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정 (七情)
東醫(동의) 七情(칠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사람의 情緖(정서) 변화를 분석한 것
으로서 정서에는 喜, 怒, 憂, 思, 悲, 恐, 驚(희,노,우,사,비,공,경)의 7 가지를 말하고, 다음은
葯物配合(약물배합)의 7가지 작용을 말하는 것으로 神農本草經(신농본초경)에 이르기를
單行(단행), 相須(상수), 相使(상사), 相畏(상외), 相惡(상오), 相殺(상살), 相反(상반) 등을
거론하였다. 이를 葯物七情(약물칠정)이라고도 한다. 이 장에서는 사람이 자연계(外界)
의 사물에 대한 반응 이를태면 기쁨(喜), 노여움 (怒), 근심(憂), 생각(思), 슬픔(悲), 두려움
(恐), 놀람(驚) 등 精神情志(정신정지)의 7가지 過極(과극)한 변화가 病(병)을 일으키는 요
인이라 지목하고 이를 內傷七情 (내상칠정)이라고 규정한 선대의 의학분석을 답습하는
장이다. 정신활동이 지나치게 輯要(집요)하고, 오래 지속되면 臟腑氣血(장부기혈)의 기
능에 영향을 주거나 혹은 內臟(내장)에 병변을 일으키고 나아가서 정신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가리킨다.
여러 가지 情志活動(정지활동)이 실조됨으로 생기는 병리적 기능의 항진은 火(화) 로 표
현된다. 情志(정지)는 氣(기)의 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장기 적 정신활동
이 지나치게 흥분되거나 혹은 억제되게 되면 氣(기)의 기능이 문란하 게 되고 이어서 장
부의 眞陰(진음)이 손상되면 정서적으로 煩躁(번조)해 하고, 성 (怒)을 잘내며(易怒), 머리
가 어지럽고(頭暈), 잠을 자지 못하며(不寐), 입안이 쓰고(口苦), 옆구리가 아픈(脇痛) 증상
을 호소하게 되기도 하고, 혹은 喘咳(천해), 吐血(토혈)등 보다 甚化(심화)된 중상이 나타
나는데 이는 모두 火(화)에 속하는 표현이 다. 인체가 內傷七情(내상칠정) 또는 外感六淫
(외감육음)등등에 의해 질병으로 발전하 게 되면 인체 내부에는 동시에 병리적 산물이 등
장하게 되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瘀血(어혈) 또는 痰飮(담음)이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이미 인체 내부의 약화된 正氣(정기)를 북돋우고 過極(과극) 한 邪氣
(사기)를 다스려서 邪氣(사기)의 劇盛(극성)을 퇴치시킨 것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舍岩道人針灸要訣
諸氣痛門(제기통문)
1) 怒氣上(노기상) : 未曾有(미증유)의 憤怒(분노, 忿怒)가 있은 후에 氣(기)가 上冲(상충)
하는 證狀(증상)
處方 : 肝實(간실) - 經渠(경거). 中封(중봉) 補, 行間(행간), 少府(소부) 瀉.
또는 經渠(경거) 瀉, 太冲(태충) 瀉)
2) 喜氣緩(희기완) : 所望(소망)에 넘치는 환희가 있은 후에 氣(기)가 緩慢(완만)한 狀態
(상태)
處方 : 心傷(심상) - 少冲(소충) 大敦(대돈) 補, 陰谷(음곡) 少海(소해) 瀉.
又方 太白(태백) 溫, 三里(삼리) 凉.
3) 思氣結(사기결) : 쉽게 처결하기 곤란한 사정으로 深思熟考(심사숙고)한 후에 생긴 氣
結證(기결증).
處方 : 脾傷(비상) - 大都(대도) 少府(소부) 補, 大敦(대돈) 隱白(은백) 瀉.
4) 悲氣消(비기소) : 과격한 슬픔이 있은 후에 초래된 氣(기)의 消散證(소산증).
處方 : 上脘(상완) 灸, 腰兪(요수) 針 (瀉)
柳泰佑는 "對症療法으로서뚜렸한 의미가 없다. 너무 슬퍼서 氣가 흩
어져 맥이 빠진 狀態(상태)는 肺勝格(폐승격)이 아니면 心
正格(심정격)을 놓는다."하였다.
5) 憂氣鬱(우기울) : 極度(극도)에 達(달)하는 憂慮(우려)의 事情(사정)으로 생긴 氣 鬱證
(기울증)
處方 : 腎弱(신약) -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6) 驚氣亂(경기난) : 갑자기(卒暴間) 생긴(生起) 놀라운(驚怯) 事情(사정)으로 招來(초래)
된 氣亂證(기난증)
處方 : 太冲(태충) 補, 少府(소부) 瀉.
又方 : 勞宮(노궁) 瀉, 三陰交(삼음교) 肺兪(폐수) 灸.
7) 寒氣收(한기수) : 酷寒(혹한)에 跋涉(발섭, 산을 넘고 물을 건너감)으로 인해 寒氣(한
기)를 받아 病(受傷)이 된 증상.
處方 : 丹田(단전) 正, 氣海(기해) 灸 100壯. 丹田(단전) 正(정)은 關元(관원)
이나 石關穴(석관혈)을 말한다.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此證(차증)은 흔히 氣道(기도)가 痰滯(담체)의 被害(피해)로 血積阻滯(혈적조체)
가 된 까닭인데 또한 血脈空虛(혈맥공허)로 인하여 虛氣(허기)가 流入(류입)해
가지고 作痛(작통)하는 자도 있나니 前者(전자)는 實證(실증)에 속했고 후자는 虛證(허
증)에 속하였다. 要治(요치)의 大法(대법)은 開鬱行氣(개울행기), 豁痰消積(활담소적)하
는 것이 妥當(타당)하나 오랜 것이라면 辛寒(신한)을 用(용)하여 降火(강화) 하여야 한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氣痛(기통)의 治法(치법)은 “先看七情之長短(선간칠정지장단), 後
察九氣之善惡(후찰구기지선악)”이라야 한다. 라고 强調(강조)하고 “喜則氣緩(희칙기완),
怒則氣傷(노칙기상), 憂者氣沈而思結(우자기침이사결), 悲者氣消而驚氣(비자기소이경
기)”라 하여 上法(상법)을 提示(제시)하고 “時人五志之火(시인오지지화) 無時不起(무시
불기), 十味之偏(십미지편) 無日不傷(무일불상)”의 論(론)을 擧(거)하여 注意(주의)를 喚
起(환기)하였다.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註曰 - 君子(군자)는 行之無憂(행지무우)어늘 何氣之有哉(하기지유재)아 經(경)에 曰蹶
者(왈궐자) 趨者(추자)는 是氣也(시기야)로되 反動其心(반동기심)이오 榮衛之配
合(영위지배합)은 理所固然者也(리소고연자야)라 氣者(기자)는 已之所出(이지소출)이나
已成病根(이성병근)하여 不能自制者也(불능자제자야)로다.
1) 한 小兒(소아)가 年五六(연오육)에 恒時(항시) 鱉腹(별복)을 患(환)하여 鍼藥(침약)으
로 小可(소가)하더니 잘못하여 높은 마루에서 떨어져 鱉倒(별도) 扶
起(부기)한지 食頃(식경)에 回生(회생)하더니 其後(기후)부터 鱉昏一頃(별혼일경)에
起(기)하고 時時(시시)로 惡寒頭痛(오한두통)을 訴(소)하거늘 少冲(소충)補(보), 少府
(소부) 瀉(사) 하였더니 一次(일차)에 낫더라
2) 한 男兒(남아)가 年近三十(연근삼십)에 其妻(기처)가 發狂(발광)이 大作(대작)하는 걸
보고 如癡不振(여치부진)하더니 一日間(일일간)에 惡寒(오한)이 三
四次(삼사차)요 言語(언어)가 不明(불명)하고 漸駸漸極(점침점극)하여 보는 사람들이
必死不治(필사불치)라 하더니 驚亂(경란) 本方(본방)으로써 治(치)하기 一次(일차)에
病快(병쾌)하더라.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