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185 탈조 (脫阻)

Aktualisiert: 20. Sept. 2019



탈조 (脫阻)

脫阻(탈조)는 또 脫骨阻(탈골조)라고도 부른다. 본증은 발가락 혹은 손가락에 통증이 심

하며 장기간 치료하여도 낫지 않고 점차 썩어서 떨어지기 때문에 脫骨阻(탈골조)라 부른

다. 대부분 하지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西醫(서의)에서 말하는 血栓閉塞性脈管炎(혈전

폐색성맥관염)에 상당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1) 氣滯血瘀(기체혈어) : 情志內傷(정지내상), 肝腎不足(간신부족), 外受寒濕(외수한 습)

으로 經脈(경맥)이 凝滯(응체)되어 氣血運行(기혈운행)이 不暢

(불창)하게 되고 痹阻不通(비조불통)으로 발생한다.

2) 氣陰兩傷(기음양상) : 寒濕(한습)이 장기간 몰려서 熱(열)로 되고 熱(열)이 甚(심) 하면

陰(음)이 損傷(손상) 받거나 혹은 술, 담배, 膏梁厚味(고량후미)를

즐기면 熱(열)이 생겨 經絡(경락)에 凝滯(응체)되고, 熱(열)이 심하면 血肉(혈육)이 부패

하므로 탈저가 발생한다.

辨證施治(변증시치)

1) 氣滯血瘀(기체혈어)

證狀 : 初起(초기)나 中期(중기)에는 병든 다리나 팔이 차고 저리며 刺痛感(자통감)이

있고 瞬間的(순간적)으로 절름발이 걸음을 걷는다. 趺陽脈(부양맥)이 가늘고 무

력(細无力)하다. 오래되면 局部(국부)가 차고 통증이 持續(지속)되며 근육이 萎

縮(위축)되어 步行(보행)이 困難(곤란)해진다. 발등의 색(足背色)이 紫色(자색)

이고 脫毛(탈모)와 趾甲(지갑)이 두꺼워진다. 趺陽脈(부양맥)이 弱(약)하거나 혹

은 消失(소실)되며 腰痛(요통), 어지러운 감을 느낀다. 舌質(설질)은 붉고 舌苔

(설태)는 엷고 흰색 혹은 白膩(백니)하고 맥은 沉細(침세)하고 느리다.

治法 : 活血通絡(활혈통락)

- 背兪(배수), 任脈(임맥), 足陽明(족양명), 太陰經穴(태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氣海(기해), 膈兪(격수), 關元兪(관원수),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商丘

(상구), 丘墟(구허), 解谿(해계), 八風(팔풍).

方義 : ① 膈兪(격수), 關元兪(관원수), 氣海(기해)에 뜸(灸) - 補氣(보기), 溫經(온경), 活

血(활혈), 寒濕宣散(한습선산).

②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商丘(상구), 丘墟(구허). - 通經導滯(통경도

체), 調氣化瘀(조기화어).

③ 解谿(해계), 八風(팔풍).- 活血祛瘀(활혈거어). 祛寒(거한).

만약 : ① 筋肉萎縮(근육위축) : 加 陰陵泉(음능천), 血海(혈해)

② 手指脫疽(수지탈저) : 加 八邪(팔사), 曲池(곡지), 合谷(합곡).

方法 : 補瀉兼施(보사겸시), 可灸(가구).

2) 氣陰兩傷(기음양상)

證狀 : 后期(후기)에는 병든 다리의 색이 黯紅色(암홍색)이며 살이 여위고 筋脈(힘줄)

이 萎縮(위축)되며 썩어서 痛症(통증)이 심해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趺陽脈(부

양맥)이 消失(소실)되고 發熱(발열), 口乾(구건), 음식을 잘 먹지 못하며, 便秘(변

비), 尿黃(뇨황) 혹은 尿赤(뇨적), 舌質紅(설질홍) 脈細(맥세)하다, 이는 熱(열)이

甚(심)하여 陰(음)이 損傷(손상)된 證狀(증상)이다. 만약 筋肉(근육)과 骨(골)이

썩어 떨어져 나가면 얼굴색이 노랗고, 神疲(신피), 消瘦(소수), 맥은 느리며(脈

遲) 설질은 軟(연)하고 舌苔薄白(설태박백)이 되는데 이는 氣陰兩傷(기음양상)

의 證狀(증상)이다.

治法 : 益氣養陰(익기양음).

- 任脈(임맥), 手足少陰經(수족소음경)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關元(관원), 太谿(태계), 足三里(족삼리), 血海(혈해), 少府(소부), 太白(태백).

方義 : ① 關元(관원), 足三里(족삼리).- 補益元氣(보익원기). 太白(태백), 血海(혈해).-

通脈活血(통맥활혈).

② 太谿(태계), 少府(소부).- 滋陰養血(자음양혈), 淸虛熱(청허열)하여 補益陰液

(보익음액)한다.

만약 : ① 便秘(변비) : 加 血海(혈해).

② 身熱(신열) : 加 身柱(신주).

③ 口乾(구건) : 加 廉泉(렴천).

方法 : 毫針(호침)으로 補法(보법)을 使用(사용)한다. - 中醫 -

1. 參考文獻

1) 괴저 (壞疽) 참조

2) 西醫(서의)의 血栓閉塞性脈管炎(혈전폐색성맥관염)도 이에 속한다.

2. 辨病取穴(변병취혈)

1) 탈저(脫疽) : 血栓閉塞性脈管炎(혈전폐색성맥관염)

⑴ 毫針法(호침법)

① 寒濕證(한습증) : 陽陵泉(양능천), 三陰交(삼음교), 足三里(족삼리), 下巨虛(하거

허), 太淵(태연), 上巨虛(상거허).

② 血瘀證(혈어증) : 列缺(열결), 尺澤(척택), 膈兪(격수), 上巨虛(상거허), 下巨虛(하

거허).

③ 熱毒證(열독증) : 太谿(태계), 復溜(복류), 列缺(열결), 尺澤(척택), 魚際(어제), 陰

陵泉(음능천).

④ 氣血兩虛(기혈양허) : 列缺(열결), 尺澤(척택), 陰陵泉(음능천),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魚際(어제).

⑤ 腎虛證(신허증) : 膻中(전중), 膈兪(격수), 三陰交(삼음교), 尺澤(척택),太谿(태계).

方法 : 實證瀉之(실증사지), 虛證補之(허증보지), 針刺得氣后(침자득기후) 30분간

留針(류침) 1日 1次.

⑵ 分期取穴(분기취혈)

早期(조기) : 內關(내관), 太淵(태연), 足三里(족삼리), 陽陵泉(양능천), 三陰交(삼음

교), 太谿(태계).

中期(중기) : 神門(신문), 余下穴上同(나머지 혈들은 위와 같다).

晩期(만기) : 冲陽(충양), 太谿(태계), 余下穴上同(여하혈상동).

方法(방법) : 早期施(조기시) - 補法(보법)을 사용하며 겸하여 뜸을 뜬다.

中期施(중기시) - 瀉法(사법), 병행해서 三陵針(삼능침)으로 약간의 点

刺出血(점자출혈)을 허용한다.

晩期施(만기시) - 潰破(궤파)된 주위로 2일에 1번씩 灸法(구법)을 시행

한다.

⑶ 隣近取穴(인근취혈)

下肢(하지) : 環跳(환도), 三陰交透絶骨(삼음교투절골), 足三里(족삼리), 陽陵泉透

陰陵泉(陽陵泉透陰陵泉(양능천투음능천), 解谿(해계).

上肢(상지) : 曲池(곡지), 外關(외관), 合谷(합곡), 中渚(중저).

方法 : 施平補平瀉(시평보평사), 針刺得氣后(침자득기후) 30분간 留針(류침), 1日

1次.

⑷ 對症取穴(대증취혈)

下肢 主穴(주혈) : 環跳(환도), 三陰交(삼음교), 足三里(족삼리), 陽陵泉(양능천), 血

海(혈해), 脈根(맥근), 陰包(음포).

配穴(배혈) : 病變在(병변재)

① 母趾(모지) : 加 陰陵泉(음능천), 地機(지기).

② 2~3 趾(지) : 加 足三里(족삼리), 豊隆(풍륭).

③ 4 趾(지) : 加 陽陵泉(양능천), 懸鍾(현종).

④ 5 趾(지) : 加 承山(승산), 崑崙(곤륜).

⑤ 足低(족저) : 加 太谿(태계).

上肢 主穴(주혈) : 曲池(곡지), 郄門(극문).

配穴(배혈) : 病變在(병변재)

① 母指(모지), 食指(식지) : 加 手三里(수삼리).

② 中指(중지) : 加 內關(내관).

③ 小指(소지) : 加 通里(통리).

④ 无名指(무명지) : 加 外關(외관).

⑤ 前臂(전비, 下腕) 및 手掌(수장) : 加 大陵(대능).

方法 : 施平補平瀉(시평보평사), 針刺得氣后(침자득기후) 30분간 留針(류침) ,1日 1

次.

2) 灸法(구법) : 患肢(환지)의 踝關節(과관절) 周圍穴(주위혈)

穴處 : 復溜(복류), 太谿(태계), 中封(중봉), 商丘(상구), 崑崙(곤륜), 光明(광명),

丘墟(구허), 照海(조해), 申脈(신맥)., 혹은 血海(혈해), 腎兪(신유), 委中

(위중), 承筋(승근) 등 혈을 사용.

方法 : 쑥뜸을 사용하며, 매번 舒適感(서적감)이 드는 정도로, 매일 2~4번 뜸

을 뜬다.

3) 耳針法(이침법)

穴處 : 內分泌(내분비), 皮質下(피질하), 手足敏感点(수족민감점).

方法 : 針刺后(침자후) 20~30분간 留針(류침), 間日(간일) 1번.

4) 頭針法(두침법)

穴處 : 感覺區(감각구), 血管舒張區(혈관서장구).

方法 : 患肢(환지)와 健肢(건지)를 交叉(교차)로 針刺(침자)하되 30~60분간 留針(류

침)한다. 1日 1次.

5) 粗針法(조침법)

穴處 : 大椎透身柱(다추투신주), 神道透至陽(신도투지양), 命門(명문).

配穴 - 病變爲重(병변위중).

① 母趾(모지) : 配 足三里(족삼리), 伏兎(복토), 解谿(해계).

② 食趾(식지) : 配 足三里(족삼리), 曲泉(곡천), 太冲(태충).

③ 四至(사지) : 配 環跳(환도), 陽陵泉(양능천), 懸鍾(현종).

④ 小趾(소지) : 配 殷門(은문), 承山(승산), 崑崙(곤륜).

方法 : 大椎透身柱(대추투신주), 神道透至陽(신도투지양), 길이 125mm 毫針(호침)을

사용하여 5사간 留針(류침)하며 命門(명문)에 拔火罐(발화관)을 사용하고, 그

나머지 穴(혈)들은 瀉法(사법)을 시행하고 留針(류침)하지 않는다. 3日 1次.

6) 刺血法(자혈법)

穴處 : 冲陽(충양), 太冲(태충), 足三里(족삼리)..

方法 : 毫針(호침)을 사용하고, 提揷刺入疾出(서서히 침을 찌르고 빠르게 뽑는다),

혈액을 약간 짜내거나 혹은 皮下(피하)에 靑紫色(청자색)이 나게 하여도 된다.

3日 1次.

7) 穴位主射(혈위주사)

穴處 :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方法 : (洋金花(양금화), 生草烏(생초오), 川芎(천궁), 當歸(당귀)) 1~3 ml, 염소(CI)병

진 25~50 mg, 1穴(혈)씩 교대로, 針刺(침자)해서 得氣(득기)한 후 완만하게 주

입시킨다.

適用 : 患肢(환지)의 疼痛(동통)이 劇烈(극열)하거나, 만약 患肢(환지)에 血運(혈운)의

障碍(장애)가 明顯(명현)한 때로부터 劇痛(극통)이 緩解(완해)된 뒤에는 사용을

멈추어야 한다.

8) 穴位磁療法(혈위자료법)

治患肢 : 太冲(태충), 解谿(해계), 公孫(공손), 丘墟(구허).

方法 : 每穴(매혈)마다 釤鈷合金(삼고합금)의 靜磁片(정자편)을 붙여서 사용한다.

한번 靜磁片(정자편)을 부착했던 곳을 매일 이동한다.

9) 外治法(외치법)

⑴ 未潰(미궤) 患處(환처)가 서늘하고 나무토막처럼 뻣뻣하게 마비되며(發凉麻木) 피

부색이 창백(膚色蒼白)하거나 혹은 靑紫(청자), 혹은 마디가 퉁퉁하게 붓는다(結

節腫塊)

選用 : 해독 세제약물(解毒洗葯)

或用 : 生姜(생강)120, 甘草(감초)60.

或用 : 无花果(무화과) 煎汁(전즙)에 患處(환처)를 따뜻하게 浸泡(침포) 한

다. 1日 2次, 1次 15~30분간,

⑵ 初期(초기) 환처가 빨갛게 붓고 아직 터지기 전 약간의 동통이 있을 때(紅腫未潰

僅有疼痛時)

選用 : 甘草油(감초유), 혹 金黃膏(금황고) 外敷(외부), 혹용 紅靈酒(홍령주)를

약간 外涂(외도, 떨어드린다.)한다.

만약 ① 化膿(화농)이 아직 터지지 않고 病變(병변) 발가락(趾)에 국한된 상태

에서는 白芷(백지) 혹은 甘草(감초)를 얇은 건포에 싸서(細面乾包) 사

용하여 膿液吸收(농액흡수)와 局限(국한)된 작용을 얻을 수 있다.

② 이미 환처가 터지고(已潰) 膿腐(농부)가 비교적 많은 데는 五五丹(오

오단), 黃連膏(황련고)을 환처에 바근다.

③ 膿腐(농부)가 점차 줄고 붉은 새살이 살아 날 때 九一丹(구일단)을

바른다.

④ 붉은 새살이 살아나는데 마치 구슬 같은 농부를 없애자면 生肌散(생

기산) 혹은 冰石散(빙석산), 혹은 八珍寶丹(팔진보단) 生肌玉紅膏(생

기옥홍고)를 환처에 바른다.

⑤ 썩은 뼈(朽骨)가 나올 때

選用 : 推車散(추차산) - 直至 朽骨而瘡斂

10) 內治法(내치법)

⑴ 寒濕侵襲證(한습침습증) : 陽和湯加减(양화탕가감),

⑵ 氣滯血瘀證(기체혈어증) : 桃紅四物湯加减(도홍사물탕가감),

⑶ 濕熱蘊毒證(습열온독증) : 茵陳赤豆湯加味(인진적두탕가미),

⑷ 熱毒侵膚證(열독침부증) : 四妙勇安湯加味(사묘용안탕가미),

⑸ 氣血兩虛證(기혈양허증) : 八珍湯加减(팔진탕가감)

1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