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구184 칠정 (七情)

Aktualisiert: 20. Sept. 2019



칠정 (七情)

東醫(동의) 七情(칠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사람의 情緖(정서) 변화를 분석한 것

으로서 정서에는 喜, 怒, 憂, 思, 悲, 恐, 驚(희,노,우,사,비,공,경)의 7 가지를 말하고, 다음은

葯物配合(약물배합)의 7가지 작용을 말하는 것으로 神農本草經(신농본초경)에 이르기를

單行(단행), 相須(상수), 相使(상사), 相畏(상외), 相惡(상오), 相殺(상살), 相反(상반) 등을

거론하였다. 이를 葯物七情(약물칠정)이라고도 한다. 이 장에서는 사람이 자연계(外界)

의 사물에 대한 반응 이를태면 기쁨(喜), 노여움 (怒), 근심(憂), 생각(思), 슬픔(悲), 두려움

(恐), 놀람(驚) 등 精神情志(정신정지)의 7가지 過極(과극)한 변화가 病(병)을 일으키는 요

인이라 지목하고 이를 內傷七情 (내상칠정)이라고 규정한 선대의 의학분석을 답습하는

장이다. 정신활동이 지나치게 輯要(집요)하고, 오래 지속되면 臟腑氣血(장부기혈)의 기

능에 영향을 주거나 혹은 內臟(내장)에 병변을 일으키고 나아가서 정신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가리킨다.

여러 가지 情志活動(정지활동)이 실조됨으로 생기는 병리적 기능의 항진은 火(화) 로 표

현된다. 情志(정지)는 氣(기)의 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장기 적 정신활동

이 지나치게 흥분되거나 혹은 억제되게 되면 氣(기)의 기능이 문란하 게 되고 이어서 장

부의 眞陰(진음)이 손상되면 정서적으로 煩躁(번조)해 하고, 성 (怒)을 잘내며(易怒), 머리

가 어지럽고(頭暈), 잠을 자지 못하며(不寐), 입안이 쓰고(口苦), 옆구리가 아픈(脇痛) 증상

을 호소하게 되기도 하고, 혹은 喘咳(천해), 吐血(토혈)등 보다 甚化(심화)된 중상이 나타

나는데 이는 모두 火(화)에 속하는 표현이 다. 인체가 內傷七情(내상칠정) 또는 外感六淫

(외감육음)등등에 의해 질병으로 발전하 게 되면 인체 내부에는 동시에 병리적 산물이 등

장하게 되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瘀血(어혈) 또는 痰飮(담음)이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이미 인체 내부의 약화된 正氣(정기)를 북돋우고 過極(과극) 한 邪氣

(사기)를 다스려서 邪氣(사기)의 劇盛(극성)을 퇴치시킨 것이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舍岩道人針灸要訣

諸氣痛門(제기통문)

1) 怒氣上(노기상) : 未曾有(미증유)의 憤怒(분노, 忿怒)가 있은 후에 氣(기)가 上冲(상충)

하는 證狀(증상)

處方 : 肝實(간실) - 經渠(경거). 中封(중봉) 補, 行間(행간), 少府(소부) 瀉.

또는 經渠(경거) 瀉, 太冲(태충) 瀉)

2) 喜氣緩(희기완) : 所望(소망)에 넘치는 환희가 있은 후에 氣(기)가 緩慢(완만)한 狀態

(상태)

處方 : 心傷(심상) - 少冲(소충) 大敦(대돈) 補, 陰谷(음곡) 少海(소해) 瀉.

又方 太白(태백) 溫, 三里(삼리) 凉.

3) 思氣結(사기결) : 쉽게 처결하기 곤란한 사정으로 深思熟考(심사숙고)한 후에 생긴 氣

結證(기결증).

處方 : 脾傷(비상) - 大都(대도) 少府(소부) 補, 大敦(대돈) 隱白(은백) 瀉.

4) 悲氣消(비기소) : 과격한 슬픔이 있은 후에 초래된 氣(기)의 消散證(소산증).

處方 : 上脘(상완) 灸, 腰兪(요수) 針 (瀉)

柳泰佑는 "對症療法으로서뚜렸한 의미가 없다. 너무 슬퍼서 氣가 흩

어져 맥이 빠진 狀態(상태)는 肺勝格(폐승격)이 아니면 心

正格(심정격)을 놓는다."하였다.

5) 憂氣鬱(우기울) : 極度(극도)에 達(달)하는 憂慮(우려)의 事情(사정)으로 생긴 氣 鬱證

(기울증)

處方 : 腎弱(신약) -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6) 驚氣亂(경기난) : 갑자기(卒暴間) 생긴(生起) 놀라운(驚怯) 事情(사정)으로 招來(초래)

된 氣亂證(기난증)

處方 : 太冲(태충) 補, 少府(소부) 瀉.

又方 : 勞宮(노궁) 瀉, 三陰交(삼음교) 肺兪(폐수) 灸.

7) 寒氣收(한기수) : 酷寒(혹한)에 跋涉(발섭, 산을 넘고 물을 건너감)으로 인해 寒氣(한

기)를 받아 病(受傷)이 된 증상.

處方 : 丹田(단전) 正, 氣海(기해) 灸 100壯. 丹田(단전) 正(정)은 關元(관원)

이나 石關穴(석관혈)을 말한다.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此證(차증)은 흔히 氣道(기도)가 痰滯(담체)의 被害(피해)로 血積阻滯(혈적조체)

가 된 까닭인데 또한 血脈空虛(혈맥공허)로 인하여 虛氣(허기)가 流入(류입)해

가지고 作痛(작통)하는 자도 있나니 前者(전자)는 實證(실증)에 속했고 후자는 虛證(허

증)에 속하였다. 要治(요치)의 大法(대법)은 開鬱行氣(개울행기), 豁痰消積(활담소적)하

는 것이 妥當(타당)하나 오랜 것이라면 辛寒(신한)을 用(용)하여 降火(강화) 하여야 한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氣痛(기통)의 治法(치법)은 “先看七情之長短(선간칠정지장단), 後

察九氣之善惡(후찰구기지선악)”이라야 한다. 라고 强調(강조)하고 “喜則氣緩(희칙기완),

怒則氣傷(노칙기상), 憂者氣沈而思結(우자기침이사결), 悲者氣消而驚氣(비자기소이경

기)”라 하여 上法(상법)을 提示(제시)하고 “時人五志之火(시인오지지화) 無時不起(무시

불기), 十味之偏(십미지편) 無日不傷(무일불상)”의 論(론)을 擧(거)하여 注意(주의)를 喚

起(환기)하였다.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註曰 - 君子(군자)는 行之無憂(행지무우)어늘 何氣之有哉(하기지유재)아 經(경)에 曰蹶

者(왈궐자) 趨者(추자)는 是氣也(시기야)로되 反動其心(반동기심)이오 榮衛之配

合(영위지배합)은 理所固然者也(리소고연자야)라 氣者(기자)는 已之所出(이지소출)이나

已成病根(이성병근)하여 不能自制者也(불능자제자야)로다.

1) 한 小兒(소아)가 年五六(연오육)에 恒時(항시) 鱉腹(별복)을 患(환)하여 鍼藥(침약)으

로 小可(소가)하더니 잘못하여 높은 마루에서 떨어져 鱉倒(별도) 扶

起(부기)한지 食頃(식경)에 回生(회생)하더니 其後(기후)부터 鱉昏一頃(별혼일경)에

起(기)하고 時時(시시)로 惡寒頭痛(오한두통)을 訴(소)하거늘 少冲(소충)補(보), 少府

(소부) 瀉(사) 하였더니 一次(일차)에 낫더라

2) 한 男兒(남아)가 年近三十(연근삼십)에 其妻(기처)가 發狂(발광)이 大作(대작)하는 걸

보고 如癡不振(여치부진)하더니 一日間(일일간)에 惡寒(오한)이 三

四次(삼사차)요 言語(언어)가 不明(불명)하고 漸駸漸極(점침점극)하여 보는 사람들이

必死不治(필사불치)라 하더니 驚亂(경란) 本方(본방)으로써 治(치)하기 一次(일차)에

病快(병쾌)하더라.

3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1 부록 오행침법

附錄(부록) 行針法(오행침법) 오행침(五行針)은 사암선생(舍岩先生)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황제내경 (黃帝內經)과 난경(難經)에서 완성하지 못한 오행침술(五行針術)을 완성하고 그 비방(秘方)을 사암도인침구요결(舍岩道人針灸要訣)에 담아...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Comentarios


Los comentarios se han desactivado.
bottom of page