(매차선취혈위) 2∼4 个(개), He-Ne(氖) 激光器照射(헬리움 - 네온 격
광기조사), 功率一般爲(공율일반위) 10∼30 毫安(호안), 照射距離爲(조사거리위)
20∼30 毫米(호미), 每日照射 1 次(매일조사 1 차), 每次每穴照射(매차매혈조사)
2∼5 分鍾(분종).
9) 推拿(추나)
處方(처방) : 拇指按揉(무지안유) - 風池(풍지), 風府(풍부), 大椎(대추), 外關(외관), 合谷(합
곡), 曲池(곡지), 拿肩井(나견정). 加减(가감)
⑴ 感冒風寒者(감모풍한자)
① 加用 拇指襌推法(무지단추법) - 自攢竹穴(자찬죽혈) 沿足太陽分布(연족태양분포)
推至天柱穴(추지천주혈), 以疏通足太陽經絡(이소통족태양경락). 止頭痛(지두통),
利肺竅(이폐규).
② 按揉列缺穴(안유열결혈) - 以宣肺止咳(이선폐지해), 助汗解表(조한해표).
⑵ 外感風熱者(외감풍열자)
① 加用 拇指襌推法(무지단추법) - 自印堂穴(자인당혈) 沿督脈分布(연독맥분 포) 推至
神庭穴(추지신정혈), 以祛風熱(이거풍열),
② 再用 拇指(抹法(무지말법) - 自印堂穴沿前額(자인당혈연전액) 分別向兩側(분별향
양측) 抹至太陽穴(말지태양혈), 以疏風散熱(이소풍산
열), 通絡止痛(통락지통).
10) 灸法治療(구법치료) 風寒外感型感冒(풍한외감형감모) 王氏等(왕씨등) 外感風寒發熱者
(외감풍한발열자) 患者隨機分爲灸治組及對照組 (환자수기분위구치조급대조조). 灸治組
(구치조) 64 例(예), 對照組(대조조) 24 例(예), 男性(남성) 43 例(예), 女性(여성) 55 例(예).
取 : 大椎(대추), 曲池(곡지,双), 每穴施灸(매혈시구) 10分鍾(분종), 애조거시구부위 2∼3
厘米(리미), 局部皮膚可産生(국부피부가산생) 灼熱感及紅潤(작열감급홍윤). 灸治組
(구치조) 64 例患者(예환자), 灸后(구후) 48 小時內(소시내) 54 例痊愈(예전유), 7 例
有効(예유효),
總有效率爲(총유효율위) 95.31%, 3 例无效(무효). 對照組(대조조) 34 例中(예중), 10
例痊愈(예전유), 12 例有効(예유효), 總有效率爲(총유효율위) 64.71%, 12 例无效(예
무효). 兩組存在非常濕著性差異(양조존재비상습저성차이) (P<0.001). 灸治組灸后平
均症狀消失率爲(구치조구후평균증상소실률위)68.51%, 對照組僅爲(대조조근위)
25.85%, 兩組對比亦有濕著性差異(양조대비역유습저성차이). 另外(령외), 灸治組患
者的(구치조환자적) 白細胞計數(백세포계수) 灸后有明顯向正常轉化的趨勢(구후유
명현향정상전화적추세). (王寅(왕인)等(등). 第一届世界針灸學術大會(제일계세계침
구학술대회) 針灸論文摘要選編(침구논문적요선편). 1987)
11) 感冒發熱(감모발열)
外治方法(외치방법) : 吳氏總結了(오씨총결료) 感冒發熱的外治法(감모발열적외치법)
① 吸入法(흡입법)
根据辨證(근거변증), 擬用辛溫(의용신온) 或辛凉解表的方劑(혹신량해표적방제), 煎汁
(전즙), 趁熱倒入保溫甁內(진열도입보온병내), 以適當距離用鼻孔吸入蒸氣(이적당거
리용비공흡입증기).
② 滴鼻法(적비법)
用柴胡注射液滴鼻(용시호주사액적비). 劑量爲(제량위) 新生兒(신생아) 每个鼻孔各(매
개비공각) 1 滴(적), 2∼6 个月(개월) 各 2 滴(적), 7∼12 个月(개월) 各 3 滴(적), 1∼3 歲
(세) 4 滴(적), 4∼6 歲(세) 各 5 滴(적), 7∼14 歲(세) 各 6 滴(적
本法適用于(본법적용우) 兒童感冒(아동감모).
③ 貼湧泉法(첩용천법)
白芥子(백개자), 山梔(산치), 桃仁(도인), 杏仁(행인) 各20, 吳茱萸(오수유), 樟腦(장뇌)
各10.- 硏末(연말), 和勻(화균), 與鷄蛋淸(여계단청), 麵粉調成餠狀(면분조성병상), 分
貼于双側湧泉穴(분첩우쌍측용천혈),用布包扎(용포포찰), 再用熱水袋加溫片刻(재용
열수대가온편각), 24 小時取下(소시취하), 如不効(여불효), 再貼 1 次(재첩 1 차).
④ 敷臍法(부제법)
黃連(황연), 虎杖(호장) 各30, 用白酒(용백주) 或(혹) 75% 酒精(주정) 500 毫升(호승)
浸泡(침포) 1 周(주), 濾取葯液(려취약액), 甁貯密封(병저
用時以葯棉少許浸此葯液(용시이약면소허침차약액), 干濕適度(간습적도), 敷于臍上
(부우제상), 一般半小時卽可退熱(일반반소시즉가퇴열).
(吳震西(오진서) 中醫雜志(중의잡지) 1991, 32 (11) : 56)
외감병 (外感病)
外感病(외감병)이란 人体(인체)가 外部(외부)로부터 邪氣(사기)의 侵襲(침습)을 받아 發病(발
병)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우선 정상적인 自然界(자연계)의 氣候(기후)를 표명하는 風,
寒,暑,濕,燥,火(풍,한,서,습,조,화)가 어느 時期(시기)에 인체의 상황에 따라 상호 조화롭지 못
한 인체의 正氣(정기)와 투쟁을 하게 되는데 이때 邪氣(사기)로 규정한 風寒暑濕燥火(풍한서
습조화)를 다른 말로 六淫(육음)이라 칭한다. 외부로부터 인체에 침습했다 해서 이를 外邪(외
사)라고도 칭한다.
임상에서 증상에 따른 病理機制(병리기제)는 일반적으로 初期(초기), 中期(중기), 后期(후기)
등으로 證勢(증세)에 따라 분류해서 관찰하는데 특히 外感病(외감병)은 邪氣(사기)가 인체에
침입해서부터 발전해 가는 과정이 각이하기 때문에 그 치법 또한 각이 하다.
대체로 外感病(외감병) 初起(초기)에는 邪氣(사기)가 体表(체표)에 있으므로 치료에 있어서
는 解表法(해표법)을 사용한다.
解表葯(해표약)을 위주로 구성되는 解表劑(해표제)는 發汗(발한), 解肌(해기), 透 疹(투진) 등
의 작용으로 体表(체표)에서 人体(인체)의 正氣(정기)와 外感(외감)된 六淫(육음)의 邪氣(사
기)와의 鬪爭(투쟁)으로 유발된 各種(각종) 表證(표증)을 해제 한다 해서 이 葯劑(약제)를 解
表劑(해표제)라 하는 것이다.
肌表(기표)는 인체의 울타리다. 초기에 六淫(육음)을 外感(외감)하여 正邪(정사)의 투쟁을 일
으키는 肌表(기표)에 表證(표증)의 邪氣(사기)가 가볍고 얕으므로 해표제를 써서 外邪(외사)
를 肌表(기표)에서 내보낼 수가 있다. 그래서 【素問(소문) 陰陽應象大論(음양응상대론)】에서
말하기를 “그것이 皮(피)에 있으면 汗(한)으로 이를 發(발)하게 한다.”라고 하였다. 만약 시기
를 노처서 치료하지 못했거나 혹은 治法(치법)이 적당치 않아 六淫(육음)의 邪氣(사기)를 体
外(체외)로 解表(해표)시키지 못한다면 반드시 体內(체내)로 깊이 轉入(전입)되어 他證(타증)
으로 變生(변생)하게 되는데 예컨대【素問(소문) 陰陽應象大論(음양응상대론)】에서 말하는
“잘 치료한다는 것은 皮毛(피모)를 치료하고, 그 다음은 肌膚(기부)를 치료하며, 그 다음은 筋
脈(근맥)을 치료하고, 그 다음은 六腑(육부)를 치료하고, 그 다음은五臟(오장)을 치료한다. 五
臟(오장)을 치료하면 半死半生(반사반생)이 돤다.”고 하였음은 邪氣(사기)가 內轉(내전) 될수
록 重證(중증)으로 발전함을 이른 말이다.
일반적으로 外感六淫(외감육음)의 侵襲(침습)을 받아 邪氣(사기)가 아직 肌表(기표)에 있을
때 適時(적시)에 解表劑(해표제)로 치료하여 邪氣(사기)로 하여금 体外(체외)로 나가게 함으
로써 傳變(전변)을 방지하고 早期(조기)에 治愈(치유)를 기대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風寒(풍한)으로 傷(상)하게 되면 또한 溫熱(온열)의 病邪(병사)도 받게 된다. 따라서 一
切(일절) 外感病(외감병) 초기일 때는 惡寒(오한), 發熱(발열), 頭痛(두통), 身疼(신동), 太白(태
백), 혹은 黃(황)하고, 脈浮(맥부)등의 表證(표증)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런 때는 모두 解表劑
(해표제)로 치료할 수가 있다.
그러나 한편 外邪(외사)의 육음에는 寒熱(한열)의 차이가 있고, 人体(인체)에는 虛實(허실)의
구별이 있으며 기타의 病證(병증)에도 外邪(외사)등이 있다. 그러므로 解表劑(해표제)는 辛
溫解表(신온해표)와 辛凉解表(신량해표), 그리고 扶正解表(부정해표) 3 종류로 크게 나누어
外感表證(외감표증)을 表寒證(표한증)과 表熱證(표 열증), 그리고 体虛者(체허자)가 받는 外
邪(외사)로 분별해서 적용한다.
外感病(외감병)에는 感冒(감모)로부터 風溫(풍온), 春溫(춘온), 濕溫(습온), 伏暑(복서), 疰夏
(주하)와 暑溫(서온), 中暑(중서), 秋燥(추조), 大頭瘟(대두온), 爛喉痧(란후사), 痢疾(이질), 瘧
疾(학질)등 11个(개) 疾病(질병)과 2개의 附證(부증) 즉 伏暑(복서), 疰夏(주하)를 모두 합쳐서
外感病(외감병)으로 분류한다.
治法(치법)은
辛溫解表法(신온해표법)은 外感風寒表證(외감풍한표증)을 치료하는 治法(치법)
辛凉解表法(신량해표법)은 外感風熱表證(외감풍열표증)을 치료하는 治法(치법)
扶正解表法(부정해표법)은 氣血虛弱(기혈허약)즉 体質虛弱者(체질허약자)가 육음 (六淫)에
침습을 받은 表證(표증)의 治法(치법)이다.
辨病取穴(변병취혈)
1) 風寒證(풍한증) : 코가 막히고(鼻塞), 맑은 콧물이 흐르며(淸涕), 인후가 가렵고(咽喉痒症),
재체기, 기침, 가래가 맑고 희박(痰淸稀薄)하며, 오한(惡寒)이 나고, 땀은
나지 않는데(无汗), 전신이 시큰거리며 아프고(全身酸痛), 두통(頭痛) 있
고, 설태는 희고 얇으며(舌苔薄白), 맥은 부긴(脈浮緊)하다. - (實症)
原則 : 祛風散寒(거풍산한), 解表宣肺(해표선폐)
手太陰(수태음), 陽明(양명), 足太陽經穴(족태양경혈)을 위주로 치료
處方 : 列缺(열결), 迎香(영향), 支正(지정), 風門(풍문), 風池(풍지), 合谷(합곡).
方義 : ① 列缺 + 迎香 = 폐기를 선발시켜서 막힌 것을 통하게 하여(宣肺利竅)
코막힘(鼻塞), 목의 가려움(喉痒)과 기침(咳嗽)을 치료
하고
② 支正 + 風門 = 풍한의 사기를 제거하여(祛風散寒) 오한(惡寒)과 발열
(發熱) 및 두통(頭痛)을 치료한다.
③ 風池 = 체표에 풍사를 소산(疏風解表).
④ 合谷 = 양명의 기를 통하게 하고(疏利陽明) 폐기를 선발시켜서 표사
를 해제하는 작용을 증강시킨다.(卽解表宣肺 作用 增强).
⑤ 印堂 + 太陽 = 두통(頭痛)을 치료한다.
♧ 方葯 : 三坳湯(삼요탕), 小靑龍湯(소청용탕), 杏蘇散(행소산) 등
2) 風熱證(풍열증) : 코가 막히고 마르며(鼻塞乾), 인후가 아프고(咽喉痛), 구갈(口渴)이 나고,
발열이 중하고(發熱重), 오한은 경하며(惡寒輕), 땀이 나고(有汗), 기침
(咳嗽)하며, 누런 가래(黃痰)이 생기고, 설태는 얇고 누러고(舌苔薄黃),
맥은 부삭(脈浮數)하다.
原則 : 풍열을 흩어서 줄이고(消散風熱), 폐기를 맑게 통하게(淸利肺氣)한다.
手太陰(수태음), 陽明(양명), 少陽經穴(소양경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魚際(어제), 大椎(대추), 曲池(곡지), 合谷(합곡), 外關(외관).
方義 : ① 魚際 = 폐열을 맑게 내리고(肺熱淸瀉), 가래를 제거하여 기침을 멎게
하며(化痰止咳), 목구멍을 통하게 해서 아픔을 멎게 한다(利咽
止痛).
② 大椎 + 外關 = 체표에 양사를 흩어지게(表散陽邪) 하여 高熱(고열), 頭
痛(두통), 눈이 붉어지는 것(目赤)을 치료한다.
③ 合谷 + 曲池 = 맑은 폐기를 통하게(淸利肺氣)하여, 열을 해제하고 진
액을 보(解熱補津)하여 해열(發熱), 코 막힘(鼻塞)과 기
침, 인후가 붙고 아픈(咽喉腫痛) 것을 치료한다.
加减 : ① 咽喉腫痛(인후종통) :
加 少商穴(소상혈) = 解毒(해독)하고 부은 것을 내리게(消腫) 한다.
② 小兒高熱(소아고열), 痙厥(경궐) :
加 人中(水泃) + 十宣) = 泄熱鎭靜(설열진정) 시킨다.
治法 : 호침으로 얕게 찌르되(淺刺)하되 사법을 사용한다.
少商穴(소상혈)은 三 陵針(삼능침)으로 점자하여 출혈시키고,
人中(인중), 十宣穴(십선혈)은 호침으로 얕게 찔러 사기가 나가도록(淺
刺疾出)하되 침구멍을 막지 말고 피를 짜내야 한다.
♧ 方葯 :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
≒ 麻黃(마황), 杏仁(행인), 石膏(석고), 甘草(감초).
3) 暑濕證(서습증) : 머리가 무겁고(頭重) 마치 싸맨듯하고, 팔다리와 몸(肢體)도 무겁고 시큰거리는 아픔(酸痛)이 있고, 몸에 열이 나며(身熱), 입안이 찐득찐득하나 갈증은 없거나(口膩不渴) 혹은 갈증이 있는데 더운물을 마시려 한다.(或渴喜熱飮), 가슴과 위완부가 그득한 것이 답답하고(胸脘滿悶), 토할 듯이 웩웩(嘔惡)거리며, 묽은 변을(便溏) 보고, 소변량은 적으면서 색이 누렇고(小便短黃), 설태는 누렇고 찐득찐득(舌苔黃膩)하고, 맥은 유삭(脈濡數)하거나 혹은 부삭(或浮數)하다.
原則 : 서습을 맑게 제거하고(淸暑化濕), 表邪(표사)를 疏散(소산)시키고 表里
(표리)를 조화시킨다(疏表和里) - 太陰(태음), 陽明(양명), 三焦經穴(삼초
경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孔最(공최), 合谷(합곡),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支溝(지구).
方義 : ① 孔最 + 合谷 = 폐기를 선발시켜서 표사를 해제하고(宣肺解表), 서습을 막게 제거해서(淸署化濕) : 머리가 무겁고 사지가 고달픈(頭重, 肢困) 것을 다스리며, 코 막힘(鼻塞) 및 한열(寒熱)을 다스린다.
② 中脘 + 足三里 = 비기를 통하게 하여 습을 제거하고(利脾化濕), 위의 강탁기능을 조화롭게 하여(和胃降濁), 거슴과 위가 그득하고 답답한(胸脘滿悶) 것과, 토할 듯이 웩웩(嘔惡) 거리는 것을 다스린다.
③ 支溝 = 삼초의 기화기능(三焦氣化)을 소통 조절(通調) 한다.
加减 : ① 熱(열)이 甚(심)하면
加 大椎(대추), 濕(습)이 盛(성)하면 加 陰陵泉(음능천)
② 배가 창만하고 묽은 변을 보면(腹脹便溏) :
加 天樞(천추)하여 비장을 튼튼히 하여 설사를 멎게(健脾止泄)하고
③ 陽虛(양허), 氣虛(기허) :
加 足三里(족삼리) 膏肓(고황)하여 溫補陽氣(온보양기).
④ 陰虛(음허), 血虛(혈허) :
加 肺兪(폐수), 血海(혈해), 復溜(복류)하여 補陰養血(보음양혈)한다.
♧ 方葯 :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
4) 肺病(폐병) 중에 風寒束肺(풍한속폐), 風熱犯肺(풍열범폐) 참조
5) 風熱感冒(풍열감모) : 肺經病辨(폐경병변) 중에 熱邪上炎(열사상염) 참조 - 中醫
5. 臨床應用(임상응용) 針灸大成(침구대성)
1) 感氣(감기)가 6日이 되어도 차도가 없으면(不愈) : 期門穴(기문혈) - 靈光賦
2) 感冒 眞妙訣- 蘭江賦
⑴ 三陰(삼음)에 病(병)이 있으면 : 陽經(양경)을 찌르고
⑵ 땀이 나지 않으면(无汗) : 補 合谷穴(보 합곡혈), 瀉 復溜穴(사 복류혈)
⑶ 땀이 멎지 않으면(汗出不止) : 補 合谷穴(보 합곡혈)
⑷ 傷寒(상한)으로 4日이 지나면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에 病(병)이 드는데 자 세히 觀
察(관찰)하여 公孫穴(공손혈)과 照海穴(조해혈)을 같이 찔러주고 다시 內關穴(내관혈)
에 침자한 후 7일이 지나도 낫지 않으면 期門穴(기문혈)에 침을 지르면 대단히 妙(묘)
하다.
☆《內經․素問》에 의하면 “傷寒(상한)을 치료할 때 모두 瀉(사)하라 하였고 그리고 氣血
(기혈)의 流注時間(유주시간)에 따라 生理(생리)와 병의 作用原則(작용원칙)을 보아 항
상 五行(오행)을 평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라는 말이 있다 - 水(수)가 不足(부족)하면
肺金(폐금)을 補(보)해야하며, 水(수)가 盛(성)하면 土(토)를 補(보)하여 平(평)하게 하
여야 한다.
3) 感冒(감모)
⑴ 기침을 자주하면(咳嗽頻煩)해수빈번 : 肺兪穴(폐유혈),
⑵ 기침하며 가래가 많으면(咳嗽痰多) : 豊隆穴(풍륭혈) - 玉龍歌
4) 傷寒(상한) 감기(感冒)로.
⑴ 六經(육경)이 지나도 낫지 안으면(不愈) :
期門穴(기문혈)을 먼저 보하고 난뒤에 사하라(先補后瀉) - 玉龍歌
⑵ 急激(급격)하게 氣(기)가 胸部(흉부)와 橫膈膜(횡격막)을 찌르는 듯(刺痛) 아플 때 :
足三里穴(족삼리혈)을 瀉(사)하라
5) 傷寒(상한) : 陰陽經(음양경)을 나누어 症(증)에 따라 치료한다.
雜病穴法歌 : 第一日 : 太陽證(태양증)이기 때문에 風府穴(풍부혈)을
第二日 : 陽明證(양명증)이기 때문에 滎穴(형혈)을
第三日 : 少陽證(소양증)이기 때문에 輸穴(수혈)을
第四日 : 太陰證(태음증)이기 때문에 井穴(정혈)을
第五日 : 少陰證(소음증)이기 때문에 輸穴(수혈)을
第六日 : 厥陰證(궐음증)이기 때문에 經穴(경혈)을 治療한다.
六日이 經過하여도 无汗(무한)이면 : 期門穴(기문혈), 陰證(음증)에는 灸 關
元穴(관원혈)에 뜸(灸)을 뜬다 .
☞ 針(침)으로 汗, 吐, 下法(한,토,하법 즉 공하법)은 별로 신통한 것이 없다.
그러나 發汗(발한)에 合谷穴(합곡혈), 吐(토)에 內關穴(내관혈), 瀉下(사하)
에 三陰交穴(삼음교혈)을 찌른다.
6) 모든 風, 寒, 暑, 濕(풍,한,서,습)의 邪氣(사기)와 頭痛(두통), 發熱(발열)에는 外關穴(외관
혈)을 다스린다. - 雜病穴法歌
7) 傷寒疾病(상한질병)은 足經絡(족경락)에는 들어와도 手經絡(수경락)에는 들어오지 않으
니 太冲穴(태충혈), 內庭穴(내정혈)에 깊고 또는 얕게 針刺(침자)한다. - 雜病穴法歌
8) 傷寒(상한)으로 六經(육경)이 다 지나도록 땀이 나지 않으면(无汗) 우선 期門穴(기문혈)
에 침자하고 후에 通里穴(통리혈)을 다스린다. - 長桑君天皇秘訣歌
9) 傷寒(상한)으로 팔다리가 차고(四肢冷) 맥이 묻히거나 끊어졌을 때(脈伏脈絶時) 復溜穴
(복류혈)을 針刺(침자)하여 맥을 恢復(회복)시킨다. - 肘后歌
6. 寒門(한문) 三一体質(삼일체질)
1) 陽實症(양실증) : 惡寒(악한), 發熱(발열), 頭痛(두통), 流涕(류체), 肩重(견중).
處方 : 大腸實(대장실) - 大腸勝方(대장승방), 혹은 胃勝方(위승방)
2) 腎實症(신실증) : 咽喉炎(인후염), 扁桃腺炎(편도선염), 頭痛(두통), 身熱(신열).
處方 : 小腸勝方(소장승방), 肺勝方(폐승방)을 겸해서 상응하는 처방.
3) 陰實症(음실증) : 전신에 열이 심하고, 팔다리에 관절통이 있는 몸살.
處方 : 心熱方(심열방), 脾熱方(비열방), 膽熱方(담열방).
傷寒(상한)
1日 見證 : 사계절을 불문하고 頭痛(두통), 發熱(발열), 惡寒(악한), 无汗(무한), 骨節疼痛(골
절동통), 脈浮緊(맥부긴) - 麻黃湯證(마황탕증)
♧ 麻黃湯(마황탕) ≒ 麻黃(마황), 桂枝(계지), 杏仁(행인), 甘草(감초).
♧ 九味羌活湯(구미강활탕)
≒ 羌活(강활), 防風(방풍), 川芎(천궁), 白芷(백지), 蒼朮(창출), 黃芩
(황금), 生地(생지), 細辛(세신), 甘草(감초).
♧ 十神湯(십신탕)
≒ 葛根(갈근), 赤芍(적작), 升麻(승마), 白芷(백지), 川芎(천궁), 陳皮(진
피), 麻黃(마황), 蘇葉(소엽), 香附子(향부자), 甘草(감초).
治療 : 足太陽膀胱經 - 商陽(상양) 補, 足三里(족삼리) 瀉. 治官補母(치관보모)
2日 見證 : 눈이 아프고(目疼), 코가 마르며(鼻乾), 누울 수 업고(不得臥), 위완부가 불편하
고 답답하며(脘悶不舒), 팔다리가 발단으로부터 차가워져 오르고(手足厥冷) 몸
에는 열이 나고(身熱) 맥은 홍삭(脈洪數)하다.
♧ 葛根解肌湯(갈근해기탕)
≒ 葛根(갈근), 柴胡(시호), 黃芩(황금), 赤芍(적작), 羌活(강활), 石膏
(석고), 升麻(승마), 白芷(백지), 桔梗(길경), 甘草(감초).
治療 : 足陽明胃經 - 三里(족삼리) 補, 臨泣(족림읍) 瀉.- 抑官安身(억관안신)
3日 見證 : 半表半里證(반표반리증) - 表熱證(표열증) 里寒證(리한증) 가슴과 옆구리가 그
득하고 입 안이 쓰거나(胸脇苦滿) 혹은 몸이 춥고더움이 반복되고(寒熱往來), 식
욕이 부진하고, 嘔吐(구토)하며, 설태가 희다(苔白)
♧ 小柴胡湯(소시호탕) ≒ 柴胡(시호), 黃芩(황금), 人參(인삼), 半夏(반하), 甘草
(감초).
治療 : 足少陽膽(膵)經 - 俠溪(협계) 補, 商陽(상양) 瀉.- 抑官補母(억관보모)
☞ 前 3日은 傷寒陽證(상한양증)에 속하지만 后 6日 까지는 傷寒陰證(상한음증)에
속한다.
4日 見證 : 복부가 연약하고 무력하며(腹部軟弱无力), 심하부(위완부)에서 물떨어지는 소
리가 나고(心下部振水音), 손발이 차고(手足冷), 대변이 묽고(溏便), 이질 설사
를 하고(下痢), 구토하며(嘔吐), 갑자기 아찔하면 캄캄 해지고 어지럽고(眩暈),
배 아프며(腹痛), 맥은 미약(脈微弱)하다.
♧ 理中湯(이중탕) ≒ 人參(인삼), 白朮(백출), 乾姜(건강), 甘草(감초).
治療 : 足太陰脾經 - 陰陵泉(음능천), 經渠(경거) 補, 隱白(은백) 瀉. - 補子抑官(보자억
관)
5日 見證 : 三陰病(삼음병), 팔다리가 차고(四肢冷), 이질 설사를 하며(下痢), 배가 그득하고
(腹滿), 혹은 發熱(발열), 惡寒(악한), 頭痛(두통)이 나고 몸이 아프다(身疼痛).
♧ 四逆湯(사역탕) ≒ 炙甘草(자감초), 炮姜(포강), 炮附子(포부자).
治療 : 足少陰腎經 - 陰谷(음곡), 經渠(경거) 補, 太白(태백) 瀉 - 抑官補母
6日 見證 : 근육과 맥이 경련으로 빳빳하게 강직되고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筋脈痙攣 强
直 口噤)
♧ 附子理中湯(부자리중탕) ≒ 炮附子(포부자), 人參(인삼), 白朮(백출), 炮姜(포
강), 甘草(감초).
治療 : 足厥陰肝經 - 陰谷(음곡), 大敦(대돈) 補, 經渠(경거) 瀉.
- 補母抑官 ☞ 感冒(감모)는 6日이면 웬만하면 자연 치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낫지 않으면(不愈) 12日까지 계속되는데 前 6日까지의 傷寒(상한)은
주로 足經絡(족경락)의 병이 였고 后 12日까지는 手經絡(수경락)의 병이 된다.
7日 見證 : 足太陽經(족태양경) 병이 衰(쇠)하고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으로 傳病(전
병)되어 약간 두통이 난다(微頭痛).
治療 : 左脈(좌맥) - 小腸虛(소장허) - 小腸正格(소장정격)
右脈(우맥) - 小腸實(소장실) - 小腸勝格(소장승격)
8日 見證 :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 병이 衰(쇠)하고 手陽明大腸經(수양명대장경)으로 傳
病(전병) 되어 身熱(신열)이 있고, 약간 구갈이 나는(微口渴)
治療 : 三里(삼리) 補, 臨泣(림읍), 陷谷(함곡) 瀉. - 抑官補身
9日 見證 : 足少陽膽(膵)經(족소양담(췌)경)) 병이 衰(쇠)하고 手少陽三焦經(수소양 삼초경)
에 傳病(전병)되어 귀가 먹어 듣지 못하게 되다(耳聾未聞).
治療 : 至陰(지음), 足竅陰(족규음) 瀉, 足通谷(족통곡), 俠溪(협계) 補.
10日 見證 :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 병이 衰(쇠)하고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에 傳病(전
병)되어 腹痛(복통)이 감소되긴 했으나 전 같고, 음식생각이 없다(不思飮食)
治療 : 神門(신문), 太白(태백) 補, 隱白(은백), 大敦(대돈) 瀉. (脾肺 同時補方)
11日 見證 : 足少陰腎經(족소음신경)이 衰(쇠)하고, 手少陰心經(수소음심경)에 傳病 (전병)
되어 消渴(소갈), 舌乾(설건)
治療 : 曲澤(곡택), 陰谷(음곡) 補, 苔白(태백), 太谿(태계) 瀉.
12日 見證 :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이 衰(쇠)하고 手厥陰心包經(수궐음심포경)에 傳病(전
병)되어 대체로 병이 스스로 안정된 증상(自安症狀)이다.
治療 : 陰谷(음곡), 曲泉(곡천)(曲澤?) 補, 商陽(상양)(中冲?), 大敦(대돈) 瀉
13日 見證 : 運傷寒 卽 腸티푸스 - 大腸實熱(大腸實熱(대장실열), 高熱(고열), 脫水現狀(탈수
현상), 食欲不振(식욕부진), 꿈속에서 잘 놀라고(夢中易驚), 헛소리를 하다(譫
語).
治療 : 1日 風府穴(풍부혈), 2日 二間穴(이간혈), 3日 中渚(중저) 泣穴(림읍), 4日 少商
(소상) 隱白(은백), 5日 神門(신문) 太谿(태계), 6日 中封(중봉) 靈道(령도) 間使
(간사) - 모든 혈은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 柳泰佑 -
7. 감기(感氣)
감기를 漢方(한방)에서는 풍사(風邪)라 하여 상풍(傷風)과 상한(傷寒)으로 분류하여 치료하
고 있다. 西醫學(서의학)에서는 그 원인을 Virus 또는 세균(細菌 bacteria)에 두고 있으며, 온
도의 급격한 변화나 한기(寒氣)에 접촉된 점막의 빈혈(貧血)과 냉각(冷却)을 가져와서 비(鼻),
인두(咽頭 pharynx) 등의 상기도(上氣道) 점막에 있는 혈관신경의 실조(失調)를 초래하여
virus와 bacteria의 감염을 쉽게 일으켜서 발병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證候 : 오한(惡寒chill), 재체기(sneezing), 발열(發熱fever), 비색(鼻塞 noseobstruc- tion) 비
체(鼻涕 nose water) 두통(頭痛 headache) 인후통(咽喉痛 throatpain 견항근긴장(肩
項筋緊張) 등이 나타나면서 coughing이 일어난다. 만약 이관(耳管 eustachian tube)
에 침범되면 귀의 페쇄감이 일어난다.
최성기(prime)에 이르면 체온이 오르면서 눈이 충혈되며 산소결핍증((酸素缺乏症
anorexia) 설사(泄瀉 diarrhoea) 변비(便秘 constipation) 오심(惡心 nausea) 등의 소
화기장해를 수반하면서 등이나 사지 관절의 권태나 둔통(鈍痛)을 가져온다. 동양의학
상에서는 같은 감기라 할지라도 앞서 말한 것처럼 傷風과 傷寒으로 구별한다. 비록
이들 傷風과 傷寒이 감기라고 일컫는 공통된 증후를 나타내지만 다음과 같은 본질적
인 차이점이 있다.
1) 初起 : 상풍성(傷風性)인 것은 오풍(惡風)을 느끼고, 상한성(傷寒性)인 것은 오한(惡
寒)을 느낀다.
2) 상충, 발열, 두통 등은 공통으로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傷風性의 경우는 표허(表虛)
의 증상(桂枝湯證)으로 脈浮(浮緩 或浮弱) 有汗인 반면에 傷寒性인 경우에는 표실
(表實)의 증상(麻黃湯證)으로 脈浮緊 无汗으로 傷風性에 비하여 무겁다.
3) 傷風性의 경우 傷寒性에 비하여 陽性으로 삼양병(三陽病)을 경과하면서 자연적으
로 치유되는 경우가 많지만, 傷寒性의 경우는 음병(陰病)까지 진행하여 마지막에는
궐음병(厥陰病)의 무거운 상태에 빠지는 경우도있다.
治療 : 체질의 허실(虛實)에 따라서 복잡한 증후를 나타내기 때문에 대증적(對證的)인 면에서
치료방침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실증체질 환자는 증후도 실증성으로 치
유도 빠르지만 허증체질 환자는 병의 원인에 관계없이 맥(脈)은 연약(軟弱)하고 거의
발열(發熱)도 나타나지 않고 만성화 한다.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감기의 초기 맥
상은 부허(浮虛)아니면 부실(浮實)을 발하는 것이 상례이지만 때로는 감기 초기 환자
로서 침실(沉實)의 맥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대부분 감기에 대한 항생물
질의 투여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때 침구요법을 시술할 경우 항생물질의 약기
운이 해제됨으로써 최초의 상태로 돌아가서 발열증상을 나타내는 일이 왕왕 있다. 이
로 인화여 침구치료로 인하여 병변이 약화되고 있다는 오해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치
료 전에 먼저 환자에 대하여 이해를 시키는 일이 필요하다.
1) 初起 : 재체기(sneezing)가 나오면서 한기(寒氣)가 있으면 즉시 풍문혈(風門穴)에 20
장 정도의 뜸을 뜬다. 웬만한 것은 이것만으로 치유가 가능하다. 류체(流涕 맑
은 콧물)가 계속되면 찬죽(攢竹) 영향(迎香) 소료(素髎) 등에 자침(刺針) 한다.
2) 최성기 : 병위가 주로 상반신이나 체표(體表) 등 양경(陽經)에 있으므로 전두부(前頭
部), 두정부(頭頂部), 후경부(后頸部), 견배부(肩背部)에 산침하고 실증(實症)
을 나타내는 수족양경(手足陽經)을 사(瀉)한다. 최성기(prime)은 곧 양성음
허(陽盛陰虛)를 의미하므로 신경(腎經) 간경(肝經) 비경(脾經) 폐경(肺經) 등
의 음경(陰經)을 보(補)한다. 두통(頭痛 Headache)이 심하면 백회혈(百會穴)
과 두유혈(頭維穴)을 瀉한다. 現代針灸學
8. 婦人中風 發熱惡寒 經水適來 得七八日 熱除脈遲 身涼和 胸脅滿 如結胸狀 譫語者 此爲熱入
血室. 當刺期門 隨其實而取之.
婦人(부인)이 傷寒中風(상한중풍)에 걸려 발열과 오한을 하는데 月經(월경)을 시작하였다.
7~8日이 지나서 熱(열)이 가시고, 脈象(맥상)이 遲(지)하며, 몸은 시원해졌으나 胸脇(흉협)
이 그득한 脹滿感(창만감)이 드는 것이 마치 結胸證(결흉증) 같기도 한데, 헛소리를 치는 것
은 熱(열)이 子宮(자궁)에 침입했기 때문이다. 期門穴(기문혈)에 針(침)을 놓아 實熱(실열)을
除祛(제거)해야 한다. - 金匱 -
陽明病 下血譫語者 此爲熱入血室 但頭汗出 當刺期門 隨其實而瀉之 湒然汗出者愈
陽明病(양명병)에 걸려 大便(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고, 헛소리를 하는 것은 邪熱(사열)이 자
궁에 侵襲(침습)했기 때문이다. 만일 頭部(두부)에만 땀을 흘린다면 期門穴(기문혈)에 針(침)
을 놓아 實熱(실열)을 瀉(사)해야 한다. 全身(전신)에 흠뻑 땀을 흘리면 病(병)은 治愈(치유)된
다. - 金匱 -
9.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 ① 合谷(합곡, 原), 列缺(열결), 外關(외관), 大椎(대추), 風池(풍지)
② 合谷(합곡, 原), 風池(풍지).
足太陽膀胱經 : ① 風門(풍문), 五處(오처), 身柱(신주), 尺澤(척택).
② 大杼(대저), 風池(풍지), 風門(풍문), 肺兪(폐유).
手少陽三焦經 : ① 外關(외관,絡), 大椎(대추), 曲池(곡지), 合谷(합곡).
- 風寒感冒 加 列缺(열결, 絡),
- 風熱感冒 加 尺澤(척택, 合).
② 外關(외관), 百會(백회), 合谷(합곡), 列缺(열결).
足少陽膽經 : ① 承靈(승령), 風池(풍지), 大椎(대추), 合谷(합곡), 外關(외관), 太陽(태양).
② 風池(풍지), 大椎(대추), 合谷(합곡).
2) 處方 : ① 大椎 外觀 列缺
② 風池 大椎 合谷
3) 流行性(유행성) : 時行感氣(시행감기)
⑴ 足太陽膀胱經 : ① 風門(풍문,督脈,足太陽의 會).
② 風門(풍문) 加 大椎(대추), 合谷(합곡)., 針刺后附缸(침자후부항)을 한
다.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督脈 : 大椎(대추), 風池(풍지), 曲池(곡지).
⑵ 毒感 - 足少陽膽經 : 風池(풍지,手足少陽,陽維의 會) - 中醫 -
감기열 (感冒高熱)
1. 參照文(참조문)
感氣(감기)로 열이 나는 것은 “風(풍)은 木(목)이고 木生火(목생화)하기 때문에 熱 (열)이
난다”고 針灸經驗方에 許任이 말하고 있다.
1) 발열 (發熱) 2) 신열 (身熱)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曲池(곡지).
足少陽膽經 : 風池(풍지).
督脈(독맥) : 大椎(대추).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感冒高熱 : 曲池(곡지), 合谷(합곡), 外關(외관).
2) 感氣 發熱 頭痛 : 風池(풍지), 大椎(대추), 合谷(합곡), 外關(외관), 太陽(태양).
督脈 : 大椎(대추), 曲池(곡지), 外關(외관), 合谷(합곡), 風池(풍지).
감기기침 (感冒咳嗽)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風門(풍문).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陰肺經 : 中腑(중부), 肺兪(폐수), 大椎(대추), 列缺(열결).
足太陽膀胱經 : 肺兪(폐수), 風門(풍문), 尺澤(척택), 大椎(대추).
3. 針灸大成 - 西江月 1, 任脈(임맥)
1) 감기로 인한 咳嗽(해수, 기침), 가슴이 그득하게 부은 症狀(증상)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膻中(전중), 風門(풍문), 合谷(합곡), 風府(풍부). -中醫 -
감기두통 (感冒頭痛)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感冒頭痛 : 合谷(합곡), 列缺(열결), 外關(외관), 大椎(대추), 風池(풍지).
2. 針灸大成 - 西江月 1, 任脈(임맥)
1) 바람을 쏘여서 四肢(사지)가 답답하게 열이 나는 것과 頭痛(두통)이 있을 때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經渠(경거), 曲池(곡지), 合谷(합곡), 委中(위중).- 大成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